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950Y1 - 주방용 식기 선반 - Google Patents

주방용 식기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950Y1
KR200458950Y1 KR2020110010179U KR20110010179U KR200458950Y1 KR 200458950 Y1 KR200458950 Y1 KR 200458950Y1 KR 2020110010179 U KR2020110010179 U KR 2020110010179U KR 20110010179 U KR20110010179 U KR 20110010179U KR 200458950 Y1 KR200458950 Y1 KR 2004589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inding
space
frame
bind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동희
Original Assignee
(주)두진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진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두진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2020110010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9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9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9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47B77/12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for attachment of portable kitchen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Abstract

주방용 식기 선반을 제공한다. 제공된 주방용 식기 선반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며, 내부에 일측방향으로 개방된 제1 결속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제1 가이드홈, 제1 결속공 및 제1 결합공이 마련되며, 하부에 제1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제1 체결공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연결홀이 마련되며, 상기 제1 결속공간의 입구측 상,하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제1 슬릿홈이 형성된 한 쌍의 측면프레임; 상기 제1 슬릿홈에 삽입연결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의 제1 결속공간을 미려하게 마감하는 제1 색상패널; 상기 측면프레임의 전,후방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결속공간의 전,후방을 개폐하며, 일면에 상기 제1 결속공간에 삽입연결되는 연결돌부가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제1 가이드홈과 연통을 이루는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된 마감캡;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의 전방에 설치되며, 내부에 전방으로 개방된 제2 결속공간이 형성되고, 후방에 제1 단턱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 결속공간의 내면에 상기 제1 결속공과 연통되어 볼트가 체결되는 제2 결속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속공간의 입구측 상,하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제2 슬릿홈이 형성된 전방프레임; 상기 제2 슬릿홈에 삽입연결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의 제2 결속공간을 미려하게 마감하는 제2 색상패널;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의 후방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3 결속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에 상기 제1 단턱부와 동일한 높이의 제2 단턱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 단턱부의 하부에 안착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 결속공간의 내면에 상기 제1 결합공과 연통되어 볼트가 체결되는 제2 결합공이 마련된 후방프레임; 상기 제1 가이드홈과 제2 가이드홈에 양단부가 삽입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저수공간을 갖는 물받이; 상기 제1 단턱부와 제2 단턱부 상부에 안착되어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식기거치대 및 상기 각 측면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결합볼트가 삽입,연결되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는 연결편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편의 하단에 상기 제1 체결공과 연통되어 볼트가 체결되는 제2 체결공이 마련 설치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과정에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그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하여 주방공간을 아름답게 꾸밀 수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주방용 식기 선반{KITCHEN SHELF}
본 고안은 주방용 식기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구조 개선을 통해 사용과정에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주방공간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도록 한 주방용 식기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접시, 컵 및 그릇과 같은 음식물을 담는 주방용품이 사용되며, 이러한 용기들을 보관하기 위한 선반이 싱크대 또는 싱크대의 천장 하단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선반은 볼트를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하거나 싱크대 위에 거치되는 구조가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벽면 또는 싱크대의 하부에 고정된 행거 레일에 거치되는 선반도 있다.
이러한 종래 주방용 선반은 소정의 내경을 가지는 스텐레스 스틸 재질의 와이어를 절곡하여 성형하는 사각틀 형태의 와이어형 테두리프레임에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종간와이어 및 횡간와이어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하여 주방용품들을 담을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주방용 선반의 경우에는 철선 등을 커팅(cuttign)한 후 이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와이어형 프레임에 고정하기 때문에 종간와이어 및 횡간와이어가 용접되는 부위가 날카롭기 때문에 설치하거나 사용하는 동안 그 연결부위에 손이나 기타 피부 부위가 닿을 경우 베어 상처가 생길 수 있고, 소매 등에 걸려 옷이 찢어지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순히 와이어를 절곡시켜 제작하였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해 주방공간 미관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주방용 선반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주방용 식기 선반의 테두리부를 측면프레임,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을 이용한 이들 간의 볼트체결방식을 통해 마감처리 함으로써, 용접에 의한 연결방식을 최대한 지양하여 사용과정에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주방용 식기 선반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방용 식기 선반의 테두리부를 이루는 측면프레임과 전방프레임에 다양한 색상을 갖는 색상패널을 설치함으로써, 주방용 식기 선반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색상패널을 통해 상기 측면프레임과 전방프레임 및 상기 측면프레임과 후방프레임 간의 볼트체결부위에 대한 외부노출을 차단함으로써, 선반의 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 식기 선반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고안은
그릇과 접시와 같이 주방에서 사용되는 식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싱크대의 천장에 설치되는 주방용 식기 선반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 식기 선반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며, 내부에 일측방향으로 개방된 제1 결속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제1 가이드홈, 제1 결속공 및 제1 결합공이 마련되며, 하부에 제1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제1 체결공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연결홀이 마련되며, 상기 제1 결속공간의 입구측 상,하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제1 슬릿홈이 형성된 한 쌍의 측면프레임;
상기 제1 슬릿홈에 삽입연결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의 제1 결속공간을 미려하게 마감하는 제1 색상패널;
상기 측면프레임의 전,후방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결속공간의 전,후방을 개폐하며, 일면에 상기 제1 결속공간에 삽입연결되는 연결돌부가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제1 가이드홈과 연통을 이루는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된 마감캡;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의 전방에 설치되며, 내부에 전방으로 개방된 제2 결속공간이 형성되고, 후방에 제1 단턱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 결속공간의 내면에 상기 제1 결속공과 연통되어 볼트가 체결되는 제2 결속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속공간의 입구측 상,하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제2 슬릿홈이 형성된 전방프레임;
상기 제2 슬릿홈에 삽입연결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의 제2 결속공간을 미려하게 마감하는 제2 색상패널;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의 후방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3 결속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에 상기 제1 단턱부와 동일한 높이의 제2 단턱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 단턱부의 하부에 안착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 결속공간의 내면에 상기 제1 결합공과 연통되어 볼트가 체결되는 제2 결합공이 마련된 후방프레임;
상기 제1 가이드홈과 제2 가이드홈에 양단부가 삽입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저수공간을 갖는 물받이;
상기 제1 단턱부와 제2 단턱부 상부에 안착되어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식기거치대 및
상기 각 측면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결합볼트가 삽입,연결되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는 연결편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편의 하단에 상기 제1 체결공과 연통되어 볼트가 체결되는 제2 체결공이 마련 설치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식기거치대는
그릇수납공간과 접시수납공간으로 구분되며, 상기 접시수납공간의 내측에 다수개의 절개홀들이 일열로 배열형성되고, 상기 절개홀들의 인접한 외측에 복수개의 끼움공들이 마련되며, 상기 절개홀들과 끼움공들에 겹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수개의 투수공들이 마련된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상부에 연결고정되며, 만곡진 호형상의 받침편들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받침편과 받침편 사이에 개재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받침편 들의 양단부에 상기 받침편들을 연결하기 위한 지지바가 형성된 접시받침구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편들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 받침편과 중간에 위치한 받침편의 양단부에는 상기 끼움공에 억지끼움 연결되는 연장돌부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식기거치대는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된 복수개의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 중간에 고정된 복수개의 수평바 및
접시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 양측에 고정되며, 중간에 만곡진 호형상의 굴곡부가 형성된 거치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주방용 식기 선반의 테두리부를 측면프레임,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을 이용한 이들 간의 볼트체결방식을 통해 마감처리 함으로써, 용접에 의한 연결방식을 최대한 지양하여 사용과정에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방용 식기 선반의 테두리부를 이루는 측면프레임과 전방프레임에 다양한 색상을 갖는 색상패널을 설치함으로써, 주방용 식기 선반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게 하여 주방공간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색상패널을 통해 상기 측면프레임과 전방프레임 및 상기 측면프레임과 후방프레임 간의 볼트체결부위에 대한 외부노출을 차단함으로써, 선반의 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을 나타낸 요부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100)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과, 상기 각 측면프레임(110)에 연결된 제1 색상패널(120)과, 상기 각 측면프레임(110)의 전,후방 단부에 연결되는 마감캡(130)과,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사이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프레임(140)과, 상기 전방프레임(140)에 연결된 제2 색상패널(150)과,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사이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프레임(160)과,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160) 사이에 설치되는 물받이(170)와, 상기 전,후방프레임(140,160)에 안착된 식기거치대(P) 및 상기 각 측면프레임(110)의 상부에 결합된 설치프레임(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100)의 양측면을 마감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110)은 그 내부에 일측방향으로 개방된 제1 결속공간(111)이 형성되고, 측면에 제1 가이드홈(112), 제1 결속공(113) 및 제1 결합공(114)이 마련되며, 하부에 제1 체결공(115)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에 상기 제1 체결공(115)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연결홀(116)이 마련되고, 상기 제1 결속공간(111)의 입구측 상,하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제1 슬릿홈(117)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색상패널(120)은 상기 측면프레임(110)의 외면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제1 색상패널(120)은 고유 색상을 갖는 판상체의 형상으로 상기 제1 슬릿홈(117)에 삽입연결되어 상기 측면프레임(110)에 형성된 제1 결속공간(111)을 마감한다.
한편, 상기 마감캡(130)은 상기 측면프레임(110)에 형성된 제1 결속공간(111)의 전,후방을 개폐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마감캡(130)은 그 일면에 상기 제1 결속공간(111)에 삽입연결되는 연결돌부(131)가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제1 가이드홈(112)과 연통을 이루는 제2 가이드홈(13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방프레임(140)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100)의 전방을 마감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전방프레임(140)은 그 내부에 전방으로 개방된 제2 결속공간(141)이 형성되고, 후방에 제1 단턱부(143)가 마련되며, 상기 제2 결속공간(141)의 내면에 상기 제1 결속공(113)과 연통되어 볼트가 체결되는 제2 결속공(14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140)은 상기 제2 결속공간(141)의 입구측 상,하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제2 슬릿홈(147)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색상패널(150)은 상기 전방프레임(140)의 외면을 미려하게 마감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제2 색상패널(150)은 고유 색상을 갖는 판상체의 형상으로 상기 제2 슬릿홈(147)에 삽입연결되어 상기 전방프레임(140)에 형성된 제2 결속공간(141)을 마감한다.
한편, 상기 후방프레임(160)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100)의 후방을 마감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후방프레임(160)은 그 내부에 제3 결속공간(161)이 형성되고, 전방에 상기 제1 단턱부(143)와 동일한 높이의 제2 단턱부(163)가 마련되며, 상기 제2 단턱부(163)의 하부에 안착돌부(165)가 형성되며, 상기 제3 결속공간(161)의 내면에 상기 제1 결합공(114)과 연통되어 볼트가 체결되는 제2 결합공(167)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물받이(170)는 상기 식기거치대(P)에 수납된 그릇(1)과 접시(2)에서 떨어진 물을 저수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물받이(170)는 상기 제1 가이드홈(112)과 제2 가이드홈(133)에 양단부가 삽입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저수공간(17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식기거치대(P)는 그릇(1) 및 접시(2)와 같이 주방에서 사용되는 식기들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식기거치대(P)는 상기 제1 단턱부(143)와 제2 단턱부(163) 상부에 안착되며, 받침플레이트(210)와, 접시받침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플레이트(210)는 그릇수납공간(210)과 접시수납공간(213)으로 구분되며, 상기 접시수납공간(213)의 내측에 다수개의 절개홀(215)들이 일열로 배열형성되고, 상기 절개홀(215)들의 인접한 외측에 복수개의 끼움공(223)들이 마련되며, 상기 절개홀(215)들과 끼움공(223)들에 겹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수개의 투수공(219)들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접시받침구(220)는 상기 받침플레이트(210)의 상부에 연결고정되며, 만곡진 호형상의 받침편(221)들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받침편(221)과 받침편(221) 사이에 개재공간(223)이 마련되며, 상기 받침편(221) 들의 양단부에 상기 받침편(221)들을 연결하기 위한 지지바(22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그릇수납공간(210)과 접시수납공간(213)은 접시받침구(220)의 설치위치를 통해 구분된다. 즉, 상기 접시받침구(220)이 설치되는 부위의 받침플레이트(210) 상부는 접시수납공간(213)이 되고, 그 인접한 일측의 받침플레이트(210) 상부는 그릇수납공간(210)이 된다.
또한, 상기 받침편(221)들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 받침편(221)과 중간에 위치한 받침편(221)의 양단부에는 상기 끼움공(223)에 억지끼움 연결되는 연장돌부(227)가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설치프레임(180)은 본 발명의 주방용 식기 선반(100)을 싱크대의 하부에 체결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설치프레임(180)은 상부에 결합볼트(181)가 삽입,연결되는 고정홀(183)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연결홀(116)에 삽입되는 연결편(185)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편(185)의 하단에 상기 제1 체결공(115)과 연통되어 볼트가 체결되는 제2 체결공(187)이 마련된다.
이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은 그 구조 개선을 통해 사용과정에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결합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100)은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사이에 전방프레임(140)과 후방프레임(160)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110)의 제1 결속공(113)과 전방프레임(140)의 제2 결속공(145)은 서로 연통되어 볼트체결하며, 상기 측면프레임(110)의 제1 결합공(113)과 후방프레임(160)의 제2 결합공(167)은 서로 연통되어 볼트체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과 전방프레임(140) 및 후방프레임(160)은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주방용 식기 선반(100)은 각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방법을 기존의 용접방식에서 볼트체결방식으로 개선하여 사용과정에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측면프레임(110)의 제1 슬릿홈(117)과, 전방프레임(140)의 제2 슬릿홈(147)에 각각 제1 색상패널(120)과 제2 색상패널(150)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주방용 식기 선반(100)은 상기 제1 색상패널(120)과 제2 색상패널(150)을 통해 외관이 더욱 미려해져 주방공간을 아름답게 꾸밀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측면프레임(110)의 전,후방 단부에 마감캡(130)을 연결한다.
이후,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홈(112)과 마감캡(130)에 형성된 제2 가이드홈(133)을 통해 물받이(170)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이후, 상기 전방프레임(140)에 형성된 제1 단턱부(143)와 후방프레임(160)에 형성된 제2 단턱부(163)에 식기거치대(P)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식기거치대(P)의 전방 단부는 상기 제1 단턱부(143)에 안착되며, 상기 식기거치대(P)의 후방은 단부는 제2 단턱부(163)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플레이트(210)에 형성된 그릇수납공간(210)에는 다수개의 그릇을 뒤집어서 수납할 수 있으며, 상기 접시수납공간(213)에는 다수개의 접시(2)를 세워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만곡진 호형상의 받침편(221)들 사이에 형성된 개재공간(223)에 접시(2)를 꽂으면, 상기 접시(2)는 받침편(221)들에 의해 지지되어 직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접시(2)의 하단 소정부위는 상기 절개홀(215)에 소정깊이 삽입되어 더욱 안정된 수납상태를 유지할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식기거치대(P)에 수납된 그릇(1)과 접시(2)에서 떨어진 물은 상기 투수공(219)들에 의해 식기거치대(P) 하방으로 떨어지며, 이렇게 떨어진 물은 물받이(170)의 저수공간(171)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그릇(1) 및 접시(2)에서 떨어진 물로 인한 싱크대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수공간(171)에 물이 만수위가 되면, 상기 물받이(170)를 제1 가이드홈(112)과 제2 가이드홈(133)으로 부터 이탈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설치프레임(180)의 연결편(185)을 연결홀(116)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에 형성된 제1 체결공(115)과 이와 연통을 이루는 연결편(185)의 제2 체결공(187)에는 볼트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설치프레임(180)은 측면프레임(110)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110)의 상단은 싱크대의 바닥에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고정홀(183)에 결합볼트(181)를 삽입관통시켜 상기 싱크대 바닥에 체결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주방용 식기 선반(100)은 상기 결합볼트(181)를 통해 싱크대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은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구조 개선을 통해 사용과정에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하여 주방공간을 더욱 아름답게 가꿀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 중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나타내며,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을 나타낸 요부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적용되는 식기거치대(P)는 복수개의 연결바(310)와, 수평바(320) 및 거치바(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310)는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며, 이렇게 소정간격 이격된 연결바(310)의 중간에 복수개의 수평바(320)를 고정한다.
이에, 상기 복수개의 수평바(320)가 연결된 부위의 상부에는 그릇(1)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310) 양측에는 만곡진 호형상의 굴곡부(331)를 갖는 복수개의 거치바(330)들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거치바(330)들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거치바(330)와 거치바(330) 사이 공간에는 접시(2)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선반은 식기거치대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단가 절감 및 제작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투수성을 향상시켜 원활한 배수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1 : 그릇 2 : 접시
110 : 측면프레임 120 : 제1 색상패널
130 : 마감캡 140 : 전방프레임
150 : 제2 색상패널 160 : 후방프레임
170 : 물받이 180 : 설치프레임
210 : 받침플레이트 220 : 접시받침구
310 : 연결바 320 : 수평바
330 : 거치바 331 : 굴곡부
P : 식기거치대

Claims (3)

  1. 그릇과 접시와 같이 주방에서 사용되는 식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싱크대의 천장에 설치되는 주방용 식기 선반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 식기 선반(100)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며, 내부에 일측방향으로 개방된 제1 결속공간(111)이 형성되고, 측면에 제1 가이드홈(112), 제1 결속공(113) 및 제1 결합공(114)이 마련되며, 하부에 제1 체결공(115)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제1 체결공(115)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연결홀(116)이 마련되며, 상기 제1 결속공간(111)의 입구측 상,하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제1 슬릿홈(117)이 형성된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상기 제1 슬릿홈(117)에 삽입연결되어 상기 측면프레임(110)의 제1 결속공간(111)을 미려하게 마감하는 제1 색상패널(120);
    상기 측면프레임(110)의 전,후방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결속공간(111)의 전,후방을 개폐하며, 일면에 상기 제1 결속공간(111)에 삽입연결되는 연결돌부(131)가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제1 가이드홈(112)과 연통을 이루는 제2 가이드홈(133)이 형성된 마감캡(130);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사이의 전방에 설치되며, 내부에 전방으로 개방된 제2 결속공간(141)이 형성되고, 후방에 제1 단턱부(143)가 마련되며, 상기 제2 결속공간(141)의 내면에 상기 제1 결속공(113)과 연통되어 볼트가 체결되는 제2 결속공(145)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속공간(141)의 입구측 상,하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제2 슬릿홈(147)이 형성된 전방프레임(140);
    상기 제2 슬릿홈(147)에 삽입연결되어 상기 측면프레임(110)의 제2 결속공간(141)을 미려하게 마감하는 제2 색상패널(150);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사이의 후방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3 결속공간(161)이 형성되고, 전방에 상기 제1 단턱부(143)와 동일한 높이의 제2 단턱부(163)가 마련되며, 상기 제2 단턱부(163)의 하부에 안착돌부(165)가 형성되며, 상기 제3 결속공간(161)의 내면에 상기 제1 결합공(114)과 연통되어 볼트가 체결되는 제2 결합공(167)이 마련된 후방프레임(160);
    상기 제1 가이드홈(112)과 제2 가이드홈(133)에 양단부가 삽입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저수공간(171)을 갖는 물받이(170);
    상기 제1 단턱부(143)와 제2 단턱부(163) 상부에 안착되어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식기거치대(P) 및
    상기 각 측면프레임(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결합볼트(181)가 삽입,연결되는 고정홀(183)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연결홀(116)에 삽입되는 연결편(185)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편(185)의 하단에 상기 제1 체결공(115)과 연통되어 볼트가 체결되는 제2 체결공(187)이 마련 설치프레임(18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식기 선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거치대(P)는
    그릇수납공간(210)과 접시수납공간(213)으로 구분되며, 상기 접시수납공간(213)의 내측에 다수개의 절개홀(215)들이 일열로 배열형성되고, 상기 절개홀(215)들의 인접한 외측에 복수개의 끼움공(223)들이 마련되며, 상기 절개홀(215)들과 끼움공(223)들에 겹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수개의 투수공(219)들이 마련된 받침플레이트(210)와,
    상기 받침플레이트(210)의 상부에 연결고정되며, 만곡진 호형상의 받침편(221)들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받침편(221)과 받침편(221) 사이에 개재공간(223)이 마련되며, 상기 받침편(221) 들의 양단부에 상기 받침편(221)들을 연결하기 위한 지지바(225)가 형성된 접시받침구(22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편(221)들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 받침편(221)과 중간에 위치한 받침편(221)의 양단부에는 상기 끼움공(223)에 억지끼움 연결되는 연장돌부(227)가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식기 선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거치대(P)는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된 복수개의 연결바(310)와,
    상기 연결바(310)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310) 중간에 고정된 복수개의 수평바(320) 및
    접시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310) 양측에 고정되며, 중간에 만곡진 호형상의 굴곡부(331)가 형성된 거치바(3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식기 선반.
KR2020110010179U 2011-11-16 2011-11-16 주방용 식기 선반 KR2004589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179U KR200458950Y1 (ko) 2011-11-16 2011-11-16 주방용 식기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179U KR200458950Y1 (ko) 2011-11-16 2011-11-16 주방용 식기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950Y1 true KR200458950Y1 (ko) 2012-03-21

Family

ID=4762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179U KR200458950Y1 (ko) 2011-11-16 2011-11-16 주방용 식기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95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189B1 (ko) * 2013-12-05 2016-02-15 남동희 설치가 용이한 식기 건조대
KR20160049288A (ko) * 2014-10-27 2016-05-09 주식회사 리노 주방용품용 부품 모듈
KR101629629B1 (ko) * 2016-02-15 2016-06-13 (주)해피월드 주방용 선반
KR20170001792U (ko) * 2015-10-30 2017-05-24 심득섭 조립식 선반
KR101813789B1 (ko) * 2016-04-04 2017-12-29 김기원 식기선반
KR102303742B1 (ko) 2021-03-16 2021-09-17 주식회사 나래 위치이동형 식기건조선반의 거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395Y1 (ko) * 1996-07-08 1998-12-01 한준석 주방용 선반
KR200411084Y1 (ko) 2005-12-30 2006-03-15 김국환 주방용 식기건조대
KR100911125B1 (ko) 2007-10-02 2009-08-06 이안제 주방용 조립식 식기 건조대
KR20110005809U (ko) * 2009-12-04 2011-06-10 박범진 주방용 선반의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395Y1 (ko) * 1996-07-08 1998-12-01 한준석 주방용 선반
KR200411084Y1 (ko) 2005-12-30 2006-03-15 김국환 주방용 식기건조대
KR100911125B1 (ko) 2007-10-02 2009-08-06 이안제 주방용 조립식 식기 건조대
KR20110005809U (ko) * 2009-12-04 2011-06-10 박범진 주방용 선반의 고정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189B1 (ko) * 2013-12-05 2016-02-15 남동희 설치가 용이한 식기 건조대
KR20160049288A (ko) * 2014-10-27 2016-05-09 주식회사 리노 주방용품용 부품 모듈
KR101635584B1 (ko) 2014-10-27 2016-07-04 주식회사 리노 주방용품용 부품 모듈
KR20170001792U (ko) * 2015-10-30 2017-05-24 심득섭 조립식 선반
KR200483804Y1 (ko) * 2015-10-30 2017-06-26 심득섭 조립식 선반
KR101629629B1 (ko) * 2016-02-15 2016-06-13 (주)해피월드 주방용 선반
KR101813789B1 (ko) * 2016-04-04 2017-12-29 김기원 식기선반
KR102303742B1 (ko) 2021-03-16 2021-09-17 주식회사 나래 위치이동형 식기건조선반의 거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950Y1 (ko) 주방용 식기 선반
EP3164045B1 (en) Dishwasher comprising a wire rack with an improved carrier adaptor structure
US20130312176A1 (en) Kitchen Sink with Integrated Dish Strainer
US20030209548A1 (en) Silverware basket with tiered compartments
KR200481228Y1 (ko) 주방용 선반
KR101629629B1 (ko) 주방용 선반
US8123049B2 (en) Pot stand
US20200315343A1 (en) Cabinet with a retractable bar section
WO2017062282A1 (en) Beverage brewer with adjustable shelf
KR20170114127A (ko) 식기선반
KR100673488B1 (ko) 도마 걸이대
KR102003127B1 (ko) 주방용 선반
KR102003118B1 (ko) 주방가구 하부장용 인출식 서랍 어셈블리
US8752914B1 (en) Dish rack mounted in kitchen cabinet
KR200480129Y1 (ko) 주방용 선반
KR20210001373A (ko) 주방용품 정리대
JP4123367B2 (ja) 食器洗浄機の食器かご
CN208550941U (zh) 筷子盒和消毒柜
CN208550942U (zh) 筷子盒和消毒柜
KR101607574B1 (ko) 식기 선반
CN207429014U (zh) 一种便于组装易调节的碗碟架
KR102169348B1 (ko) 조립식 다용도 선반 걸이대
CN211093896U (zh) 一种洗碗机的托架
KR200400460Y1 (ko) 식기건조기
KR101323635B1 (ko) 다용도 용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