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431B1 - 낙과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낙과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431B1
KR101901431B1 KR1020180085871A KR20180085871A KR101901431B1 KR 101901431 B1 KR101901431 B1 KR 101901431B1 KR 1020180085871 A KR1020180085871 A KR 1020180085871A KR 20180085871 A KR20180085871 A KR 20180085871A KR 101901431 B1 KR101901431 B1 KR 101901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fruit
belt
peripher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의성
임승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엘오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엘오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엘오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0085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46/264Devices for beating or vibrating the foliage;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1/00Devices for hanging-up harvested frui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2046/262Collecting surfaces extended around a tree in order to catch the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낙과 방지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과수에 설치되어 그 과수로부터 떨어지는 열매를 수거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낙과 방지 장치는 저마다의 벨트에 의해 과수의 상하방향에 각각이 고정되는 하부지지대 및 상부지지대, 하부지지대 및 상부지지대에 의해 과수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폴대 그리고 외측면이 폴대에 의해 지지되게끔 상부지지대의 상부에 위치한 포집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낙과 방지 장치{PREVENTION DEVICE FOR FRUIT DROP}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과수에 설치되어 그 과수로부터 떨어지는 열매를 수거하는 낙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낙과는 과수에서 개화된 열매가 발육 도중 또는 발육이 완료된 후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낙과는 태풍 등에 의한 기계적 낙과, 병해충에 의한 낙과, 생리적 낙과 등으로 구분된다.
생리적 낙과는 어린 열매가 떨어지는 조기낙과와 열매의 발육이 거의 완료된 수확기 무렵에 떨어지는 후기낙과로 구분되며, 특히 후기낙과는 열매의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생리적 낙과 중 후기낙과로 인해 과수의 주변에 떨어진 열매를 수거하는 일은 작업자로 하여금 허리를 숙였다 펴는 반복적인 동작을 요구하였기 때문에 해당 작업자에게 큰 피로감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떨어진 열매를 수거하는 데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했다.
더욱이, 은행나무가 많이 이용되는 가로수는 가을철이면 어김없이 은행잎을 떨어뜨렸기 때문에 청소노동자의 일을 가중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바닥에 떨어진 은행나무의 열매, 즉 은행으로부터 발생되는 심각한 악취를 내뿜곤 했다.
(1) KR 등록특허공보 제10-1501534호(2015.03.16.) (2) KR 등록특허공보 제10-1672968호(2016.11.04.) (3) KR 등록특허공보 제10-1758731호(2017.07.17.) (4) KR 등록특허공보 제10-1766660호(2017.08.1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형태의 과수에 설치되어 기계적 낙과 및 생리적 낙과 등 다양한 요인의 낙과를 방지하는 낙과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낙과 방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지지대, 적어도 하나의 상부지지대, 폴대 및 포집망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하부지지대는 상기 과수의 둘레를 따라 밀착된 하부벨트가 내측에 결합된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상부지지대는 상기 하부벨트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과수의 둘레를 따라 밀착된 상부벨트가 내측에 결합된다. 상기 폴대는 하부가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지지대를 관통하여 상기 과수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포집망은 하부가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과수의 둘레를 감싸고, 상부가 상기 과수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폴대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하부지지대는 제 1 벨트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벨트삽입부는 상기 하부지지대의 좌우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그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벨트가 삽입되어 상기 하부지지대를 상기 과수의 둘레에 밀착시킨다.
상기 제 1 벨트삽입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각도가 줄어든다.
상기 하부지지대는 제 1 폴대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폴대삽입부는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폴대의 하부가 삽입된다.
상기 하부지지대는 폴대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폴대고정부는 상기 제 1 폴대삽입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한 고정수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 1 폴대삽입부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폴대의 하부를 고정한다.
상기 상부지지대는 제 2 벨트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벨트삽입부는 상기 상부지지대의 좌우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그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벨트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지지대를 상기 과수의 둘레에 밀착시킨다.
상기 상부지지대는 제 2 폴대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폴대삽입부는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폴대의 상부가 관통된다.
상기 제 2 벨트삽입부 및 상기 제 2 폴대삽입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상기 폴대는 길이부 및 연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길이부는 상기 폴대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삽입된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길이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대를 관통하여 상기 과수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폴대는 상기 연장부의 상부에 다른 상기 폴대가 결합되어 길이가 연장된다.
상기 폴대는 제 1 고리홈 및 제 2 고리홈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고리홈은 상기 폴대의 상부 둘레를 따라 일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고리홈은 상기 제 1 고리홈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고리홈의 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포집망은 압박부를 포함한다. 상기 압박부는 상기 포집망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과수의 둘레에 대응하여 신축성 있게 상기 과수의 둘레를 압박한다.
상기 포집망은 포집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부는 상기 과수의 둘레를 압박한 상기 압박부의 둘레보다 넓은 둘레로 상기 포집망의 상부에 형성되고, 외측면이 상기 과수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폴대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포집망은 복수의 고리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상기 고리부는 상기 포집망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고리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고리홈에 걸림·고정된다.
상기 포집망은 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포집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개폐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낙과 방지 장치는 과수로부터 떨어지는 열매를 수거함으로써, 기계적 낙과 및 생리적 낙과 등 다양한 요인의 낙과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낙과 방지 장치는 다양한 요인의 낙과를 방지함으로써, 열매의 상품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이고, 도로변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낙과 방지 장치는 과수의 둘레에 따라 포집망을 전개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과수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낙과 방지 장치가 설치된 과수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하부지지대, 상부지지대 및 폴대의 연결관계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하부지지대를 상세히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상부지지대를 상세히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폴대를 상세히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포집망을 상세히 표현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게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벽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 상에 있어서 층과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 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 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미리 배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낙과 방지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낙과 방지 장치가 설치된 과수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하부지지대, 상부지지대 및 폴대의 연결관계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하부지지대를 상세히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상부지지대를 상세히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폴대를 상세히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포집망을 상세히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낙과 방지 장치(10)는 다양한 형태의 과수에 설치되어 기계적 낙과 및 생리적 낙과 등 다양한 요인의 낙과를 방지한다. 이러한 낙과 방지 장치(10)는 하부지지대(100), 상부지지대(200), 폴대(300) 및 포집망(400)을 포함한다.
먼저, 하부지지대(100)는 과수(20)의 둘레를 따라 밀착된 하부벨트(L)가 내측에 결합된다. 이때 하부지지대(100)는, 도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과수(20)의 둘레 및 가지의 위치에 따라 그 개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하부벨트(L)는 과수(20)의 둘레에 밀착되도록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하부지지대(100)는 제 1 벨트삽입부(110), 제 1 폴대삽입부(120) 및 폴대고정부(도면부호 생략)를 포함한다.
제 1 벨트삽입부(110)는 하부지지대(100)의 좌우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 1 벨트삽입부(110)는 그 좌우방향을 따라 하부벨트(L)가 삽입되어 하부지지대(100)를 과수(20)의 둘레에 밀착시킨다. 특히 제 1 벨트삽입부(1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각도가 줄어들고, 폴대(300)의 하부가 그 줄어드는 각도를 따라 하부지지대(100)의 하부로 미끄러지듯이 안착되게끔 할 수 있다.
제 1 폴대삽입부(120)는 하부지지대(100)의 상부에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 1 폴대삽입부(120)는 내측에 폴대(300)의 하부가 삽입된다. 즉, 폴대(300)는 제 1 폴대삽입부(120)를 통해 하부지지대(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제 1 벨트삽입부(110)의 줄어드는 각도에 의해 하부지지대(100)의 하부에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다.
폴대고정부는 제 1 폴대삽입부(120)의 양측에 형성되고, 그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한 고정수단(미도시)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제 1 폴대삽입부(120)의 내측에 위치한 폴대(300)의 하부를 고정한다. 이러한 폴대고정부는 고정홀(131)과 고정홈(132)을 포함한다. 고정홀(131)은 폴대고정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구멍 형태로 형성된다. 즉, 고정홀(131)은 케이블타이나 끈 등의 고정수단이 폴대고정부 일측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고정홈(132)은 폴대고정부의 타측에 위치하고, 폴대고정부의 내측으로 패인 홈 형태로 형성된다. 즉, 고정홈(132)은 고정홀(131)에 구비된 고정수단이 폴대고정부의 내측으로 패인 홈을 따라 밀착되어 그 고정수단의 일단과 타단이 연결됨으로써, 제 1 폴대삽입부(120)의 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상부지지대(200)는 과수(20)의 둘레를 따라 밀착된 상부벨트(H)가 내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부벨트(H)는 하부벨트(L)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벨트(L)와 마찬가지로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지지대(200)는 하부지지대(10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그 하부지지대(100)의 위치와 상하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부지지대(200)는 제 2 벨트삽입부(210) 및 제 2 폴대삽입부(220)를 포함한다.
제 2 벨트삽입부(210)는 상부지지대(200)의 좌우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 2 벨트삽입부(210)는 그 좌우방향을 따라 상부벨트(H)가 삽입되어 상부지지대(200)를 과수(20)의 둘레에 밀착시킨다.
제 2 폴대삽입부(220)는 상부지지대(200)의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 2 폴대삽입부(220)는 내측에 폴대(300)의 상부가 관통된다.
아울러 제 2 벨트삽입부(210) 및 제 2 폴대삽입부(22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제 2 폴대삽입부(220)를 관통한 폴대(300)의 상부가 과수(20)의 외측으로 뻗어나가게끔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제 2 폴대삽입부(220)는 제 2 벨트삽입부(210)가 상부벨트(H)에 의해 과수(20)와 밀착되었을 때, 그 과수(20)의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대(300)는 하부가 하부지지대(100)의 상부에 삽입되고, 상부가 상부지지대(200)를 관통하여 과수(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폴대(300)는 손잡이부(310), 길이부(320) 및 연장부(33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310)는 폴대(300)의 하부 끝단에 위치한다. 특히 손잡이부(310)는 폴대(300)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하부지지대(100)의 제 1 폴대삽입부(120)에 삽입된 폴대(300)의 하부가 제 1 폴대삽입부(120)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게끔 지지한다. 또한 손잡이부(310)는 폴대(300)의 상부에 연장되는 또 다른 폴대(300')를 밀어올릴 때도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
길이부(320)는 손잡이부(310)의 상부로 연장되어 폴대(300)의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길이부(320)는 하부가 하부지지대(100)의 하부지지대(100)의 제 1 폴대삽입부(120)를 통해 그 하부지지대(100)의 상부에 삽입된다.
연장부(330)는 길이부(320)의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연장부(330)는 상부지지대(200)의 제 2 폴대삽입부(220)를 관통하여 과수(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연장부(330)는 제 1 고리홈(331) 및 제 2 고리홈(332)을 포함한다. 제 1 고리홈(331)은 연장부(330)의 둘레를 따라 일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포집망(400)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고리부(430)가 삽입되도록 한다. 한편 제 2 고리홈(332)은 제 1 고리홈(331)의 양측에 위치하여 제 1 고리홈(331)의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포집망(400)의 고리부(430)가 제 1 고리홈(331)을 통해 삽입되면, 그 고리부(430)가 내측에 걸림·고정되도록 한다.
아울러, 폴대(300)는 손잡이부(310)가 생략된 또 다른 폴대(300')가 연장부(330)에 끼움·고정되어 그 길이가 과수(20)의 높이나 열매의 분포에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또 다른 폴대(300')의 구성요소는 폴대(300)의 손잡이부(310)를 제외하고 그 폴대(300)와 모두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폴대(30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포집망(400)은 하부가 상부지지대(200)의 상부에 위치하여 과수(20)의 둘레를 감싸고, 상부가 과수(20)의 외측으로 돌출된 폴대(300)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포집망(400)은 압박부(410), 포집부(420), 고리부(430) 및 개폐부(440)를 포함한다.
압박부(410)는 포집망(400)의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압박부(410)는 과수(20)의 둘레에 대응하여 신축성 있게 과수(20)의 둘레를 압박한다.
포집부(420)는 과수(20)의 둘레를 압박한 압박부(410)의 둘레보다 넓은 둘레로 포집망(400)의 상부에 형성된다. 포집부(420)는 예를 들어,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메쉬망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포집부(420)는 외측면이 폴대(300)의 상부에 의해 지지되어 과수(20)의 열매를 받아낼 수 있는 포집공간을 형성한다. 뿐만 아니라 포집부(420)는 복수의 폴대(300)가 설치될 경우, 폴대(300) 저마다에 외측면이 지지됨으로써, 복수의 포집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복수의 포집공간이 형성된 포집부(420)는 포집부(420)로 떨어진 열매를 서로 다른 공간에 분리하여 보관함으로써, 떨어진 열매들이 서로 짓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리부(430)는 포집망(400)의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또한 고리부(430)는 하부지지대(100)의 제 1 고리홈(331)에 삽입되고, 잇따라 하부지지대(100)의 제 2 고리홈(332)에 걸림·고정된다. 또한 복수로 형성된 고리부(430)는 상부지지대(200)의 상부로 연장된 폴대(300)의 높이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높이의 고리부(430)가 결합됨으로써, 포집망(400)이 안정적인 포집공간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복수의 고리부(430)는 메쉬망 재질의 포집부(420)에 형성된 통기공으로 끼움·고정되어 과수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크기의 포집공간이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개폐부(440)는 포집부(420)의 일부가 절개되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개폐부(440)는 포집망(400)의 포집공간에 일정량의 열매가 모이면, 포집망(400)의 일부를 개방하여 그 열매가 외부로 꺼내질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개폐부(440)는 지퍼나 벨크로 등의 개폐수단이 마련되어 개폐부를 반복적으로 여닫는 작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낙과 방지 장치
100 : 하부지지대
110 : 제 1 벨트삽입부
120 : 제 1 폴대삽입부
131 : 고정홀
132 : 고정홈
200 : 상부지지대
210 : 제 2 벨트삽입부
220 : 제 2 폴대삽입부
300 : 폴대
310 : 손잡이부
320 : 길이부
330 : 연장부
331 : 제 1 고리홈
332 : 제 2 고리홈
400 : 포집망
410 : 압박부
420 : 포집부
430 : 고리부
440 : 개폐부
20 : 과수

Claims (14)

  1. 과수의 둘레를 따라 밀착된 하부벨트가 내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지지대;
    상기 하부벨트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과수의 둘레를 따라 밀착된 상부벨트가 내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지지대;
    하부가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지지대를 관통하여 상기 과수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폴대; 및
    하부가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과수의 둘레를 감싸고, 상부가 상기 과수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폴대에 의해 지지되는 포집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는,
    상기 하부지지대의 좌우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그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벨트가 삽입되어 상기 하부지지대를 상기 과수의 둘레에 밀착시키는 제 1 벨트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방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벨트삽입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각도가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방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는,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폴대의 하부가 삽입되는 제 1 폴대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방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는,
    상기 제 1 폴대삽입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한 고정수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 1 폴대삽입부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폴대의 하부를 고정하는 폴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방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는,
    상기 상부지지대의 좌우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그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벨트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지지대를 상기 과수의 둘레에 밀착시키는 제 2 벨트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방지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는,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폴대의 상부가 관통되는 제 2 폴대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방지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2 벨트삽입부 및 상기 제 2 폴대삽입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방지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대는,
    상기 폴대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삽입되는 길이부; 및
    상기 길이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대를 관통하여 상기 과수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의 상부에 다른 상기 폴대가 결합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방지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대는,
    상기 폴대의 상부 둘레를 따라 일부 개방된 형태의 제 1 고리홈; 및
    상기 제 1 고리홈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고리홈의 하방향으로 형성된 제 2 고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방지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집망은,
    상기 포집망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과수의 둘레에 대응하여 신축성 있게 상기 과수의 둘레를 압박하는 압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방지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포집망은,
    상기 과수의 둘레를 압박한 상기 압박부의 둘레보다 넓은 둘레로 상기 포집망의 상부에 형성되고, 외측면이 상기 과수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폴대에 의해 지지되는 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방지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포집망은,
    상기 포집망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고리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고리홈에 걸림·고정되는 복수의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방지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포집망은,
    상기 포집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개폐 가능한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방지 장치.
KR1020180085871A 2018-07-24 2018-07-24 낙과 방지 장치 KR101901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871A KR101901431B1 (ko) 2018-07-24 2018-07-24 낙과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871A KR101901431B1 (ko) 2018-07-24 2018-07-24 낙과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431B1 true KR101901431B1 (ko) 2018-09-21

Family

ID=6372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871A KR101901431B1 (ko) 2018-07-24 2018-07-24 낙과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4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459A1 (ko) * 2021-10-28 2023-05-04 이인호 중심링을 구비한 친환경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584B1 (ko) 2009-12-07 2012-05-16 김형섭 낙과수거장치
KR101698313B1 (ko) 2015-02-27 2017-02-01 대한민국 과실 수거장치
KR101718218B1 (ko) 2015-06-30 2017-03-21 이강암 과실포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584B1 (ko) 2009-12-07 2012-05-16 김형섭 낙과수거장치
KR101698313B1 (ko) 2015-02-27 2017-02-01 대한민국 과실 수거장치
KR101718218B1 (ko) 2015-06-30 2017-03-21 이강암 과실포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459A1 (ko) * 2021-10-28 2023-05-04 이인호 중심링을 구비한 친환경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347B1 (ko) 과일 채집기
CN103096706A (zh) 具有使用便利性的果实收获杆
KR200474453Y1 (ko) 과일 수확기
KR101901431B1 (ko) 낙과 방지 장치
KR20160041582A (ko)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KR20160083510A (ko) 열매 수집기
US20060005466A1 (en) Suspended plant growing system
KR101367994B1 (ko) 그물망을 이용한 오디 수집장치
JP3208826U (ja) 防鳥網支持装置
KR101486005B1 (ko) 과일 수확기
KR101670783B1 (ko) 농산물 수확장치
KR102114291B1 (ko) 수용포켓을 포함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KR20120059253A (ko)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
CN205755614U (zh) 油茶籽采摘收集网
CN109201964A (zh) 一种电器教学实验用电线剪断机
CN208956464U (zh) 水果采摘包装装置
KR200481883Y1 (ko)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식 연결클립
KR102050905B1 (ko) 농작물 수확용 셔블 로더형 앞치마 바스켓
CN207505784U (zh) 蝉幼虫捕捉装置
KR200483296Y1 (ko) 농산물 수확용 포대 걸이대
JP5917581B2 (ja) 営巣材落下防止ネット
CN105253438A (zh) 一种用于摘取贡柑时的收集装置
CN210929253U (zh) 一种油菜虫害采样用捕捉网
KR200316665Y1 (ko) 농작물 수납구조
KR200229297Y1 (ko) 과실 수확 및 추락 방지용 그물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