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322A - 모기 유충 채집기 - Google Patents

모기 유충 채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322A
KR20210019322A KR1020190098373A KR20190098373A KR20210019322A KR 20210019322 A KR20210019322 A KR 20210019322A KR 1020190098373 A KR1020190098373 A KR 1020190098373A KR 20190098373 A KR20190098373 A KR 20190098373A KR 20210019322 A KR20210019322 A KR 20210019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ater
main body
mosquito
mosquito larv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7774B1 (ko
Inventor
배연재
김왕규
강지현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98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7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3/00Manual implements, other than sprayers or powder distributor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e.g. butterfly nets
    • A01M3/002Insect n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2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volumetric dimension of an obj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6Insects, e.g. Drosophila melanogaster, medf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기 유충 채집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는, 모기 유충 서식처의 물(water, W)을 뜰 수 있도록 상단에 개구부(11)가 구비된 용기 형태의 본체(10), 개구부(11)의 가장자리 중 일영역을 커버하도록, 본체(10)의 상단 가장자리의 일영역에 배치되는 메쉬망(20), 및 본체(10)의 외면으로 돌출 연장된 손잡이(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기 유충 채집기{MOSQUITO LARVAE COLL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모기 유충 채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에 서식하는 모기 유충을 채집하고 계측할 수 있는 모기 유충 조사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모기의 분류군에 따른 서식처와 발생 추이를 파악하는 것은 매개모기의 방제의 실시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전제조건이며 각국의 '종합적모기방제(IMM)'의 구성에 있어서 심도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모기의 유충은 육상곤충인 성충과 달리 물속에 서식하는 수서곤충으로 대부분의 종은 수중의 유기물을 섭취하고, 주로 수면 근처에 머무르며 호흡관을 이용하여 공기호흡을 한다. 성충은 자유비행을 하기 때문에 밀도 추정이 어렵다. 따라서, 특정 서식처의 유충 밀도는 모기의 발생량을 유추하는 중요한 척도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유충은 물속에서 유영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채집하고 계측하여 세밀한 조사를 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수중의 모기 유충을 채집하는 도구로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주로 디퍼(dipper)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을 참고로, 디퍼는 국자 형태의 채집 도구로서, 유충이 서식하는 물을 뜨고 식물과 부스러기들을 제거한 후 유충이 물 위로 올라올 때까지 수 분 동안 기다린 후 유충을 채집한다. 그러나 종래 모기 유충 조사용 디퍼는 물을 뜨기 위한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그 기능이 한정적이며 다양한 모기 서식처에 이용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수위가 낮은 물웅덩이에서는 사용이 어렵고, 채집하는 동안에 떠낸 물이 넘쳐서 채집된 유충이 소실될 수 있다.
이에 종래 모기 유충 채집 도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2003-0091989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모기 유충이 서식하는 물을 뜰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 형태이되, 용기의 개구부 일영역에 메쉬망이 부착된 모기 유충 채집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용기의 개구부 주변에 물넘침차단벽이 구비된 모기 유충 채집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용기의 벽면에 투명한 관찰창이 배치되고, 그 관찰창에 눈금이 표시된 모기 유충 채집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는 모기 유충 서식처의 물(water)을 뜰 수 있도록 상단에 개구부가 구비된 용기 형태의 본체;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중 일영역을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의 일영역에 배치되는 메쉬망; 및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투명한 관찰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에 있어서, 상기 관찰창에는,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물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자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메쉬망이 미배치된 상기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의 타영역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물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개구부의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된 물넘침차단벽;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에 있어서, 상기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을 관통하는 통로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에 있어서,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 내에 수용된 상기 물 속의 모기 유충이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통로홀을 커버하는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에 있어서, 상기 통로홀 및 상기 스크린은 서로 일대일로 대응되는 통로홀-스크린 쌍을 이루고, 상기 통로홀-스크린 쌍은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면서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본체의 외면에 힌지결합되고, 상단이 회동하면서 상기 통로홀을 개폐하는 개폐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에 있어서, 상기 통로홀 및 상기 개폐막은 서로 일대일로 대응되는 통로홀-개폐막 쌍을 이루고, 상기 통로홀-개폐막 쌍은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면서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의 개구부 일영역에 메쉬망이 배치되므로, 모기 유충이 서식하는 물을 떠서 메쉬망을 통해 물만 제거하고 유충을 용기에 남길 수 있어서, 대량의 모기 유충을 효과적으로 채집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개구부 가장자리 주변에 물넘침차단벽이 구비되므로, 용기 내의 물이 역류하거나 엎질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장애물 등으로 인해 물 뜨기가 곤란한 지형에서도 모기 유충의 채집이 가능하다.
나아가, 용기에 장착된 관찰창 및 눈금을 통해 수용된 물의 부피를 측정하고 부피당 모기 유충 수를 계측하여 모기 유충의 발생 수준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디퍼(dipper)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는, 모기 유충 서식처의 물(water, W)을 뜰 수 있도록 상단에 개구부(11)가 구비된 용기 형태의 본체(10), 개구부(11)의 가장자리 중 일영역을 커버하도록, 본체(10)의 상단 가장자리의 일영역에 배치되는 메쉬망(20), 및 본체(10)의 외면으로 돌출 연장된 손잡이(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중에 서식하는 모기 유충을 채집할 수 있는 모기 유충 채집기에 관한 것이다. 매개모기의 방제의 실시에 있어서 모기의 분류군에 따른 서식처와 발생 추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기의 성충은 자유비행을 하기 때문에 성충을 채집하여 밀도 추정을 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수중에 서식하는 유충 밀도로서 모기의 발생량을 유추할 수 있다. 모기 유충을 채집하는 도구로서 주로 디퍼(도 1 참조)가 사용되고 있지만, 종래 디퍼는 물 뜨기 기능만을 수행하고, 장애물 등이 많은 지형에서는 물 뜨기가 곤란하여 유충 채집 및 계측이 수월하지 않은바, 이에 대한 문제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이 안출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는, 본체(10), 메쉬망(20), 및 손잡이(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는 물(W)을 떠서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는바, 그 상단에는 물 유입통로로서 개구부(11)가 마련된다. 개구부(11)는 본체(10) 내부의 물 수용공간과 외부가 소통되도록, 본체(10)의 상단 외면 중 소정의 영역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때, 개구부(11)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개구부(11)를 통해, 물웅덩이 등과 같은 모기 유충 서식처의 물(W)이 유입되면서, 물(W)에 서식하는 모기 유충(L)도 함께 유입되어, 본체(10)의 내부에 포획된다.
메쉬망(20)은 그물망 형태의 스크린으로서, 본체(10)의 상단 가장자리의 일영역에 배치된다. 이때, 메쉬망(20)은 그 상단 가장자리의 일영역과 인접한 개구부(11)의 가장자리 일영역을 커버한다. 즉, 메쉬망(20)이 개구부(11) 전체 영역을 커버하는 것이 아니고, 개구부(11)의 영역 중 소정의 특정 영역만을 커버하도록 본체(10)에 결합 배치된다. 여기서, 메쉬망(20)이 커버되지 않은 개구부(11)의 타영역은 물 유입통로로 제공되고, 메쉬망(20)에 의해 커버된 개구부(11)의 일영역은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물(W)을 배출하는 물 배출통로로 제공된다. 이때, 메쉬망(20)의 그물코, 즉 체눈의 크기는 모기 유충(L)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메쉬망(20)을 통해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물(W)을 배출할 때에, 그 물(W)에 서식하는 모기 유충(L)은 메쉬망(20)을 통과하지 못하고, 본체(10)의 내부에 그대로 남겨지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을 이용하여, 유충(L) 서식이 확인된 물웅덩이 등의 서식처에서 물(W)을 뜨고 버리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대량의 모기 유충(L)을 효과적으로 채집할 수 있고, 나아가 모기 서식처에서 대량으로 유충(L)을 제거할 수 있다.
손잡이(3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부분으로서, 본체(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손잡이(30)는 본체(10)의 외면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조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30)는 길이 가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0)의 외면에는 관찰창(40)이 마련될 수 있다. 관찰창(40)은 투명 부재로서, 이를 통해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W)이나 모기 유충(L), 기타 이물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관찰창(40)의 소재로는 아크릴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10)의 내부를 육안 식별할 수 있는 소재이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이러한 관찰창(40)에는 눈금자(41)가 표시될 수 있다. 눈금자(41)는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물(W)의 부피를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관찰창(40)과 눈금자(41)를 이용해 물(W)의 부피를 기록하고, 그 물(W)에 서식하는 모기 유충(L)을 계측함으로써, 유충 밀도를 파악하여 유충(L)의 발생 수준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물배출구(50)가 형성될 수 있다. 물배출구(50)는 본체(10)의 개구부(11)를 통해 그 내부에 수용된 물(W)을 배출할 수 있게 마련된 부분이다. 이러한 물배출구(50)는 물 유입통로로 제공되는 개구부(11)의 영역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메쉬망(20)이 미배치된 상기 본체(10)의 상단 가장자리의 타영역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물배출구(50)는 본체(10)의 외측으로 뾰족하거나,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형태가 어떠하든 무방하다.
한편, 본체(10)의 상단에는 물넘침차단벽(6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넘침차단벽(60)은 본체(1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되, 개구부(11)의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개구부(11)의 가장자리와 인접하는 링(ring)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링 형태의 물넘침차단벽(60)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이 물배출구(50)가 본체(1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물배출구(50)가 형성된 영역에서 일부 개방된 링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망(20)과의 배치와 관련해서, 메쉬망(20)을 사이에 두고 메쉬망(20)의 양단이 물넘침차단벽(60)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물넘침차단벽(60)은 물(W)을 떠서 옮길 때에 본체(10) 내부의 물(W)이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주변에 장애물 등이 있는 모기 유충 서식처에서 물(W)을 뜨는 경우에, 장애물 등을 피하기 위해 본체(10)를 좌우 또는 상하로 움직이거나 본체(10)가 그 장애물 등에 부딪히더라도 본체(10) 내부에서 출렁이는 물(W)이 물넘침차단벽(60)에 의해 커버되므로, 물(W)이 역류하거나 엎질러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서 안정적으로 물(W)을 뜨고 모기 유충(L)을 채집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에 따르면, 용기의 개구부(11) 일영역에 메쉬망(20)이 배치되므로, 모기 유충(L)이 서식하는 물(W)을 떠서 메쉬망(20)을 통해 물(W)만 제거하고 유충(L)을 용기에 남길 수 있어서, 대량의 모기 유충(L)을 효과적으로 채집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개구부(11) 가장자리 주변에 물넘침차단벽(60)이 구비되므로, 용기 내의 물(W)이 역류하거나 엎질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장애물 등으로 인해 물(W) 뜨기가 곤란한 지형에서도 모기 유충(L)의 채집이 가능하다. 나아가, 용기에 장착된 관찰창(40) 및 눈금자(41)를 통해 수용된 물(W)의 부피를 측정하고 부피당 모기 유충 수를 계측하여 모기 유충(L)의 발생 수준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에는, 개구부(11)를 개폐하는 개폐부(70)가 본체(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70)는 물(W)을 뜨기 위해 수중에 본체(10)가 침지되는 동안에는 개구부(11)를 개방하고, 물(W)을 떠서 수면으로 본체(10)를 들어올리는 동안에는 개구부(11)를 폐쇄할 수 있다. 다만, 개구부(11) 개방 또는 폐쇄시점이 상기와 달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개폐부(70)는 전술한 물넘침차단벽(60)과 더불어, 본체(10) 내의 물(W)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본체(10) 내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개폐부(70)는 본체(10)와 분리 가능하거나, 또는 본체(10)에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에 연결되는 경우, 개폐부(70)의 일단이 본체(10)의 상단 또는 물넘침차단벽(60)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구부(11)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개폐부(70)의 회동은 수동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일례로, 힌지축이 전기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개폐부(70)를 회동시키고, 전기모터는 손잡이(30)의 작동버튼의 조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기 유충 채집기는, 수위가 낮은 모기 유충 서식처에서도 물(W)을 뜰 수 있도록, 통로홀(80) 및 개폐막(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로홀(80)은 본체(10)의 하단을 관통하는 구멍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수위가 낮은 모기 유충 서식처에 본체(10)의 하단이 침지되기만 하면, 그 통로홀(80)을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물(W)이 유입될 수 있다.
개폐막(90)은 통로홀(80)을 개폐하기 위해 마련된 부재로서, 개폐막(90)의 하단이 본체(10)의 외면에 힌지결합됨으로써, 그 상단이 회동하면서 통로홀(80)을 개폐한다. 여기서, 개폐막(90)의 하단이 힌지결합되는 이유는, 개폐막(90)을 회동시켜 통로홀(80)을 개폐하기 위함과 더불어, 효과적으로 물(W)을 유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개폐막(90)이 통로홀(80)을 개방하는 경우에, 개폐막(90)의 하단이 힌지결합되므로, 개폐막(90)의 외면이 모기 유충 서식처에서 자라는 수초나 이물질 등을 누르게 되어 물 유입을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하고, 이물질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개폐막(90)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가이드벽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그 가이드벽이 물 유입을 가이드하는 수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본체(10) 내부로의 물 유입이 훨씬 용이해진다. 이러한 개폐막(90)의 개폐 방식은 전술한 개폐부(70)와 마찬가지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고, 자동 방식의 경우에도 이와 유사하게 전기모터가 힌지축을 회전시키고, 손잡이(30)에 전기모터를 제어하는 작동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일대일로 대응하는 통로홀(80) 및 개폐막(90)은 통로홀-개폐막 쌍으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통로홀-개폐막 쌍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통로홀-개폐막 쌍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통로홀-개폐막 쌍이 본체(10)의 외주면을 따라, 개구부(11)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개폐막(90)을 대체하는 부재로서, 그물망 형태로 스크린이 통로홀(80)을 커버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의 그물코(체눈)은 본체(10) 내에 수용된 물 속의 모기 유충이 배출되지 않는 크기를 가짐으로써, 물을 뜰 때에 본체(10) 내부의 물만 스크린을 통해 배출하여, 모기 유충을 대량 채집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은 전술한 개폐막(90)과 동일하게, 통로홀(80)과 일대일로 대응하는 통로홀-스크린 쌍을 이루고, 나아가 다수의 통로홀-스크린 쌍이 본체(10)의 외주면을 따라, 개구부(11)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본체 11: 개구부
20: 메쉬망 30: 손잡이
40: 관찰창 41: 눈금자
50: 물배출구 60: 물넘침차단벽
70: 개폐부 80: 통로홀
90: 개폐막 W: 물

Claims (11)

  1. 모기 유충 서식처의 물(water)을 뜰 수 있도록 상단에 개구부가 구비된 용기 형태의 본체;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중 일영역을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의 일영역에 배치되는 메쉬망; 및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모기 유충 채집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투명한 관찰창;을 더 포함하는 모기 유충 채집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찰창에는,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물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자가 표시되는 모기 유충 채집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메쉬망이 미배치된 상기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의 타영역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물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모기 유충 채집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개구부의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된 물넘침차단벽;를 더 포함하는 모기 유충 채집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모기 유충 채집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을 관통하는 통로홀;을 더 포함하는 모기 유충 채집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 내에 수용된 상기 물 속의 모기 유충이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통로홀을 커버하는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모기 유충 채집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통로홀 및 상기 스크린은 서로 일대일로 대응되는 통로홀-스크린 쌍을 이루고, 상기 통로홀-스크린 쌍은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면서 다수 개가 구비되는 모기 유충 채집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본체의 외면에 힌지결합되고, 상단이 회동하면서 상기 통로홀을 개폐하는 개폐막;을 더 포함하는 모기 유충 채집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통로홀 및 상기 개폐막은 서로 일대일로 대응되는 통로홀-개폐막 쌍을 이루고, 상기 통로홀-개폐막 쌍은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면서 다수 개가 구비되는 모기 유충 채집기.
KR1020190098373A 2019-08-12 2019-08-12 모기 유충 채집기 KR102267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373A KR102267774B1 (ko) 2019-08-12 2019-08-12 모기 유충 채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373A KR102267774B1 (ko) 2019-08-12 2019-08-12 모기 유충 채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322A true KR20210019322A (ko) 2021-02-22
KR102267774B1 KR102267774B1 (ko) 2021-06-21

Family

ID=7468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373A KR102267774B1 (ko) 2019-08-12 2019-08-12 모기 유충 채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7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8458A (ja) * 1995-05-22 1996-11-26 Keiji Ono 昆虫等採取用網
KR19990034180A (ko) * 1997-10-28 1999-05-15 곽경신 곤충채집기
KR20030091989A (ko) 2001-02-16 2003-12-03 밸런트 바이오사이언시즈 코포레이션 모기 유충박멸제에 대한 내성의 관리를 위한 바실루스투린기엔시스 아종 이스라엘렌시스와 바실루스스파에리쿠스의 혼합물
KR200446457Y1 (ko) * 2009-07-10 2009-10-29 최동열 곤충채집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8458A (ja) * 1995-05-22 1996-11-26 Keiji Ono 昆虫等採取用網
KR19990034180A (ko) * 1997-10-28 1999-05-15 곽경신 곤충채집기
KR20030091989A (ko) 2001-02-16 2003-12-03 밸런트 바이오사이언시즈 코포레이션 모기 유충박멸제에 대한 내성의 관리를 위한 바실루스투린기엔시스 아종 이스라엘렌시스와 바실루스스파에리쿠스의 혼합물
KR200446457Y1 (ko) * 2009-07-10 2009-10-29 최동열 곤충채집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774B1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ighard Methods of studying the habits of fishes, with an account of the breeding habits of the horned dace
CA2951946C (en) Crab pot
CN110558289A (zh) 一种珊瑚礁区中小型海洋生物研究保护用诱捕采集装置
JP2021139864A (ja) 魚類雌雄判別装置
US20160081319A1 (en) Minnow Container
WO2012003537A1 (en) A collapsible crustacean trap
Umali Guide to the classification of fishing gear in the Philippines
KR102267774B1 (ko) 모기 유충 채집기
CN109006741B (zh) 一种水生昆虫采集悬浮装置
KR101288089B1 (ko)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Porter Fry emergence trap and holding box
SE426538B (sv) Betesstation for giftbeten
US5181479A (en) Fish egg and larvae collection system
US4091560A (en) Trap for aquatic snails in aquariums
JP2004016118A (ja) 水中生物捕獲装置
JP2012152126A (ja) 植生浮島における水生植物の根茎保護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植生浮島
FR2647635A1 (fr) Selecteur de poissons, ecrevisses et autres produits aquacoles
US4862634A (en) Bait container
DE102021101195B4 (de) Vorrichtung zum Erfassen von Wasserorganismen
JPWO2018174258A1 (ja) 水生動物脱出装置および定置網
KR200183445Y1 (ko) 플랑크톤 일주운동 관찰용 메조코즘
KR102511153B1 (ko)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
CN208768782U (zh) 一种水生昆虫采集悬浮装置
RU8851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гидробионтов с помощью водного потока
KR100925185B1 (ko) 투구새우 사육용 세트 및 사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