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443A - 수용포켓을 포함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수용포켓을 포함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443A
KR20190097443A KR1020180016881A KR20180016881A KR20190097443A KR 20190097443 A KR20190097443 A KR 20190097443A KR 1020180016881 A KR1020180016881 A KR 1020180016881A KR 20180016881 A KR20180016881 A KR 20180016881A KR 20190097443 A KR20190097443 A KR 20190097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pocket
fruit
leaves
coll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291B1 (ko
Inventor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이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호 filed Critical 이인호
Priority to KR1020180016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29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2Baskets or bags attachable to the pick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2046/262Collecting surfaces extended around a tree in order to catch the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에서 낙하한 나뭇잎 또는 열매가 수용되는 포켓이 형성된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수목에 설치되어 수목에서 낙하하는 열매 또는 나뭇잎을 받아내기 위해 상부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는 상부 수거부재와, 상부 수거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 수거부재에서 받아낸 열매 또는 나뭇잎이 수용되는 포켓이 형성된 하부 수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용포켓을 포함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LEAF AND FRUITS COLLECTOR INCLUDING POCKETS}
본 발명은 수용포켓을 포함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목에서 낙하한 나뭇잎 또는 열매가 수용되는 포켓이 형성된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계절에 따라 수목은 낙과 및 낙엽을 발생 시킬 수 있다.
특히 도로변에 가로수로 이용된 은행나무는 가을이 되면 많은 낙과와 낙엽을 발생시켜 도로를 오염시키게 된다. 그 중 은행나무의 열매는 껍질이 벗겨지거나 부패하면 불쾌한 냄새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어 도로 환경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
또한 낙엽이 발생하는 여러 수목들의 경우, 가을에는 일시에 낙엽을 발생시켜 도로를 청소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으며, 하수구로 유입된 낙엽이 하수구 및 하수관거를 막게 되어, 가을 철 태풍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리게 되면 배수가 신속히 이루어지지 않아 2차 피해가 발생되기도 한다.
상술된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고자 가로수에 맺힌 열매를 인위적으로 털어내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무수히 많은 가로수에서 열매 및 나뭇잎을 단기간에 모두 털어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낙과 및 낙엽을 받아내는 그물망을 가로수에 설치하는 방법도 다수 고안되었으나, 고안된 방법들은 수만그루나 되는 가로수 하나하나에 설치하기에는 그 제작비용이 지나치게 높고, 수목에 설치하는 방법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에 고안된 낙과 및 낙엽의 수집 장치들은 수목에 설치되기 위해 수목의 몸체에 고정되는데, 수목의 몸체는 수목에 따라 그 두께와 형태가 상이하지만 상기 고안들의 고정수단은 이러한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일정한 형태를 갖고 있어 실제로 적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제작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수목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낙과 및 낙엽 수집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4416 : 은행 낙과 수거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목에서 낙하한 나뭇잎 또는 열매가 수용되는 포켓이 형성된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수용포켓을 포함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는, 수목에 설치되어 상기 수목에서 낙하하는 열매 또는 나뭇잎을 받아내기 위해 상부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는 상부 수거부재와, 상기 상부 수거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수거부재에서 받아낸 열매 또는 나뭇잎이 수용되는 포켓이 형성된 하부 수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수거부재는 상기 수목의 몸통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포켓은 상기 하부 수거부재와 상기 수목의 몸통 사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수거부재는 상기 수목의 몸통 둘레를 감싸는 안내망을 포함하고, 상기 포켓은 열매 또는 나뭇잎이 유입될 수 있게 상기 안내망의 일측에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목의 몸통과 마주보는 상기 포켓의 일측면은 상기 수목의 몸통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수거부재는 상기 포켓의 일측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며, 상기 수목의 몸통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후 양편이 당겨지면 상기 포켓의 일측면이 상기 수목의 몸통과 밀착되게 하는 고정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켓은 상기 안내망의 좌우방향으로 2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고정와이어는 모든 상기 포켓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와이어는 상기 포켓의 우측 또는 좌측의 상기 안내망에도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와이어가 상기 안내망에 설치된 위치는 상기 포켓의 일측면에 설치된 위치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켓의 하부에는 상기 포켓에 수용된 열매 또는 나뭇잎을 배출시키기 위한 개폐 가능한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수거부재는 일측 가장자리부터 중심까지 절개된 절개부위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거부재에는 상기 절개부위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절개부위를 따라 길게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수거부재와 상기 하부 수거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목의 가지에 걸림되는 지지부재를 통해 상기 수목에 설치되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수거부재는 상부에서 볼 때 가운데부터 가장자리까지 연장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수거부재의 전개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의 상기 지지대의 일측 끝단과 마주보는 부위에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 끝단이 삽입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용포켓을 포함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에 따르면,
첫째, 깔때기 형태의 본 발명이 수목의 둘레를 감싸게 됨에 따라, 낙하하는 열매 또는 나뭇잎이 용이하게 수거된다. 특히 은행나무의 경우 낙하한 열매가 터져 내부가 부패하면 악취를 발생시켜 인근의 환경을 오염시키는데, 본 발명은 열매가 포켓에 수용되기 때문에 낙하한 열매가 터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목에서 낙하한 열매가 오염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하부 수거부재의 포켓에 수목에서 낙하한 나뭇잎 및 열매가 모이게 됨에 따라 추후 낙과 및 낙엽을 수거하기가 보다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를 제작하여 수목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참고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부 수거부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평면도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정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부 수거부재의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부 수거부재가 수목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부 수거부재가 수목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포켓의 일측면이 수목의 몸통에 밀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의 하부 수거부재를 제작하여 수목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참고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부 수거부재의 전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부 수거부재가 수목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포켓의 일측면과 하부 수거부재의 하부가 수목의 몸통에 밀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수용포켓을 포함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는 수목(10)에 설치되어 수목(10)에서 낙하하는 열매 또는 나뭇잎을 받아내기 위해 상부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는 상부 수거부재(300)와, 상부 수거부재(3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 수거부재(300)에서 받아낸 열매 또는 나뭇잎이 수용되는 포켓(120)이 형성된 하부 수거부재(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 수거부재(300)의 가운데에는 하부 수거부재(100)로 열매 또는 나뭇잎을 전달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다. 상부 수거부재(300)는 상부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므로, 수목(10)에 설치되면 내측이 상부 수거부재(300)의 가운데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가 형성된다. 낙하된 열매 및 나뭇잎은 중력에 의해 상부 수거부재(300)의 내측에 형성된 경사를 따라 상부 수거부재(300)의 가운데로 이동되고, 가운데에서 구멍을 통과하여 하부 수거부재(100)로 이동된다.
상부 수거부재(300)는 경량이고, 바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폴리에스터 등의 소재로 제작된 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수거부재(300)에는 심미적인 효과 상승을 위해 레이스, 점등되는 전구 등과 같은 장식이 추가될 수 있으며,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패널이 설치되는 것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수거부재(300)는 수목(10)에 용이한 설치를 위해 일측 가장자리부터 중심까지 절개된 절개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수거부재(300)에는 절개부위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절개부위를 따라 길게 형성된 연결부재(30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부 수거부재(300)를 수목(10)에 설치할 때, 먼저, 상부 수거부재(300)의 절개부위를 이격시키고, 이격된 부위로 수목(10)의 몸통을 진입시켜 상부 수거부재(300)의 중간에 수목(10)의 몸통을 위치시킨 후, 연결부재(302)를 이용하여 절개부위를 연결시킨다. 연결부재(302)는 벨크로, 지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는 연결부재(302)로서 벨크로가 적용되었다. 연결부재(302)로서 벨크로가 적용되면, 수목(10) 바로 옆에 전신주(20)와 같은 높이가 높은 구조물이 있더라도 설치가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수목(10)과 전신주(20)가 인접한 경우, 상부 수거부재(300)의 절개부위가 수목(10) 및 전신주(20)를 향하게 하고, 수목(10)을 상부 수거부재(300)의 가운데에 위치시킨 후, 연결부재(302)를 이용하여 절개부위를 연결하면 전신주(20)가 가로지르는 부위만 제외하고 상부 수거부재(300)의 절개부위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실시예와 같이, 상부 수거부재(300)가 망과 같은 직물 소재로 적용될 경우, 상부 수거부재(300)를 상부가 요입된 접시 형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이 실시예의 상부 수거부재(300)는 상부에서 볼 때 가운데부터 가장자리까지 연장되게 결합되어 상부 수거부재(300)의 전개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대(305)를 포함하였다(도 3 참조). 지지대(305)는 길이가 긴 장대이고, 그 길이는 상부 수거부재(30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 수거부재(300)의 반지름 길이 정도가 될 수 있다. 지지대(305)는 상부 수거부재(30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복수개의 지지대(305)가 상부 수거부재(300)의 중간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대(305)는 길이 조절을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장대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장대가 연결되어 구성된 지지대(305)는 어느 하나의 장대가 다른 하나의 장대 내에서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되거나, 어느 하나의 장대와 다른 하나의 장대가 서로 힌지 결합되는 것이 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장대와 다른 하나의 장대가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것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만약 수목(10)의 일측에 빌딩과 같은 건축물이 인접한 상태이거나, 차도가 위치해 있으면 지지대(305)를 길이가 단축된 상태로 설치할 있다.
지지대(305)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으면, 수목(10)에 건축물과 같은 방해물이 위치할 때에도 지지대(305)를 구부리지 않고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설치가 용이해지고, 건축물에 입힐 수 있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목(10)의 일측에 차도가 위치한 경우, 버스와 같이 높이가 높은 차량이 통행하던 중 길게 뻗은 지지대(305)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대(305)는 플라스틱, 금속, 나무 등과 같은 재료가 적용될 수 있다.
상부 수거부재(300)를 수목(10)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서, 이 실시예는 상부 수거부재(300)의 일측에 와이어(314, 324)가 결합되고, 와이어(314, 324)가 수목(10)의 가지에 걸림되는 방식이 적용되었다. 와이어(314, 324)는 지지대(305)의 중간에 결합되는 제1거치와이어(314)와, 지지대(305)의 끝단에 결합되는 제2거치와이어(324)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거치와이어(314)는 연장된 끝단에 수목(10)의 가지에 걸림되는 제1거치고리(312)가 결합될 수 있다. 제2거치와이어(324) 역시, 연장된 끝단에 수목(10)의 가지에 걸림되는 제2거치고리(322)가 결합될 수 있다. 제1거치와이어(314)는 지지대(305)가 과도하게 휨이 발생될 경우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대(305)를 고정하는 주요 기능은 제2거치와이어(324)가 수행한다. 제1거치와이어(314) 및 제2거치와이어(324)는 유연한 성질의 직물, 고무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거치고리(312) 및 제2거치고리(322)는 플라스틱, 금속, 나무 등과 같은 재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305)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성된 제1거치와이어(314)는 개별적으로 제1거치고리(312)를 갖고, 복수의 제2거치와이어(324)도 개별적으로 제2거치고리(322)를 갖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305)가 단축된 상태로 적용될 경우를 위해, 제2거치와이어(324)는 제2거치고리(322)부터 지지대(305)까지의 연장된 길이를 단축하여 적용시킬 수 있는 단축고정부재(325)가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단축고정부재(325)는 제2거치와이어(324)의 제2거치고리(322)부터 지지대(305)까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지지대(305)가 단축된 상태로 고정구(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대(305)가 낙하된 나뭇잎 및 열매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경사를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제2거치와이어(324)의 길이가 더 짧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단축고정부재(325)를 이용하여 제2거치와이어(324)를 더 짧게 형성시키면 지지대(305)가 충분한 경사를 가지며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단축고정부재(325)가 제2거치와이어(324) 중간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결합되는 고리인 것으로 실시되었다. 제2거치와이어(324)의 길이를 짧게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 고리인 단축고정부재(325)를 제2거치고리(322)에 걸게 되면 제2거치와이어(324)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 실시예의 단축고정부재(325)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제2거치와이어(324)의 길이를 단축하여 적용시킬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도 얼마든지 치환 가능하다. 또한, 이 실시예는 하나의 제2거치와이어(324)에만 단축고정부재(325)가 포함된 것으로 실시되었으나, 복수의 제2거치와이어(324)에 포함된 것으로 실시될 수 있고, 제1거치와이어(314)에도 포함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상부 수거부재(300)와 하부 수거부재(100)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수목(10)의 가지에 걸림되는 지지부재(230)를 통해 수목(10)에 설치되는 고정구(200)를 더 포함한다. 고정구(200)는 상부 수거부재(300)와 하부 수거부재(1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 수거부재(300) 또는 하부 수거부재(10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고정구(200)는 상부 수거부재(300)의 하부에 형성된 구멍 형상에 대응한다. 고정구(200)는 상부 수거부재(300)에 형성된 구멍의 형상이 유지되게 하여 상부 수거부재(300)로 낙하한 열매 및 나뭇잎이 하부 수거부재(100)로 원활이 전달될 수 있게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구(200)의 중앙에는 수목(10)의 몸통을 위치시키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구(200)의 일측은 힌지(210) 결합되어, 수목(10)의 몸통에 설치 시 일측이 힌지(210)에 의해 원주 방향 또는 원주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고정구(200)가 수목(10)의 몸통에 고정 설치되었을 때는 일측이 선회되지 않도록, 고정구(200)의 선회되는 상기 일측과 타측에 고정핀(220)이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고정구(200)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이 서로 맞물릴 수 있게 요철이 형성되고, 요철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었을 때 형성된 위치가 서로 일직선이 되는 핀 홈(202)이 고정구(200)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었다.
또한, 수목(10)에서 낙하한 열매 또는 나뭇잎이 상부 수거부재(300)의 경사를 따라 내려온 후 고정구(200)를 통과하여 하부 수거부재(100)에 도달되기 위해서는 고정구(200)가 수목(10)의 몸통과 어느 정도 이격된 상태가 되어 열매 또는 나뭇잎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고정구(200)는 수목(10)의 몸통으로부터 균일하게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구(200)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며 고정구(200) 상에 결합되는 이격지지암(240)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복수개의 이격지지암(240)이 고정구(200)의 둘레에 서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것으로 실시되었다. 특히, 이격지지암(240)은 고정구(200)의 측면을 관통하며 결합되었는데, 이로써 수목(10)의 몸통 두께에 따라 이격지지암(240)이 고정구(200)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다양한 수목(10)에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이격지지암(240)이 고정구(200)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의 조절을 위해, 이격지지암의(24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나사를 이루고, 고정구(200)에도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암나사를 이루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나사가 형성된 이격지지암(240)를 회전시키면 회전방향에 따라 이격지지암(240)이 고정구(200)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구(200)는 상부 수거부재(300)에 결합된 지지대(305)의 일측 끝단과 마주보게 되는데, 지지대(305)의 끝단과 마주보는 부위에 지지대(305)의 일측 끝단이 삽입되는 지지홈(205)이 형성된다. 지지대(305)의 끝단은 고정구(200)의 지지홈(205)에 삽입됨으로써 상부 수거부재(300)의 형태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고정구(200)를 수목(10)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230)는 수목(10)에 걸림될 수 있는 고리가 끝단에 결합된 와이어로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 실시예에 따른 하부 수거부재(100)는 수목(10)의 몸통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수거부재(100)는 수목(10)의 몸통 둘레를 감싸는 안내망(110)을 포함한다. 안내망(110)의 상부는 상부 수거부재(300)의 가운데에 형성된 구멍과 연결된다. 또한, 안내망(110)의 상부는 고정구(200)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안내망(110)은 상부 수거부재(300)에서 낙하한 열매 또는 나뭇잎이 포켓(120)까지 낙하될 수 있도록 수목(10)의 몸통과 다소 이격될 수 있는 여유를 가지고 수목(10)을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수거부재(100)의 포켓(120)은 하부 수거부재(100)와 수목(10)의 몸통 사이에 위치된다. 포켓(120)은 열매 또는 나뭇잎이 유입될 수 있게 안내망(110)의 일측에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이 실시예는 포켓(120)이 하부 수거부재(100)의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 실시되었다. 안내망(110)은 수목(10)의 몸통을 감싸면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안내망(110)의 수목(10)과 마주보는 내측에 적어도 양측이 안내망(110)과 결합되는 망이 추가됨으로써 포켓(120)을 형성하였다. 포켓(120) 형성을 위해 안내망(110)의 하부에 추가 결합된 망은 상부가 안내망(110)과 결합되지 않음으로써 유입구(122)를 이루어 상부 수거부재(300)로부터 전달된 열매 또는 나뭇잎이 포켓(120) 내부로 수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망의 하부, 즉 포켓(120)의 하부는 포켓(120)에 수용된 열매 또는 나뭇잎을 배출시키기 위한 개폐 가능한 배출구(124)가 형성된다. 이 실시예의 배출구(124)는 안내망(110)의 하단과 안내망(110)에 결합되어 포켓(120)을 형성시키는 상기 망의 하단에 지퍼가 설치되어 지퍼의 조작을 통해 개폐가 가능하게 실시되었다(도 9 참조).
상기 망, 즉 수목(10)의 몸통과 마주보는 포켓(120)의 일측면은 수목(10)의 몸통과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목(10)의 몸통과 마주보는 포켓(120)의 일측면이 수목(10)과 밀착되면 상부 수거부재(300)에서 낙하하는 열매 또는 나뭇잎이 지면에 떨어지지 않고 모두 포켓(120) 내에 수용되게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포켓(120)은 안내망(110)의 좌우방향으로 2개 형성된 것으로 실시되었다. 도 6의 하부 수거부재(100)의 전개 상태를 참고하면, 2개의 포켓(120) 중 어느 하나의 포켓(120)은 안내망(110)의 좌측 반절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고, 다른 하나의 포켓(120)은 안내망(110)의 우측 반절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실시되어, 상부 수거부재(300)에서 낙하하는 열매 및 나뭇잎이 모두 2개의 포켓(120)에 수용되게 실시되었다.
이 실시예와 같이, 포켓(120)은 복수개, 즉 2개 이상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개로 구성된 포켓(120)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포켓(120)의 일측면을 수목(10)과 밀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실시예의 하부 수거부재(100)는 포켓(120)의 일측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수목(10)의 몸통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후 양편이 당겨지면 포켓(120)의 일측면이 수목(10)의 몸통과 밀착되게 하는 고정와이어(130)를 더 포함한다. 포켓(120)이 2개로 구성된 이 실시예에서, 고정와이어(130)는 모든 포켓(12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는 안내망(110)에 추가 결합된 망, 즉 수목(10)과 마주보는 포켓(120)의 일측면에 유입구(122)와 인접하게 고정와이어(130)가 좌우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와이어홀더(126)가 형성되고, 와이어홀더(126)에 고정와이어(130)의 일측이 통과되는 것으로 고정와이어(130)가 모든 포켓(120)에 설치되었다. 이때, 고정와이어(130)는 와이어홀더(126)에 고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수거부재(100)의 양측에는 양측을 서로 맞물려 결합시킬 수 있는 결착부재(112)가 높이방향으로 형성된다. 하부 수거부재(100)를 수목(10)의 몸통에 두르면 하부 수거부재(100)의 양측이 서로 동일 위치에서 만나게 되는데, 이때 어느 하나의 결착부재(112a)와 다른 하나의 결착부재(112b)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하부 수거부재(100)의 둘레를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결착부재(112)는 지퍼가 사용되었다.
또한, 2개의 포켓(120)이 나란히 대칭되어 형성된 이 실시예는 포켓(120)의 양측 또는 고정와이어(130)가 설치된 부위의 양측에 기밀부재(113)가 결합된다. 하부 수거부재(100)가 수목(10)의 둘레에 설치된 후 고정와이어(130) 당겨져 포켓(120)의 내측 상부가 수목(10)과 밀착되었을 때, 어느 한 기밀부재(113)가 마주보는 기밀부재(113)와 결합된다. 포켓(120)의 내측 상부가 수목(10)과 밀착된 상태이고, 기밀부재(113)들도 서로 결합이 되면 포켓(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이 폐쇄된다. 즉, 기밀부재(113)들의 결합으로 작은 틈도 폐쇄됨으로써 열매 또는 나뭇잎이 하부 수거부재(100)를 통과하여 지면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기밀부재(113)는 벨크로와 같은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고정와이어(130)의 사용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수목(10)과 이격될 수 있는 여유를 가지고 설치된 하부 수거부재(100)는 포켓(120)이 수목(10)의 몸통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이다. 고정와이어(130)는 안내망(110)이 수목(10)을 감싸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양측이 한 지점에서 만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부 수거부재(300)에서 전달된 열매 또는 나뭇잎은 포켓(120)이 수목(10)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일부 또는 대부분이 지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한 지점에서 만난 고정와이어(130)어의 양측을 당기면 고정와이어(130)가 수목(10)의 몸통에 밀착되면서 포켓(120)의 일측면도 수목(10)에 밀착된다. 포켓(120)의 일측면이 수목(10)에 밀착되면 유입구(122)가 더 넓어지게 되고, 동시에 안내망(110)과 수목(1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제거되어 상부 수거부재(300)에서 낙하된 열매 또는 나뭇잎이 모두 또는 대부분 포켓(120)으로 유입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부 수거부재(100)를 실제 제작하여 수목(10)에 적용한 사진이다. 종래에 제안된 고안 중에는 하부 수거부재(100)에 대응되는 구성의 하단에 단지 가로방향으로 와이어를 설치하여 와이어를 당기는 것으로 하부 수거부재(100)의 하단이 수목(10)과 밀착되게 하므로 열매 및 나뭇잎이 하부 수거부재(100)와 수목(10) 사이에 수용되게 한 것이 있다. 그러나, 해당 고안을 실제 제작하여 수목(10)에 설치한 결과, 하나의 수목(10)에서 낙하하는 열매 및 나뭇잎은 그 양이 상당하여 무게만 수십kg에 육박하는데, 단지 와이어로 하부 수거부재(100)의 하부가 수목(10)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와이어를 아무리 강하게 묵어 고정하더라도 열매 및 나뭇잎의 무게가 수kg 이상이 되었을 때 곧 와이어가 느슨해지게 되어 다량의 열매 및 나뭇잎이 유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포켓(120)의 상부가 수목(10)에 밀착되면, 열매 및 나뭇잎의 하중이 포켓(120)에 가해지게 되어 오히려 무게가 무거워질수록 하부 수거부재(100)가 수목(10)에 더욱 밀착되고, 양편을 묶어 고정한 고정와이어(130)도 느슨해지지 않아 더욱 견고하게 열매 또는 나뭇잎을 수용할 수 있게 됨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는 수목(10)에 설치되어 수목(10)에서 낙하하는 열매 또는 나뭇잎을 받아내기 위해 상부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는 상부 수거부재(300)와, 상부 수거부재(3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 수거부재(300)에서 받아낸 열매 또는 나뭇잎이 수용되는 포켓(120)이 형성된 하부 수거부재(100)를 포함한다.
또한, 하부 수거부재(100)는 수목(10)의 몸통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포켓(120)은 하부 수거부재(100)와 수목(10)의 몸통 사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 수거부재(100)는 수목(10)의 몸통 둘레를 감싸는 안내망(110)을 포함하고, 포켓(120)은 열매 또는 나뭇잎이 유입될 수 있게 안내망(110)의 일측에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목(10)의 몸통과 마주보는 포켓(120)의 일측면은 수목(10)의 몸통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 수거부재(100)는 포켓(120)의 일측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며, 수목(10)의 몸통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후 양편이 당겨지면 포켓(120)의 일측면이 수목(10)의 몸통과 밀착되게 하는 고정와이어(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포켓(120)이 안내망(110)의 좌측 반절 부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와이어(130)는 포켓(120)의 우측 또는 좌측에 위치한 안내망(110)에도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이 실시예는 고정와이어(130)를 지지하는 와이어홀더(126)가 포켓(120)의 일측면과 우측에 위치한 안내망(110)의 하부에 형성된 것으로 실시되었다. 이 실시예의 하부 수거부재(100)를 수목(10)의 몸통에 설치한 후, 한 위치에서 만나는 고정와이어(130)의 양편을 당기면, 포켓(120)이 형성된 부위에서는 포켓(120)의 일측면이 수목(10)과 밀착되고, 포켓(120)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서는 안내망(110)의 하부가 수목(10)과 밀착된다.
특히, 고정와이어(130)가 안내망(110)에 설치된 위치는 포켓(120)의 일측면에 설치된 위치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도 10 참조). 안내망(110)에 형성된 와이어홀더(126)가 포켓(120)에 형성된 와이어홀더(126)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면, 수목(10)에 밀착되는 안내망(110)의 부위가 포켓(120)보다 높게 되는데, 이때 형성된 경사에 의해 하부 수거부재(100)로 낙하한 열매 또는 나뭇잎이 수목(10)과 밀착된 안내망(110) 부위보다 포켓(120)에 더 많이 쌓이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의 설치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하부 수거부재(100)가 결합된 고정구(200)를 수목(10)의 몸통에 설치한다. 고정구(200)를 수목(10)의 몸통에 설치하면 하부 수거부재(100)는 수목(10)의 몸통을 감싸는 형태가 된다.
수목(10)의 몸통 둘레를 감싸는 하부 수거부재(100)의 양측에 형성된 결착부재(112)를 서로 연결하여 하부 수거부재(100)의 둘레를 폐쇄 상태로 한다.
고정와이어(130)의 양측을 당겨 포켓(120)의 일측면이 수목(10)에 밀착되게 한 후 고정와이어(130)의 양측을 묶어 고정시킨다.
상부 수거부재(300)의 절개된 부위를 통해 수목(10)의 몸통이 상부 수거부재(300)의 중간에 형성된 구멍에 위치하게 한 후 연결부재(302)를 이용하여 절개부위를 연결한다. 이 때, 상부 수거부재(300)의 절개부위의 방향은 수목(10)의 주변에 위치한 전신주(20) 등의 시설물과, 고정구(200)에 형성된 지지홈(205)의 위치를 고려한다.
거치와이어(314, 324)의 끝에 연결된 거치고리(312, 314)를 수목(10)의 가지에 거는 것으로 상부 수거부재(300)를 설치한다.
상부 수거부재(300)의 지지대(305)의 끝단을 고정구(200)에 형성된 지지홈(205)에 삽입시키면 이 실시예의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배출구(124)를 개방시키면 포켓(120)에 수용된 열매 및 나뭇잎을 용이하게 배출시켜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아래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 수목 20 : 전신주
100 : 하부 수거부재 110 : 안내망
112 : 결착부재 113 : 기밀부재
120 : 포켓 122 : 유입구
124 : 배출구 126 : 와이어홀더
130 : 고정와이어 200 : 고정구
202 : 핀 홈 205 : 지지홈
210 : 힌지 220 : 고정핀
230 : 지지부재 300 : 상부 수거부재
302 : 연결부재 305 : 지지대
312 : 제1거치고리 314 : 제1거치와이어
322 : 제2거치고리 324 : 제2거치와이어

Claims (11)

  1. 수목에 설치되어 상기 수목에서 낙하하는 열매 또는 나뭇잎을 받아내기 위해 상부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는 상부 수거부재와;
    상기 상부 수거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수거부재에서 받아낸 열매 또는 나뭇잎이 수용되는 포켓이 형성된 하부 수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거부재는 상기 수목의 몸통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포켓은 상기 하부 수거부재와 상기 수목의 몸통 사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거부재는
    상기 수목의 몸통 둘레를 감싸는 안내망을 포함하고,
    상기 포켓은 열매 또는 나뭇잎이 유입될 수 있게 상기 안내망의 일측에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의 몸통과 마주보는 상기 포켓의 일측면은 상기 수목의 몸통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거부재는
    상기 포켓의 일측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며, 상기 수목의 몸통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후 양편이 당겨지면 상기 포켓의 일측면이 상기 수목의 몸통과 밀착되게 하는 고정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안내망의 좌우방향으로 2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고정와이어는 모든 상기 포켓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와이어는 상기 포켓의 우측 또는 좌측의 상기 안내망에도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와이어가 상기 안내망에 설치된 위치는 상기 포켓의 일측면에 설치된 위치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의 하부에는 상기 포켓에 수용된 열매 또는 나뭇잎을 배출시키기 위한 개폐 가능한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거부재는 일측 가장자리부터 중심까지 절개된 절개부위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거부재에는 상기 절개부위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절개부위를 따라 길게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거부재와 상기 하부 수거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목의 가지에 걸림되는 지지부재를 통해 상기 수목에 설치되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수거부재는 상부에서 볼 때 가운데부터 가장자리까지 연장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수거부재의 전개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의 상기 지지대의 일측 끝단과 마주보는 부위에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 끝단이 삽입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KR1020180016881A 2018-02-12 2018-02-12 수용포켓을 포함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KR102114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881A KR102114291B1 (ko) 2018-02-12 2018-02-12 수용포켓을 포함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881A KR102114291B1 (ko) 2018-02-12 2018-02-12 수용포켓을 포함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443A true KR20190097443A (ko) 2019-08-21
KR102114291B1 KR102114291B1 (ko) 2020-05-22

Family

ID=67808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881A KR102114291B1 (ko) 2018-02-12 2018-02-12 수용포켓을 포함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2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300B1 (ko) 2019-10-25 2020-03-06 김윤재 과수 열매 수거망 거치장치
KR102189704B1 (ko) * 2020-01-20 2020-12-11 김응래 수목 열매 및 낙엽 수집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16Y1 (ko) 2009-09-15 2011-07-01 (주) 금강코리아 은행 낙과 수거장치
KR20110113072A (ko) * 2010-04-08 2011-10-14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견과류 수확물 포집장치
KR20120059253A (ko) * 2010-11-30 2012-06-08 안성원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
KR20160041582A (ko) * 2014-10-08 2016-04-18 이인호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KR101758731B1 (ko) * 2016-11-25 2017-07-17 윤양수 은행낙과수집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16Y1 (ko) 2009-09-15 2011-07-01 (주) 금강코리아 은행 낙과 수거장치
KR20110113072A (ko) * 2010-04-08 2011-10-14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견과류 수확물 포집장치
KR20120059253A (ko) * 2010-11-30 2012-06-08 안성원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
KR20160041582A (ko) * 2014-10-08 2016-04-18 이인호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KR101758731B1 (ko) * 2016-11-25 2017-07-17 윤양수 은행낙과수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300B1 (ko) 2019-10-25 2020-03-06 김윤재 과수 열매 수거망 거치장치
KR102189704B1 (ko) * 2020-01-20 2020-12-11 김응래 수목 열매 및 낙엽 수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291B1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968B1 (ko)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KR101975560B1 (ko) 유실수의 열매 또는 낙엽받이 기구
KR100556229B1 (ko) 고추작물용 지지대
KR20190097443A (ko) 수용포켓을 포함하는 나뭇잎 및 열매 수거장치
KR102086300B1 (ko) 과수 열매 수거망 거치장치
US4901513A (en) Collection netting for fruits and nuts trees
US20050158507A1 (en) Device for catching falling leaves from a tree and associated methods
KR20110113072A (ko) 견과류 수확물 포집장치
US20060037300A1 (en) Safety and harvesting device
KR101367994B1 (ko) 그물망을 이용한 오디 수집장치
CN2790137Y (zh) 可卸式采果接篷
KR101057968B1 (ko)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CN220044228U (zh) 一种枣果采收装置
KR20120059253A (ko) 낙하물배출망이 구비된 유실수 받이
KR101772679B1 (ko) 나무 열매 수집 장치
KR200460435Y1 (ko)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KR102362518B1 (ko) 과실 수집장치
CN108541508A (zh) 一种油茶幼树的支撑和果实收集机构
CN108207481A (zh) 一种园林绿化用树木支撑固定装置
KR20220087399A (ko) 식물복지를 고려한 친환경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CN208924694U (zh) 一种樱桃掉落收集装置
CN207099924U (zh) 一种具有扩袋功能的果树套袋储存装置
KR20170001634U (ko) 과일이나 열매의 낙하방지 기능이 있는 그물망과 그의 고정 장치
CN106717550B (zh) 一种吊干枣收获装置
KR200229297Y1 (ko) 과실 수확 및 추락 방지용 그물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