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079Y1 -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079Y1
KR200457079Y1 KR2020080010747U KR20080010747U KR200457079Y1 KR 200457079 Y1 KR200457079 Y1 KR 200457079Y1 KR 2020080010747 U KR2020080010747 U KR 2020080010747U KR 20080010747 U KR20080010747 U KR 20080010747U KR 200457079 Y1 KR200457079 Y1 KR 200457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forklift
safety
fork
order pi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854U (ko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2020080010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07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1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8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0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7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류창고, 대형 마트 등 물품의 입,출고가 빈번한 곳에서 작업자가 지게차를 이용하여, 오더피킹(order picking) 작업을 보다 손쉽게 하기 위한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이 탑승하기 위한 리프트, 상기 리프트의 일정부분에 고정되고,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덫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더피킹(order picking), 지게차, 스톡크레인, 캐리지

Description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Order picking device for forklift mounting}
본 고안은 지게차에 장착될 수 있는 오더피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마트, 물류 창고 등 물품의 입, 출고가 빈번한 곳에서 작업자가 오더피킹 작업을 함에 있어서, 지게차에 작업자가 탑승,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리프트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오더피킹 작업을 쉽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더피킹(order picking)이라 함은, 고객의 주문에 따라 물품을 보관 장소에서 찾아내어 각 배송처별로 분류하고 정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필요한 물량을 집하장 내에서 모집하여 출하를 시키는 것을 말하며, 상기 오더피킹 방법에는 작업자가 물품이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골라내는 방법과 작업자는 이동하지 않고 물품을 자동적으로 반출해내는 방법이 있다.
다만, 상기 작업방법 중 작업자가 물품이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골라내는 방법에는 단순이 노동력을 이용하는 방법과, 오더피킹 작업을 위한 장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장비로는 컨베이어, 스톡크레인, 지게차, 오더피커 등이 있다.
다만, 상기 장비 중 컨베이어는 한 곳에서 한 종류의 풀품을 적재, 반출하는 작업에는 수월하나, 종류가 다양한 다량의 상품을 특정장소에 적재 및 반출하기 위한 작업에는 상기 컨베이어를 매번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스톡크레인, 오더피커의 경우에는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 상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하였으나, 상기 스톡크레인, 오더피커는 장비가격이 고가여서, 중소업자들이 이를 구비하여, 사용하기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었다.
다만, 오더피킹 작업을 요하는 작업장에는 다량, 대형 물품의 반출 및 입고 작업을 위해서 포크리프트라 불리 우는 지게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일반 작업장에서는 상기 지게차를 이용하여, 오더피킹 작업을 하는데, 작업자가 상기 지게차의 포위에 올라서거나, 지게차용 파렛트를 지게차의 포크에 장착하여 작업을 하였다.
다만,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자가 상기 지게차의 포크 사이로 추락하거나, 상기 파렛트 위에서 작업도중 추락하는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오더피킹 작업시 문제점인 이동 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톡크레인, 오더피커를 구비하기 위해서, 중소업자가 큰 경제적인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비된 지게차를 이용하여 작업시 발생하는 작업자의 안전상의 문제를
해결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는 사람이 탑승하기 위한 리프트 및 상기 리프트의 일정부분에 고정되고,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덫발을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는 상부에 작업자의 안전장비를 고정하기 위한 안전장비 연결부, 상기 리프트의 후면에 구비되는 안전망 및 상기 리프트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핸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덫발은 상기 지게차의 포크 삽입시, 상기 덫발과 상기 포크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 및 상기 리프트와 지게차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보조 작업판을 더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는 상기 리프트의 하부면에 상기 지게차의 캐리지에 장착되는 포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할 수 있는 리프트를 상기 지게차에 장착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장소로의 이동이 자유로운 효과가 있다.
또한, 이미 작업장에 구비된 지게차에 간단하게 장착만 하면 오더피킹 작업이 가능하므로, 별도로 고가의 스톡크레인 또는 오더피커 등 장비의 구입이 필요없어 비용면에 있어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 및 상기 리프트와 상기 지게차의 연결부분에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오더피킹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수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고안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의 전체 구성도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리프트(100), 상기 리프트(100)의 밑면에 고정되고,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덫발(20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리프트(100)는 작업자의 안전장비를 고정하기 위한 안전장비 연결부(110), 상기 리프트(100)의 후면에 구비되는 안전망(120), 상기 리프트(10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핸드레일(130)을 포함한다.
상기, 안전장치 연결부(110)는 상기 리프트(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밸트, 안전복과 연결된 안전고리를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된다.
다만,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봉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장치 연결부(110)에는 작업자의 안전밸트, 작업복에 연결된 고리를 연결할 수 있는 안전그네 고리(110a)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됨으로써, 작업자는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밸트 또는 안전복과 연결된 고리를 상기 안전장비 연결부(110)에 연결함으로써 작업도중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상기 안전망(120)은 상기 리프트(100)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작업자의 안전고리를 상기 안전망(120)에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망(120)은 판 형태가 아닌 그물망 형태로 되어 있어, 작업자가 오더피킹 작업시, 시야를 확보하고, 지게자의 운전자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리프트(100)에 탑승하여 오더피킹 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상기 안정장비 연결부(110) 및 상기 안전망(120)에 작업자와 연결된 고리를 고정할 수 있어 작업과정에서 추락하는 사고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프트(100)의 양측면에는 핸드레일(130)이 구비되어있어, 상기 리프트(100)의 이동시, 작업자의 안전 및 균형유지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덫발(200)은 상기 리프트(100)의 밑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지게차의 포크를 상기 덫발(200)에 삽입하여, 상기 리프트(100)를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작업자의 오더피킹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덫발(200)은 상기 리프트(100)의 수평방향 길이보다 더 연장되게 구비함으로써, 연장된 부분에는 입·출고하고자 하는 물품을 적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프트에는 상기 리프트의 밑받침부분이 상기 리프트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보조 작업판(140)이 상기 밑받침의 양쪽 또는 선택된 한 측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보조 작업판(140)에 작업하고자 하는 물품 등을 적재하여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리프트(100)의 일정부분에는 상기 리프트(100)와 지게차와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제 2 안전장치(110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2 안전장치(110b)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리프트(100)의 양 측면에 상기 제 2 안전장치(110b)의 일 측이 고정되고, 상기 제 2 안전장치(110b)의 타 측은 상기 리프트(100)를 지게차에 장착시 지게차와 탈,착 가능하도록 체인 고리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지게차의 포크와 상기 리프트(100)에 구비된 덫발(200)과의 분리를 방직하기 위한 제 1 안전장치(210)가 구비되어 있다.
다만, 상기 제 1 안전장치(210)와 관련해서는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토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참조 도면을 첨부하지 아니하였으나, 도 1 에 도시된 상기 덫발(200)의 하부면에는 상기 리프트(100)의 수평방향 길이보다 더 연장된 포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크 및 상기 덫발(200)의 결합순서는 먼저, 상기 리프트(100)의 하부면에 상기 포크를 고정하고, 상기 포크의 하부면에 상기 덫발(20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덫발(200)과 상기 포크를 적층형태가 아닌 상기 리프트(100)의 하부면에 모두 고정하여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크의 연장된 길이부분에 오더피킹을 위한 물품을 적재하여 작업자가 오더피킹 작업이 가능하다.
이하, 도 2a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상기 덫발(200)을 제외한 모든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먼저, 도 2a 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프트(100), 상기 덫발(200)의 결합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의 덫발(200)은 상기 리프트(100)의 수평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덫발(200)은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 관통되어 돌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덫발(200)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덫발(200)에 삽입 관통되어 돌출된 상기 지게차의 포크 부분에 물품의 적재 등이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 2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상기 덫발(200)을 제외한 모든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덫발(200)은 상기 리프트(100)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포크는 상기 리프트(100)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리프트(100)의 수평방향 길이보다 더 연장되어 물품의 적재가 가능하다.
한편, 도 2c인 덫발(200)과 리프트(100)의 결합관계를 나타태는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덫발(200)은 상기 리프트(100)의 상,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리프트(100)의 양 측면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덫발(200)은 도 1 내지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덫발(200)에 삽입된 상기 지게차의 포크가 분리되지 않도록 제 1 안전장치(21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하, 상기 제 1 안전장치(210)는 상기 제 1 안전장치(210)의 요부확대 도인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안전장치(210)는 상기 덫발(200)의 후미부에 구비되며, 지게차의 포크(300)가 삽입된 경우, 고정핀(210a)을 상기 덫발(200)의 후미부에 타공 된 홀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상기 덫발(200)과 상기 지게차의 포크(300)의 분리를 방지한다.
이하, 도 4 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의 제 4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는 사람이 탑승하기 위한 리프트(100), 상기 리프트(100)의 일정부분에 고정되고, 지게차의 캐리지(320)에 장착되는 포크(300)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100)는 상부에 작업자의 안전장비를 고정하기 위한 안전장비 연결부(110), 상기 리프트(100)의 후면에 구비되는 안전망(120), 상기 리프트(10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핸드레일(1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 상술한, 안전고리 그네(110a), 보조 작업판(140) 및 제 2 안전장치(110b)가 구비된다.
다만, 상기 리프트(100)의 구성부분, 상기 보조 작업판(140) 및 상기 제 2 안전장치(110b)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상기, 포크(300)는 상기 리프트(100)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캐리지 연결부(310)가 구비되어 있어 지게차의 캐리지(320)에 탈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포크(300)는 상기 리프트(100)의 수평방향 길이보다 더 연장되어 연장된 길이부분에 오더피킹 작업을 하고자 하는 물품의 적재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100)에 고정된 상기 포크(300)의 캐리지 연결부(310)를 지게차의 캐리지(320)에 연결함으로써, 지게차와 고정되고, 원하는 장소로 이동, 작업자가 안전하게 오더피킹 작업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는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리프 트를 지게차에 장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작업을 위한 이동이 자유롭고, 일반적으로 구비된 지게차에 장착하여 이용가능하므로, 고가의 장비인 스톡크레인 또는 오더피커를 별도로 구입할 필요없이 동일한 목적의 작업이 가능하여, 중소업자의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의 전체 구성도다.
도 2a 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프트, 상기 덫발의 결합도이다.
도 2b 는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c 는 본 고안에 따른 덫발과 리프트의 결합관계를 나타태는 도이다.
도 3 은 제 1 안전장치의 요부확대 도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Claims (10)

  1. 사람이 탑승하여 작업을 하기 위한 오더피킹 장치에 있어서,
    사람이 탑승하기 위한 리프트;
    상기 리프트의 상부 또는 하부면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덫발;
    상기 지게차의 포크 삽입시, 상기 덫발과 상기 포크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제 1 안전장치; 및
    상기 리프트와 지게차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제 2 안전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는
    상부에 작업자의 안전장비를 고정하기 위한 안전장비 연결부;
    상기 안전장비 연결부에 고정되는 안전그네 고리;
    상기 리프트의 후면에 구비되는 안전망; 및
    상기 리프트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핸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
  2. 사람이 탑승하여 작업을 하기 위한 오더피킹 장치에 있어서,
    사람이 탑승하기 위한 리프트;
    상기 리프트의 일정부분에 고정되고, 지게차의 캐리지에 장착되는 포크; 및
    상기 리프트와 지게차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제 2 안전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는
    상부에 작업자의 안전장비를 고정하기 위한 안전장비 연결부;
    상기 안전장비 연결부에 고정되는 안전그네 고리;
    상기 리프트의 후면에 구비되는 안전망; 및
    상기 리프트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핸드레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는 상기 덫발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는 상기 덫발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의 밑받침에는 상기 리프트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작업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
KR2020080010747U 2008-08-12 2008-08-12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 KR200457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747U KR200457079Y1 (ko) 2008-08-12 2008-08-12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747U KR200457079Y1 (ko) 2008-08-12 2008-08-12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854U KR20100001854U (ko) 2010-02-22
KR200457079Y1 true KR200457079Y1 (ko) 2011-12-05

Family

ID=4444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747U KR200457079Y1 (ko) 2008-08-12 2008-08-12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07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415B1 (ko) * 2018-01-22 2018-03-23 용 도 배 말단 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0268A (en) * 1992-02-20 1994-08-23 Dowty Alvis E Article handling mechanism for attachment to warehouse trucks
KR100205514B1 (ko) * 1996-12-18 1999-07-01 서경배 물류의 피킹방법 및 그 장치
JP2002308591A (ja) * 2001-04-13 2002-10-23 Nippon Yusoki Co Ltd オーダピッキングトラッ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0268A (en) * 1992-02-20 1994-08-23 Dowty Alvis E Article handling mechanism for attachment to warehouse trucks
KR100205514B1 (ko) * 1996-12-18 1999-07-01 서경배 물류의 피킹방법 및 그 장치
JP2002308591A (ja) * 2001-04-13 2002-10-23 Nippon Yusoki Co Ltd オーダピッキングトラ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854U (ko) 2010-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10796B (zh) 一种层间隔可调的自装卸重载型货架
CN104261031B (zh) 一种层间隔可调的自装卸轻载型货架
TWI642611B (zh) Picking system and picking method
JP3694030B2 (ja) コンテナ船用の繋索ブリッジ
KR200457079Y1 (ko)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
KR910006193B1 (ko) 입체주차장
US6881023B1 (en) Pallet fork carriage with a load securing D-ring and method of using
KR200476309Y1 (ko) 고소작업용 탑승 운반구
CN215287859U (zh) 一种导轨式升降平台防坠落装置
JPH061574Y2 (ja) 屋根瓦用搬送具
CN208293434U (zh) 吊带式大吨位箱梁吊具结构
CN209009113U (zh) 一种铁质周转托盘
US20100308000A1 (en) Compensator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construction form tables
CN217437525U (zh) 一种防脱自动卸载挂钩装置
JP2546118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
JP3224767U (ja) 容器持上げ傾動装置、およびフック
CN206692271U (zh) 一种自动摘钩属具
CN214397119U (zh) 一种船用升降搬运装置
CN216360348U (zh) 一种家具举升架
CN2659864Y (zh) 一种顶置双联吊臂叉车
CN212829774U (zh) 一种方便叉车叉运的托盘
CN213008258U (zh) 一种带翻转结构的限位装置
CN210790960U (zh) 一种分拣搬运机械臂及升降结构
CN202785473U (zh) 一种带防护链条的液压升降机
CN208454280U (zh) 一种汽车轮毂的吊装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