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274B1 - 곤충 채집기 - Google Patents

곤충 채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274B1
KR100733274B1 KR1020060010450A KR20060010450A KR100733274B1 KR 100733274 B1 KR100733274 B1 KR 100733274B1 KR 1020060010450 A KR1020060010450 A KR 1020060010450A KR 20060010450 A KR20060010450 A KR 20060010450A KR 100733274 B1 KR100733274 B1 KR 100733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automatic
collecting
open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준모
Original Assignee
전준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준모 filed Critical 전준모
Priority to KR102006001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3/00Manual implements, other than sprayers or powder distributor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e.g. butterfly nets
    • A01M3/002Insect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비, 잠자리 등과 같은 곤충 채집시에 잡은 곤충을 쉽게 놓치지 않고 포획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집된 잠자리 등을 쉽게 꺼낼 수 있는 곤충 채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부(10)와, 상기 손잡이부(10)의 끝단에 형성되며,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메쉬망(40)으로 이루어진 채집 보관통(20)과, 상기 채집 보관통(20)의 개구측에 연이어지게 형성되며, 그 끝단부의 개구측은 항상 서로 당겨져 닫히도록 형성된 입구홀(32)을 갖는 곤충 자동채집부(30)와, 상기 곤충 자동채집부(30)의 입구홀(32)을 강제로 열도록 손잡이부(10)에 형성된 자동당김부(12)로 구성된다.
메쉬망, 곤충 자동채집부.

Description

곤충 채집기{AN INSECT COLLECTION INSTRUMENT}
도 1 은 본 발명의 곤충 채집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곤충 채집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손잡이부 12: 자동당김부
16: 연동와이어 20: 채집 보관통
22: 개폐문 28a,28b: 스프링
30: 곤충 자동채집부 32: 입구홀
33a,33b: 수축탄력대 40: 메쉬망
본 발명은 곤충 채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비, 잠자리 등과 같은 곤충의 채집시에 잡은 곤충을 쉽게 놓치지 않고 포획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집된 잠자리 등을 쉽게 꺼낼 수 있는 곤충 채집기에 관한 것이다.
곤충 채집기는 일명 잠자리채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러한 일반적인 곤충 채집기는, 그물망의 일부측이 개구된 상태로 되어 있어 개구측으로 잠자리 등을 낚아채는 방식으로 잡아, 입구를 평평한 땅의 표면에 덮어서 잡혀진 잠자리 등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 후에, 입구측으로 다시 잡은 잠자리를 꺼내서 채집통에 넣어 보관하게 된다.
이때 잠자리채의 입구가 폐쇄되도록 땅바닥에 덮고 있는 개구부를 열어야지만 포획된 잠자리 등을 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잠자리채의 개구부를 열려고 시도할시 포획된 잠자리는 열려진 틈을 통해 개구부측으로 날아가 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 되고 있어 다시 채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 된다.
또한, 희귀종의 곤충을 잡았을시에 이를 한번 놓치게 되면 다시 채집할 수 있는 기회는 자주 오지 않기 때문에 아이들이나 채집가에게는 많은 실망을 않겨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곤충 채집시에 잡은 곤충을 쉽게 놓치지 않고 포획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집된 곤충을 쉽게 꺼낼 수 있는 곤충 채집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곤충 채집기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에 형성되며,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채집 보관통과, 상기 채집 보관통의 개구측에 연이어지게 형성되며, 그 끝단부의 개구측은 항상 서로 당겨져 닫히도록 형성된 입구홀을 갖는 곤충 자동채집부와, 상기 곤충 자동채집부의 입구홀을 강제로 열도록 손잡이부에 형성된 자동당김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곤충 채집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곤충 채집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곤충 채집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잡고 다니면서 멀리 날아다니는 잠자리 등의 곤충을 채집할 수 있도록 장축의 손잡이부(10)가 형성된다.
상기 장축으로 형성된 손잡이부(10)의 끝단에는 휘저으면서 움직이기 좋은 상태가 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이루어진 메쉬망의 채집 보관통(20)이 형성된다.
상기 메쉬망의 채집 보관통(20)의 전면측에는 입구홀(32)을 갖는 곤충 자동채집부(30)가 형성된다.
상기 곤충 자동채집부(30)의 입구홀(32)을 강제로 닫혀져 있으면 손잡이부(10)에 형성된 자동당김부(12)에 의해 열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곤충 자동채집부(30)의 입구홀(32)은 양측에 수축탄력대(33a,33b)가 형성되며, 이를 항상 밀치도록 그 끝단에는 스프링(28a,28b)이 장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28a,28b)의 단부측에는 이를 해제시킬 수 있는 연동 와이어(16)가 결합되게 형성된다.
상기 보관통(20)의 상부측에는 곤충 자동채집부(30)의 입구홀(32)로 잡혀진 곤충을 꺼낼 수 있도록 상부측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문(2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곤충 채집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작동관계를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곤충 채집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사용자가 곤충을 채집하기 위해 손잡이부(10)를 잡고 이동하다 채집할 곤충을 찾게 되면, 손잡이부(10)에 형성된 자동당김부(12)를 하부측으로 당긴다.
이와 같이 자동당김부(12)를 당기게 되면, 이와 연동되게 연결되어 있는 연동와이어(16)는 당겨지면서 손잡이부(10)의 끝단을 관통하도록 이어진 손잡이부(10) 측으로 끌려온다.
이와 동시에 연동와이어(16)가 당겨지면 그 끝단에 결합된 스프링(28a,28b)을 당기게 된다.
상기 연동와이어(16)에 의해 당겨지는 스프링(28a,28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곤충 자동채집부(30)의 양측은 수축탄력대(33a,33b)가 서로 맞닿음되도록 밀쳐져 있던 것을 반대로 대향 하여 벌어지게 작동시킨다.
상기 곤충 자동채집부(30)의 입구홀(32)은 수축탄력대(33a,33b)에 의해 그 끝단이 서로 밀쳐지도록 하면서 입구홀(32)을 폐쇄시키고 있으며, 이는 수축탄력대(33a,33b)의 단부측이 스프링(28a,28b)에 의해 지렛대식으로 항시 당기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스프링(28a,28b)의 일단은 채집 보관통(20)의 전면측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대(37a,37b)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수축탄력대(33a,33b)의 끝단과 결합 되어 있어 항시 당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채집부(30)의 입구홀(32)은 스프링(28a,28b)이 항시 수축탄력대(33a,33b)를 중앙으로 서로 맞닿음되면서 폐쇄시키도록 작동되어 있어 입구홀(32)을 개방시킬 시에는 스프링(28a,28b)을 반대로 늘어나게 당겨주면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28a,28b)을 손잡이부(10)에 형성된 자동 당김부(12)로 당기게 되면 이와 동시에 연동와이어(16)가 당겨지면서 수축탄력대(33a,33b)를 서로 반대측으로 젖혀지도록 작동된다.
이와 같이 수축탄력대(33a,33b)가 반대측으로 젖혀지면 자동채집부(20)의 입구홀(32)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려지게 된다.
수축탄력대(33a,33b)는, 자동채집부(30)의 입구홀(32)을 개방할시에는 스프링(28a,28b)을 늘어나게 해야 하므로 항시 자동 당김부(12)를 당기고 있어야 한다.
반대로 자동채집부(30)의 입구홀(32)로 곤충이 유입되어 잡히게 되면, 자동 당김부(12)를 놓는다. 그러면, 입구홀(32)은 자동적으로 수축탄력대(33a,33b)가 스프링(28a,28b)의 복귀 탄성력에 의해 빠르게 닫히게 되면서 입구를 폐쇄하기 때문에 유입된 곤충은 빠져나가지 못한다.
이와 같이 포획된 곤충은 곤충 보관통(20)으로 이동되므로 사용자는 곤충 보관통(20)의 상부측에 형성된 개폐문(22)을 이용해 잡은 곤충을 꺼내거나 아니면 잡은 상태로 이동해서 실내에서 안전하게 꺼내는 것도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개폐문(22)은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곤충을 꺼낼때에 손목이 입구를 막고 있기 때문에 그 사이로 쉽게 빠져나가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획된 곤충을 잡은 상태로 곤충 보관통(20)에 담고 다녀도 자동채집부(30)의 입구홀(32)이 자동으로 닫혀지면서 잡히기 때문에 강제로 열지 않는 이상 잡은 곤충을 놓칠 염려가 없는 특징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자동채집부(30)의 입구홀(32)의 테두리는 수축 메쉬망 등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수축작용에 의해 그 틈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곤충 채집기에 의해 나비, 잠자리 등과 같은 곤충 채집시에 잡은 곤충을 쉽게 놓지지 않고 포획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집된 잠자리 등을 쉽게 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곤충 채집기에 있어서,
    손잡이부(10)와,
    상기 손잡이부(10)의 끝단에 형성되며,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메쉬망(4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측에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문 (22) 이 형성되어 있는 채집 보관통(20)과,
    상기 채집 보관통(20)의 개구측에 연이어지게 형성되며, 그 끝단부의 개구측은 서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된 입구홀(32), 상기 입구홀의 개구측에 형성된 수축탄력대 (33a, 33b) 및 상기 수축탄력대의 일측에 연동되게 형성되어 입구홀을 개폐시키는 스프링 (28a, 28b) 을 갖는 곤충 자동채집부(30)와,
    연동와이어 (16) 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곤충 자동채집부(30)의 입구홀(32)을 강제로 개폐하도록 손잡이부(10)에 형성되어 있는 자동당김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채집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60010450A 2006-02-03 2006-02-03 곤충 채집기 KR100733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450A KR100733274B1 (ko) 2006-02-03 2006-02-03 곤충 채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450A KR100733274B1 (ko) 2006-02-03 2006-02-03 곤충 채집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818U Division KR200435738Y1 (ko) 2007-01-16 2007-01-16 곤충 채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274B1 true KR100733274B1 (ko) 2007-07-03

Family

ID=38502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450A KR100733274B1 (ko) 2006-02-03 2006-02-03 곤충 채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2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223B1 (ko) 2007-03-21 2008-03-07 (주) 피플앤네이처 곤충 채집장치
FR3082703A1 (fr) * 2018-06-26 2019-12-27 Bardia Sabet Azad Procede d'immobilisation des insectes volants par le froid, en vue d'une manipulation
WO2024049375A1 (en) * 2022-08-29 2024-03-07 İstanbul Geli̇şi̇m Üni̇versi̇tesi̇ Practical insect catching apparatu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9885U (ko) 1976-04-16 1977-10-24
JPS52139885A (en) * 1976-05-17 1977-11-22 Hitachi Ltd Positioning controller
JPS5545706U (ko) * 1978-09-19 1980-03-25
JPS565482U (ko) 1979-06-26 1981-01-19
JPS6437240A (en) * 1987-07-08 1989-02-07 Quaker Oats Co Insect trap net
KR19990034180A (ko) 1997-10-28 1999-05-15 곽경신 곤충채집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9885U (ko) 1976-04-16 1977-10-24
JPS52139885A (en) * 1976-05-17 1977-11-22 Hitachi Ltd Positioning controller
JPS5545706U (ko) * 1978-09-19 1980-03-25
JPS565482U (ko) 1979-06-26 1981-01-19
JPS6437240A (en) * 1987-07-08 1989-02-07 Quaker Oats Co Insect trap net
KR19990034180A (ko) 1997-10-28 1999-05-15 곽경신 곤충채집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52139885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223B1 (ko) 2007-03-21 2008-03-07 (주) 피플앤네이처 곤충 채집장치
FR3082703A1 (fr) * 2018-06-26 2019-12-27 Bardia Sabet Azad Procede d'immobilisation des insectes volants par le froid, en vue d'une manipulation
WO2024049375A1 (en) * 2022-08-29 2024-03-07 İstanbul Geli̇şi̇m Üni̇versi̇tesi̇ Practical insect catch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1740B1 (en) Debris collection and vegetation removal apparatus
AU2014202272B2 (en) Quick release pool skimmer basket apparatus
KR100733274B1 (ko) 곤충 채집기
US5537777A (en) Insect capture device
KR200457750Y1 (ko) 곤충포집용구
EP2901855B1 (en) Raccoon trapping module, and raccoon trapping device
KR200435738Y1 (ko) 곤충 채집기
CN210054406U (zh) 一种翻板捕鼠装置
KR20100003441U (ko) 밤 수거장치
US10273643B1 (en) Waste collection and isolating device and method of collecting and isolating waste thereof
US4254979A (en) Scoop device
CN213819463U (zh) 一种林木钻蛀性鞘翅目昆虫成虫捕捉装置
JP6600773B1 (ja) 虫取り器
KR200447688Y1 (ko) 곤충채집채
KR101293281B1 (ko) 파리채
KR19990034180A (ko) 곤충채집기
CN207870160U (zh) 一种害虫收集器
KR20200070683A (ko) 말벌 채집기
KR20150002678U (ko) 곤충채집기
CN209956690U (zh) 一种用于园林景观的可发光垃圾桶
KR200145393Y1 (ko) 과일 채취기구
KR101567722B1 (ko) 채집망을 수납부에서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다슬기 포획기
JP2631949B2 (ja) 蚤取り器
CN109497032A (zh) 一种全自动捕鼠笼
CN217742841U (zh) 一种小型爬行昆虫诱虫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