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889Y1 - 발코니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발코니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889Y1
KR200451889Y1 KR2020080014691U KR20080014691U KR200451889Y1 KR 200451889 Y1 KR200451889 Y1 KR 200451889Y1 KR 2020080014691 U KR2020080014691 U KR 2020080014691U KR 20080014691 U KR20080014691 U KR 20080014691U KR 200451889 Y1 KR200451889 Y1 KR 2004518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ssembly
pressing
balcony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6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902U (ko
Inventor
박미영
Original Assignee
문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대영 filed Critical 문대영
Priority to KR20200800146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88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9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9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8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창문이나 베란다 외벽에 설치 사용되는 발코니형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수평판재의 하단으로 일체로 절곡형성된 수직판재 및 보강판재를 절곡 및 조립방식에 의해 구비하여 견고하게 발코니를 받쳐줌과 동시에 생산성 및 상품성이 극대화되는 발코니형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발코니 받침대는 양측부를 절곡하여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중앙의 요부를 절개시켜 가압함에 의해 조립홈을 갖는 조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의 선단으로 요부를 절개시켜 가압에 의해 하강되는 체결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판재와,
상기 수평판재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판재, 및 상기 수직판재의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선단의 양측부로 체결턱이 더 형성되는 보강판재;로 구비되어, 상기 보강판재가 조립홈으로 슬라이딩체결된 상태에서 체결돌기를 가압하여 조립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발코니, 받침대, 절곡, 조립, 생산성

Description

발코니용 받침대{A SUPPORTER FOR BALCONY}
본 고안은 건물의 창문이나 베란다 외벽에 설치 사용되는 발코니형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수평판재의 하단에 일체로 절곡형성된 수직 및 보강판재 절곡 조립방식에 의해 상호결합하여 견고하면서도 일정한 수평 상태를 이루도록 제조하므로 생산성 및 상품성이 우수한 발코니형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이나 베란다 외벽에 별도로 발코니를 설치 시공하여 각종 물품을 보관하도록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발코니 확장형 창호는 일반창호와 시스템창호로 구분된다.
일반창호와 달리 시스템 창호는 크기 및 중량이 무거워 받침대의 보강을 요한다.
한편, 발코니 설치를 위해서 외벽에 받침대를 수평으로 설치 시공하고, 상기 받침대 상부로 기타 발코니 구조물을 설치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발코니형 받침대는 수평판재와 상기 수평판재의 수직 하부로 지지되는 수직판재, 상기 수직판재와 수평판재 사이에 지지 설치되는 보강판재로 구성하여 상호 용접 방식에 의해 고정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받침대는 상호 용접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평판재를 수평으로 조립시공함에 매우 곤란하였다.
즉, 용접과정에서 용접 변형을 이루거나 수평 상태를 이루도록 지지하지 못한 상태로 용접하므로서 상기 수평판재가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수평판재가 수평을 이루지 못하게 되면, 상기 수평판재 상부로 설치되는 발코니 구조물 또한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용접방식에 의해 조립되는 받침대는 조립생산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으며, 가공에 따른 비용이 적지않게 발생하여 생산비용이 증가됨은 물론 가격 경쟁면에서 비효율 적이었다.
또한, 상기 용접 부위가 쉽게 손상되어 조립 견고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받침대를 이루는 수평판재, 수직판재 및 보강판재를 조립 방식에 의해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하여 생산성 및 상품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무거운 하중에도 파손되지 않는 발코니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받침대는 양측부를 절곡하여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중앙의 요부를 절개시켜 가압함에 의해 조립홈을 갖는 조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의 선단으로 요부를 절개시켜 가압에 의해 하강되는 체결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판재와,
상기 수평판재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판재, 및 상기 수직판재의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선단의 양측부로 체결턱이 더 형성되는 보강판재;로 구비되어, 상기 보강판재가 조립홈으로 슬라이딩체결된 상태에서 체결돌기를 가압하여 조립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받침대는 수평판재의 조립부 요부를 절개하여 체결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판재의 요부(상기 체결돌기가 대응되는 위치)를 절개하여 체결홈을 갖도록 구성하여 보강판재가 조립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돌기를 가압하여 조립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받침대는 양측부를 절곡하여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중앙의 요부를 절개시켜 가압함에 의해 측부가 개구된 조립홈을 갖는 조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홈의 개구부 일단에 요부를 절개시켜 가압에 의해 하강되는 체결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판재와,
상기 수평판재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판재, 및 상기 수직판재의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선단의 일측부로 체결턱이 더 형성되는 보강판재;로 구비되어, 상기 보강판재가 조립홈으로 슬라이딩체결된 상태에서 측부의 체결돌기를 가압하여 조립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받침대를 수평판재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판재 및 보강판재를 절곡 및 조립 방식에 의해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고 조립하여, 수평 상태를 이루도록 제조하므로 생산성 및 상품성을 우수하게 제공함은 물론, 무거운 중량 의 발코니도 우수하게 받쳐주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1실시예)
첨부 도면 도 1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이다.
즉,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는 수평을 이루는 수평판재(110)와, 상기 수평판재(110)의 하단에 설치되는 일체로 절곡 형성된 수직판재(120)및 보강판재(130)가 조립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수평판재(110)는 양측부를 절곡하여 보강리브(114)가 형성되며, 중앙의 요부를 절개시켜 가압함에 의해 조립홈(112)을 갖는 조립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111)의 선단으로 요부를 절개시켜 가압에 의해 하강되는 체결돌기(113)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판재(120) 및 보강판재(130)는 직각으로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보강판재(130)는 양단부를 절개되어 이루어지며, 끝단 양측부로는 연장하여 체결턱(131)이 더 구비되어진다.
이때, 보강판재(130)의 폭은 상기 조립홈(112)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판재(130)의 길이는 체결턱(131)이 체결돌기(113)의 선단에 걸리도록 구성함이 바랍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받침대(100)는 수평판재(110)의 하단에서 조립설치된다. 즉, 보강판재(130)를 조립홈(112)으로 삽입하여 수직판재(120)의 양측 턱(121)이 보강리브(114)의 턱(141a)까지 밀착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하면 보강판재(130)의 체결턱(131)이 체결돌기(113)의 선단면까지 밀려들어가게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가압수단(미도시)에 의해 체결돌기(113)를 가압하여 체결턱(131)에 안쪽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보강판재(130)는 체결돌기(113)가 체결턱(131)을 지지하고 있기때문에 삽입된 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제2실시예)
도 6및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로서, 제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받침대(200)는 요부를 절개 가압하여 조립홈(212)을 갖는 조립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재(210)의 하단으로 절곡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수직판재(220)및 보강판재(230)가 조립설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조립부(211)의 요부를 절개하여 체결돌기(213)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판재의 요부(상기 체결돌기가 대응되는 위치)를 절개하여 체결홈(232)을 갖도록 구성하여 보강판재(230)가 조립부(211)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돌기(213)를 가압하여 체결홈(232)에 끼워지게 조립되도록 이루어진다.
(제3실시예)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로서, 제3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양측부를 절곡하여 보강리브(314)가 형성되며, 중앙의 요부를 절개시켜 가압함에 의해 측부가 개구된 조립홈(312)을 갖는 조립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홈(312)의 개구부 일단에 요부를 절개시켜 가압에 의해 하강되는 체결돌기(313)가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판재(310)와, 상기 수평판재(310)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판재(320), 및 상기 수직판재(320)의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선단의 일측부로 체결턱(331)이 더 형성되는 보강판재(330);로 구비되어, 상기 보강판재(330)가 조립홈(312)으로 슬라이딩체결된 상태에서 측부의 체결돌기(313)를 가압하여 조립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6및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받침대 110: 수평판재
111: 조립부 112: 조립홈
113: 체결돌기 114: 보강리브
120: 수직판재 130: 보강판재

Claims (3)

  1. 양측부를 절곡하여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중앙의 요부를 절개시켜 가압함에 의해 조립홈을 갖는 조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의 선단으로 요부를 절개시켜 가압에 의해 하강되는 체결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판재와,
    상기 수평판재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판재, 및 상기 수직판재의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선단의 양측부로 체결턱이 더 형성되는 보강판재;로 구비되어, 상기 보강판재가 조립홈으로 슬라이딩체결된 상태에서 체결돌기를 가압하여 조립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용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재의 조립부 요부를 절개하여 체결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판재의 요부(상기 체결돌기가 대응되는 위치)를 절개하여 체결홈을 갖도록 구성하여 보강판재가 조립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돌기를 가압하여 조립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용 받침대.
  3. 양측부를 절곡하여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중앙의 요부를 절개시켜 가압함에 의해 측부가 개구된 조립홈을 갖는 조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홈의 개구부 일단 에 요부를 절개시켜 가압에 의해 하강되는 체결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판재와,
    상기 수평판재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판재, 및 상기 수직판재의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선단의 일측부로 체결턱이 더 형성되는 보강판재;로 구비되어, 상기 보강판재가 조립홈으로 슬라이딩체결된 상태에서 측부의 체결돌기를 가압하여 조립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용 받침대.
KR2020080014691U 2008-11-03 2008-11-03 발코니용 받침대 KR200451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691U KR200451889Y1 (ko) 2008-11-03 2008-11-03 발코니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691U KR200451889Y1 (ko) 2008-11-03 2008-11-03 발코니용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902U KR20100004902U (ko) 2010-05-12
KR200451889Y1 true KR200451889Y1 (ko) 2011-01-17

Family

ID=44243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691U KR200451889Y1 (ko) 2008-11-03 2008-11-03 발코니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889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035Y1 (ko) 1999-07-03 2000-02-15 안동기 창호틀 고정장치
KR20010066035A (ko) * 1999-12-31 2001-07-11 이계안 엔진용 크랭크 샤프트
KR20030079608A (ko) * 2002-04-04 2003-10-10 오경호 건축용 문틀의 고정 장치
KR20070070136A (ko) * 2007-05-18 2007-07-03 임성연 고정브래킷
KR100827716B1 (ko) 2008-02-05 2008-05-07 송재해 고정 브라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035Y1 (ko) 1999-07-03 2000-02-15 안동기 창호틀 고정장치
KR20010066035A (ko) * 1999-12-31 2001-07-11 이계안 엔진용 크랭크 샤프트
KR20030079608A (ko) * 2002-04-04 2003-10-10 오경호 건축용 문틀의 고정 장치
KR20070070136A (ko) * 2007-05-18 2007-07-03 임성연 고정브래킷
KR100827716B1 (ko) 2008-02-05 2008-05-07 송재해 고정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902U (ko) 201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474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킷
KR101422586B1 (ko) 측벽용 갤러리 창호를 구비한 재래시장 아케이트
KR200436502Y1 (ko) 발코니형 받침대
KR200451889Y1 (ko) 발코니용 받침대
KR200446887Y1 (ko)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
JP2012132198A (ja) 手摺
JP5415241B2 (ja) 支持金物
JP4472975B2 (ja) アルミニウム製防護屋根
JP5038867B2 (ja) 戸体
KR101304781B1 (ko) 보강 및 각도 조절수단을 갖는 벽선반 받침대
CN103005887A (zh) 文件柜用隔板托架、隔板托架结构及其文件柜
KR101250507B1 (ko)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JP3214851U (ja) 折板屋根用取付具
JP6910189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20100004908U (ko) 발코니형 받침대
CN201218260Y (zh) 一种榫铆连接结构
KR101044076B1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JP5686610B2 (ja) 点検口構造
KR200471050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킷
JP6045271B2 (ja) 屋外構造体
KR20080090711A (ko) 이중 방음 및 방화기능을 갖는 문과 문틀용 도어경첩
CN212962159U (zh) 一种装饰条固定组件及空调器
KR20240000557U (ko) 건축용 다목적 코너 받침브래킷
KR200452018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킷
JP7136641B2 (ja) 軒樋受具および樋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