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378Y1 -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 - Google Patents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378Y1
KR200457378Y1 KR2020110007292U KR20110007292U KR200457378Y1 KR 200457378 Y1 KR200457378 Y1 KR 200457378Y1 KR 2020110007292 U KR2020110007292 U KR 2020110007292U KR 20110007292 U KR20110007292 U KR 20110007292U KR 200457378 Y1 KR200457378 Y1 KR 200457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frame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철식
강상부
Original Assignee
우철식
강상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철식, 강상부 filed Critical 우철식
Priority to KR2020110007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3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3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1Drawers for printed circui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슬릿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의 양측단이 끼워지고,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의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구의 끼움홈에 인쇄회로기판의 중앙측이 끼워짐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양측단은 물론 중앙측이 견고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랙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이동하거나 보관할 때 인쇄회로기판의 흔들거림 및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음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이 꺾이거나 흔들리거나 틀어지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하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1)의 상부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프레임(12)들과 상기 수직프레임(12)들의 중앙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보강프레임(13) 및 상기 수직프레임(12)들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프레임(14)으로 이루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1)에 양측단이 연결되어 지지되며 다수의 안착홈(21)이 형성되는 안착체(2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고 다수의 슬롯(31)들이 대칭되는 방향으로 수직 형성된 제1지지체(30) 및 제2지지체(30a)와; 상기 제1지지체(30)와 제2지지체(30a)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상기 보강프레임(13)에 양면이 각각 지지되고 상기 제1지지체(30) 및 제2지지체(30a)에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31)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끼움홈(41)들이 다수개 형성된 지지구(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loading rack of printed circuit board with supporting tool}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이 끼워지는 지지체 사이에 지지구를 더 구비하여 판상의 인쇄회로기판이 적재되어 보관 또는 이송되는 과정에서 인쇄회로기판의 휘어지거나 틀어지거나 또는 구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CB)을 제조 시 전기 절연성 수지로 된 기판에 회로를 구성하고 회로와 회로 사이에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도록 홀(hole) 가공 후 도금처리를 하며, 상기 기판의 표면에 노출된 회로의 산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기판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에 소정 두께의 인쇄잉크(Photo Solder Resist)를 도포한 후 상기 잉크가 도포된 인쇄회로기판을 여러 장으로 절단하여 외형 가공을 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랙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보관되거나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데, 종래에 사용하던 랙은 대부분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폭이 넓고 상면이 평평한 본체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 여러 장의 기판을 삽입할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길게 슬롯이 형성되되, 상기 슬롯은 잉크 도포(인쇄) 후 잉크가 굳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기판이 서로 닿지 않도록 소정 간격마다 이격된 상태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랙은 서로 대응되는 슬롯에 단순하게 인쇄회로기판이 끼워져 지지되기 때문에, 판상의 인쇄회로기판이 이동이나 보관 중에 흔들거리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이 흔들거림에 따라 판상으로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이 휘어지거나 꺾이거나 또는 틀어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즉, 얇은 판상의 인쇄회로기판을 단순히 서로 대응되는 슬롯에 끼워 지지함에 따라 많은 개수의 인쇄회로기판이 끼워진 랙을 이송할 경우, 흔들거림과 유동이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바, 이 때 흔들거림과 유동이 인쇄회로기판이 그대로 전달되어 인쇄회로기판의 중앙측이 무방비 상태로 놓여짐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이 많이 흔들리게 되어 결국 인쇄회로기판이 휘어지거나 꺾이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는, 얇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위치가 인쇄회로기판이 랙의 슬롯에 끼워지는 양측에만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의 중앙측은 아무런 지지수단이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그대로 무방비 상태로 놓이게 되기 때문이다.
종래 기술로서, 등록특허 10-0982267호인 인쇄회로기판의 흑화처리용 랙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베이스 몸체와, 상기 베이스 몸체 내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고정가이드와, 상기 고정가이드에 관통 결합된 다수의 고정바 및 상기 다수의 고정바 양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지지구가 등간격으로 배치된 필름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박적층필름이 랙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동박적층필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과 아울러 동박적층필름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제품불량과 제품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 역시 인쇄회로기판을 구성하는 동박적층필름의 지지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필름의 양측에만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도중에 인쇄회로기판이 흔들거림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인쇄회로기판을 적재하는 랙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쇄회로기판의 양측이 각각 끼워지는 지지체의 사이에 인쇄회로기판의 중앙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구를 더 구비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양측은 물론 중앙부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랙에 인쇄회로기판을 끼운 후 이동하거나 또는 보관할 때 인쇄회로기판의 유동 및 흔들거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은,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상부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앙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보강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에 양측단이 연결되어 지지되며 다수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고 다수의 슬롯이 대칭되는 방향으로 수직 형성된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와; 상기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상기 보강프레임에 양면이 각각 지지되고 상기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에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끼움홈이 다수개 형성된 지지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프레임에는 상기 제1지지체 또는 제2지지체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상기 제1지지체 또는 제2지지체의 양측면에 연결되는 위치조절구가 더 구비되어, 상기 위치조절구에 의해 상기 제1지지체 또는 제2지지체의 위치가 상기 보강프레임의 좌우측 방향으로 가변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슬릿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의 양측단이 끼워지고,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의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구의 끼움홈에 인쇄회로기판의 중앙측이 끼워짐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양측단은 물론 중앙측이 견고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랙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이동하거나 보관할 때 인쇄회로기판의 흔들거림 및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음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이 꺾이거나 흔들리거나 틀어지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절구에 의해 제1지지체 또는 제2지지체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고, 위치가변구에 의해 지지구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재되는 인쇄회로기판의 크기에 맞도록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 및 지지구의 위치를 이동시켜 가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에 인쇄회로기판이 끼워지는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에 인쇄회로기판이 끼워져 적재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의 다른 구성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의 또 다른 구성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은, 몸체(10)와, 인쇄회로기판(101)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체(20)와, 인쇄회로기판(101)의 양측단이 끼워져 지지되는 제1지지체(30) 및 제2지지체(30a)와, 인쇄회로기판(101)의 중앙측이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구(4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하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1)의 상부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프레임(12)들과 상기 수직프레임(12)들의 중앙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보강프레임(13) 및 상기 수직프레임(12)들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프레임(14)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하부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 보강프레임(13) 및 상부프레임(14)은 서로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안착체(20)는, 상기 몸체(10)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1)에 양측단이 연결되어 지지되며 다수의 안착홈(21)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안착체(20) 역시 상기 하부프레임(11)에 양측단이 밀착되어 용접작업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체(30) 및 제2지지체(30a)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고 다수의 슬롯(31)들이 대칭되는 방향으로 수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1지지체(30) 및 제2지지체(30a)는, 상기 몸체(10)를 구성하는 보강프레임(13)에 양측단이 각각 밀착되어 용접작업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지지체(30)와 제2지지체(30a) 중 상기 몸체(10)의 가장 양측에 위치되는 지지체는 상기 몸체에 완전히 고정되고 이들 고정되는 지지체와 대응되는 지지체들은 상기 보강프레임(13)에 연결되어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지지구(40)는, 상기 제1지지체(30)와 제2지지체(30a)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상기 보강프레임(13)에 양면이 각각 지지되고 상기 제1지지체(30) 및 제2지지체(30a)에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31)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끼움홈(41)들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101)을 적재하여 이동하거나 또는 보관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101)의 양측단은 상기 제1지지체(30)와 제2지지체(30a)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슬롯(31)에 끼워진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01)의 중앙측은 상기 제1지지체(30)와 제2지지체(30a) 사이에 위치되어 구비되는 상기 지지구(40)의 끼움홈(41)에 끼워져 지지된다.
따라서, 얇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인쇄회로기판(101)의 양측단은 물론 중앙측까지도 지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101)을 적재한 상태에서 이동하거나 보관하더라도, 인쇄회로기판의 흔들거림이 최소화될 수 있어 인쇄회로기판의 틀어짐이나 꺾어짐 또는 구부러짐 등이 방지된다.
상기 보강프레임(13)에는 상기 제1지지체(30) 또는 제2지지체(30a)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상기 제1지지체(30) 또는 제2지지체(30a)의 양측면에 연결되는 위치조절구(50)가 더 끼워지고, 상기 위치조절구(50)에는 상기 보강프레임(13)에 위치고절구(50)를 고정하는 회전고정구가 더 구비되어, 상기 위치조절구(50)가 상기 보강프레임(13)을 타고 좌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지지체(30) 또는 제2지지체(30a)의 위치가 상기 보강프레임(13)의 좌우측 방향으로 가변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조절구(50)와 상기 제1지지체(30) 또는 제2지지체(30a)는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용접작업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구(50)는 상기 보강프레임(13)에 끼워지는 파이프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조절구(50)를 보강프레임(13)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지지체(30) 또는 제2지지체(30a)의 위치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음에 따라 인쇄회로기판(101)의 크기에 따라 제1지지체(30) 또는 제2지지체(30a)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구(40)에는 상기 보강프레임(13)에 고정되는 위치가변구(6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위치가변구(60)에는 상기 보강프레임(13)의 좌우측방향으로 지지구(40)의 위치를 이동한 후, 이동된 지지구(4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조임구(61)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지지체(30) 또는 제2지지체(30a)의 위치가 조절되어 인쇄회로기판이 끼워지더라도 끼워지는 인쇄회로기판의 중앙측에 상기 지지구(4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어 인쇄회로기판의 크기에 관계없이 인쇄회로기판의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몸체 11 : 하부프레임
12 : 수직프레임 13 : 보강프레임
14 : 상부프레임 20 : 안착체
21 : 안착홈 30 : 제1지지체
30a : 제2지지체 31 : 슬롯
40 : 지지구 41 : 끼움홈
50 : 위치조절구 51 : 회전고정구
60 : 위치가변구 61 : 고정조임구

Claims (3)

  1. 하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1)의 상부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프레임(12)들과 상기 수직프레임(12)들의 중앙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보강프레임(13) 및 상기 수직프레임(12)들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프레임(14)으로 이루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1)에 양측단이 연결되어 지지되며 다수의 안착홈(21)이 형성되는 안착체(2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고 다수의 슬롯(31)들이 대칭되는 방향으로 수직 형성된 제1지지체(30) 및 제2지지체(30a)와; 상기 제1지지체(30)와 제2지지체(30a)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상기 보강프레임(13)에 양면이 각각 지지되고 상기 제1지지체(30) 및 제2지지체(30a)에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31)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끼움홈(41)들이 다수개 형성된 지지구(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프레임(13)에는 상기 제1지지체(30) 또는 제2지지체(30a)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상기 제1지지체(30) 또는 제2지지체(30a)의 양측면에 연결되는 위치조절구(50)가 더 끼워지고, 상기 위치조절구(50)에는 상기 보강프레임(13)에 위치고절구(50)를 고정하는 회전고정구(51)가 더 구비되어, 상기 위치조절구(50)가 상기 보강프레임(13)을 타고 좌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지지체(30) 또는 제2지지체(30a)의 위치가 상기 보강프레임(13)의 좌우측 방향으로 가변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구(40)에는 상기 보강프레임(13)에 고정되는 위치가변구(6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위치가변구(60)에는 상기 보강프레임(13)의 좌우측방향으로 지지구(40)의 위치를 이동한 후, 이동된 지지구(4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조임구(61)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
  2. 삭제
  3. 삭제
KR2020110007292U 2011-08-11 2011-08-11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 KR200457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292U KR200457378Y1 (ko) 2011-08-11 2011-08-11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292U KR200457378Y1 (ko) 2011-08-11 2011-08-11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378Y1 true KR200457378Y1 (ko) 2011-12-16

Family

ID=45569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292U KR200457378Y1 (ko) 2011-08-11 2011-08-11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3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0414A (zh) * 2013-04-23 2014-10-29 Si弗莱克斯有限公司 用于改善操作的化学镀金篮
KR101746673B1 (ko) * 2017-03-08 2017-06-27 (주)본트로닉스 인쇄스크린 유닛용 보관함
KR101822849B1 (ko) * 2016-06-01 2018-01-30 주식회사 디에이피 어큐뮬레이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801Y1 (ko) * 2000-05-03 2000-09-15 서한산업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탑재용 래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801Y1 (ko) * 2000-05-03 2000-09-15 서한산업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탑재용 래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0414A (zh) * 2013-04-23 2014-10-29 Si弗莱克斯有限公司 用于改善操作的化学镀金篮
KR101822849B1 (ko) * 2016-06-01 2018-01-30 주식회사 디에이피 어큐뮬레이터
KR101746673B1 (ko) * 2017-03-08 2017-06-27 (주)본트로닉스 인쇄스크린 유닛용 보관함
WO2018164341A1 (ko) * 2017-03-08 2018-09-13 ㈜본트로닉스 인쇄스크린 유닛용 보관함
CN110382169A (zh) * 2017-03-08 2019-10-25 梵尼克斯有限公司 用于印刷网板单元的保管箱
CN110382169B (zh) * 2017-03-08 2022-09-02 梵尼克斯有限公司 用于印刷网板单元的保管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378Y1 (ko) 지지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
US20110067901A1 (en) Package substrate
CN104853581A (zh) 基板检查装置和部件安装装置
KR100986793B1 (ko)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
JP4128115B2 (ja) プリント配線板めっき治具
JP6212330B2 (ja) 部品トレー
JP7223504B2 (ja) 回路付サスペンション基板集合体および回路付サスペンション基板集合体の製造方法
WO2008134965A1 (fr) Module et ensemble électrique
US9801275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440407B (zh) 印刷電路板及其製造方法和製造印刷電路板之製作面板
KR101193230B1 (ko) 다중 사이즈 패키지 소켓
KR102013066B1 (ko) 인쇄회로기판 적재장치
KR100982267B1 (ko) 인쇄회로기판의 흑화처리용 랙
JPH11317568A (ja) 配線基板の補強方法
JP4702238B2 (ja) プリント基板
TWI664651B (zh) Coil package module
JP2012084742A (ja) リフロ用治具及びリフロ加熱方法
KR20140033272A (ko) 기판 이송을 위한 캐리어 지그
JP6378265B2 (ja) プリント基板接続構造
KR101435432B1 (ko)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랙
JP2010212407A (ja) 配線基板
JP2017028215A (ja) コネクタ実装基板
KR101948619B1 (ko) 적층용 지그
KR101622314B1 (ko) 기판조립용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기판조립체
JP5352251B2 (ja) プリント配線板の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