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750Y1 - 곤충포집용구 - Google Patents

곤충포집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750Y1
KR200457750Y1 KR2020090003305U KR20090003305U KR200457750Y1 KR 200457750 Y1 KR200457750 Y1 KR 200457750Y1 KR 2020090003305 U KR2020090003305 U KR 2020090003305U KR 20090003305 U KR20090003305 U KR 20090003305U KR 200457750 Y1 KR200457750 Y1 KR 200457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network
mesh cage
collecting network
ins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3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618U (ko
Inventor
강희준
Original Assignee
강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준 filed Critical 강희준
Priority to KR20200900033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75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6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6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7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3/00Manual implements, other than sprayers or powder distributor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e.g. butterfly nets
    • A01M3/002Insect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곤충포집용구는, 포집망의 저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포집망의 개방된 저면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포집망과 선택적으로 연통됨으로써 포집된 곤충을 포집망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망사케이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망사케이지는 포집망의 개방된 저면을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포집망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포집망과 연결된 상태에서는 일측면이 포집망의 저면을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포집망의 저면을 차단하는 망사케이지의 일측면에는 포집망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연통구가 갖추어지며, 망사케이지의 타측면에는 망사케이지의 내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개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곤충포집용구는 망사케이지가 구비된 특성상, 포집된 곤충을 쉽게 꺼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집통을 대신하여 포집된 곤충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곤충포집용구{Insect catcher}
본 고안은 곤충채집을 위해 사용되는 곤충포집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곤충채집활동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곤충포집용구(일명: 잠자리채)는 그물망형태의 포집망과, 상기 포집망을 지지하는 지지림(rim)과, 상기 지지림과 결합된 손잡이막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곤충포집용구를 이용하여서는 곤충이 포집망 내로 유인되도록 하여 포집하게 된다.
이러한 곤충포집용구를 사용하여 곤충채집활동을 함에 있어서는 곤충포집용구와는 별도로 채집통을 휴대하게 되며, 포집된 곤충은 즉시 포집망으로부터 꺼내어 채집통에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곤충포집용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포집망에 포집된 곤충을 꺼낼때에는 곤충이 포집망으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포집망의 입구 근처를 한손으로 움켜쥐고 다른손을 포집망으로 넣어서 곤충을 잡아야 하는데, 이 같은 과정에서 포집망을 잘못 움켜쥐거나 하게 되면, 곤충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잡은 곤충을 놓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채집통이 파손되거나 하여 포집한 곤충을 별도로 보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계속해서 채집활동을 진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포집망에 포집된 곤충을 안전하게 꺼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집통의 기능까지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 곤충포집용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곤충포집용구는, 포집망과, 상기 포집망을 지지하는 지지림과, 상기 지지림과 결합된 손잡이막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집망은 저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집망의 개방된 저면을 통해 포집망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포집망과 선택적으로 연통됨으로써 포집망에 포집된 곤충을 포집망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망사케이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망사케이지는 상기 포집망의 개방된 저면을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포집망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포집망과 연결된 상태에서는 일측면이 포집망 의 저면을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집망의 저면을 차단하는 상기 망사케이지의 일측면에는 포집망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연통구가 갖추어지며, 망사케이지의 타측면에는 망사케이지의 내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개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포집망의 개방된 저면의 가장자리는 양분되어 벨크로테이프의 후크면과 루프면이 각각 구비되고, 망사케이지의 선단에는 상기 포집망의 벨크로테이프과 결합되도록 역시 벨크로테이프의 후크면과 루프면이 양분되어 구비됨으로써 상기 포집망과 망사케이지는 벨크로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포집망의 개방된 저면은 망사케이지가 분리된 상태에서 가장자리의 벨크로테이프의 후크면과 루프면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봉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망사케이지의 연통구 및 개방구는 지퍼방식으로 개폐된다.
상기 지지림은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분리 가능하게 형합고정되는 커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부와 커버부 사이에 포집망의 선단이 끼워져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곤충포집용구는 망사케이지가 구비된 특성상, 포집된 곤충을 쉽게 꺼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집통을 대신하여 포집된 곤충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1 부터 도 4 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곤충포집용구는 포집망(10)과, 상기 포집망(10)을 지지하는 지지림(20)과, 상기 지지림(20)과 결합된 손잡이막대(30)와, 상기 포집망(10)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포집망(10)과 선택적으로 연통됨으로써 포집망(10)에 포집된 곤충을 포집망(10)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망사케이지(cage)(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포집망(10)은 기본적으로 그 저면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도 3a 참조)상기 망사케이지(40)는 상기 포집망(10)의 개방된 저면을 둘러서 감싸는 형태로 포집망(10)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포집망(10)과 연결된 상태에서는 일측면이 포집망(10)의 개방된 저면을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집망(10)의 개방된 저면을 차단하는 상기 망사케이지(40)의 일측면에는 포집망(10)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연통구(40a)(도 2a 참조)가 갖추어지며, 망사케이지(40)의 타측면에는 내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개방구(40b)(도 2b 참조)가 형성된다.
상기 포집망(10)의 개방된 저면의 가장자리는 양분되어 벨크로테이프의 후크면(121)과 루프면(122)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후크면(121)과 루프면(122)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망사케이지(40)의 선단에는 상기 포집망(10)의 벨크로테이프와 결합되도록 벨크로테이프의 후크면(421)과 루프면(422)이 양분되어 구비된 다.(도 3a 참조)
따라서, 상기 포집망(10)과 망사케이지(40)는 벨크로테이프 방식으로 서로 용이하게 분리 결합 가능하며, 포집망(10)의 개방된 저면은 망사케이지(40)가 분리된 상태에서 가장자리의 벨크로테이프의 후크면(121)과 루프면(122)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봉합 가능하게 된다.(도 3b 참조)
그리고, 상기 망사케이지(40)의 연통구(40a) 및 개방구(40b)는 지퍼방식으로 개폐된다.
상기 지지림(20)은, 베이스부(22) 및 상기 베이스부(22)와 분리 가능하게 형합고정되는 커버부(24)로 이루어지며, 포집망(10)은 그 선단이 상기 베이스부(22)와 커버부(24)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도 4 참조)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막대(30)는 대구경부에 소구경부가 순차적으로 삽입 가능토록 구성된 이른바 안테나형 구조로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곤충포집용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에 나타난 것과 같이 포집망(10)에 포집된 곤충은 망사케이지(40)의 연통구(40a)를 개방하여 망사케이지(40)로 옮겨서 보관할 수 있으며, 도 2b에 나타난 것과 같이 망사케이지(40)로 옮겨진 곤충을 꺼낼때에는 개방구(40b)를 일부만 개방하여 안전하게 꺼내게 된다.
그리고, 도 3a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별도의 채집통이 없거나 채집통이 파손되어 사용하지 못하게 된 경우에는 상기 망사케이지(40)를 포집망(10)으로부터 분리하여 채집통 대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망사케이지(40)를 포집망(10)과 분리한 후에는, 도 3b에 나타난 것과 같이 포집망(10)의 개방된 저면을 봉합하여 다시 사용하게 되는데, 포집망(10)은 그 선단에 전술한 바와 같이 벨크로테이프의 후크면(121)과 루프면(122)이 양분되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후크면(121)과 루프면(122)을 서로 붙이는 방식으로 쉽게 봉합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포집망(10)의 상단이 지지림(20)을 구성하는 베이스부(22)와 커버부(24) 사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지지림(20)과 결합되기 때문에 포집망(10)이 파손되었을 경우에도 지지림(20)으로부터 포집망(10)을 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더불어,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막대(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손잡이막대(30)의 길이를 줄여서 부피를 작게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곤충포집용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2b는 본 고안에 따른 곤충포집용구를 사용하여 곤충을 포집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a, 3b는 본 고안에 따른 곤충포집용구의 포집망과 망사케이지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곤충포집용구에 있어서 포집망의 지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포집망 20: 림
30: 손잡이막대 40: 망사케이지

Claims (5)

  1. 포집망과,
    상기 포집망을 지지하는 지지림(rim)과
    상기 지지림과 결합된 손잡이막대
    를 포함하는 곤충포집용구에 있어서;
    상기 포집망은 저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집망의 개방된 저면을 통해 포집망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포집망과 선택적으로 연통됨으로써 포집망에 포집된 곤충을 포집망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망사케이지(cag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망사케이지는 상기 포집망의 개방된 저면을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포집망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포집망과 연결된 상태에서는 일측면이 포집망의 저면을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집망의 저면을 차단하는 상기 망사케이지의 일측면에는 포집망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연통구가 갖추어지며, 망사케이지의 타측면에는 망사케이지의 내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개방구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포집용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망의 개방된 저면의 가장자리는 양분되어 벨크로테이프의 후크면과 루프면이 각각 구비되고,
    망사케이지의 선단에는 상기 포집망의 벨크로테이프과 결합되도록 역시 벨크로테이프의 후크면과 루프면이 양분되어 구비됨으로써
    상기 포집망과 망사케이지는 벨크로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포집망의 개방된 저면은 망사케이지가 분리된 상태에서 가장자리의 벨크로테이프의 후크면과 루프면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봉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포집용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케이지의 연통구 및 개방구는 지퍼방식으로 개폐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포집용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림은,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분리 가능하게 형합고정되는 커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부와 커버부 사이에 포집망의 선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포집용구.
KR2020090003305U 2009-03-23 2009-03-23 곤충포집용구 KR200457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305U KR200457750Y1 (ko) 2009-03-23 2009-03-23 곤충포집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305U KR200457750Y1 (ko) 2009-03-23 2009-03-23 곤충포집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618U KR20100009618U (ko) 2010-10-01
KR200457750Y1 true KR200457750Y1 (ko) 2012-01-06

Family

ID=44200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305U KR200457750Y1 (ko) 2009-03-23 2009-03-23 곤충포집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7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9133A (zh) * 2012-03-31 2012-07-25 常熟南师大发展研究院有限公司 捕蝶专用网
CN102805072A (zh) * 2012-08-15 2012-12-05 福建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昆虫采集袋
CN103109787A (zh) * 2013-03-20 2013-05-22 遵义市林业科学研究所 一种防逃逸昆虫网
JP2019146556A (ja) * 2018-02-26 2019-09-05 千尋 岸 ファスナー付き虫取り網
KR102251563B1 (ko) * 2018-12-10 2021-05-12 김봉성 말벌 채집기
KR102162469B1 (ko) * 2019-06-07 2020-10-06 최진호 유해조류 포획장치
US20230066689A1 (en) * 2021-09-01 2023-03-02 Jerry Kobasiuk Insect capture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7595A (ja) * 1989-07-04 1991-02-18 Nippon Nuclear Fuel Dev Co Ltd 核燃料被覆管
JPH08308458A (ja) * 1995-05-22 1996-11-26 Keiji Ono 昆虫等採取用網
KR200166053Y1 (ko) * 1999-02-10 2000-02-15 임영빈 곤충채집용 채
KR20010066053A (ko) * 1999-12-31 2001-07-11 이계안 자동차용 가변 관성모멘트를 갖는 플라이 휠
JP2004242606A (ja) 2003-02-14 2004-09-02 Kazuhiko Kajino 飛翔虫捕捉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7595A (ja) * 1989-07-04 1991-02-18 Nippon Nuclear Fuel Dev Co Ltd 核燃料被覆管
JPH08308458A (ja) * 1995-05-22 1996-11-26 Keiji Ono 昆虫等採取用網
KR200166053Y1 (ko) * 1999-02-10 2000-02-15 임영빈 곤충채집용 채
KR20010066053A (ko) * 1999-12-31 2001-07-11 이계안 자동차용 가변 관성모멘트를 갖는 플라이 휠
JP2004242606A (ja) 2003-02-14 2004-09-02 Kazuhiko Kajino 飛翔虫捕捉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618U (ko) 201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750Y1 (ko) 곤충포집용구
KR101800944B1 (ko) 라쿤 포획용 모듈 및 라쿤 포획 장치
US8516737B2 (en) Coverable fish net apparatus
US20110162256A1 (en) Catcher for catching crabs, shrimps or the like
CN104381232A (zh) 马蜂诱捕装置
KR102266597B1 (ko) 과일 수확 장치용 주머니 망 모듈
US8449185B1 (en) Yard refuse collection device
JP2017018033A (ja) 虫取りあみかご
CA2433204A1 (en) Dual purpose christmas tree bag
KR20100001581U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100733274B1 (ko) 곤충 채집기
US20210298270A1 (en) Dog excrement catcher with adapted disposable bags
KR102251563B1 (ko) 말벌 채집기
CN208113853U (zh) 一种新型捕虫网
KR101959809B1 (ko) 배설물처리주머니 일체형 애완견줄
KR200447688Y1 (ko) 곤충채집채
JP3148033U (ja) ペット用糞取り器具
US20120058708A1 (en) Backpack bee vacuum
CN211407386U (zh) 一种飞行昆虫捕捉装置
KR200227436Y1 (ko) 수중용 채집망
JPH09187207A (ja) 移し換えスムーズ捕虫網
JPH08308458A (ja) 昆虫等採取用網
KR100532078B1 (ko) 낚시가방
KR200411646Y1 (ko) 견의 변 수거함
KR200446457Y1 (ko) 곤충채집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