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469B1 - 유해조류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유해조류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469B1
KR102162469B1 KR1020190067163A KR20190067163A KR102162469B1 KR 102162469 B1 KR102162469 B1 KR 102162469B1 KR 1020190067163 A KR1020190067163 A KR 1020190067163A KR 20190067163 A KR20190067163 A KR 20190067163A KR 102162469 B1 KR102162469 B1 KR 102162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ine
seating guide
trap
harmful
harmful alg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최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20190067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38Electric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에 피해를 발생시키는 참새나 비둘기 등의 유해조류를 포획하여 피해가 예상되는 농작물과는 떨어진 위치에 방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해조류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유해조류에게 전기충격을 가하여 유해조류를 기절시키는 유도 감전부와; 상기 유도 감전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유도 감전부에 의해 기절하여 하방향으로 떨어지는 유해조류를 포획하며, 포획된 유해조류가 도망가는 것을 방지하는 탈출 방지부가 장착된 포획틀과; 망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포획틀의 하부와 관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포획틀로부터 포획된 유해조류를 수납하였다가 유해조류를 방사시에 유해조류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포획틀로부터 분리시키는 지퍼부가 장착된 포획 수납망; 및 상기 유도 감전부를 상기 포획틀 상부에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해조류 포획장치{Apparatus for capturing harmful birds}
본 발명은 유해조류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작물에 피해를 발생시키는 비둘기나 까치 등의 유해조류를 포획하여 유해조류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예방하면서, 포획된 유해조류를 피해가 예상되는 농작물과는 떨어진 위치에 방사시켜 동물을 보호하도록 하는 유해조류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야생조류들의 개체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야생조류은 농작물을 섭취하거나 훼손하고 과수원에서 재배하고 있는 과일 등을 쪼아 먹어 과일의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등 농가수입에 큰 피해를 야기시키고 있다.
또한, 비행장의 근처에 이러한 유해조류가 서식할 경우, 유해조류가 비행기와 충돌하여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야생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여러가지 장치와 방법이 제안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공기총이나 폭발음을 사용하기도 하고, 햇빛을 받아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이용하기도 하며, 농작물 전체를 그물망으로 덮어씌어 보호하기도 한다.
그러나, 총포류는 퇴치효과가 일시적이고 소음공해로 인한 문제점이 존재하며, 농작물 전체를 그물망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설치가 번거로우며 보수작업에도 많이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70713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해조류를 포획할 수 있도록 된 다양한 종류의 포획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포획장치는 조류를 효과적으로 포획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KR 10-2004-0094269 A KR 10-2005-0003700 A KR 20-0323905 Y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둘기나 까치와 같은 농작물에 피해를 발생시키는 유해조류의 출몰이 빈번한 장소에 설치되어, 유해조류를 포획하고 피해가 예상되는 농작물의 위치와 먼 위치에 포획된 유해조류를 방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주위 경계나 먹이를 찾기 위해 전신주의 전깃줄 등 고소 지점에 안착되는 습성을 활용하여 해당 유해조류를 안정적으로 유인하고, 또 유인된 유해조류를 상해없이 안전하게 포획하는 유해조류 포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조류 포획장치는,
유도 감전부와; 상기 유도 감전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유도 감전부를 통해 제공되는 고압의 전류에 의해 일시적으로 근육이 경련되거나 마비되어 하방향으로 떨어지는 유해조류를 포획하는 수납 포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도 감전부는, 둘 이상의 전선부재와, 상기 둘 이상의 전선부재를 절연구조로 고정하는 절연 피복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안착 유도선과; 상기 안착 유도선의 전선부재에 고압의 전류를 순간적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절연 피복층을 통해 상호 절연구조를 형성한 안착 유도선의 각 전선부재에는, 둘 이상의 전선부재를 동시 협지하여 안착 유도선에 안착되는 유해조류의 발부위에 의해서 상호 통전되는 통전부가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전원 공급모듈은, 저전압의 전류를 고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유닛과; 상기 변압유닛을 통해 출력되는 고압의 전류를 안착 유도선을 구성하는 전선부재에 인가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 유도선 또는 상기 안착 유도선을 지지하는 고소 지지체에는, 안착 유도선의 진동이나 하중의 증가를 계측하는 계측센서가 구비되어,
제어유닛은, 상기 계측센서의 설정값 이상의 진동이나 하중의 증가가 계측되면, 변압유닛을 통해 변압된 고압의 전류를 안착 유도선의 전선부재에 인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 유도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선부재는 내측면에 형성된 절연 피복층에 의해 절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 피복층에 의해 내측면에 절연부가 형성된 전선부재의 외측면에는 통전면을 외부에 노출시킨 통전부가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 포획부는 하방향으로 떨어진 유해조류를 수납하며 상부에 진출입구가 형성된 수납망과; 상기 개방된 수납망의 진출입구를 일방향 폐쇄하여 수납망으로 떨어져 수납된 유해조류가 개방된 상부를 통해 외부로 도망가는 현상을 방지하는 포획트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 포획부를 구성하는 포획트랩과 수납망 사이에는 이음부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납망은 이음부를 통해 포획트랩에 이음되어 연통되게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망의 진출입구에는 개폐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망은 개폐부를 통해 진출입구를 폐쇄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포획트랩은 상하 개방된 포획틀과; 상기 포획틀 내에 교차되게 배치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포획로를 형성하여, 포획틀의 하부에 형성된 수납망의 진출입구를 일방향 폐쇄하는 트랩암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해조류 포획장치는, 높은 지점에 설치된 안착 유도선에 유도되어 안착한 유해조류에게 고전압의 전류를 순간적으로 인가하여 유해조류의 신체를 일시적으로 마비시킴으로써, 해당 유해조류를 산 채로 포획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유해조류를 포획하면, 포획을 요하는 유해조류에 직접적으로 상해를 입히지 아니하면서도 안전한 포획이 가능하게 되고, 포획된 유해조류는 안전하게 수납되어 자연 방사가 가능하다.
즉, 관리자는 상기 유해조류를 포집한 포집망을 농작물의 위치와 거리가 먼 위치에 자연 방사시킴으로써, 유해조류를 보호하고 또 유해조류로부터 농작물 등을 보호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조류 포획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조류 포획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조류 포획장치의 전체 단면도와 안착 유도선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조류 포획장치의 유해조류가 전기 충격을 통하여 포획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조류 포획장치에 있어, 전원 공급모듈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해조류 포획장치를 상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조류 포획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조류 포획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조류 포획장치의 전체 단면도와 안착 유도선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조류 포획장치의 유해조류가 전기 충격을 통하여 포획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조류 포획장치에 있어, 전원 공급모듈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조류 포획장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까치나 비둘기 등의 각종 유해조류의 출몰이 예상되는 과수원 등지에 설치되어, 비둘기나 까치 등의 유해조류를 유인하여 안착하게 하고, 또 유인된 유해조류를 수납하여 포획하는 전용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해조류를 포획함에 있어, 포획을 요하는 유해조류에 직접적으로 상해를 입히지 아니하면서도 안전한 포획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 포획된 유해조류를 안전하게 수납하여서, 추후 유해조류의 자연 방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해조류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예방하면서 유해조류의 보호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해조류 포획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도 감전부(100)와; 상기 유도 감전부(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유도 감전부(100)를 통해 제공되는 고압의 전류에 의해 근육이 일시적으로 경련되거나 마비되어 하방향으로 떨어지는 유해조류를 포획하는 수납 포획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 감전부(100)는, 안착된 유해조류에 순간적으로 고압의 전류를 인가시켜 일시적으로 유해조류의 전신이 마비되는 감전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유해조류의 안전하고 안정적인 포획을 도모한다.
상기 유도 감전부(100)는,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둘 이상의 전선부재(111A, 111B)와; 상기 둘 이상의 전선부재(111A, 111B)를 절연구조로 고정하는 절연 피복층(112)을 포함하여 구성된 안착 유도선(110)과; 상기 안착 유도선(110)의 전선부재(111A, 111B)에 고압의 전류를 순간적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모듈(1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착 유도선(110)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고소 지지체(300)를 더 포함하여, 고소 지지체(300)의 상단에 안착 유도선(110)을 각각 배치하여서 안착 유도선(110)은 높이가 높아서 유해조류가 쉽게 안착할 수 있는 고소지점에 위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유해조류는 그 특성상 주위 경계나 먹이를 찾기 위해 전신주의 전깃줄 등 고소 지점에 통상 안착하는 습성을 가지며, 이러한 습성에 부합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고소 지지체(300)를 통해 안착 유도선(110)을 고소지점에 수평방향으로 배치하여서 포획을 요하는 유해조류가 쉽게 유도하여 안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소 지지체(300)는 사다리 등 주위의 사물 등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별도 제작 및 탑재하여 안착 유도선(110)과 수납 포획부(200)의 정형화된 고정 설치를 도모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소 지점에 설치된 안착 유도선(110)에 안착되는 유해조류에 일시적으로 고압의 전류를 인가시켜, 인가된 고압의 전류에 의해 유해조류는 일시적으로 근육이 경련되거나 마비되어 안착 유도선(110)에서 떨어져 안착 유도선(110)의 하부에 배치된 수납 포획부(200)에 포획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3b와 같이 상기 절연 피복층(112)을 통해 상호 절연구조를 형성한 안착 유도선(110)의 각 전선부재(111A, 111B)에, 둘 이상의 전선부재(111A, 111B)를 동시 협지하여 안착 유도선(110)에 안착한 유해조류의 발부위에 의해서 상호 통전되는 통전부(114)가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안착 유도선(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선부재(111A, 111B)는 내측면에 형성된 절연 피복층(112)에 의해 절연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 피복층(112)에 의해 내측면에 절연부(113)가 형성된 전선부재(111A, 111B)의 외측면에는 통전면을 외부에 노출시킨 통전부(114)가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 피복층(112)에 의해 상호 절연구조를 형성하여 상호 평행하는 한 쌍의 전선부재(111A, 111B)는, 내측면에 형성된 절연 피복층(112)에 의해 상호 평행하는 안착 유도선(11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안착 유도선(110)은 도 4b와 같이 양외측에 절연 피복층(112)이 형성되지 아니하는 통전부(114)가 형성되고, 결과적으로 안착시 발부위를 안착 유도선(110)의 양외측을 휘감은 상태로 안착 유도선(110)에 안착한 유해조류는, 안착 유도선(110)에 형성된 통전부(114)에 통전된 상태를 형성한다.
그리하여, 상기 안착 유도선(110)을 구성하며 유해조류의 발부위와 통전된 전선부재(111A, 111B)에 고압의 전류를 인가하면, 도 5와 같이 유해조류는 순간적으로 인가되는 고압의 전류에 의해 감전이 이루어져 근육이 경련되거나 마비되는 상태를 일시적으로 형성하고, 결과적으로 유해조류는 안착 유도선(110)에서 떨어져 하부에 형성된 수납 포획부(200)로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 유도선(110)에 고압의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 공급모듈(120)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터리(121)에 축전, 또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저전압의 전류를 고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유닛(122)과; 상기 변압유닛(112)을 통해 출력되는 고압의 전류를 안착 유도선(110)을 구성하는 전선부재(111A, 111B)에 인가하는 제어유닛(123)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변압유닛(122)은 출력전압의 조절이 가능한 전압조절형으로 구성되어, 포획을 요하는 대상 유해조류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하여 인가 전압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123)에는 타이머(123a)를 더 포함하여, 제어유닛(123)은 타이머(123a)에 의해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고압의 전류를 안착 유도선(110)의 전선부재(111A, 111B)에 주기적으로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유닛(123)은 타이머(123a)에 의해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고압의 전류를 안착 유도선(110)의 전선부재(111A, 111B)에 인가하지 아니하고, 안착 유도선(110)에 유해조류가 안착된 것이 인식되면 안착 유도선(110)의 전선부재(111A, 111B)에 고압의 전류를 인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착 유도선(110)을 지지하는 고소 지지체(300), 또는 안착 유도선(110) 자체에 안착 유도선(110)의 진동이나, 하중의 증가를 계측하는 계측센서(123b)를 더 부가한다.
여기서, 상기 계측센서(123b)는 가압의 변화를 통해 안착 유도선의 중량 변화를 계측하는 가압력 계측형, 또는 당김력의 변화를 통해 안착 유도선의 중량 변화를 계측하는 인장력 계측형 등이 채택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를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예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계측센서(123b)에 의해 안착 유도선(110)에 유해조류의 안착이 감지되면 제어유닛(123)은 변압유닛(122)을 통해 변압된 고압의 전류를 안착 유도선(110)의 전선부재(111A, 111B)에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안착 유도선(110)에 고압의 전류를 인가함에 따른 전류의 소비를 예방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123)은 계측센서(123b)를 통해 설정값 이상의 중량이 감지된 경우에만 고압의 전류를 안착 유도선(110)의 전선부재(111A, 111B)에 인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안착 유도선(110)에 복수의 유해조류가 안착하고 이들 안착된 유해조류들을 일괄하여 포획하도록 함으로써, 유해조류의 포획에 따른 향상된 생산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유닛(123)은 계측센서(123b)를 통해 계측되는 중량값에 따라, 변압유닛(122)을 통해 출력되는 전압값 및 전류량을 증감시켜 포획을 요하는 유해조류의 포획에 요구되는 적합한 전압값 및 전류량을 제공함으로써, 유해조류에 과도한 전기적 충격없이 안정적인 포획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123)에는 원격 조정기(미도시)를 통해 신호를 인가받아, 안착 유도선(110)에 고압의 전류를 인가하도록 하는 무선 수신기, 또는 무선 송수신기(123c)를 더 탑재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원격 조정기를 소지한 관리자는 원격 조정기를 통해 제어유닛(123)의 무선 수신기(123c, 무선 송수신기)에 포획신호를 인가하여서, 유해조류의 포획여부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격 조정기와 무선 수신기(123c, 무선 송수신기)는 RF방식, IR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CDMA 등의 통신망을 접목하여 IOT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 유도선(110)을 촬영하여 무선 조정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카메라 유닛(124)을 부가하여, 원격 조정기를 소지한 관리자는 현장에 위치하지 아니하고도 카메라 유닛(124)을 통해 원격 조정기에 제공된 현장 영상을 통해 안착 유도선(110)에 안착된 유해조류의 종류나 개체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포획이 요구되면 원격 조정기를 통해 제어유닛(123)에 포획신호를 인가하여서, 안착 유도선(110)에 안착된 유해조류의 안정적인 포획을 도모한다.
즉, 신호 전송기능과 영상 재생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을 원격 조정기로 채택하여, 관리자는 원격 조정기인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을 통해 현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포획이 요구되면 포획신호를 제공하여 안착 유도선(110)에 안착된 유해조류를 포획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유도 감전부(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유도 감전부(100)에 의해 일시적으로 감전되어 하부로 떨어지는 유해조류를 수납 포획하는 수납 포획부(2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4와 같이 진출입구(221)를 통해 진입된 유해조류를 수납하는 수납망(220)과; 상기 개방된 수납망(220)의 진출입구(221)를 일방향 폐쇄하여 수납망(220) 내로 떨어져 수납된 유해조류가 개방된 진출입구(221)를 통해 외부로 도망가는 현상을 방지하는 포획트랩(2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 포획부(200)를 구성하는 포획트랩(210)과 수납망(220) 사이에는 이음부(211a, 222)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납망(220)은 이음부(211a, 222)를 통해 포획트랩(210)에 진출입구(221)를 이음하여 연통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수납망(220)의 진출입구(221)에는 개폐부(223)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망(220)은 개폐부(223)를 통해 진출입구(221)를 자체 폐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포획트랩(210)은 상하 개방된 포획틀(211)과; 상기 포획틀(211) 내에 트랩암(212a)들을 교차되게 배치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포획로(213)를 형성하여, 포획틀(211)의 하부에 형성된 수납망(220)의 진출입구(221)를 일방향 폐쇄하는 트랩암부(2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트랩암부(212)는 포획트랩(210) 내에 배치된 트랩암(212a)들에 의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공간이 좁아지는 포획로(213)를 형성하여서, 일방향 진입구조를 갖는 포획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포획트랩(210)의 상부에서 낙하하는 유해조류는 점차 간격이 좁아지는 포획로를 통과하여 하부에 배치된 수납망(220)으로 진입하여 수납되며, 수납된 유해조류들은 좁은 입구를 갖는 포획로를 거슬러 따라 외부로 도망가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 포획부(200)를 구성하는 포획트랩(210)과 수납망(220) 사이에 이음부(211a, 222)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상기 수납망(220)은 이음부(211a, 222)를 통해 포획트랩(210)에 이음되어 연통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수납망(220)의 진출입구(221)에는 개폐부(223)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망(220)은 개폐부(223)를 통해 진출입구(221)를 폐쇄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포획트랩(210)과 수납망(220)의 진출입구(221) 사이를 이음하는 이음부(211a, 222)와, 수납망(220)의 진출입구(221)를 폐쇄하는 개폐부(223)로 지퍼를 각각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수납망(220)은 이음부(211a, 222)를 통해 포획트랩(210)에 간편하게 이음하여 장착되어, 포획트랩(210)의 포획로를 투과하여 하향 포집되는 유해조류를 안전하게 포집할 수 있다.
그리고, 유해조류의 포집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도 5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폐부(223)를 통해 수납망(220)의 진출입구(221)를 자체적으로 폐쇄시켜 유해조류가 진출입구(221)를 통해 외부로 도망하지 못하도록 한 다음, 이음부(211a, 222)를 통해 수납망(220)을 포획트랩(210)에서 분리시켜 제거하게 된다.
이후, 상기 유해조류를 포집한 수납망(220)은 추후 피해가 예상되는 농작물의 위치와는 거리가 먼 위치에 자연 방사시킴으로써, 유해조류를 보호하고 또 유해조류로 부터 농작물 등을 보호하게 된다.
1. 유해조류 포획장치
100. 유도 감전부 110. 안착 유도선
111A,111B. 전선부재 112. 절연 피복층
113. 절연부 114. 통전부
120. 전원 공급모듈 121. 배터리
122. 변압유닛 123. 제어유닛
123a. 타이머 123b. 계측센서
123c. 무선 수신기 124. 카메라 유닛
200. 수납 포획부 210. 포획트랩
211. 포획틀 211a. 이음부
212. 트랩암부 212a. 트랩암
213. 포획로
220. 수납망
221. 진출입구 222. 이음부(지퍼)
223. 개폐부(지퍼)
300. 고소 지지체 310. 지지대

Claims (5)

  1. 유도 감전부와; 상기 유도 감전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유도 감전부를 통해 제공되는 고압의 전류에 의해 일시적으로 근육이 경련되거나 마비되어 하방향으로 떨어지는 유해조류를 포획하는 수납 포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도 감전부는, 둘 이상의 전선부재와, 상기 둘 이상의 전선부재를 절연구조로 고정하는 절연 피복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안착 유도선과; 상기 안착 유도선의 전선부재에 고압의 전류를 순간적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절연 피복층을 통해 상호 절연구조를 형성한 안착 유도선의 각 전선부재에는, 둘 이상의 전선부재를 동시 협지하여 안착 유도선에 안착되는 유해조류의 발부위에 의해서 상호 통전되는 통전부가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전원 공급모듈은, 저전압의 전류를 고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유닛과; 상기 변압유닛을 통해 출력되는 고압의 전류를 안착 유도선을 구성하는 전선부재에 인가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 유도선 또는 상기 안착 유도선을 지지하는 고소 지지체에는, 안착 유도선의 하중의 증가를 계측하는 계측센서가 구비되어,
    제어유닛은, 상기 계측센서에서 설정값 이상의 하중의 증가가 계측되면, 변압유닛을 통해 변압된 고압의 전류를 안착 유도선의 전선부재에 인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납 포획부는 하방향으로 떨어진 유해조류를 수납하며 상부에 진출입구가 형성된 수납망과; 상기 개방된 수납망의 진출입구를 일방향 폐쇄하여 수납망으로 떨어져 수납된 유해조류가 개방된 상부를 통해 외부로 도망가는 현상을 방지하는 포획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 포획부를 구성하는 포획트랩과 수납망 사이에는 이음부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납망은 이음부를 통해 포획트랩에 이음되어 연통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포획트랩은 상하 개방된 포획틀과; 상기 포획틀 내에 트랩암들이 교차되게 배치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포획로를 형성하여, 포획틀의 하부에 형성된 수납망의 진출입구를 일방향 폐쇄하는 트랩암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류 포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유도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선부재는 내측면에 형성된 절연 피복층에 의해 절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 피복층에 의해 내측면에 절연부가 형성된 전선부재의 외측면에는 통전면을 외부에 노출시킨 통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류 포획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망의 진출입구에는 개폐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망은 개폐부를 통해 진출입구를 폐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류 포획장치.
KR1020190067163A 2019-06-07 2019-06-07 유해조류 포획장치 KR102162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163A KR102162469B1 (ko) 2019-06-07 2019-06-07 유해조류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163A KR102162469B1 (ko) 2019-06-07 2019-06-07 유해조류 포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469B1 true KR102162469B1 (ko) 2020-10-06

Family

ID=72826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163A KR102162469B1 (ko) 2019-06-07 2019-06-07 유해조류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46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5176A (en) * 1975-09-25 1977-03-29 Shock-M-All, Inc. Apparatus for removing birds and other pests
JPH11296755A (ja) * 1998-04-10 1999-10-29 Omron Corp 侵入警報装置
JP2002119193A (ja) * 2000-10-16 2002-04-23 Akira Koyama 鳥獣撃退電線
KR200323905Y1 (ko) 2003-05-29 2003-08-19 홍용태 조류포획기
KR20040094269A (ko) 2003-05-01 2004-11-09 성광수 조류 포획 장치
KR20050003700A (ko) 2003-07-04 2005-01-12 이덕조 조류포획용 트랩
KR20100009618U (ko) * 2009-03-23 2010-10-01 강희준 곤충포집용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5176A (en) * 1975-09-25 1977-03-29 Shock-M-All, Inc. Apparatus for removing birds and other pests
JPH11296755A (ja) * 1998-04-10 1999-10-29 Omron Corp 侵入警報装置
JP2002119193A (ja) * 2000-10-16 2002-04-23 Akira Koyama 鳥獣撃退電線
KR20040094269A (ko) 2003-05-01 2004-11-09 성광수 조류 포획 장치
KR200323905Y1 (ko) 2003-05-29 2003-08-19 홍용태 조류포획기
KR20050003700A (ko) 2003-07-04 2005-01-12 이덕조 조류포획용 트랩
KR20100009618U (ko) * 2009-03-23 2010-10-01 강희준 곤충포집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867B1 (ko) 농작물 보호를 위한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 그리고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를 위한 제어 단말
US96684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pping animals
US8661726B2 (en) Humane animal trap
US201402834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d eliminating pests
KR20080098276A (ko) 포충등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00115337A (ko) 동물의 포획장치
CN108124842A (zh) 一种松墨天牛智能监测预警系统
JP2004097019A (ja) 有害鳥獣等の駆除システム
KR102162469B1 (ko) 유해조류 포획장치
CN210642086U (zh) 5g太阳能频振式杀虫检测设备
KR20230159811A (ko) 무산쇠족제비 안전 포획장치
US20140223801A1 (en) Motorized snare
JP6421390B2 (ja) 動物の処分方法及び動物の処分装置
KR101939909B1 (ko) 유해동물 포획기구
KR20200065235A (ko) 유해 동물 포획장치
JP6183734B1 (ja) ムクドリやスズメ等集団飛翔する害鳥の飛来防止方法及びその構造
CN215300755U (zh) 一种利用远程监控系统的捕捉设备
CN113347353A (zh) 一种利用远程监控系统的捕捉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095351B1 (ko)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한 유해동물 퇴치시스템
KR101966898B1 (ko) 자율 방범 시스템
CN208708560U (zh) 野外激光枪狩猎设备机械束缚装置
CN211407420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捕鼠捕猎系统
McCloskey et al. Improving the success of a mounted Great Horned Owl lure for trapping Northern Goshawks
KR102030770B1 (ko) 유해 야생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74604A (ko)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