KR200457757Y1 -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 - Google Patents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757Y1
KR200457757Y1 KR2020090010328U KR20090010328U KR200457757Y1 KR 200457757 Y1 KR200457757 Y1 KR 200457757Y1 KR 2020090010328 U KR2020090010328 U KR 2020090010328U KR 20090010328 U KR20090010328 U KR 20090010328U KR 200457757 Y1 KR200457757 Y1 KR 200457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ortion
wall
hanger
suppo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562U (ko
Inventor
장석환
Original Assignee
장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환 filed Critical 장석환
Priority to KR2020090010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75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5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5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7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4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 A47K10/10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cabinets, walls, doors, or the lik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면상에 놓여 고정설치되는 고정부; 고정부의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벽면의 전방에 위치하는 연결부; 연결부의 일측에 고정형성되고, 걸이봉이 끼워지도록 이루어지는 끼움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한 쌍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가 제공된다.
고정부, 연결부, 끼움파이프

Description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SUPPORT FOR WALL MOUNTED HANGER}
본 고안은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해조립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설치가 간단하며, 행거의 폭에 제한이 없는 행거용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등에서 사용되는 행거(hanger)는, 그 자체로 독립된 구조물로 이루어진 것과 벽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고정설치되는 것이 아니어서 이동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비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보통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행거를 이루는 구조물을 떠받치는 다리가 있어야 하므로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하고 있다.
후자의 경우는, 행거의 주요 역할을 하며 수평으로 길게 놓이는 걸이봉 부분과, 걸이봉을 지지하며 벽면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형 행거의 경우, 건물의 측벽에 설치되어 사용되는데, 벽에 구속되어 형성되는 것이니만큼 다리형상의 별도의 지지체는 필요치 않으나, 이를 대신할 수 있도록 벽면에 안정된 상태의 고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행거는 비교적 무거운 대상물을 걸어야할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 에 따라 벽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행거를 고정하는 부분에서 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도 신뢰성 있는 결합이 보장되어야 한다.
벽면에 고정된 행거는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는 없으며, 어느 정도의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될 수밖에 없다. 즉, 걸이봉이 벽면과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야 하며, 이 경우에도 행거가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너무 큰 하중이 작용하지 않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분해, 조립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설치가 간단하며, 행거의 폭에 제한이 없으며, 벽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줄일 수 있는 행거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벽면상에 놓여 고정설치되는 고정부; 고정부의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벽면의 전방에 위치하는 연결부; 연결부의 일측에 고정형성되고, 걸이봉이 끼워지도록 이루어지는 끼움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한 쌍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분리되어 이루어진 행거용 지지체가 한 쌍 또는 그 이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므로, 걸이봉의 길이에 제한이 없으며,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
둘째, 고정부를 연결부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안정성에도 충분한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셋째, 고정부와 연결부가 하나의 금속봉이 절곡되어 이루어지고 마감파이프가 결합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행거용 지지체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지지체가 설치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행거용 지지체(1)는 벽면상에 놓여 고정설치되는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의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벽면의 전방에 위치하는 연결부(20); 상기 연결부(20)의 일측에 고정형성되고, 걸이봉(80)이 끼워지도록 이루어지는 끼움파이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한 쌍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되어 사용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0)와 연결부(20)는 동일평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파이프(30)는 상기 연결부(20)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지지체(1)는, 실내의 벽면에 고정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걸이봉(80)과 함께 행거를 형성한다. 방 또는 욕실 등에 고정 설치되어 사용되며, 의류, 타올 등을 걸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10)는 긴 로드(rod)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벽면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벽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고정부(10)는 그 자체로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고정부재(90)에 의하여 고정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90)는, 상기 고정부(10)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10)의 상단에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부재(90)는, 행거용 지지체(1)가 처지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20)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0)는 수직방향으로 놓여 벽면에 고정되며, 전체에 걸쳐 벽면에 밀착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고정부(10)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0)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20)에서 연장되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타단이 벽면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0)의 타단에는 상기 끼움파이프(30)가 고정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고정부(10)와 동일평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즉 상기 연결부(20)는 벽면을 기준으로 앞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좌우측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고정부(10)에서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10)와 이루는 각이 예각 또는 둔각을 형성하도록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끼움파이프(30)는 상기 연결부(20)의 일측에 고정형성되어 상기 걸이봉(80)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며, 본 고안인 행거용 지지체(1)가 상기 걸이봉(80)과 함께 행거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끼움파이프(30)는 상기 연결부(20)의 중앙부분 또는 어느 한쪽에 치우쳐 결합될 수 있으며,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0)의 단부에 고정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파이프(30)는 상기 걸이봉(80)이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연결부(20)와 수직 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지지체(1)가 설치되는 경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파이프(30)는 상기 걸이봉(80)의 분리 결합을 고려하여, 상기 걸이봉(80)의 지름보다는 다소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파이프(30)에는 조임홀(31)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홀(31)에 조임구(50)가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지지체(1)에서는, 상기 끼움파이프(30)에 상기 걸이봉(80)이 삽입된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조임홀(31)에 상기 조임구(50)이 결합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파이프(30)는 상기 걸이봉(80)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걸이봉(80)이 상기 끼움파이프(30) 내부에서 이격되어 움직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 조임구(50)은 상기 조임홀(31)에 나사결합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걸이봉(80)의 외주면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걸이봉(80)이 상기 끼움파이프(30)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한다.
도 1에서 상기 끼움파이프(30)는 상기 고정부(10)의 중간부분의 전방에 위치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부(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고정부(10)의 상단 상측 또는 하단 하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지지체(1)는, 전체가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금속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충분한 강도 및 내구성을 위해서는 금속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지지체(1)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사용되거나 2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끼움파이프(30)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걸이봉(80)의 길이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행거용 지지체(1)는 상기 걸이봉(80)과 별도로 제작되고 설치시에만 상기 걸이봉(80)과 결합되므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지지체(1)는 모두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이 또한 제조시 이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벽면 전체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걸이봉(80)과의 사이에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므로 전체적으로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행거용 지지체(1)에서, 상기 고정부(10)는 상기 연결부(20)보다 짧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0)와 상기 연결부(20)가 이루는 각도는 60°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고정부(10)의 상단 및 하단 양쪽에서 형성되어, 이등변삼각형을 이루며, 상기 끼움파이프(30)는 상기 연결부(20)의 꼭짓점 내측에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지지체(1)가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 작용하 는 하중은 상기 고정부(10)에 전달되고,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은 상기 고정부(10)에 연결된 상기 고정부재(90)에 대부분 전달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90)에는 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하중이 전달되며, 행거가 벽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즉, 상기 고정부재(90)는 벽에서 뽑혀 나가지 않도록 안정되게 결합되어야 한다.
상기 고정부재(90)에 작용하는 하중 중 수직방향의 하중은, 사용되는 물체 및 본 고안에 따른 행거의 하중에 의하여 결정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수직방향의 하중은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지지체(1)의 하중 자체에만 영향을 받으며 구조적인 형상의 특징에 의하여 특별히 영향을 받는 부분이 아니다.
이와 달리 수평방향의 하중은 행거용 지지체(1)의 형상에 따라 좌우되게 되는데, 상기 고정부(10)의 길이 및 상기 끼움파이프(30)와 벽면 사이의 길이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의 길이가 길수록, 상기 끼움파이프(30)가 벽면과 가까울수록 보다 안정된 결합이 가능하므로, 상기 고정부(10)는 상기 연결부(20)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0)가 상기 고정부(10) 상하 양단에서 동일하게 형성되어 이루는 각도가 60°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파이프(30)는 상기 연결부(20)와의 안정된 구조적 결합 및 벽면과의 이격 거리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20)의 꼭짓점 내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행거용 지지체(1)는, 일체로 형성된 금속봉(金屬棒)이 절곡되어 상기 연결부(20) 및 고정부(10)를 형성하며, 마감파이프(40)가 금속봉의 이음부에 끼워져서 상기 연결부(20)의 일부를 이룬다.
상기 연결부(20) 및 고정부(10)는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금속봉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0)와 고정부(10)가 이어지는 부분에서는 자연스레 원호를 형성하도록 굴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부분에서 하중이 특히 과도하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금속봉이 절곡되어 상기 고정부(10) 및 연결부(20)를 형성하게 되고, 금속봉의 양 단부는 서로 근접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 경우, 용접을 통하여 금속봉의 양 단부를 접합시킬 수 있으며,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파이프(40)를 사용하여 금속봉이 이어지도록 할 수 있다.
금속봉을 절곡하여 상기 고정부(10) 및 연결부(20)를 형성하는 경우, 금속봉의 양 단부가 정확히 맞닿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마감파이프(40)를 사용하여 행거용 지지체(1)를 이루도록 하여 보완할 수 있다.
상기 마감파이프(40)는 그 내경이 금속봉의 외경과 어느 정도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서로 억지끼워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파이프(40)는 상기 연결부(20)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즉 금속봉의 양단부를 이루는 부분이 하나의 상기 연결부(20)에 해당하도록 금속봉을 절곡형성한다. 상기 마감파이프(40)는 금속봉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그 길이가 상기 연결부(20)의 길이보다 짧게,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20)의 반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금속봉은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지므로, 금속봉의 단부를 어긋나게 하여 하나의 단부에 상기 마감파이프(40)를 결합하고 나머지 하나의 단부가 상기 마감파이프(40)에 끼워지도록 결합할 수 있다.
금속봉의 양 단부, 즉 상기 연결부(20)에서 나뉜 부분은 상기 고정부(10) 쪽에 치우쳐 형성되고, 행거용 지지체(1)가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마감파이프(40)는 행거용 지지체(1)의 아랫부분에 위치하게 되며, 마감파이프(40)가 움직여 금속봉의 단부가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행거용 지지체(1)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행거용 지지체(1)에서,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고정부(10)의 상단 또는 하단 일측에서 형성되고, 상기 끼움파이프(30)는 상기 연결부(20)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끼움파이프(3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0)의 상단과 하단 모두에서 형성되어 삼각형 모양의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고정 부(10)의 상단 또는 하단의 어느 하나에서만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체적인 형상이 ∧ 또는 ∨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지지체(1)는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완전한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으며, 충분히 견고한 행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끼움파이프(30)는 상기 연결부(20)의 단부에서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연결부(20)의 단부가 상기 끼움파이프(30)를 일정부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양자 간의 결합을 보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행거용 지지체(1)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0)가 상기 고정부(10)의 상단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90)와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끼움파이프(30)와의 결합에 있어서도 안정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지지체가 설치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6는 도 5에 도시된 행거용 지지체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행거용 지지체 10 : 고정부
20 : 연결부 30 : 끼움파이프
31 : 조임홀 40 : 마감파이프
50 : 조임구 80 : 걸이봉
90 : 고정부재 100 : 벽면

Claims (7)

  1. 벽면상에 놓여 고정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벽면의 전방에 위치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고정형성되고, 걸이봉이 끼워지도록 이루어지는 끼움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한 쌍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되어 사용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보다 짧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연결부가 이루는 각도는 60°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되며,
    일체로 형성된 금속봉이 절곡되어 상기 연결부 및 고정부를 형성하며,
    마감파이프가 금속봉의 이음부에 끼워져서 상기 연결부의 일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연결부는 동일평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파이프는 상기 연결부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
  3. 삭제
  4.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부의 상단 및 하단 양쪽에서 형성되어, 이등변삼각형을 이루며,
    상기 끼움파이프는 상기 연결부의 꼭짓점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부의 상단 또는 하단 일측에서 형성되고,
    상기 끼움파이프는 상기 연결부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끼움파이프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
KR2020090010328U 2009-08-07 2009-08-07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 KR200457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328U KR200457757Y1 (ko) 2009-08-07 2009-08-07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328U KR200457757Y1 (ko) 2009-08-07 2009-08-07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562U KR20110001562U (ko) 2011-02-15
KR200457757Y1 true KR200457757Y1 (ko) 2012-01-02

Family

ID=44206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328U KR200457757Y1 (ko) 2009-08-07 2009-08-07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75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592U (ko) * 1997-11-04 1998-03-30 김상진 행거
KR200168698Y1 (ko) 1997-03-31 2000-03-02 김수환 벽고정용 옷걸이장치
KR20010068698A (ko) * 2000-01-07 2001-07-23 김시호 강유전체 메모리의 배열 구조 및 동작 방법
KR100673488B1 (ko) * 2005-07-12 2007-01-25 김용구 도마 걸이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698Y1 (ko) 1997-03-31 2000-03-02 김수환 벽고정용 옷걸이장치
KR980000592U (ko) * 1997-11-04 1998-03-30 김상진 행거
KR20010068698A (ko) * 2000-01-07 2001-07-23 김시호 강유전체 메모리의 배열 구조 및 동작 방법
KR100673488B1 (ko) * 2005-07-12 2007-01-25 김용구 도마 걸이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의장공보 제30-314878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562U (ko) 201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552B1 (en) Curtain rod support
KR200457757Y1 (ko) 벽면 설치식 행거용 지지체
KR101222943B1 (ko) 파이프 행거
JP6105216B2 (ja) レールエンドキャップ
JP2016047218A (ja) ハンガー吊り具
KR200448285Y1 (ko) 안내판 설치용 지지대
KR101672164B1 (ko) 보강 환봉이 구비된 파이프 연결 구조체
JP5102694B2 (ja) 支持取着具
KR200403001Y1 (ko) 거푸집 체결용 지지구
JP2004360234A (ja) 鉄筋結合金具
KR200448263Y1 (ko) 프레임 연결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프레임
JP6125925B2 (ja) 天井構造及びブレース下部取付具
JP3214851U (ja) 折板屋根用取付具
KR200483804Y1 (ko) 조립식 선반
JP624363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工事用スペーサー
KR101785905B1 (ko) 프레임 결합 구조
KR20120082142A (ko) 길이 방향의 개방부를 갖는 파이프
KR100903019B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의 널판 지지용 홀더 및 이를 이용한빨래건조대
KR20080081383A (ko) 옷걸이용 행거
KR100995212B1 (ko) 증설식 빨래걸이대 조립체
JP2016113876A (ja) 補強金物および建物基礎構造
KR100950181B1 (ko) 입식 행거의 지지봉 결합구조
KR101174387B1 (ko) 건물 외장재 설치용 트러스바에 사용되는 티볼트
KR200451889Y1 (ko) 발코니용 받침대
CN212641950U (zh) 一种建筑钢筋之间可调距连接加强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