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457Y1 - 곤충채집채 - Google Patents

곤충채집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457Y1
KR200446457Y1 KR2020090008969U KR20090008969U KR200446457Y1 KR 200446457 Y1 KR200446457 Y1 KR 200446457Y1 KR 2020090008969 U KR2020090008969 U KR 2020090008969U KR 20090008969 U KR20090008969 U KR 20090008969U KR 200446457 Y1 KR200446457 Y1 KR 2004464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andle
insect
opening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열
Original Assignee
최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열 filed Critical 최동열
Priority to KR2020090008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4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4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4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3/00Manual implements, other than sprayers or powder distributor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e.g. butterfly nets
    • A01M3/002Insect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채집망의 입구를 오므려 곤충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곤충채집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곤충채집채는, 중공형 파이프로 이루어진 손잡이대(10)와, 손잡이대(10)의 선단에 고정된 환형의 프레임(20)과,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프레임(20)의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채집망(30)으로 이루어진 곤충채집채에 있어서, 상기 채집망(30)은 개구부(31)가 상기 프레임(20)의 중심쪽으로 축소되거나 프레임쪽으로 확장되도록 가장자리부(32)가 전체적으로 상기 프레임(20)에 걸쳐서 지지되고, 프레임(2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둘레방향의 중앙에서 고정클립(33)으로 프레임(20)에 고정되며, 상기 채집망(30)의 가장자리부(32)를 전체적으로 걸어서 지지하고 양쪽 선단은 상기 손잡이대(1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손잡이대(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당겨질 때 상기 채집망(30)의 개구부(31)를 프레임 중심쪽으로 축소시키는 홀치기줄(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곤충, 채집, 손잡이대, 프레임, 채집망

Description

곤충채집채{INSECT COLLECTING NET}
본 고안은 곤충을 채집하는데 사용되는 곤충채집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채집망의 입구를 오므려 곤충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곤충채집채에 관한 것이다.
잠자리, 나비 등과 같은 곤충을 채집하는데 사용되는 곤충채집채는 일반적으로 손잡이대와, 손잡이대의 선단에 결합되는 환형의 프레임과, 주머니형태로 형성되고 개방된 부분이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채집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곤충채집채에 따르면 상기 채집망의 개방된 부분을 오므릴 수 없기 때문에 곤충을 채집할 때, 곤충을 포획한 후 곤충채집채를 휘둘러서 지면 등을 채집망으로 덮어서 곤충이 도망가지 못하게 하고, 포획된 곤충을 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상기 손잡이대를 휘둘러 채집망의 내부로 곤충을 포획한 후, 곤충이 도망가지 않도록 프레임을 지면에 접촉시켜 채집망의 개방된 부분을 지면으로 막는 것과 같은 방법 등으로 채집망을 막고, 채집망의 내부로 손을 집어 넣어 곤충을 빼내게 되므로, 허리를 굽히거나 몸을 숙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포획된 곤충이 도망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곤충을 포획한 후 프레임을 지면에 붙여야 하므로 프레임이 파손될 우려도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곤충을 포획하는 채집망의 입구가 오므려지도록 하여, 포획된 곤충이 도망가지 못하게 하는 곤충채집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곤충채집채는, 중공형 파이프로 이루어진 손잡이대와, 손잡이대의 선단에 고정된 환형의 프레임과,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채집망으로 이루어진 곤충채집채에 있어서, 상기 채집망은 개구부가 상기 프레임의 중심쪽으로 축소되거나 프레임쪽으로 확장되도록 가장자리부가 전체적으로 상기 프레임에 걸쳐서 지지되고, 프레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둘레방향의 중앙에서 고정클립으로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채집망의 가장자리부를 전체적으로 걸어서 지지하고 양쪽 선단은 상기 손잡이대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손잡이대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당겨질 때 상기 채집망의 개구부를 프레임 중심쪽으로 축소시키는 홀치기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대의 선단에는, 상기 채집망의 가장자리부를 통과한 홀치기줄의 양쪽 선단을 각각 관통시켜 단부에서 모이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하부부재와 상부부재로 분할되고, 상기 하부부재는 선단 양측에 각각 상기 홀치기줄의 삽입 또는 인출을 안내하는 안내공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상기 홀치기줄을 모아 상기 손잡이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과 연결공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의 사이에는 블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하부부재의 상부면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손잡이대의 선단에 인접한 부분에 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홀치기줄은 상기 인출공을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대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곤충채집채에 따르면, 곤충을 채집망의 내부로 포획한 후, 홀치기줄을 잡아당겨 프레임에 걸쳐지게 지지된 채집망을 프레임의 개구부를 프레임의 중심쪽으로 축소되도록 함으로써, 포획된 곤충이 도망가는 것을 방지하여 허리를 굽히거나 몸을 숙이지 않고도 곤충을 빼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곤충채집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곤충채집채는, 중공형 파이프로 이루어진 손잡이대(10)와, 손잡이대(10)의 선단에 고정된 환형의 프레임(20)과, 개구부(31)가 상기 프레임(20)의 중심쪽으로 축소되거나 프레임쪽으로 확장되도록 가장자리부(32)가 전체적으로 상기 프레임(20)에 걸쳐서 지지되고, 프 레임(2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둘레방향의 중앙에서 고정클립(33)으로 프레임(20)에 고정되는 채집망(30)과, 상기 채집망(30)의 가장자리부(32)를 전체적으로 걸어서 지지하고 양쪽 선단은 상기 손잡이대(1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손잡이대(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당겨질 때 상기 채집망(30)의 개구부(31)를 프레임 중심쪽으로 축소시키는 홀치기줄(40)을 포함한다.
손잡이대(10)는 곤충과 이격된 거리에서 곤충을 포획할 수 있도록 중공형 파이프로 형성된다.
프레임(20)은 환형(環形)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대(10)의 선단에 고정된다.
채집망(30)은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31)를 갖는 주머니 형태의 그물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31)가 축소되거나 확장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31)의 가장자리부(32)가 상기 프레임(20)에 지지된다. 상기 채집망(30)은 선택적으로 개구부(31)를 확장시켜 상기 채집망(30)의 내부로 곤충을 유입하여 포획하거나, 개구부(31)를 축소시켜 포획된 곤충이 도망가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채집망(30)은 고정클립(33)을 통하여 프레임(20)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채집망(30)의 가장자리부(32)는 전체적으로 상기 프레임(20)에 걸쳐서 지지된다. 상기 채집망(30)의 가장자리부(32)가 전체적으로 상기 프레임(20)에 고정되기 않고 걸쳐서 지지되는 바, 상기 채집망(30)이 프레임(20)으로부터 벗어지지 않도록 고정클립(33)을 이용하여 채집망(30)을 프레임(20)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클 립(33)은 프레임(20)에서 프레임(20)과 손잡이대(10)가 고정되는 부분과 가장 먼 곳에서 프레임(20)과 채집망(30)을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채집망(30)은 상기 고정클립(33)을 프레임(20)에 고정된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채집망(30)의 개구부(31)가 프레임(20)의 중심쪽으로 축소되거나 프레임(20)쪽으로 확장될 수 있다.
홀치기줄(40)은 상기 채집망(30)의 개구부(31)를 중심쪽으로 축소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홀치기줄(40)은 상기 채집망(30)의 가장자리부(32)를 전체적으로 걸어서 지지하고, 상기 홀치기줄(40)의 양쪽 선단은 손잡이대(10)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손잡이대(1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홀치기줄(40)을 당기면, 채집망(30)의 가장자리부(32)를 걸어서 지지하고 있는 홀치기줄(40)에 의해서 채집망(30)의 개구부(31)가 오므려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홀치기줄(40)은 상기 손잡이대(10)의 외부로 노출될 때, 상기 손잡이대(10)의 중간부분,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대(10)의 선단에 인접한 부분에서 외부로 인출된다. 즉, 상기 손잡이대(10)의 선단과 인접한 부분에 상기 손잡이대(10)의 내부와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인출공(10a)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대(10)의 내부에 삽입된 홀치기줄(40)이 상기 인출공(10a)을 통과하여 손잡이대(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홀치기줄(40)이 상기 손잡이대(1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손잡이대(10)의 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손잡이대(10)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홀치기줄(40)을 당기기 불편하므로, 상기 홀치기줄(40)을 손잡이대(10)의 선단에 인접한 부분에서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한 손 을 손잡이대(10)를 잡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홀치기줄(40)을 당길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홀치기줄(40)을 당길 때, 상기 홀치기줄(40)이 원활하게 당겨질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50)는 상기 홀치기줄(40)을 실질적으로 안내하는 하부부재(51)와 상기 하부부재(51)의 상부면을 덮는 상부부재(52)로 분할되어 이루어진다. 하부부재(51)는 선단에는 양측으로 각각 상기 홀치기줄(40)의 인출과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공(51a)이 형성되고, 내부는 후단에는 홀치기줄(40)을 모아 손잡이대(10)로 안내하고 손잡이대(10)에 연결되는 연결공(51b)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공(51a)과 연결공(51b) 사이에는 공간부(51c)가 형성되어 홀치기줄(40)이 가이드부재(50) 내부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안내공(51a) 사이에는 체결을 위한 블록부(51d)가 형성된다. 홀치기줄(40)은 각각 안내공(51a)을 통하여 가이드부재(50)의 내부로 삽입된 후, 연결공(51b)에서 모아져 손잡이대(10)로 삽입된다. 상부부재(52)의 상기 하부부재(51)의 상부면을 막아 프레임(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하부부재(51)와 상부부재(52)를 체결볼트(53) 등으로 체결시킨다. 이러한 가이드부재(50)는 PVC, PP 등과 같은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여 가공성형하도록 한다.
상기 안내공(51a)의 전방에는 안내링(54)을 구비하고, 상기 홀치기줄(40)이 안내링(54)을 통과한 후 가이드부재(5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홀치기줄(40)의 삽입 시 채집망(30)이 함께 가이드부재(5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곤충채집채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곤충을 포획하기 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집망(30)의 가장자리부(32)가 프레임(20)을 따라 위치하고, 상기 채집망(30)의 개구부(31)는 개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대(10)를 휘둘러, 잠자리, 나비, 매미 등과 같은 곤충을 채집한다. 상기 채집망(30)의 내부로 곤충이 포획되면, 곤충이 도망가지 못하도록 즉시 홀치기줄(40)을 잡아 당겨 채집망(30)의 개구부(31)를 오므려, 곤충을 포획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대(10)의 외부로 노출된 홀치기줄(40)을 당기면, 프레임(20)과 가이드부재(50) 부분에 위치한 홀치기줄(40)의 일부가 손잡이대(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채집망(30)의 개구부(31)가 프레임(20)의 중심쪽으로 축소되면서 채집망(30)이 프레임(20)의 입구 전체를 덮게 된다.
홀치기줄(40)을 잡아당겨 채집망(30)의 개구부(31)가 축소되면 채집망(30)의 내부에 포획된 곤충은 외부로 도망갈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한편, 다시 곤충을 채집하기 위해서는, 오므려진 채집망(30)을 벌리고, 홀치기줄(40)을 채집망(30) 쪽으로 당기면, 다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채집망(30)의 개구부(31)를 축소하면, 채집망(30)에 포획된 곤충을 꺼내기 위해서 허리를 굽히거나 몸을 숙이지 않고 곤충을 채집망(30)으로부터 편리하게 빼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곤충채집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곤충채집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곤충채집채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손잡이대 10a : 인출공
20 : 프레임 30 : 채집망
31 : 개구부 32 : 가장자리부
33 : 고정클립 40 : 홀치기줄
50 : 가이드부재 51 : 하부부재
51a : 안내공 51b : 연결공
51c : 공간부 51d : 블록부
52 : 상부부재 53 : 체결볼트
54 : 안내링

Claims (3)

  1. 삭제
  2. 중공형 파이프로 이루어진 손잡이대(10)와, 손잡이대(10)의 선단에 고정된 환형의 프레임(20)과,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프레임(20)의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채집망(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채집망(30)은 개구부(31)가 상기 프레임(20)의 중심쪽으로 축소되거나 프레임쪽으로 확장되도록 가장자리부(32)가 전체적으로 상기 프레임(20)에 걸쳐서 지지되고, 프레임(2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둘레방향의 중앙에서 고정클립(33)으로 프레임(20)에 고정되며,
    상기 채집망(30)의 가장자리부(32)를 전체적으로 걸어서 지지하고 양쪽 선단은 상기 손잡이대(1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손잡이대(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당겨질 때 상기 채집망(30)의 개구부(31)를 프레임 중심쪽으로 축소시키는 홀치기줄(40)을 포함하는 곤충채집채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대(10)의 선단에는, 상기 채집망(30)의 가장자리부(32)를 통과한 홀치기줄(40)의 양쪽 선단을 각각 관통시켜 단부에서 모이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50)는,
    하부부재(51)와 상부부재(52)로 분할되고,
    상기 하부부재(51)는 선단 양측에 각각 상기 홀치기줄(40)의 삽입 또는 인출을 안내하는 안내공(51a)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상기 홀치기줄(40)을 모아 상기 손잡이대(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연결공(51b)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51a)과 연결공(51b) 사이에는 공간부(51c)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51a)의 사이에는 블록부(51d)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52)는 상기 하부부재(51)의 상부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채집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대(10)의 선단에 인접한 부분에 인출공(10a)이 형성되고,
    상기 홀치기줄(40)은 상기 인출공(10a)을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대(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채집채.
KR2020090008969U 2009-07-10 2009-07-10 곤충채집채 KR2004464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969U KR200446457Y1 (ko) 2009-07-10 2009-07-10 곤충채집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969U KR200446457Y1 (ko) 2009-07-10 2009-07-10 곤충채집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457Y1 true KR200446457Y1 (ko) 2009-10-29

Family

ID=41562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969U KR200446457Y1 (ko) 2009-07-10 2009-07-10 곤충채집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4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322A (ko) * 2019-08-12 2021-02-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모기 유충 채집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2888U (ko) 1977-03-28 1978-10-21
JPH10234285A (ja) 1997-02-27 1998-09-08 S S C:Kk 動物捕獲具
KR200192453Y1 (ko) 1999-04-07 2000-08-16 정성식 잠자리채
KR100326169B1 (ko) * 1999-07-12 2002-02-27 박종현 잠자리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2888U (ko) 1977-03-28 1978-10-21
JPH10234285A (ja) 1997-02-27 1998-09-08 S S C:Kk 動物捕獲具
KR200192453Y1 (ko) 1999-04-07 2000-08-16 정성식 잠자리채
KR100326169B1 (ko) * 1999-07-12 2002-02-27 박종현 잠자리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322A (ko) * 2019-08-12 2021-02-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모기 유충 채집기
KR102267774B1 (ko) 2019-08-12 2021-06-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모기 유충 채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347B1 (ko) 과일 채집기
KR102668099B1 (ko) 창틀 프레임의 배수공에 설치되는 방충캡
KR101200310B1 (ko) 멧돼지 포획장치
KR200457750Y1 (ko) 곤충포집용구
KR200446457Y1 (ko) 곤충채집채
CN109328787A (zh) 一种园林低矮树木积雪抖落设备
KR200447688Y1 (ko) 곤충채집채
KR20120001875U (ko) 인삼밭의 차광막 고정구
CN213819463U (zh) 一种林木钻蛀性鞘翅目昆虫成虫捕捉装置
KR100733274B1 (ko) 곤충 채집기
CN211562224U (zh) 一种花生收获机除尘装置
KR102251563B1 (ko) 말벌 채집기
CN210901008U (zh) 一种淡水鱼捕捞装置
KR200145393Y1 (ko) 과일 채취기구
KR101901431B1 (ko) 낙과 방지 장치
KR102182125B1 (ko) 양식망 고정구
CN104969977A (zh) 养蟹塘诱捕蟹装置
CN205492252U (zh) 一种小巧的人工巢箱成鸟捕捉装置
KR200435738Y1 (ko) 곤충 채집기
KR20200066022A (ko) 임의의 장대 봉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과일 수확 장치용 프레임 모듈
KR20070051248A (ko) 복분자 채취기
CN218389479U (zh) 一种昆虫采集装置
CN210094450U (zh) 田鼠捕捉装置
CN111543411B (zh) 一种可升降采集工具
CN215957980U (zh) 一种便于清理蚊虫的驱虫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