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125B1 - 양식망 고정구 - Google Patents

양식망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125B1
KR102182125B1 KR1020180026760A KR20180026760A KR102182125B1 KR 102182125 B1 KR102182125 B1 KR 102182125B1 KR 1020180026760 A KR1020180026760 A KR 1020180026760A KR 20180026760 A KR20180026760 A KR 20180026760A KR 102182125 B1 KR102182125 B1 KR 102182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elastic
net
coupling ho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954A (ko
Inventor
이정구
박노정
Original Assignee
박노정
이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정, 이정구 filed Critical 박노정
Priority to KR1020180026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12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망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식장에서 부구에 지지된 간답대와 양식망을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양식망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식망 고정구는 부구에 지지되는 간답대에 양식망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간답대는 내부가 빈 중공구조이고 적어도 한쌍의 제1 및 제2 결합공이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간답대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1삽입부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간답대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2삽입부와; 일측이 상기 제1삽입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삽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양식망과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양식망 고정구{Aquaculture net fixture}
본 발명은 양식망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식장에서 부구에 지지된 간답대와 양식망을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양식망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간답대는 김등과 같은 양식장에 설치되는 양식망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양식망의 양측에 형성된 로프 사이에 일정 간격마다 가로놓여 양식망을 지지하는 것으로, 부구등의 부력체에 의해 지지되어 해수면에 부유한다
일반적으로, 간답대에 양식망을 설치할 시, 간답대에 형성된 한쌍의 결합공에 짧은 결박용 로프의 양 끝을 각각 끼워넣은 후, 로프의 양 끝을 묶어 매듭을 형성하여 결박용 로프가 고리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 후 이 고리 형태의 결박용 로프와 양식망의 로프를 체결하여 양식망과 간답대를 연결한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로프를 끼우고 묶는 작업에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 로프의 매듭이 풀릴 경우 양식망이 간답대에서 이탈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09-0012196에서는 간답대 등에 결합되는 로프 고정용 고리가 게시되어 있으나, 간답대의 결합공에 고리를 끼울 시 작업자가 강도가 큰 금속재질의 고리를 억지로 간답대에 끼워야하기 때문에 여성 또는 고령자가 작업을 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리를 억지로 간답대에 끼울시 작업자의 부상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219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답대에 간단하게 장착하고, 양식망을 손쉽게 체결할 수 있는 양식망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간답대와의 결합력을 높여 간답대에서 양식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양식망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식망 고정구는 부구에 지지되는 간답대에 양식망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간답대는 내부가 빈 중공구조이고 적어도 한쌍의 제1 및 제2 결합공이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간답대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1삽입부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간답대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2삽입부와; 일측이 상기 제1삽입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삽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양식망과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삽입부 각각은 단부에서 상기 연결부측으로 소정길이 인입되어 형성된 탄성홈에 의해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결합공에 삽입될 시 상호 접촉 및 분리되는 제1 및 제2이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이격부 각각은 상기 탄성홈에 의해 상기 연결부에서 두 갈래로 갈라져서 연장된 이격연장부와, 이격연장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는 이격연장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제1,2결합공에 삽입된 후 상기 간답대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제1,2결합공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밀착부분에서 연장되고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작게 형성되는 인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삽입부는 상기 간답대와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상기 이격연장부의 외주면에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간답대의 외부방향으로 힘을 받을 시 상기 간답대의 내측과 접촉되며 탄성변형되는 보조탄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탄성부는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소정길이 절개되고 외주면을 따라 이격된 절개슬릿들이 형성되고, 상기 간답대의 외부방향으로 힘을 받을 시 내측에 밀착되며 상기 탄성부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보조탄성부는 상기 탄성부 보다 강도가 작은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체결본체와, 상기 체결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로프를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고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간답대는 상기 제1,2결합공 각각과 인접하게 관통된 제3 및 제4결합공이 더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3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간답대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3삽입부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4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간답대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4삽입부와; 일측이 상기 제3삽입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4삽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양식망과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보조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식망 고정구는 삽입부가 탄성력에 의해 간답대의 결합공에 삽입 및 고정되어 작업자가 간단하게 간답대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체결수단에 의해 양식망을 손쉽게 체결할 수 있어 양식망 설치 작업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간답대와의 결합력이 높아 간답대에서 양식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식망 고정구를 이용하여 간답대와 양식망을 설치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식망 고정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양식망 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양식망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양식망 고정구가 간답대에 밀착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제3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양식망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식망 고정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제1실시예에 따른 양식망 고정구(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식망 고정구(10)는 부구(1)에 지지되는 간답대(2)에 양식망(4)을 고정시킨다. 양식망 고정구(10)는 탄성력에 의해 간답대(2)에 삽입되는 제1,2 삽입부(20)(30)와, 제1,2삽입부(20)(30)를 연결하는 연결부(50), 양식망(4)의 로프(5)와 연결부(50)를 체결하는 체결수단(70)을 구비한다.
양식망(4)은 로프(5)로 이루어진 사각테두리의 내부에 그물실로 엮은 그물망(3)이 설치된 것이다.
간답대(2)는 김 등과 같은 양식장에 설치되는 양식망(4)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양식망(4)의 양측에 형성된 로프(5) 사이에 일정 간격마다 가로놓여 양식망(4)을 지지한다. 간답대(2)는 부구(1)에 의해 지지되어 해수면에 부유한다. 도시된 예는 하나의 부구(1)에 2개의 간답대(2)가 나란히 설치된다. 간답대(2)는 내부가 빈 중공구조이다. 그리고 각 간답대(2)에 한쌍의 제1,2 결합공(11)(13)이 형성된다. 제1,2결합공(11)(13)은 간답대(2)를 관통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제1,2삽입부(20)(30)는 탄성력에 의해 각각 제1,2결합공(11)(13)에 삽입되고 간답대(2)의 내측에 고정된다. 제1,2삽입부(20)(30)는 연결부(5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제1,2삽입부(20)(30)는 각각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인입된 탄성홈(21)이 형성된다.
제1삽입부(20)는 탄성홈(21)에 의해 이격되어 간답대(2)의 제1결합공(11)에 삽입될 시 상호 접촉 및 분리되는 제1,2이격부(22)(24)를 구비한다.
제1삽입부(20)는 제1결합공(11)에 삽입될 시, 벌어진 제1,2이격부(22)(24) 사이가 가까워지며 제1,2이격부(22)(24)가 접촉되고 제1삽입부(20)가 제1결합공(11)에 삽입된다. 제1결합공(11)을 통해 간답대(2)의 중공부에 삽입된 제1,2이격부(22)(24)는 탄성력에 의해 사이가 벌어지며 다시 분리된다. 이로 인해, 간답대(2)의 외부방향으로 외력이 발생할 시 제1결합공(11)을 통과한 제1삽입부(20)는 간답대(2)의 내부에 걸려 고정되며 간답대(2)의 외부로 쉽게 빠지지 않는다.
제1,2이격부(22)(24) 각각은 탄성홈(21)에 의해 연결부(50)에서 두 갈래로 갈라져 형성된 이격연장부(23)와, 이격연장부(23)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탄성부(25)를 구비한다.
이격연장부(23)는 제1삽입부(20)의 단부에서 소정길이 인입된 탄성홈(21)의 단부(21a)가 형성된 것으로, 이격연장부(23)부터 제1,2이격부(22)(24)가 이격된다.
제1,2이격부(22)(24) 각각에 형성된 탄성부(25)는 제1결합공(11)에 삽입시 사이가 벌어진 상태에서 가까워지며 접촉되고, 제1결합공(11)을 통하여 간답대(2)의 내부에 삽입된 후 탄성력에 의해 다시 벌어진다. 탄성부(25)는 이격연장부(23)에서 연장되고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밀착부(26)와, 밀착부(26)에서 연결부(5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인입부(28)를 구비한다.
밀착부(26)는 탄성부(25)가 제1결합공(11)에 삽입된 후 간답대(2)의 외부방향으로 외력이 발생할 시, 간답대(2)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제1,2결합공(11)(13)을 통해 간답대(2)의 외부로 제1삽입부(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인입부(28)는 제1,2이격부(22)(24)가 제1결합공(11)에 삽입될 시 삽입이 용이하도록 밀착부(26)에서 단부로 갈 수록 단면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입부(28)는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 홈(29)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가이드홈(29)은 인입부(28)가 제1결합공(11)에 삽입될 시 마찰되는 면적을 줄여주고 인입부(28)의 삽입을 가이드 한다. 이에, 제1,2이격부(22)(24)가 제1결합공에 삽입될 시 더욱 작은 힘으로 부드럽게 삽입이 가능하다.
제2삽입부(30)는 제1삽입부(20)와 동일한 구조로 상기한 제1,2이격부(22)(24)를 가지며, 간답대(2)의 제2결합공(13)에 삽입된다.
연결부(50)는 끈형의 부재로 일단이 제1삽입부(20)와, 타단이 제2삽입부(30)와 연결되어 제1,2삽입부(20)(30)가 제1,2결합공(11)(13)에 삽입되면 고리를 형성한다. 연결부(50)는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져 외력이 발생할 시 변형이 가능하다. 연결부(50)와 제1,2삽입부(20)(30)는 동일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간답대(2)에 설치되는 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체결수단(70)은 연결부(50)와 양식망(4)을 연결하는 결합줄(71)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줄(71)는 연결부와 양식망(4)의 로프(5)에 걸어진 후 매듭이 지어져 연결부와 양식망(4)의 로프(5)를 체결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양식망 고정구(10)는 탄성력에 의해 제1,2삽입부(20)(30)가 간답대(2)의 결합공(11)(13)에 삽입 및 고정되어 작업자가 작은힘으로 간단하게 본 발명의 양식망 고정구(10)를 간답대(2)에 장착할 수 있다. 이에, 고령자 및 여성도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작업이 단순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제1삽입부(4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탄성부(4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삽입부(40)는 간답대(2)와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이격연장부(23)의 외주면에서 소정길이 돌출된 보조탄성부(47)를 더 구비한다.
보조탄성부(47)는 이격연장부(23)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삽입부(40)가 제1결합공(11)에 삽입된 후 체결수단(70)에 의해 양식망(4)과 연결됨에 따라 연결부(50)에 간답대(2)의 외부방향으로 외력이 발생한다. 이때, 발생된 외력에 의해 보조탄성부(47)는 간답대(2)의 내측과 접촉된다. 보조탄성부(47)는 간답대(2)의 내측면과 대응되게 탄성변형되어 간답대(2) 내측면에 밀착하게 된다. 보조탄성부(47)는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소정길이 인입되어 형성된 절개슬릿(48)이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보조탄성부(47)는 탄성부(25)보다 강도가 작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삽입부(40)의 탄성부(45)는 상기한 도 1 내지 도 3의 탄성부(25)와 각각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나, 간답대(2)의 외부방향으로 외력이 발생할 시 간답대(2)의 내측면이 아닌 보조탄성부(47)에 접촉된다. 이때, 탄성부(45)는 변형된 보조탄성부(47)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45)는 보조탄성부(47)보다 강도가 큰 소재로 제작되어 변형된 보조탄성부(47)를 견고히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결합공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결합공(11)과 대향하는 간답대(2)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2삽입부 역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2결합공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제2삽입부는 상기한 제1삽입부(4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양식망 고정구는 보조탄성부(47)에 의해 간답대(2)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간답대(2)와의 결합력이 상승되며, 탄성부(45)가 변형된 보조탄성부(47)를 지지하여 결합이 견고해져 간답대(2)의 외부방향으로 강한 외력이 발생할 시에도 제1삽입부(40),제2삽입부가 제1결합공(11),제2결합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는 체결수단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체결수단(60)은 연결부(50)에 결합되는 체결본체(61)와, 체결본체(61)의 일측에 형성되고 로프(5)를 체결하는 체결고리(63)를 구비한다.
체결본체(61)는 원통형의 부재로 연결부(50)에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다.
체결고리(63)는 체결본체(61)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것으로 로프를 체결할 수 있도록 훅부(64)와. 개폐부(66)가 형성되어 있다.
훅부(64)는 체결본체(61)의 외주면에서 양식망(4)과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내측면이 로프를 감싸 로프가 걸릴 수 있도록 단부가 굴곡지게 형성된다. 개폐부(66)는 체결본체측의 훅부(64)에서 탄성힌지결합되며 훅부(64)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훅부(64)와 고리를 형성한다.
작업자는 체결고리(63)의 개폐부(66)를 가압하여 개폐부(66)가 훅부(64)에 대해 고리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여 고리를 개방시킨 뒤, 양식망(4)의 로프(5)를 인입시키고 개폐부(66)를 가압하는 것을 해지하여 고리 내부에 양식망(4)의 로프(5)를 가둔다. 즉, 원터치 방식으로 손쉽게 로프(5)를 연결부(50)에 체결할 수 있다.
체결고리(6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훅부(68)만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훅부(68)는 인입된 로프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고리를 형성한다. 이처럼 체결고리(65)는 양식망(4) 로프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형태는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체결수단(60)은 별도의 결합줄를 매듭짓는 과정없이 손쉽게 양식망(4)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설치 작업 시간이 더욱더 단축된다. 또한 매듭이 풀려 양식망(4)과 간답대(2)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양식용 고정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간답대(6)는 상기한 간답대(2)와 동일하나 제1결합공과(11) 인접하게 관통된 제3결합공(15)이 더 형성된다. 제2결합공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결합공과 대향하는 간답대(6)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4결합공 역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결합공과 인접하고 제3결합공(15)과 대향하는 간답대(6)의 일측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양식용 고정구(90)는 탄성력에 의해 제3결합공(15)에 삽입되어 간답대(6)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3삽입부(80)와, 탄성력에 의해 제4결합공에 삽입되어 간답대(6)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4삽입부와, 일측이 제3삽입부(80)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4삽입부와 연결되며 양식망(4)과 체결수단(60)에 의해 체결되는 보조연결부(87) 더 구비한다.
제3삽입부(80)는 상기한 제1삽입부(20)와 구조적으로 동일하며, 이 역시 간답대(2)와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이격연장부(23)의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보조탄성부(4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4삽입부는 제3삽입부(80)와 구조적으로 동일하며, 보조탄성부(4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조연결부(87)는 끈형의 부재로 일단이 제3삽입부(80)와, 타단이 제4삽입부와 연결되어 제3삽입부(80)가 제3결합공(15)에 제4삽입부가 제4결합공에 삽입되면 고리를 형성한다. 보조연결부(87)는 연결부(50)와 동일한 구조이며, 체결수단(60)에 의해 양식망(4)과 고정된다.
체결수단(6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본체(61)와 체결고리(63)가 형성될 수 있으나, 결합줄(71)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양식망 고정구(90)는 다수의 삽입부와 연결부에 의해 간답대(2)와 결합력이 상승된다. 이에, 파도 또는 바람등에 의하여 양식망(4)에 강한 외력이 발생할 시에도 쉽게 양식망(4)과 간답대(2)가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한 본 발명의 양식망 고정구는 삽입부가 탄성력에 의해 간답대의 결합공에 삽입 및 고정되어 작업자가 간단하게 간답대에 장착할 수 있으며, 체결수단에 의해 양식망을 적은 힘으로 체결할 수 있어 여성 또는 고령자도 손쉽게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효율이 증대된다.
또한, 간답대와의 결합력이 증진되어 간답대에서 양식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양식망 고정구 11 : 제1결합공
13 : 제2결합공 20 : 제1삽입부
30 : 제2삽입부 50 : 연결부
70 : 체결수단

Claims (6)

  1. 부구에 지지되는 간답대에 양식망을 고정시키기 위한 양식망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간답대는 내부가 빈 중공구조이고 적어도 한쌍의 제1 및 제2 결합공이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간답대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1삽입부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간답대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2삽입부와;
    일측이 상기 제1삽입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삽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양식망과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삽입부 각각은 단부에서 상기 연결부측으로 소정길이 인입되어 형성된 탄성홈에 의해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결합공에 삽입될 시 상호 접촉 및 분리되는 제1 및 제2이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이격부 각각은 상기 탄성홈에 의해 상기 연결부에서 두 갈래로 갈라져서 연장된 이격연장부와, 이격연장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는 이격연장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제1,2결합공에 삽입된 후 상기 간답대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제1,2결합공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밀착부에서 연장되고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작게 형성되는 인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망 고정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삽입부는 상기 간답대와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상기 이격연장부의 외주면에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간답대의 외부방향으로 힘을 받을 시 상기 간답대의 내측과 접촉되며 탄성변형되는 보조탄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탄성부는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소정길이 절개되고 외주면을 따라 이격된 절개슬릿들이 형성되고, 상기 간답대의 외부방향으로 힘을 받을 시 내측에 밀착되며 상기 탄성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망 고정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탄성부는 상기 탄성부 보다 강도가 작은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망 고정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체결본체와, 상기 체결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양식망의 사각테두리를 형성하는 로프를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망 고정구.
  6. 제1항에있어서,
    상기 간답대는 상기 제1,2결합공 각각과 인접하게 관통된 제3 및 제4결합공이 더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3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간답대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3삽입부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4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간답대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4삽입부와;
    일측이 상기 제3삽입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4삽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양식망과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보조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망 고정구.






KR1020180026760A 2018-03-07 2018-03-07 양식망 고정구 KR102182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760A KR102182125B1 (ko) 2018-03-07 2018-03-07 양식망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760A KR102182125B1 (ko) 2018-03-07 2018-03-07 양식망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954A KR20190105954A (ko) 2019-09-18
KR102182125B1 true KR102182125B1 (ko) 2020-11-23

Family

ID=68070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760A KR102182125B1 (ko) 2018-03-07 2018-03-07 양식망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6587A (ko) 2021-01-22 2022-07-29 박진석 양식장용 그물망 고정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9741A (ja) 1993-12-15 2004-01-15 Ooike Co Ltd インサート保持具
KR101744479B1 (ko) 2016-12-08 2017-06-08 죽산에스피주식회사 김양식용 부구체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4775U (ko) * 1980-07-17 1982-02-08
KR20090012196U (ko) 2008-05-27 2009-12-02 주영관 간답대 등에 결합되는 로프 고정용 고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9741A (ja) 1993-12-15 2004-01-15 Ooike Co Ltd インサート保持具
KR101744479B1 (ko) 2016-12-08 2017-06-08 죽산에스피주식회사 김양식용 부구체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6587A (ko) 2021-01-22 2022-07-29 박진석 양식장용 그물망 고정구
KR102579436B1 (ko) * 2021-01-22 2023-09-15 박진석 양식장용 그물망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954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6229B1 (ko) 고추작물용 지지대
KR102182125B1 (ko) 양식망 고정구
KR200477929Y1 (ko) 가름대의 보호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가름대구조물
KR101050765B1 (ko) 과실수용 가지유인벨트
US6779294B2 (en) Breakable link
CN201088095Y (zh) 倒刺式捕鼠器
KR101359869B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의 고정패드의 구조
KR102579436B1 (ko) 양식장용 그물망 고정구
KR100744697B1 (ko) 양식망 지지대
CN106508718A (zh) 一种山林养鸡用便携式围网固定装置
KR20210002578U (ko) 낚시용 수상좌대의 고정지지구
KR20100013065U (ko) 통발
KR200284642Y1 (ko) 양식장용 부구.
CN201261961Y (zh) 一种帐篷以及卡钩装置
JPH0734958Y2 (ja) シングルブレードロープの端末加工
CN205874785U (zh) 拉绳固定结构及晾衣机
CN205555225U (zh) 一种木料运输装置
KR200496658Y1 (ko) 굴 양식용 종패 고정구 및 굴 양식용 종패 고정구 조립체
CN213772612U (zh) 一种晾衣机的钢丝绳快速安装机构及一种晾衣机
KR102139303B1 (ko)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KR101710236B1 (ko) 천 고정 장치
FR2529054A1 (fr) Collier double usage
KR200495235Y1 (ko) 양식로프 고정구
KR102433611B1 (ko) 낚시용 수상좌대의 고정지지구
KR200293271Y1 (ko) 현수막의 양단부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