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9253A -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 - Google Patents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9253A
KR20120059253A KR1020100120923A KR20100120923A KR20120059253A KR 20120059253 A KR20120059253 A KR 20120059253A KR 1020100120923 A KR1020100120923 A KR 1020100120923A KR 20100120923 A KR20100120923 A KR 20100120923A KR 20120059253 A KR20120059253 A KR 20120059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lling
network
drop
net
discharg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원
Original Assignee
안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원 filed Critical 안성원
Priority to KR1020100120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9253A/ko
Publication of KR20120059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2046/262Collecting surfaces extended around a tree in order to catch the frui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2Baskets or bags attachable to the picker

Abstract

본 발명은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는, 중앙에 중앙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 유실수의 몸통이 관통하며, 중앙관통홀 주변으로 천 또는 그물이 형성되어 있어 유실수에서 낙하하는 낙하물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낙하물이 배출되도록 낙하물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낙하물받이망과; 상기 낙하물받이망의 둘레에 다수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끝단이 낙하물받이망에 고정, 분리되고,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낙하물받이망이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하면서 낙하물받이망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일측 끝단이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 선단에 연결되고, 타측 끝단에는 지중에 삽입되거나 지면에 고정되는 패커가 설치되어 있는 고정로프와; 상부 둘레가 상기 낙하물배출구 둘레에 고정되고, 하부 둘레를 따라 와이어가 설치되어 있는 낙하물배출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유실수에서 낙하하는 낙하물을 받는 낙하물받이망의 둘레에 낙하물받이망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하되, 지지부재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부재를 설치하여, 낙하물받이망이 경사가 발생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낙하물이 쉽게 모일 수 있게 되고, 경사에 따라 낙하물이 모이게 되는 부분에는 낙하물배출구를 형성하고, 낙하물배출구에는 낙하물받이망을 설치하여 유실수에서 낙하되는 과일이나 견과류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곧바로 모을 수 있게 되며, 낙하물받이망 하부 둘레에 와이어를 설치하거나 하부에 중량추를 설치함으로써 낙하물받이망이 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낙하물이 원할하게 가이드되면서 배출될 수 있게 되고, 낙하물배출구에 덮개를 설치하는 한편, 낙하물배출망이 낙하물받이망으로부터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낙하물배출망 하부 바닥이 막혀 있는 구조로 형성하고, 낙하물배출망 상부에 조임장치를 구비하여 낙하물배출망에 저장된 낙하물을 별도의 저장 상자 등에 용이하게 담을 수 있게 하거나, 낙하물배출망 자체로 시장에 판매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fruit trees receiver with discharging net for falling fruit}
본 발명은 유실수에서 낙하하는 과일이나 견과류 등을 안전하게 받아 과일 등을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한,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실수에서 열리는 과일 등은 지상에서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과일 등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크기가 비교적 작고 껍질이 단단한 견과류의 경우 긴 장대를 이용하여 견과류나 나무가지를 쳐서 견과류가가 지상으로 떨어지게 하고, 과육이 상하기 쉬운 과일의 경우 사람이 직접 나무에 올라가서 직접 과일을 따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긴 장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지상에 떨어지는 과일 등이 사방으로 흩어지기 때문에 이를 일일이 모아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사람이 직접 올라가는 경우에는 나무에서 떨어져 부상당할 수 있다는 위험부담을 가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해결책이 제시되어 왔다.
그 중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68948호에는 수목으로부터 낙하물을 상처가 나지 않은 채 모을 수 있도록 수목용 낙하물 수집용 그물망이 공개된 바 있다.
이 구성은 그물망시트의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나뭇가지를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시트의 주변에는 설치용 로프가 구비된 기술이 공개된 바 있다.
또,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450호에는 상기 일본 특허와 유사한 기술이 공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술들은 유실수에서 낙하하는 낙하물을 안전하게 받는 데에만 포커스를 맞추었을 뿐, 그물망이나 천막을 통해 받은 유실수를 간편하게 처리하는 부분까지는 염두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그물망에 낙하된 낙하물을 그물망 위에서 그대로 방치될 경우 과일의 신선도에 따른 분류가 어려워져 과일의 분류를 일일히 사람이 직접 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또한, 그물망 위에 낙하되어 모인 낙하물은 일일히 낙하물 위에 모인 상태에서 사람이 직접 과일 하나씩 용기에 담거나, 그물망 전체를 유실수로부터 분리하여 한번에 이동해야 하는데, 하나씩 용기에 담을 경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그물망 전체를 유실수로부터 분리하여 이동하는 경우 그 무게가 무거워 운반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이동 과정에서 유실수에서 떨어지는 낙하물은 땅바닥에 방치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JP1999-168948호(1999.06.29) KR20-0439450호(2008.04.04)
본 발명의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유실수에서 낙하하는 낙하물을 받는 낙하물받이망의 둘레에 낙하물받이망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하되, 지지부재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부재를 설치하여, 낙하물받이망이 경사가 발생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낙하물이 쉽게 모일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경사에 따라 낙하물이 모이게 되는 부분에는 낙하물배출구를 형성하고, 낙하물배출구에는 낙하물받이망을 설치하여 유실수에서 낙하되는 과일이나 견과류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곧바로 모을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낙하물받이망 하부 둘레에 와이어를 설치하거나 하부에 중량추를 설치함으로써 낙하물받이망이 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낙하물이 원할하게 가이드되면서 배출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낙하물배출구에 덮개를 설치하는 한편, 낙하물배출망이 낙하물받이망으로부터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낙하물배출망 하부 바닥이 막혀 있는 구조로 형성하고, 낙하물배출망 상부에 조임장치를 구비하여 낙하물배출망에 저장된 낙하물을 별도의 저장 상자 등에 용이하게 담을 수 있게 하거나, 낙하물배출망 자체로 시장에 판매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앙에 중앙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 유실수의 몸통이 관통하며, 중앙관통홀 주변으로 천 또는 그물이 형성되어 있어 유실수에서 낙하하는 낙하물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낙하물이 배출되도록 낙하물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낙하물받이망과; 상기 낙하물받이망의 둘레에 다수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끝단이 낙하물받이망에 고정, 분리되고,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낙하물받이망이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하면서 낙하물받이망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일측 끝단이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 선단에 연결되고, 타측 끝단에는 지중에 삽입되거나 지면에 고정되는 패커가 설치되어 있는 고정로프와; 상부 둘레가 상기 낙하물배출구 둘레에 고정되고, 하부 둘레를 따라 와이어가 설치되어 있는 낙하물배출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낙하물배출망 하부에 중량추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낙하물배출망의 하부에 낙하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낙하물저장용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낙하물배출구에는 덮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덮개는 고정장치에 의해 낙하물배출구 주변의 낙하물받이망과 고정,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낙하물배출망은 배출망고정장치를 통해 낙하물받이망과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낙하물배출망의 하부 바닥은 막혀 있으며, 상부 둘레를 따라 조임장치가 구비되어 낙하물받이망의 상부 둘레를 조여 낙하물배출망 상부 입구를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유실수에서 낙하하는 낙하물을 받는 낙하물받이망의 둘레에 낙하물받이망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하되, 지지부재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부재를 설치하여, 낙하물받이망이 경사가 발생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낙하물이 쉽게 모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경사에 따라 낙하물이 모이게 되는 부분에는 낙하물배출구를 형성하고, 낙하물배출구에는 낙하물받이망을 설치하여 유실수에서 낙하되는 과일이나 견과류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곧바로 모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낙하물받이망 하부 둘레에 와이어를 설치하거나 하부에 중량추를 설치함으로써 낙하물받이망이 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낙하물이 원할하게 가이드되면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낙하물배출구에 덮개를 설치하는 한편, 낙하물배출망이 낙하물받이망으로부터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낙하물배출망 하부 바닥이 막혀 있는 구조로 형성하고, 낙하물배출망 상부에 조임장치를 구비하여 낙하물배출망에 저장된 낙하물을 별도의 저장 상자 등에 용이하게 담을 수 있게 하거나, 낙하물배출망 자체로 시장에 판매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지지부재의 일 구성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낙하물배출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낙하물배출망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낙하물배출망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는 크게 낙하물받이망(10), 지지부재(20), 고정로프(30), 낙하물배출망(40)으로 구성된다.
낙하물받이망(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중앙관통홀(11)이 형성되어 있어 유실수의 나뭇가지 몸통이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중앙관통홀(11) 주변으로는 천 또는 그물이 형성되어 있어 유실수에서 낙하하는 낙하물을 받을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낙하물받이망(10)의 일측에는 낙하물이 배출 가능하도록 낙하물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낙하물받이망(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하고, 중앙관통홀(11)에서 각 모서리 부분까지 프레임(13)을 선택적으로 설치하거나, 로프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낙하물배출구(12)는 프레임(13)이나 로프에 의해 분할되는 구역마다 한 개씩 설치할 수도 있다.
아울러, 낙하물받이망(10)은 중앙관통홀(11)로부터 일측 모서리나 둘레 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취하면서 지퍼나 단추(14) 등으로 서로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낙하물받이망(10)은 비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원형으로 형성할 경우 도 1의 실시예와는 달리 중앙관통홀(11)로부터 둘레로 프레임(13)이나 로프를 설치하지 않고, 낙하물받이망(10)에 하나의 낙하물배출구(1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물받이망(10)의 둘레에 다수 설치되어 있어 낙하물받이망(1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부재(20)는 상부 끝단이 낙하물받이망(10)에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재(20)를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물받이망(10) 모서리 일측에 지지부재삽입홀(15)을 형성하고, 낙하물받이망(10) 모서리에는 고정고리(16)를 설치하고, 지지부재(20)의 상단에 고정고리(16)와 체결되는 링크(21)를 설치하여 지지부재(20) 상단을 지지부재삽입홀(15)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고리(16)에 링크(21)를 걸어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는 지지부재(20)를 낙하물받이망(10)에 고정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일 구성 예에 불과하면 일반적인 텐트와 프레임의 고정 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공지의 방법을 통해 지지부재(20)를 낙하물받이망(10)에 고정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20)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살펴보면, 지지부재(20)는 위에서 아래로 직경이 커지는 순서로, 상부부재(20a), 중간부재(20b), 하부부재(20c)로 구성하여 위에서 아래로 삽입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고, 중간부재(20b)와 하부부재(20c)의 상부에 홀을 형성하고, 이 홀에 고정핀(22)이 끼워지도록 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처럼 지지부재(2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한 방법 역시 도시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부재(20a)와 중간부재(20b)를 서로 접어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지지부재(20)는 낙하물받이망(10)의 둘레에 다수 설치되어 있되, 낙하물받이망(10)이 지면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 방향으로 하향 경사가 발생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경사를 이루게 되면, 낙하물받이망(10)에 떨어지는 낙하물은 일측 방향으로 잘 모이게 된다.
고정로프(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끝단은 지지부재(20)의 상측 선단에 연결되고, 타측 끝단에는 지중에 삽입되거나 지면에 고정되는 패커(31)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패커(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콘크리트 바닥의 경우 지면에 설치되어 있는 블록이나 기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고리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이러한 고정로프(30)는 지지부재(20)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낙하물받이망(10)의 장력을 어느 정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게 된다.
낙하물배출망(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둘레가 상기 낙하물배출구(12) 둘레에 고정되고, 하부 둘레를 따라 하부와이어(42)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낙하물배출망(40)의 하부 둘레를 따라 하부와이어(42)가 설치되는 이유는 낙하물배출망(40)이 구겨지거나 졉혀 있는 상태가 되어 과일이나 견과류의 배출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과일이나 견과류가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지지부재(20)는 낙하물배출망(40) 및 낙하물배출구(12)가 형성된 위치로 낙하물이 모여 배출될 수 있을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낙하물배출망(40)은 일반 천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유실수에서 떨어지는 잔가지나 낙엽 등이 낙하물배출망(40)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낙하물배출망(40)의 하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이나 박스와 같은 저장용기(50)가 설치되어 낙하물배출망(40)을 통해 배출되는 과일이나 견과류가 저장용기(50)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낙하물배출망(40)의 구성에 있어서, 평상시 낙하물배출망(40)이 하부로 곧바로 뻗어 원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이나 끈 등에 연결된 중량추(41)가 낙하물배출망(40)의 하부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중량추(41)를 설치하게 되면, 바람 등에 의해 낙하물배출망(40)이 저장용기(50)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낙하물의 배출 시 저장용기(50)로 보다 원할하게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낙하물배출망(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와이어(42) 외에 상부 둘레에 상부와이어(43)를 설치하고, 상부와이어(43)나 하부와이어(42) 중 어느 하나에 고정 링크와 같은 배출망절첩장치(44)를 설치하여, 본 발명의 유실수 받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배출망절첩장치(44)를 이용하여 상부와이어(43)와 하부와이어(42)를 배출망절첩장치(44)로 고정시켜 낙하물배출망(40)을 접어 보관이 간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출망절첩장치(44)는 도시된 고정 링크만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단추나 지퍼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낙하물배출구(12)에 덮개(6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덮개(60)는 지퍼나 단추, 밸크로테이프 등과 같은 고정장치(61)에 의하여 낙하물배출구(12) 주변의 낙하물받이망(10)과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덮개(60)를 이용하여 낙하물배출구(12)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함에 의해 여러 개의 낙하물배출구(12)를 형성하는 경우 지면의 경사 및 낙하되는 낙하물의 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낙하물배출구(12)의 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덮개(60)를 설치하여 낙하물배출구(12)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별도의 저장용기(50) 없이 낙하물배출망(40)을 이용하여 낙하물을 저장하여 창고에 저장하거나, 시장에 내어 판매할 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물배출망(40) 상부 둘레에 지퍼나 단추와 같은 배출망고정장치(45)를 설치하여, 낙하물받이망(10)에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낙하물배출망(40)의 하부 바닥을 막혀 있는 구조로 형성하는 한편, 낙하물배출망(40)의 상부 둘레를 따라 줄이나 끈과 같은 조임장치(46)를 설치하여, 낙하물받이망(10)의 상부 둘레를 조여 낙하물배출망(40) 상부 입구를 조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낙하물배출망(40)으로 낙하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낙하물은 하부가 막혀 있는 구조로 인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서 낙하물배출망(40) 내부에 저장되고, 고정장치(61)를 이용하여 덮개(60)를 낙하물받이망(10)과 고정시켜 낙하물배출구(12)를 폐쇄된 상태로 만든 다음, 배출망고정장치(45)를 이용하여 낙하물배출망(40)을 낙하물받이망(10)으로부터 분리한 후 조임장치(46)를 이용하여 낙하물배출망(40) 상부를 조임으로써 낙하물배출망(40) 내부에 저장된 낙하물의 외부 유실을 방지하면서 낙하물배출망(40)을 들고 창고로 이송하거나 시장에 그대로 내다 판매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개폐식 덮개(60)와 분리가 가능한 낙하물배출망(40)을 구비하게 되면, 보다 간편하게 유실수로부터 과일이나 견과류를 수거하여 다음 과정으로 운송하게 되므로 보다 간편한 수확 절차를 밟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는 유실수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나무에서 낙하하는 낙옆 등을 수거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10 : 낙하물받이망 11 : 중앙관통홀
12 : 낙하물배출구 13 : 프레임
14 : 단추 15 : 지지부재삽입홀
16 : 고정고리 20 : 지지부재
20a : 상부부재 20b : 중간부재
20c : 하부부재 21 : 링크
22 : 고정핀 30 : 고정로프
31 : 패커 40 : 낙하물배출망
41 : 중량추 42 : 하부와이어
43 : 상부와이어 44 : 배출망절첩장치
45 : 배출망고정장치 46 : 조임장치
50 : 저장용기 60 : 덮개
61 : 고정장치

Claims (5)

  1. 유실수 받이 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중앙관통홀(11)이 형성되어 있어 유실수의 몸통이 관통하며, 중앙관통홀(11) 주변으로 천 또는 그물이 형성되어 있어 유실수에서 낙하하는 낙하물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낙하물이 배출되도록 낙하물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는 낙하물받이망(10)과;
    상기 낙하물받이망(10)의 둘레에 다수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끝단이 낙하물받이망(10)에 고정, 분리되고,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낙하물받이망(10)이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하면서 낙하물받이망(1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0)와;
    일측 끝단이 상기 지지부재(20)의 상측 선단에 연결되고, 타측 끝단에는 지중에 삽입되거나 지면에 고정되는 패커(31)가 설치되어 있는 고정로프(30)와;
    상부 둘레가 상기 낙하물배출구(12) 둘레에 고정되고, 하부 둘레를 따라 하부와이어(42)가 설치되어 있는 낙하물배출망(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물배출망(40) 하부에 중량추(4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물배출망(40)의 하부에 낙하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낙하물저장용기(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물배출구(12)에는 덮개(60)가 설치되어 있으며, 덮개(60)는 고정장치(61)에 의해 낙하물배출구(12) 주변의 낙하물받이망(10)과 고정,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물배출망(40)은 배출망고정장치(45)를 통해 낙하물받이망(10)과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낙하물배출망(40)의 하부 바닥은 막혀 있으며,
    상부 둘레를 따라 조임장치(46)가 구비되어 낙하물받이망(10)의 상부 둘레를 조여 낙하물배출망(40) 상부 입구를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
KR1020100120923A 2010-11-30 2010-11-30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 KR20120059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923A KR20120059253A (ko) 2010-11-30 2010-11-30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923A KR20120059253A (ko) 2010-11-30 2010-11-30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253A true KR20120059253A (ko) 2012-06-08

Family

ID=4661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923A KR20120059253A (ko) 2010-11-30 2010-11-30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925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3527A (zh) * 2014-02-24 2014-06-11 浙江理工大学 可移动的伸缩式果实收集装置
CN108496562A (zh) * 2018-04-12 2018-09-07 安徽黄晶梨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梨树果实采摘机
KR20190097443A (ko) * 2018-02-12 2019-08-21 이인호 수용포켓을 포함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CN111684917A (zh) * 2020-07-08 2020-09-22 周佳艳 果实收获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3527A (zh) * 2014-02-24 2014-06-11 浙江理工大学 可移动的伸缩式果实收集装置
KR20190097443A (ko) * 2018-02-12 2019-08-21 이인호 수용포켓을 포함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CN108496562A (zh) * 2018-04-12 2018-09-07 安徽黄晶梨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梨树果实采摘机
CN111684917A (zh) * 2020-07-08 2020-09-22 周佳艳 果实收获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8600B2 (en) Table tent
US5930948A (en) Device for protecting shrubbery and other plants from deer and other animals
KR20120059253A (ko)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
KR20110113072A (ko) 견과류 수확물 포집장치
AU2007200854A1 (en) Foldable fish-trap
US10190292B1 (en) Rainwater collection system
KR101367994B1 (ko) 그물망을 이용한 오디 수집장치
US20050158507A1 (en) Device for catching falling leaves from a tree and associated methods
US7320210B2 (en) Safety and harvesting device
KR20140101961A (ko) 유실수의 과실 수집 그물망
US3490216A (en) Receptacle for gathering fallen fruit
CN2790137Y (zh) 可卸式采果接篷
US20040262183A1 (en) Dual purpose christmas tree bag
KR101758199B1 (ko) 나무열매 및 낙엽 수거장치
KR102114291B1 (ko) 수용포켓을 포함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US20040112033A1 (en) Safety and harvesting device for fruit
CN112997695B (zh) 一种具有除杂功能的针叶树种实收集防护装置
CN110583237A (zh) 一种对不同大小的果实进行分拣的特色农产品用采摘装置
CN112544233A (zh) 一种果实收获工具
KR200406246Y1 (ko) 과일 보호구
KR200229297Y1 (ko) 과실 수확 및 추락 방지용 그물망
RU21876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плодов
WO2009014454A1 (en) Tent device
EP1981328A1 (en) Device for collecting fruit
KR200439450Y1 (ko) 유실수털이 안전망 겸용 천막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