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148Y1 -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148Y1
KR200457148Y1 KR2020100006050U KR20100006050U KR200457148Y1 KR 200457148 Y1 KR200457148 Y1 KR 200457148Y1 KR 2020100006050 U KR2020100006050 U KR 2020100006050U KR 20100006050 U KR20100006050 U KR 20100006050U KR 200457148 Y1 KR200457148 Y1 KR 200457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hopper
bracket
proces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진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6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1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1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3/00Handling of coins or of valuable papers, characterised by a combination of mechanis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G07D1/00 - G07D11/0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02Sorting coins by means of graded apertur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코인을 입출금 처리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써, 코인들이 저장되는 코인 호퍼의 장탈착 구조를 단순하게 형성할 수 있고, 코인 호퍼의 장탈착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코인 호퍼들을 작은 공간에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 {APPARATUS FOR HANDLING COIN USED IN AUTOMATIC TELLER MACHINE}
본 고안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인 호퍼(coin hopper)들을 간편하게 장탈착시켜 코인 호퍼의 사용 편의성과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코인 호퍼들을 복수개의 열로 배치하여 코인 호퍼들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utomatic Teller Machine, ATM)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와 입금기 및 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는 현금, 수표, 티켓, 상품권 등과 같은 종이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코인(coin)의 입출금이 가능한 금융자동화기기가 출시되었다.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는 지폐, 수표, 상품권 등과 같은 종이매체뿐만 아니라 이전에는 사용이 불가능했던 코인도 입출금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창구 직원의 도움없이도 금융자동화기기를 통하여 코인의 입출금 처리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는 코인의 입출금을 처리하는 코인처리기가 구비되어 있다. 즉, 코인처리기는 고객의 코인을 입금 처리하거나 또는 고객에게 코인을 출금 처리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코인처리기의 내부에는 입출금에 사용되는 코인을 저장하는 코인 호퍼가 구비될 수 있다. 코인 호퍼는 코인처리기의 내부에 코인의 종류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금융자동화기기의 정산시에는 코인처리기의 내부에서 코인을 꺼낸 후 코인의 금액을 정산할 수 있으며, 코인처리기의 유지 보수시에는 코인 호퍼 내에 저장된 코인을 모두 꺼낸 후 유지 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코인의 인출 작업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코인처리기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에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콤팩트화를 위하여 코인의 저장량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전체적인 크기는 축소된 코인처리기가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코인이 수용된 코인 호퍼를 간편하게 장탈착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코인 호퍼를 간단한 작업으로 호퍼 베이스에 장탈착할 수 있고, 코인 호퍼의 장착시 코인 호퍼에 전원과 제어 신호를 자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복수개의 코인 호퍼들을 2열로 배열하여 코인 호퍼들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인(coin)을 입금 또는 출금 처리하는 코인처리기 본체, 상기 코인처리기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코인처리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호퍼 베이스, 및 상기 호퍼 베이스에 장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코인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코인 호퍼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를 제공한다.
즉, 상기 코인처리기 본체로부터 상기 호퍼 베이스를 외부로 인출하고, 상기 호퍼 베이스에 상기 코인 호퍼를 간편하게 장착하거나 또는 상기 호퍼 베이스로부터 상기 코인 호퍼를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인 호퍼의 유지 보수시 상기 코인 호퍼의 교체 작업 및 정비 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호퍼 베이스와 분리된 상태로 상기 코인 호퍼를 취급하여 상기 코인의 정산 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코인처리기 본체와 상기 호퍼 베이스는 레일 이동 방식으로 수평 이동되고, 상기 호퍼 베이스의 측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를 이용하여 상기 호퍼 베이스를 상기 코인처리기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코인처리기 본체에는 상기 코인을 입금하는 코인 입금부 또는 상기 코인을 출금하는 코인 출금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인 호퍼에는 상기 코인 입금부에 입금된 코인이 투입되는 투입구 또는 상기 코인 출금부로 출금되는 코인을 배출하는 배출구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인처리기는 상기 코인의 입금, 출금, 또는 입출금을 수행하는 코인입금기, 코인출금기, 또는 코인입출금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코인입금기는, 상기 코인처리기 본체에 상기 코인 입금부가 구비되고, 상기 코인 호퍼에 투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코인출금기는, 상기 코인처리기 본체에 상기 코인 출금부가 구비되고, 상기 코인 호퍼에 배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코인입출금기는, 상기 코인처리기 본체에 상기 코인 입금부와 상기 코인 출금부가 구비되고, 상기 코인 호퍼에 상기 투입구와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코인처리기 본체에 상기 코인 출금부가 구비되고 상기 코인 호퍼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될 경우, 상기 배출구와 상기 코인 출금부 사이에는 상기 배출구에서부터 상기 코인 출금부로 상기 코인을 이송하는 이송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 가이드는 상기 코인이 자중에 의해 이동되는 통로이거나, 상기 코인을 기구적으로 이송하는 이송 기구일 수 있다.
상기 호퍼 베이스에는 코인을 종류 별로 수용하는 복수개의 코인 호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인 호퍼들은 상기 이송 가이드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코인 호퍼들은 상기 호퍼 베이스에 2열로 길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 가이드는 상기 코인 호퍼들의 열과 열 사이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 가이드의 양측부는 상기 코인 호퍼들의 배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송 가이드의 하부는 상기 코인 출금부에 근접함에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인 호퍼들 내의 코인은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이송 가이드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고, 상기 이송 가이드의 하부를 따라 자중에 의해 상기 코인 출금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코인 호퍼의 하부에는 호퍼 브래킷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호퍼 베이스에는 상기 호퍼 브래킷이 장착되는 브래킷 장착부 및 상기 호퍼 브래킷을 지지하는 브래킷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래킷 장착부와 상기 호퍼 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는 장착홀이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브래킷 장착부와 상기 호퍼 브래킷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장착홀에 슬라이딩 끼움되는 장착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장착돌기를 장착홀에 끼워 넣는 한번의 조작만으로 상기 호퍼 브래킷을 상기 브래킷 장착부에 간편하게 장탈착시킬 수 있다.
상기 브래킷 지지부는 상기 호퍼 브래킷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 지지부는 상기 호퍼 브래킷의 장탈착을 안내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호퍼 브래킷의 장탈착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호퍼 브래킷이 상기 브래킷 장착부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브래킷 지지부에도 밀착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 장착부와 상기 호퍼 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는 핀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브래킷 장착부와 상기 호퍼 브래킷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핀홀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핀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호퍼 브래킷이 상기 브래킷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고정핀이 상기 핀홀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호퍼 브래킷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 브래킷에는 상기 브래킷 지지부와 접촉되는 부위에 수 커넥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브래킷 지지부에는 상기 호퍼 브래킷의 장착시 상기 수 커넥터와 접속되어 전원 또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암 커넥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호퍼 브래킷이 상기 브래킷 장착부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브래킷 지지부에 밀착되면, 상기 수 커넥터도 상기 암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 커넥터와 상기 암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코인 호퍼에 전원 또는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는, 코인 호퍼를 코인 베이스에 장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코인 호퍼의 교체 및 유지 보수를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고, 코인의 회수 및 보충 작업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는, 코인이 저장된 상태의 코인 호퍼를 코인 베이스로부터 분리하여 코인 호퍼 내의 코인을 간편하게 회수할 수 있으므로, 코인처리기 내의 코인을 쉽게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금융자동화기기의 정산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는, 코인 호퍼가 장착된 호퍼 베이스가 코인처리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므로, 코인처리기 본체의 내부에서 장착탈 작업이 용이한 위치로 코인 호퍼를 이동시켜 코인 호퍼의 장탈착 작업시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는, 코인 호퍼를 단한번의 끼워 넣는 동작만으로 호퍼 베이스에 장착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코인 호퍼와 호퍼 베이스에 구비된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도 동시에 접속되므로, 코인 호퍼에 전원 또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선 또는 신호선을 생략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전원선 또는 신호선을 연결하는 작업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는, 복수개의 코인 호퍼들을 호퍼 베이스에 2열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코인 호퍼들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코인처리기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금융자동화기기의 외형 증가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코인처리기의 코인 호퍼와 호퍼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코인 호퍼와 호퍼 베이스의 장탈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호퍼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코인 호퍼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코인처리기(100)가 코인의 입금 기능과 출금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코인입출금기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인의 입금 기능이나 출금 기능을 각각 수행하는 코인입금기 또는 코인출금기일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인처리기(100)는 코인처리기 본체(110), 호퍼 베이스(120), 및 코인 호퍼(13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코인 호퍼(130)들에 따른 코인의 입금 과정 및 출금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코인 호퍼(130)들이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인 호퍼(130)들이 2열로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은 코인 호퍼(130)들의 배치 구조는 추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코인처리기 본체(110)는 케이스(111), 코인 입금부(112), 코인 출금부(113), 코인 식별부(114), 및 코인 일시 저장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인처리기 본체(110)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11)는 박스 형상의 부재로써, 코인처리기 본체(110)의 외형을 형성하고, 코인 입금부(112), 코인 출금부(113), 코인 식별부(114), 코인 일시 저장부(115), 호퍼 베이스(120), 및 코인 호퍼(130)를 외부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코인 입금부(112)는 케이스(111)에 입금되는 코인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코인 입금부(112)는 케이스(111)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코인 입금부(112)는 코인 호퍼(130)로 코인을 이송하기 위한 입금용 코인 이송부(112a)를 구비할 수 있다. 입금용 코인 이송부(112a)는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와 롤러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코인 출금부(113)는 케이스(111)로부터 출금되는 코인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코인 출금부(113)는 코인 입금부(112)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케이스(111)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코인처리기(100)는 일반적으로 설계의 편의성 및 구조의 단순함을 위하여 코인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면서 입출금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코인 출금부(113)가 코인 입금부(112)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인 출금부(113)는 코인 호퍼(130)에서부터 코인을 이송하기 위한 출금용 코인 이송부(113a)를 구비할 수 있다. 출금용 코인 이송부(113a)는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와 롤러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코인 식별부(114)는 코인 입금부(112)로 입금된 코인의 상태를 식별하는 장치이다. 코인 식별부(114)는 입금용 코인 이송부(112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코인 식별부(114)는 코인의 형상, 무게, 소재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코인 식별부(114)가 코인을 정상이라고 판별하면, 입금용 코인 이송부(112a)가 정상 코인을 코인 호퍼(130)로 이송한다. 이와 같은 코인의 입금 동선은 도 1에 화살표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반면에 코인 식별부(114)가 코인을 비정상 또는 코인이 아닌 물체라고 판별하면, 입금용 코인 이송부(112a)는 비정상 코인 또는 코인이 아닌 물체를 코인 출금부(113)를 통해 반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코인의 반환 동선은 도 1에 화살표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비정상 코인은 입금용 코인 이송부(112a)에 의해 이송이 불가능한 상태로 파손되거나 변형된 코인이며, 코인이 아닌 물체는 코인들에 섞여 있는 클립이나 단추 등과 같이 물체이다.
코인 식별부(114)는 정상 코인을 종류별로 식별할 수도 있다. 즉, 입금용 코인 이송부(112a)에 의해 이송되는 정상 코인도 금액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국내의 코인은 금액에 따라 10원, 50원, 100원, 500원 등과 같이 서로 다른 크기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의 코인은 외국의 코인이나 카지노의 코인과 같은 유사 코인과도 다른 형상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인 식별부(114)는 코인 입금부(112)로 입금되는 국내의 코인을 금액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금융 거래에 사용돠지 않는 유사 코인을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인 일시 저장부(115)는 코인 입금부(112)로 입금된 코인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부재이다. 코인 일시 저장부(115)는 코인 입금부(112)와 코인 호퍼(130) 및 코인 출금부(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인 일시 저장부(115)는 입출금되는 코인의 종류에 따라 케이스(111)의 내부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인 일시 저장부(115)들에는 코인이 종류별로 분리 저장된다. 코인 일시 저장부(115)는 입금용 코인 이송부(112a)로부터 자유 낙하되는 방식으로 코인이 투입될 수 있도록 입금용 코인 이송부(112a)의 하측에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인 입금부(112)로 입금된 코인은 입금용 코인 이송부(112a)에 의해 이송된 후 코인 일시 저장부의 내부로 자유 낙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인 일시 저장부(115)에 코인이 일시 저장된 상태에서 코인처리기 본체(110)에 입금 명령이 설정시간 내에 입력되지 않으면, 코인 일시 저장부 내의 코인은 출금용 코인 이송부(113a)로 배출된 후 코인 출금부(113)에 의해 코인처리기 본체(110)의 외부로 반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인처리기 본체(110)에 출금 명령이 입력되면, 코인 호퍼(130) 내의 코인은 코인 출금부(113)로 배출된 후 코인 출금부(113)에 의해 코인처리기 본체(110)의 외부로 출금될 수 있다.
한편, 코인처리기 본체(110)에는 각종 부품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자체적으로 전원을 제공하거나 금융자동화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인처리기(100)가 코인입금기이면, 코인 출금부(113) 및 후술할 코인 호퍼(130)의 배출구(134)가 생략될 수 있으며, 코인처리기(100)가 코인출금기이면, 코인 입금부(112) 및 후술할 코인 호퍼(130)의 투입구(132)가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코인처리기의 코인 호퍼와 호퍼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코인 호퍼와 호퍼 베이스의 장탈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호퍼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코인 호퍼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상기 호퍼 베이스(120)는 케이스(111)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판 형상의 부재로써 코인처리기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코인처리기 본체(1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인처리기 본체(110)와 호퍼 베이스(120)는 레일 이동 방식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즉, 케이스(111)의 내부에는 이동 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호퍼 베이스(120)의 양측부에는 이동 롤러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레일(12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호퍼 베이스(120)에는 손잡이(124)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124)를 이용하여 호퍼 베이스(120)를 코인처리기 본체(110)로부터 원활하게 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호퍼 베이스(120)는 코인 일시 저장부(11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호퍼 베이스(120)의 상부에는 코인 호퍼(130)가 장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호퍼 베이스(120)의 상부에는 코인 호퍼(130)에서부터 코인 출금부(113)로 코인을 이송하는 이송 가이드(12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송 가이드(126)는 코인 호퍼(130)와 코인 출금부(113)를 연결하도록 호퍼 베이스(1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송 가이드(126)는 자중에 의해 코인이 이동되는 통로 구조로 형성되거나, 컨베이어 벨트와 같이 기구적으로 코인을 이송하는 이송 기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자중에 의해 코인이 이동되는 통로로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송 가이드(126)는 코인의 통과가 가능한 크기로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될 수 있고, 코인 호퍼(130)와 코인 출금부(113)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코인 호퍼(130)에서 코인 출금부(113)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126a)이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코인 호퍼(130)는 코인 입금부(112)에 입금된 코인 및 코인 출금부(113)로 출금될 코인을 저장하는 부재이다. 코인 호퍼(130)는 코인처리기 본체(110)에서 처리되는 코인의 종류에 따라 호퍼 베이스(120)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코인 호퍼(130)가 호퍼 베이스(120)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코인처리기(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코인 호퍼(130)는 다양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코인 호퍼(130)의 상부에는 코인 입금부(112)의 코인이 투입되는 투입구(1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인 호퍼(130)의 하부에는 코인 출금부(113)의 코인이 배출되는 배출구(13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투입구(132)는 코인 일시 저장부(115)에서 자유 낙하되는 코인이 투입될 수 있도록 코인 호퍼(13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34)는 코인 호퍼(13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송 가이드(126)의 측면부에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이송 가이드(126)의 측면부에는 배출구(134)와 연통되게 연결되기 위하여 코인 호퍼(130)의 배출구(134)와 밀착되는 부위에 연통홀부(126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인 호퍼(130)들은 호퍼 베이스(120)에 이송 가이드(126)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인 호퍼(130)들은 호퍼 베이스(120)의 상면에 2열로 길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송 가이드(126)는 코인 호퍼(130)들의 열과 열 사이에 코인 호퍼(130)들의 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인 호퍼(130)들의 배출구(134)는 이송 가이드(126)의 양측부에 서로 대향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배출구(134)들과 이송 가이드(126)의 연결 부위는 이송 가이드(12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코인 호퍼(130)의 하부에는 호퍼 브래킷(140)이 구비될 수 있고, 호퍼 베이스(120)에는 호퍼 브래킷(140)이 장착되는 브래킷 장착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코인 호퍼(130)는 호퍼 브래킷(140)과 브래킷 장착부(150)에 의해 호퍼 베이스(120)에 장탈착될 수 있다.
여기서, 브래킷 장착부(150)와 호퍼 브래킷(140) 중 어느 하나에는 장착홀(142)이 돌출될 수 있고, 브래킷 장착부(150)와 호퍼 브래킷(140) 중 다른 하나에는 장착홀(142)에 슬라이딩 끼움되는 장착돌기(152)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브래킷 장착부(150)에 장착홀(142)이 구비되고 호퍼 브래킷(140)에 장착돌기(152)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호퍼 브래킷(140)은 장착돌기(152)를 장착홀(142)에 끼워 넣는 한번의 조작만으로 브래킷 장착부(150)에 간편하게 장탈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착돌기(152)는 호퍼 베이스(120)의 상부에 체결된 볼트(bol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장착홀(142)은 브래킷 장착부(150)에 호퍼 브래킷(140)의 장탈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sli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홀(142)은, 장착돌기(152)의 볼트 머리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삽입홀부(142a), 및 삽입홀부(142a)에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슬릿홀부(142b)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돌기(152)는 코인 호퍼(130)의 장착시 삽입홀부(142a)에 삽입된 후 슬릿홀부(142b)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호퍼 브래킷(140)은 장착돌기(152)의 볼트 머리와 호퍼 베이스(12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브래킷 장착부(150)와 호퍼 브래킷(140) 중 어느 하나에는 핀홀(144)이 형성될 수 있고, 브래킷 장착부(150)와 호퍼 브래킷(140) 중 다른 하나에는 핀홀(144)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핀(154)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브래킷 장착부(150)에 핀홀(144)이 구비되고 호퍼 브래킷(140)에 고정핀(154)이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호퍼 브래킷(140)이 브래킷 장착부(150)에 장착되면, 고정핀(154)이 핀홀(144)에 삽입되어 호퍼 브래킷(140)과 브래킷 장착부(150)의 결합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핀(154)은 호퍼 베이스(120)의 상부에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핀(pin)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핀홀(144)은 호퍼 브래킷(140)과 브래킷 장착부(150)의 장착시 고정핀(15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호퍼 브래킷(140)이 브래킷 장착부(150)에 장착되면, 고정핀(154)이 핀홀(144)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호퍼 브래킷(14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브래킷 장착부(150)에는 호퍼 브래킷(140)을 지지하는 브래킷 지지부(156)가 구비될 수 있다. 브래킷 지지부(156)는 호퍼 브래킷(14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인 호퍼(130)가 호퍼 베이스(120)에 장착되면, 호퍼 브래킷(140)이 브래킷 지지부(156)에 밀착되고, 브래킷 지지부(156)에 의해 호퍼 브래킷(14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브래킷 지지부(156)는 호퍼 브래킷(140)의 장탈착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호퍼 브래킷(140)의 장탈착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호퍼 브래킷(140)이 ‘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브래킷 지지부(156)는 호퍼 브래킷(140)이 삽입 가능한 ‘ㄷ’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호퍼 브래킷(140)과 브래킷 지지부(156)는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호퍼 브래킷(140)에는 브래킷 지지부(156)와 접촉되는 부위에 수 커넥터(148)가 형성될 수 있고, 브래킷 지지부(156)에는 호퍼 브래킷(140)의 장착시 수 커넥터(148)와 접속되어 전원 또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암 커넥터(158)가 형성될 수 있다. 암 커넥터(158)는 코인처리기 본체(110)의 전원 또는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코인처리기 본체(11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호퍼 브래킷(140)이 브래킷 장착부(150)에 장착되면, 호퍼 브래킷(140)과 브래킷 지지부(156)의 밀착시 수 커넥터(148)가 암 커넥터(158)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100)에 대한 코인 호퍼(130)의 장탈착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코인 호퍼(130)의 탈착 과정을 설명한다. 코인처리기 본체(110)의 케이스(111)로부터 호퍼 베이스(120)를 외측을 향해 잡아 당긴다. 그렇게 되면, 호퍼 베이스(120)는 이동 롤러와 이동 레일(12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고, 코인 호퍼(130)도 호퍼 베이스(120)와 함께 케이스(111)의 외측에 노출되어 코인 호퍼(130)의 탈착 작업이 용이히게 실시된다.
이후, 코인 호퍼(130)의 호퍼 브래킷(140)의 고정핀(154)을 상측으로 잡아 당겨 고정핀과 핀홀(144)을 분리하고, 그 상태에서 코인 호퍼(130)를 호퍼 베이스(120)의 브래킷 지지부(156)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따라서, 호퍼 베이스(120)의 장착돌기(152)는 호퍼 브래킷(140)의 장착홀(142)을 따라 이동된다. 즉, 장착돌기(152)는 장착홀(142)의 슬릿홀부(142b)를 따라 이동된 후 장착홀(142)의 삽입홀부(142a)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장착돌기(152)가 삽입홀부(142a)에 위치되면, 코인 호퍼(130)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장착돌기(152)로부터 장착홀(142)을 이탈시킨다. 즉, 호퍼 브래킷(140)을 호퍼 베이스(120)의 브래킷 장착부(150)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 있으며, 코인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코인 호퍼(130)를 원하는 장소까지 간편하게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인처리기 본체(110)에 입금된 코인을 코인 호퍼(130)에 담겨진 상태로 한번에 이송시켜 코인 호퍼(130) 내의 코인을 원활하게 정산할 수 있다.
한편, 코인 호퍼(130)의 장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방법으로 코인처리기 본체(110)의 케이스(111)에서 호퍼 베이스(120)를 외측으로 인출하고, 호퍼 베이스(120)의 브래킷 장착부(150)의 장착돌기(152)가 코인 호퍼(130)의 호퍼 브래킷(140)의 장착홀(142)에 삽입되도록 코인 호퍼(130)를 호퍼 베이스(12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장착돌기(152)는 장착홀(142)의 삽입홀부(142a)에 관통되게 삽입된 상태이며, 호퍼 브래킷(140)의 고정핀(154)은 상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이다.
이후, 코인 호퍼(130)를 호퍼 베이스(120)의 브래킷 지지부(156)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따라서, 호퍼 베이스(120)의 장착돌기(152)는 호퍼 브래킷(140)의 장착홀(142)을 따라 이동된다. 즉, 장착돌기(152)는 장착홀(142)의 삽입홀부(142a)에서 슬릿홀부(142b)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호퍼 브래킷(140)이 브래킷 지지부(156)에 밀착되면, 호퍼 브래킷(140)의 고정핀(154)은 브래킷 장착부(150)의 핀홀(144)과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핀홀(144)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며, 그로 인하여 호퍼 브래킷(140)은 브래킷 장착부(15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호퍼 브래킷(140)이 브래킷 지지부(156)에 밀착되면, 호퍼 브래킷(140)의 수 커넥터(148)가 브래킷 지지부(156)의 암 커넥터(158)에 자동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인처리기 본체(110)의 전원 및 제어 신호 등이 호퍼 베이스(120), 암 커넥터(158), 수 커넥터(148), 및 호퍼 브래킷(140)을 통해 코인 호퍼(13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코인 호퍼(130)가 구동 가능하게 된다.
그런 다음에, 코인 호퍼(130)가 장착된 호퍼 베이스(120)를 케이스(111)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코인처리기(100)는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코인처리기(100)는, 코인처리기 본체(110)에서 호퍼 베이스(120)를 인출한 후 코인 호퍼(130)를 간편하게 탈착하거나, 또는 호퍼 베이스(120)에 코인 호퍼(130)를 간편하게 장착한 후 호퍼 베이스(120)를 코인처리기 본체(110)에 수납한다. 따라서, 코인 호퍼(130)의 교체 및 유지 보수시 코인 호퍼(130)의 교체와 정비 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코인이 종류별로 저장된 상태로 코인 호퍼(130)들을 취급할 수 있어 코인의 정산 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코인처리기
110: 코인처리기 본체
120: 호퍼 베이스
130: 코인 호퍼
140: 호퍼 브래킷
150: 브래킷 장착부

Claims (7)

  1. 코인(coin)을 입금 또는 출금 처리하는 코인처리기 본체;
    상기 코인처리기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코인처리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호퍼 베이스; 및
    상기 호퍼 베이스에 장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코인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코인 호퍼(coin hopper);를 포함하고,
    상기 코인처리기 본체와 상기 호퍼 베이스는 레일 이동 방식으로 수평 이동되고, 상기 호퍼 베이스의 측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코인처리기 본체에는 상기 코인을 입금하는 코인 입금부 또는 상기 코인을 출금하는 코인 출금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고, 상기 코인 호퍼에는 상기 코인 입금부에 입금된 코인이 투입되는 투입구 또는 상기 코인 출금부로 출금되는 코인을 배출하는 배출구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와 상기 코인 출금부 사이에는 상기 배출구에서부터 상기 코인 출금부로 상기 코인을 이송하는 이송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호퍼 베이스에는 코인의 금액, 크기, 무게, 또는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코인을 분리 수용하는 복수개의 코인 호퍼가 구비되고, 상기 코인 호퍼들은 상기 이송 가이드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인 호퍼들은 상기 호퍼 베이스에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 가이드는 상기 코인 호퍼들의 열과 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 가이드의 양측부는 상기 코인 호퍼들의 배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이송 가이드의 하부는 상기 코인 출금부을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인 호퍼의 하부에는 호퍼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호퍼 베이스에는 상기 호퍼 브래킷이 장착되는 브래킷 장착부 및 상기 호퍼 브래킷을 지지하는 브래킷 지지부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장착부와 상기 호퍼 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는 장착홀이 돌출되고,
    상기 브래킷 장착부와 상기 호퍼 브래킷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장착홀에 슬라이딩 끼움되는 장착돌기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지지부는, 상기 호퍼 브래킷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퍼 브래킷의 장탈착을 안내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호퍼 브래킷의 장탈착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브래킷에는 상기 브래킷 지지부와 접촉되는 부위에 수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 지지부에는 상기 호퍼 브래킷의 장착시 상기 수 커넥터와 접속되어 전원 또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암 커넥터가 형성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장착부와 상기 호퍼 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는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 장착부와 상기 호퍼 브래킷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핀홀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핀이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
KR2020100006050U 2010-06-09 2010-06-09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 KR200457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050U KR200457148Y1 (ko) 2010-06-09 2010-06-09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050U KR200457148Y1 (ko) 2010-06-09 2010-06-09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148Y1 true KR200457148Y1 (ko) 2011-12-06

Family

ID=4556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050U KR200457148Y1 (ko) 2010-06-09 2010-06-09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1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7745B2 (en) Medium processor having medium storing boxes flexibly loadable in a slot of a medium storage
CN108140273B (zh) 媒体处理装置及媒体处理方法
EP2600322A1 (en) Medium storage box
US9947182B2 (en)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KR20120078770A (ko) 지폐저장장치
EP3089123B1 (en) Financial device
KR200457148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코인처리기
KR20160066166A (ko) 이권종 환류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WO2014034246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収納庫
KR100946125B1 (ko) 지폐입출금장치 및 지폐입출금방법
US9027918B2 (en) Medium processor having medium storing boxes flexibly loadable in a slot of a medium storage
JP6041579B2 (ja) 紙幣処理装置
JP2017049634A (ja) 紙幣処理機
JP6183143B2 (ja) 媒体処理装置
JP4663344B2 (ja) 紙幣処理機
JP2015060290A (ja) 紙幣処理装置
JP2018097634A (ja) 媒体収納庫及び媒体取引装置
JP6409525B2 (ja) 帯電防止機構及び媒体取引装置
KR101738819B1 (ko) 매체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JP2015125624A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収納カセット
JP6264153B2 (ja)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JP4750308B2 (ja) 自動取引装置
JP3600824B2 (ja) 循環式貨幣処理装置
KR102112069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저장부
JP3697116B2 (ja) 紙幣入出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