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804Y1 - 조립식 선반 - Google Patents

조립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804Y1
KR200483804Y1 KR2020150007037U KR20150007037U KR200483804Y1 KR 200483804 Y1 KR200483804 Y1 KR 200483804Y1 KR 2020150007037 U KR2020150007037 U KR 2020150007037U KR 20150007037 U KR20150007037 U KR 20150007037U KR 200483804 Y1 KR200483804 Y1 KR 2004838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plate
column
coupled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792U (ko
Inventor
심득섭
Original Assignee
심득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득섭 filed Critical 심득섭
Priority to KR2020150007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804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7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7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8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8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5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4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Abstract

조립식 선반이 개시된다. 조립식 선반은 제1 배면플레이트,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한 제1 측면플레이트,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의 안쪽면에 돌출 형성된 제1 선반결합부 및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의 바깥면에 돌출 형성된 제1 기둥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선반받침대; 제2 배면플레이트, 상기 제2 배면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한 제1 측면플레이트, 상기 제2 배면플레이트의 안쪽면에 돌출 형성된 제2 선반결합부 및 상기 제2 배면플레이트의 바깥면에 돌출 형성된 제2 기둥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선반받침대; 상기 제1 기둥결합부와 결합되고, 가구와 가구 사이의 수평면들 또는 천정과 지면 사이에 지지되는 제1 기둥; 상기 제2 기둥결합부와 결합되고, 가구와 가구 사이의 수평면들 또는 천정과 지면 사이에 지지되는 제2 기둥; 상기 제1 선반결합부 및 제2 선반결합부에 양측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 선반받침대 및 제2 선반받침대에 결합되는 타공선반; 상기 제1 기둥이 상기 제1 기둥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둥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마감캡; 및 상기 제2 기둥이 상기 제2 기둥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기둥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마감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선반{SECTIONAL BRACKET}
본 고안은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 조립이 간단하고, 기둥을 이용하여 가구와 가구 사이 또는 천정과 지면 사이에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선반은 배수성을 좋게 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소재로 이루어진 철선 등을 소정 길이로 절단한 후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스테인레스 소재 선반의 또 다른 이점은 내부식성 및 경량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서, 공개된 실용신안출원 제1999-23933호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힌지편을 구비해서 선반체에 보조 선반을 착, 탈이 가능토록 구성한 선반을 개시하고 있으며, 공개된 실용신안출원 제1998-18216호는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는 선반 지지구의 상, 하부프레임과 이를 상호 연결하는 스테인레스재의 연결봉을 동시에 사출성형하여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구의 결합력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선반 지지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선반은 싱크대용 찬장의 저면에 행거식으로 고정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싱크대등의 가구에 흠집을 내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나아가, 과도한 중량으로 선반이 바닥에 떨어지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구 등의 손상 없이 간단히 조립하여 설치가 가능하고, 선반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조립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물받이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제1 배면플레이트,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한 제1 측면플레이트,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의 안쪽면에 돌출 형성된 제1 선반결합부 및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의 바깥면에 돌출 형성된 제1 기둥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선반받침대; 제2 배면플레이트, 상기 제2 배면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한 제1 측면플레이트, 상기 제2 배면플레이트의 안쪽면에 돌출 형성된 제2 선반결합부 및 상기 제2 배면플레이트의 바깥면에 돌출 형성된 제2 기둥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선반받침대; 상기 제1 기둥결합부와 결합되고, 가구와 가구 사이의 수평면들 또는 천정과 지면 사이에 지지되는 제1 기둥; 상기 제2 기둥결합부와 결합되고, 가구와 가구 사이의 수평면들 또는 천정과 지면 사이에 지지되는 제2 기둥; 상기 제1 선반결합부 및 제2 선반결합부에 양측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 선반받침대 및 제2 선반받침대에 결합되는 타공선반; 상기 제1 기둥이 상기 제1 기둥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둥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마감캡; 및 상기 제2 기둥이 상기 제2 기둥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기둥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마감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각의 배면플레이트는 제1 장축변, 제2 장축변 및 제1 단축변, 제2 단축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선반결합부는, 상기 제1 단축변 및 상기 제1 측면플레이트의 상단부에 접하여 있고,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의 안쪽면으로부터 돌출된 중공의 제1 원통부; 상기 제2 단축변에 접하여 있고,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의 안쪽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원통부에 대향하는 제2 원통부; 상기 제1 원통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1 수직부, 상기 제2 원통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수직부에 대향하는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1 수직부 및 제2 수직부의 하단부들에 연결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제1 측면플레이트의 안쪽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아래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제1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원통부의 하단부로부터 수직 및 수평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아래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하부플레이트에 대향하는 제2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선반결합부는 상기 제1 선반결합부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반받침대는, 상기 제1 측면플레이트의 안쪽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선반결합부의 아래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제1 물받이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선반받침대는, 상기 제2 측면플레이트의 안쪽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선반결합부의 아래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제2 물받이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에 의하면, 가구 등의 손상 없이 간단히 조립하여 설치가 가능하고, 선반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조립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물받이의 사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선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선반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배면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선반받침대의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선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제1 선반받침대(110), 제2 선반받침대(120), 제1 기둥(131), 제2 기둥(132), 타공선반(140), 제1 마감캡(151) 및 제2 마감캡(152)을 포함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선반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배면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선반받침대의 배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선반받침대(110)는 제1 배면플레이트(111), 제1 측면플레이트(112), 제1 선반결합부(113) 및 제1 기둥결합부(114)를 포함한다.
제1 배면플레이트(111)는 제1 장축변(111a), 제2 장축변(111b), 제1 단축변(111c) 및 제2 단축변(111d)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이다.
제1 측면플레이트(112)는 제1 배면플레이트(111)의 일측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제1 측면플레이트(112)는 제1 배면플레이트(111)에 수직하도록 제1 배면플레이트(111)의 제1 단축변(111c)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선반결합부(113)는 제1 배면플레이트(111)의 안쪽면에 돌출 형성된다. 제1 선반결합부(113)는 제1 원통부(113a), 제2 원통부(113b), 상부플레이트(113c), 제1 하부플레이트(113d) 및 제2 하부플레이트(113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원통부(113a)는 중공이고, 제1 배면플레이트(111)의 제1 단축변(111c) 및 제1 측면플레이트(112)의 상단부에 접하여 있고, 제1 배면플레이트(111)의 안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2 원통부(113b)는 중공이고, 제1 배면플레이트(111)의 제2 단축변(111d)에 접하여 있고, 제1 배면플레이트(111)의 안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원통부(113b)는 제1 원통부(113a)에 대향한다.
상부플레이트(113c)는 제1 원통부(113a) 및 제2 원통부(113b)의 사이에 연결된다. 상부플레이트(113c)는 제1 원통부(113a)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1 수직부(113c1), 제2 원통부(113b)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제1 수직부(113c1)에 대향하는 제2 수직부(113c2) 및 제1 수직부(113c1) 및 제2 수직부(113c2)의 하단부들에 연결되는 수평부(113c3)를 포함한다.
제1 하부플레이트(113d)는 제1 측면플레이트(112)의 안쪽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13c)의 아래로 일정 거리 이격된다.
제2 하부플레이트(113e)는 제2 원통부(113b)의 하단부로부터 수직 및 수평으로 절곡되어 제1 하부플레이트(113d)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하부플레이트(113d)와 대향하고, 상부플레이트(113c)의 아래로 일정 거리 이격된다.
이러한 제1 선반결합부(113)는 제1 원통부(113a) 및 제2 원통부(113b)가 중공이므로 상기 타공선반(140)의 후술하는 제1 원형절곡부(142) 및 제2 원형절곡부(143)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상부플레이트(113c)는 제1 하부플레이트(113d) 및 제2 하부플레이트(113e)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타공선반(140)의 제1 원형절곡부(142) 및 제2 원형절곡부(143) 사이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제1 기둥결합부(114)는 제1 기둥(131)과 결합된다. 제1 기둥결합부(114)는 제1 배면플레이트의 바깥면에 돌출 형성된다. 제1 기둥결합부(114)는 제1 기둥(131)이 삽입될 수 있는 U자 형상의 제1 기둥삽입구(114a)를 포함하고, 제1 기둥삽입구(114a)가 위치한 영역의 외면에 제1 수나사부(114b)가 형성된다.
제2 선반받침대(120)는 제2 배면플레이트(121), 제2 측면플레이트(122), 제2 선반결합부(123) 및 제2 기둥결합부(124)를 포함한다.
제2 배면플레이트(121) 및 제2 측면플레이트(122)는 제1 배면플레이트(111) 및 제1 측면플레이트(112)의 형상과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선반결합부(123)는 제1 원통부(123a), 제2 원통부(123b), 상부플레이트(123c), 제1 하부플레이트(123d) 및 제2 하부플레이트(123e)를 포함한다. 제2 선반결합부(123)의 제1 원통부(123a), 제2 원통부(123b), 상부플레이트(123c), 제1 하부플레이트(123d) 및 제2 하부플레이트(123e)는 타공선반(140)을 제1 선반받침대(110) 및 제2 선반받침대(120)와 결합할 때 제1 선반받침대(110)의 제1 원통부(113a), 제2 원통부(113b), 상부플레이트(113c), 제1 하부플레이트(113d) 및 제2 하부플레이트(113e)에 대향한다. 이러한 제2 선반결합부(123)의 제1 원통부(123a), 제2 원통부(123b), 상부플레이트(123c), 제1 하부플레이트(123d) 및 제2 하부플레이트(123e)는 제1 선반결합부(113)의 제1 원통부(113a), 제2 원통부(113b), 상부플레이트(113c), 제1 하부플레이트(113d) 및 제2 하부플레이트(113e)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기둥결합부(124)는 제2 기둥(132)과 결합된다. 제2 기둥결합부(124)는 제2 배면플레이트의 바깥면에 돌출 형성된다. 제2 기둥결합부(124)는 제2 기둥(132)이 삽입될 수 있는 U자 형상의 제2 기둥삽입구(124a)를 포함하고, 제2 기둥삽입구(124a)가 위치한 영역의 외면에 제2 수나사부(124b)가 형성된다.
제1 기둥(131)은 제1 기둥결합부(114)와 결합된다. 즉, 제1 기둥(131)은 제1 기둥결합부(114)의 제1 기둥삽입구(114a)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1 기둥결합부(114)와 결합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기둥(131)은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기둥(132)은 제2 기둥결합부(124)와 결합된다. 즉, 제2 기둥(132)은 제2 기둥결합부(124)의 제2 기둥삽입구(124a)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2 기둥결합부(124)와 결합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기둥(132)은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기둥(131) 및 제2 기둥(132)은 가구와 가구 사이의 수평면들 또는 천정과 지면 사이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싱크대와 싱크대 위의 벽체선반 사이에 지지될 수 있다.
타공선반(140)은 제1 선반받침대(110) 및 제2 선반받침대(120)와 결합된다. 타공선반(140)은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수평플레이트(141), 수평플레이트(141) 일측의 장축변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후 원형으로 절곡된 제1 원형절곡부(142) 및 수평플레이트(141)의 다른 일측의 장축변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후 원형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1 원형절곡부(142)와 대향하는 제2 원형절곡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플레이트(141)는 단축변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타공들(144)을 포함할 수 있다. 타공들(144)은 수평플레이트(141)상에 식기 등이 올려질 때 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타공선반(140)은 제1 선반받침대(110) 및 제2 선반받침대(120)와 결합될 때 제1 원형절곡부(142) 및 제2 원형절곡부(143)의 양측 단부는 제1 선반결합부(113) 및 제2 선반결합부(123)의 제1 원통부들(113a, 123a) 및 제2 원통부들(113b, 123b)에 결합되고, 수평플레이트(141)의 단부는 상부플레이트들(113c, 123c)과 제1 하부플레이트들(113d, 123d) 및 제2 하부플레이트들(113e, 123e)의 사이에 결합된다.
제1 마감캡(151)은 제1 기둥이 제1 기둥결합부(1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기둥결합부(114)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 마감캡(151)은 제1 기둥결합부(114)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원통형상이고, 원통의 내면에 제1 암나사부(151a)를 형성하여 제1 기둥결합부(114)의 제1 수나사부(114b)와 결합된다.
제2 마감캡(152)은 제2 기둥(132)이 제2 기둥결합부(124)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기둥결합부(124)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2 마감캡(152)은 제2 기둥결합부(124)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원통형상이고, 원통의 내면에 제2 암나사부(152a)를 형성하여 제2 기둥결합부(124)의 제2 수나사부(124b)와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타공선반(140)을 제1 선반받침대(110) 및 제2 선반받침대(120)와 결합한다. 이때, 타공선반(140)의 수평플레이트(141), 제1 원형절곡부(142) 및 제2 원형절곡부(143)의 일측 단부를 제1 선반결합부(113)에 삽입하고, 수평플레이트(141), 제1 원형절곡부(142) 및 제2 원형절곡부(143)의 다른 일측 단부를 제2 선반결합부(123)에 삽입한다.
이어서, 제1 기둥(131) 및 제2 기둥(132)을 제1 기둥결합부(114) 및 제2 기둥결합부(124)에 결합한다. 이때, 제1 기둥(131)은 제1 기둥결합부(114)의 제1 기둥삽입구(114a) 내측으로 삽입하고, 제2 기둥(132)은 제2 기둥결합부(124)의 제2 기둥삽입구(124a) 내측으로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제1 기둥(131)이 제1 기둥삽입구(114a)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마감캡(151)을 제1 기둥결합부(114)의 제1 수나사부(114b)에 결합하고, 제2 기둥(132)이 제2 기둥삽입구(124a)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 마감캡(152)을 제2 기둥결합부(124)의 제2 수나사부(124b)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 기둥(131) 및 제2 기둥(132)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가구와 가구 사이에 지지시킨다. 예를 들면, 싱크대의 상판과 싱크대 위의 벽체선반의 저면에 지지시켜서 주방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이용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제1 기둥(131) 및 제2 기둥(132)을 가구와 가구 사이의 수평면 또는 천정과 지면의 사이에 고정하고 타공선반(140)을 설치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선반의 설치를 위해 가구 등에 못 또는 나사를 박아서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의해 가구 등에 손상 없이 간단히 조립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제1 선반받침대(110) 및 제2 선반받침대(120)에 제1 기둥결합부(114) 및 제2 기둥결합부(124)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1 선반받침대(110) 및 제2 선반받침대(120)를 제1 기둥(131) 및 제2 기둥(132)과 간단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타공선반(140)을 제1 기둥(131) 및 제2 기둥(132)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 역시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제1 선반결합부(113) 및 제2 선반결합부(123)가 제1 배면플레이트(111) 및 제2 배면플레이트(121)의 안쪽면으로부터 소정의 폭으로 돌출형성되고, 이러한 제1 선반결합부(113) 및 제2 선반결합부(123)에 타공선반(140)이 결합됨에 따라 제1 선반받침대(110) 및 제2 선반받침대(120)는 타공선반(14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넷째, 제1 선반결합부(113) 및 제2 선반결합부(123)는 제1 원통부(113a, 123a) 및 제2 원통부(113b, 123b)를 포함하고, 타공선반(140)은 제1 원형절곡부(142) 및 제2 원형절곡부(143)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1 원형절곡부(142) 및 제2 원형절곡부(143)를 제1 원통부(113a, 123a) 및 제2 원통부(113b, 123b)로 삽입하여 결합하면 단순한 판 형태로 끼워지는 것에 비해 더욱 견고하게 타공선반(140)을 결합할 수 있으며, 이는 결론적으로 조립식 선반 전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제1 물받이지지플레이트(115) 및 제2 물받이지지플레이트(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물받이지지플레이트(115)는 제1 측면플레이트(112)의 안쪽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제1 선반결합부(113)의 아래로 일정거리 이격된다. 즉, 제1 물받이지지플레이트(115)는 제1 선반결합부(113)의 제1 하부플레이트(113d) 및 제2 하부플레이트(113e)와 일정거리 이격되며, 이에 의해 물받이의 일측 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물받이지지플레이트(125)는 제2 측면플레이트(122)의 안쪽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제2 선반결합부(123)의 아래로 일정거리 이격된다. 즉, 제2 물받이지지플레이트(125)는 제2 선반결합부(123)의 제1 하부플레이트(113d) 및 제2 하부플레이트(113e)와 일정거리 이격되며, 이에 의해 물받이의 타측 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물받이(16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물받이(160)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161)를 가지며, 공간부(161)의 상단 둘레에는 테두리부(162)가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물받이(160)의 테두리부(162)의 서로 대향하는 두 단부를 제1 물받이지지플레이트(115) 및 제2 물받이지지플레이트(125)의 위로 삽입하여 물받이(160)를 제1 선반받침대(110) 및 제2 선반받침대(12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물받이(160)의 사용도 가능하게 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제1 배면플레이트,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한 제1 측면플레이트,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의 안쪽면에 돌출 형성된 제1 선반결합부 및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의 바깥면에 돌출 형성된 제1 기둥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선반받침대;
    제2 배면플레이트, 상기 제2 배면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한 제2 측면플레이트, 상기 제2 배면플레이트의 안쪽면에 돌출 형성된 제2 선반결합부 및 상기 제2 배면플레이트의 바깥면에 돌출 형성된 제2 기둥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선반받침대;
    상기 제1 기둥결합부와 결합되고, 가구와 가구 사이의 수평면들 또는 천정과 지면 사이에 지지되는 제1 기둥;
    상기 제2 기둥결합부와 결합되고, 가구와 가구 사이의 수평면들 또는 천정과 지면 사이에 지지되는 제2 기둥;
    상기 제1 선반결합부 및 제2 선반결합부에 양측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 선반받침대 및 제2 선반받침대에 결합되는 타공선반;
    상기 제1 기둥이 상기 제1 기둥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둥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마감캡; 및
    상기 제2 기둥이 상기 제2 기둥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기둥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마감캡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배면플레이트는 제1 장축변, 제2 장축변 및 제1 단축변, 제2 단축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선반결합부는,
    상기 제1 단축변 및 상기 제1 측면플레이트의 상단부에 접하여 있고,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의 안쪽면으로부터 돌출된 중공의 제1 원통부;
    상기 제2 단축변에 접하여 있고,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의 안쪽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원통부에 대향하는 제2 원통부;
    상기 제1 원통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1 수직부, 상기 제2 원통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수직부에 대향하는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1 수직부 및 제2 수직부의 하단부들에 연결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제1 측면플레이트의 안쪽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아래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제1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원통부의 하단부로부터 수직 및 수평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아래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하부플레이트에 대향하는 제2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선반결합부는 상기 제1 선반결합부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반받침대는,
    상기 제1 측면플레이트의 안쪽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선반결합부의 아래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제1 물받이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선반받침대는,
    상기 제2 측면플레이트의 안쪽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선반결합부의 아래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제2 물받이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KR2020150007037U 2015-10-30 2015-10-30 조립식 선반 KR2004838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037U KR200483804Y1 (ko) 2015-10-30 2015-10-30 조립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037U KR200483804Y1 (ko) 2015-10-30 2015-10-30 조립식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792U KR20170001792U (ko) 2017-05-24
KR200483804Y1 true KR200483804Y1 (ko) 2017-06-26

Family

ID=5902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037U KR200483804Y1 (ko) 2015-10-30 2015-10-30 조립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80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160Y1 (ko) * 2020-01-20 2021-08-18 왕자엔에이치시 주식회사 조립식가구용 선반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931Y1 (ko) * 2000-09-20 2001-02-15 주식회사영신물산 조립식 선반
KR200458950Y1 (ko) * 2011-11-16 2012-03-21 (주)두진인더스트리 주방용 식기 선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682B1 (ko) * 2010-10-01 2012-12-10 김경래 조립식선반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931Y1 (ko) * 2000-09-20 2001-02-15 주식회사영신물산 조립식 선반
KR200458950Y1 (ko) * 2011-11-16 2012-03-21 (주)두진인더스트리 주방용 식기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792U (ko)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345Y1 (ko) 다용도 테이블
US20050045787A1 (en) Suspension system
KR200483804Y1 (ko) 조립식 선반
KR101564763B1 (ko) 시스템 옷장
KR20170034061A (ko) 액세서리 부착 격자형 조립식 수납함
KR100978620B1 (ko) 조립식 책꽂이
JP2015155632A (ja) 天井下地構造
JP2012029867A (ja) 組立棚及び連結組立棚
KR101990044B1 (ko)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KR200448263Y1 (ko) 프레임 연결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프레임
KR101508282B1 (ko) 패널 결합용 클립 및 이를 구비한 패널
CN103005887A (zh) 文件柜用隔板托架、隔板托架结构及其文件柜
KR101731268B1 (ko) 자체 조립식 가구 및 그 조립방법
KR200485080Y1 (ko) 주방용 선반 지지구
KR20200117133A (ko) 무지주 선반
KR102455512B1 (ko) 시스템 벽선반
KR20150003516U (ko) 야외용 조립식 테이블
KR102363576B1 (ko) 캠핑용 트레일러의 외부선반
JP5917585B2 (ja) 収納ユニット
KR200332227Y1 (ko) 씽크 선반
JP2013078663A (ja) サポート部材用の取り付け部材
RU2010114729A (ru) Кляммер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KR200249120Y1 (ko) 조립 가구용 선반
KR20200001214U (ko) 조립식 선반
JP3211554U (ja) システム組立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