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415B1 - 말단 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 - Google Patents
말단 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1415B1 KR101841415B1 KR1020180007717A KR20180007717A KR101841415B1 KR 101841415 B1 KR101841415 B1 KR 101841415B1 KR 1020180007717 A KR1020180007717 A KR 1020180007717A KR 20180007717 A KR20180007717 A KR 20180007717A KR 101841415 B1 KR101841415 B1 KR 1018414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om
- arm
- extension
- holding
- hol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단 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에 관한 것이다. 이는, 다단 구조를 이루며 사용시 길이방향으로 인출되는 다수의 단위붐을 갖는 붐본체와; 상기 붐본체의 말단 단위붐에 설치되어, 붐본체의 사용시 붐본체를 외부의 지지대상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말단 단위붐의 내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액츄에이터와, 각 액츄에이터에 연결되며 액츄에이터의 작동시 말단 단위붐의 외부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대상체에 고정되는 홀딩아암을 구비한 말단홀더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말단 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은, 익스텐션 붐의 말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가 안정적이며 전복될 염려가 없고 경사지에서도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말단 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은, 익스텐션 붐의 말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가 안정적이며 전복될 염려가 없고 경사지에서도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소 작업시 사용하는 익스텐션 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위치의 적절한 지점에 고정하여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말단 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에 관한 것이다.
산업 전반에 걸쳐 중요하게 사용되는 크레인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는 작업차량에 장착된 이동식 크레인도 있다. 상기 이동식 크레인은, 언제든지 필요한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어, 가령, 고중량의 물건을 높은 지점에 올리거나, 또는 높은 작업 위치에 작업자를 올려 고소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이동식 크레인의 붐대는, 사용시 그 길이가 연장되는 확장형(extendible) 타입이다. 즉,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져,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길이를 줄이고, 사용할 때에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이다. 익스텐션 붐은, 다단 구조를 갖는 다수의 단위붐과, 상기 단위붐에 장착되며 단위붐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에는 유압액츄에이터와 와이어와 모터와 체인 등이 포함된다.
도 1은 종래 익스텐션 붐(12)을 작업차량(10)과 함께 도시한 도면으로서, 익스텐션 붐(12)을 이용해 화물(19)을 건물(20)(가령 아파트)에 올리는 것을 예로 들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차량(10)의 적재부에 받침프레임(14)이 고정되어 있고, 받침프레임(14)에 익스텐션 붐(12)이 연결되어 있다. 익스텐션 붐(12)은 받침프레임(14)에 연결된 상태로 메인액츄에이터(16)의 작동시 상하로 회동운동 한다. 상기 메인액츄에이터(16)에 의해 익스텐션 붐(12)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아울러, 익스텐션 붐(12)은 다수의 단위붐(12a)으로 구성된다. 단위붐(12a)은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며, 사용을 위해 길이방향 외측으로 인출되어 익스텐션 붐(12)의 전체적인 길이를 연장시킨다. 도면부호 18은 적재대이다. 상기 적재대(18)는 말단 단위붐(12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서, 화물(19)을 수평으로 지지한다. 상기 적재대(18)는 건물(2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익스텐션 붐(12)은, 익스텐션 붐(12)의 말단부가 아무 곳 에도 지지받지 못하여, 그 구조가 불안하다는 문제를 갖는다. 이를테면 상기 적재대(18)가 건물(20)로부터 떨어져 있어, 강풍이 불거나 또는 기타의 이유로 익스텐션 붐(12)이 한쪽으로 넘어갈 수 있는 것이다. 최근 보도되고 있는 크레인의 전복사고는 크레인의 단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연장된 상태의 익스텐션 붐의 말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가 안정적이며 전복될 염려가 없고 경사지에서도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는 말단 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말단 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은, 다단 구조를 이루며 사용시 길이방향으로 인출되는 다수의 단위붐을 갖는 붐본체와; 상기 붐본체의 말단 단위붐에 설치되어, 붐본체의 사용시 붐본체를 외부의 지지대상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말단 단위붐의 내부에 하단지지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액츄에이터와, 각 액츄에이터에 연결되며 액츄에이터의 작동시 말단 단위붐의 외부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대상체에 고정되는 홀딩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홀딩아암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측부에 구비되며 커넥터를 통해 액츄에이터의 피스톤로드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링크된 링크부와, 상기 연장부를 사이에 두고 링크부의 반대편에 고정된 걸림브라켓과,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외부의 지지대상체에 고정되는 홀더를 구비하고, 말단 단위붐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브라켓의 이동경로상에 고정되어 상기 홀딩아암이 말단 단위붐의 외부로 이동할 때 상기 걸림브라켓을 걸어 홀딩아암의 회동운동을 야기하는 힘의 받침점의 역할을 하는 고정핀이 구비된 말단 홀더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홀딩아암의 연장부의 단부에는 삽입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간에는 확장아암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홀딩아암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위치조절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확장아암에는 상기 위치조절구멍에 대응하는 관통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위치조절구멍과 관통구멍에 끼워져 홀딩아암에 대한 확장아암의 위치를 고정하는 아암연결핀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말단 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은, 익스텐션 붐의 말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가 안정적이며 전복될 염려가 없고 경사지에서도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익스텐션붐이 장착되어 있는 작업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스텐션붐이 적용되어 있는 작업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단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에서의 말단홀더부의 구성과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홀딩아암을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홀딩아암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스텐션붐이 적용되어 있는 작업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단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에서의 말단홀더부의 구성과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홀딩아암을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홀딩아암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작업차량(10)에 설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스텐션 붐(3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익스텐셩 붐(30)은, 다단의 구조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붐본체(31)와, 상기 붐본체(31)의 말단 부에 설치되며 붐본체(31)를 외부의 지지대상체(A)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말단홀더부(40)를 구비한다.
상기 붐본체(31)는 다수의 단위붐(31)을 포함한다. 상기 단위붐(31)은 와이어(미도시)를 통해 상호 연결된 상태로 그 길이방향 길이가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붐본체(31) 자체의 기본 구조는 일반적인 붐본체와 같다.
상기 말단홀더부(40)는, 말단에 배치된 단위붐(31c)에 설치된 것으로서, 단위붐(31c)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어 단위붐(31c)의 양측방향으로 연장된 두 개의 홀딩아암(41)을 갖는다. 홀딩아암(41)은 단위붐(31c)에 고정된 상태로 외부의 지지대상체(도 5의 A)에 결합하여, 작업 중 붐본체(31)가 지지대상체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한다. 상기 홀딩아암(41)은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된 후 단위붐(31c)의 내부에 수납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단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에서의 말단홀더부(40)의 구성과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말단홀더부(40)는, 단위붐(31c)의 내부공간(31a)에 설치되는 두 개의 액츄에이터(47)와, 액츄에이터(47)의 피스톤로드(47b)에 연결되는 ㄱ 자 형태의 커넥터(49)와, 커넥터핀(51)을 통해 커넥터(49)에 링크되고 사용시 단위붐(31c)의 외부로 배출되어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홀딩아암(41)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액츄에이터(47)는 유압식 액츄에이터로서, 실린더(47a)의 하단부가 하단지지핀(47c)을 통해 단위붐(31c)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액츄에이터(47)는 하단지지핀(47c)에 지지된 상태로 회동운동 가능하다.
또한 피스톤로드(47b)는 커넥터(49)를 통해 홀딩아암(41)과 연결되며, 홀딩아암(41)을 화살표 a방향이나 그 반대방향으로 왕복운동 시킨다. 피스톤로드(47b)의 스트로크는 홀딩아암(41)의 사이즈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커넥터(49)는 대략 그 중앙부가 직각으로 절곡된 브라켓으로서, 일단부는 상단링크핀(47d)을 통해 피스톤로드(47b)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홀딩아암(41)의 링크부(41c)에 커넥터핀(51)으로 연결된다. 커넥터(49)는 액츄에이터(47)의 동력을 홀딩아암(41)으로 전달하여 홀딩아암(41)이 화살표 b방향이나 그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한다.
상기 홀딩아암(41)은, 연장부(41a), 링크부(41c), 걸림브라켓(43), 홀더부(41b)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41a)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서, 액츄에이터(47)의 작동에 의해 걸림브라켓(43)이 고정핀(45)에 도달 할 때 까지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 후,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홀딩아암(41)의 회동운동을 위해 단위붐(31c)의 양측부에는 사이드통로(31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링크부(41c)는 연장부(41a)의 일측부에 고정된 힌지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커넥터핀(51)을 통해 커넥터(49)에 연결된다. 또한 걸림브라켓(43)은 연장부(41a)를 사이에 두고 링크부(41c)의 반대편에 고정된 부재로서, 홀딩아암(41)의 상승시, 대기하고 있는 고정핀(45)과 만난다.
아울러 상기 홀더부(41b)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지지대상체(A)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홀딩아암(41)을 지지대상체(A)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한 홀더부의 구조는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상기 고정핀(45)은 단위붐(31c)의 내부에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걸림브라켓(43)을 걸어 홀딩아암(41)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그 대신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홀딩아암(41)이 단위붐의 외부, 즉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할 때, 걸림브라켓(43)을 걸어 홀딩아암(41)의 회동운동을 야기하는 힘의 받침점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결국, 액츄에이터(47)를 동작시켜 커넥터(49)를 상승시키면, 홀딩아암(41)은 수직 상부로 상승한 후 고정핀(45)에 걸린 다음 외측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5의 상태가 된다. 커넥터(49)를 다시 하강시키면 홀딩아암(41)은 내측으로 회동한 후 하향 이동하여 내부공간(31a)에 수납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말단홀더부(40)는 익스텐션 붐(30)의 설치시 사용하는 것이다. 가령, 익스텐션 붐(30)을 인장시켜 말단부가 지지대상체(A)에 근접한 상태에서 동작하여 익스텐션 붐(30)의 단부를 지지대상체(A)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홀딩아암(41)을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홀딩아암(41)은, 커넥터(49)에 링크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대략 중간부가 절곡된 연장부(41a)를 갖는다. 상기 연장부(41a)는 철판을 절곡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하부로 개방되어 그 내부에 지지대상체(A)를 수용한다. 연장부(41a)를 상향 회동시키면 홀딩아암(41)이 지지대상체(A)로부터 분리됨은 물론이다.
상기 홀더부(41b)는 연장부(41a)의 연장 단부에 일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보다 깊은 삽입공간(41d)을 제공한다. 삽입공간(41d)의 내부로 삽입된 지지대상체(A)는 홀딩아암(41)을 들어 올리지 않는 한 홀더부(41b)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도 7은 도 6의 홀딩아암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홀딩아암(41)의 연장 단부에 아암끼움공간(41f)을 형성하고, 상기 아암끼움공간(41f)에 확장아암(42)을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아암끼움공간(41f)은 사각형 형태의 공간부로서, 그 상부에 다수의 위치조절구멍(41e)을 갖는다. 위치조절구멍(41e)은 연장부(41a)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관통구멍으로서 아암연결핀(53)을 하향 통과시킨다.
상기 확장아암(42)은 일정두께를 갖는 철판으로 제작된 부재로서, 그 일부가 상기 아암끼움공간(41f)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아암연결핀(53)을 통해 고정된다. 이를 위해 확장아암(42)에는 다수의 관통구멍(42c)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42c)은 확장아암(42)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관통구멍이다. 확장아암(42)을 아암끼움공간(41f)에 삽입하여 위치조절구멍(41e)과 관통구멍(42c)을 맞춘 상태로 아암연결핀(53)을 끼우면, 홀딩아암(41)에 대한 확장아암(42)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도면부호 42b는 홀더부이다. 홀더부(42b)는 도 6을 통해 설명한 홀더부(41b)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작업차량 12:익스텐션 붐 12a:단위붐
14:받침프레임 16:메인액츄에이터 18:적재대
19:화물 20:건물 30:익스텐션 붐
31:붐본체 31a내부공간 31b:사이드통로
31c:단위붐 40:말단홀더부 41:홀딩아암
41a:연장부 41b:홀더부 41c:링크부
41d:삽입공간 41e:위치조절구멍 41f:아암끼움공간
42:확장아암 42b:홀더부 42c:관통구멍
43:걸림브라켓 45:고정핀 47:액츄에이터
47a:실린더 47b:피스톤로드 47c:하단지지핀
47d:상단링크핀 49:커넥터 51:커넥터핀
53:아암연결핀
14:받침프레임 16:메인액츄에이터 18:적재대
19:화물 20:건물 30:익스텐션 붐
31:붐본체 31a내부공간 31b:사이드통로
31c:단위붐 40:말단홀더부 41:홀딩아암
41a:연장부 41b:홀더부 41c:링크부
41d:삽입공간 41e:위치조절구멍 41f:아암끼움공간
42:확장아암 42b:홀더부 42c:관통구멍
43:걸림브라켓 45:고정핀 47:액츄에이터
47a:실린더 47b:피스톤로드 47c:하단지지핀
47d:상단링크핀 49:커넥터 51:커넥터핀
53:아암연결핀
Claims (3)
- 다단 구조를 이루며 사용시 길이방향으로 인출되는 다수의 단위붐을 갖는 붐본체와;
상기 붐본체의 말단 단위붐에 설치되어, 붐본체의 사용시 붐본체를 외부의 지지대상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말단 단위붐의 내부에 하단지지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액츄에이터와, 각 액츄에이터에 연결되며 액츄에이터의 작동시 말단 단위붐의 외부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대상체에 고정되는 홀딩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홀딩아암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측부에 구비되며 커넥터를 통해 액츄에이터의 피스톤로드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링크된 링크부와, 상기 연장부를 사이에 두고 링크부의 반대편에 고정된 걸림브라켓과,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외부의 지지대상체에 고정되는 홀더를 구비하고, 말단 단위붐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브라켓의 이동경로상에 고정되어 상기 홀딩아암이 말단 단위붐의 외부로 이동할 때 상기 걸림브라켓을 걸어 홀딩아암의 회동운동을 야기하는 힘의 받침점의 역할을 하는 고정핀이 구비된 말단 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아암의 연장부의 단부에는 삽입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간에는 확장아암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말단 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아암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위치조절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확장아암에는 상기 위치조절구멍에 대응하는 관통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위치조절구멍과 관통구멍에 끼워져 홀딩아암에 대한 확장아암의 위치를 고정하는 아암연결핀이 포함되는 말단 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7717A KR101841415B1 (ko) | 2018-01-22 | 2018-01-22 | 말단 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7717A KR101841415B1 (ko) | 2018-01-22 | 2018-01-22 | 말단 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1415B1 true KR101841415B1 (ko) | 2018-03-23 |
Family
ID=6191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7717A KR101841415B1 (ko) | 2018-01-22 | 2018-01-22 | 말단 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1415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52096A (ja) * | 1994-03-16 | 1995-10-03 | Aichi Corp:Kk | ブーム作動範囲規制装置 |
JP2004299904A (ja) * | 2003-03-31 | 2004-10-28 | Yasusato Honda | 高所作業用装置 |
KR20100001854U (ko) * | 2008-08-12 | 2010-02-22 | 이정호 |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 |
JP5111546B2 (ja) * | 2010-03-25 | 2013-01-09 | 株式会社サンリョウ・テック | 荷揚げ装置 |
KR101374540B1 (ko) * | 2012-11-08 | 2014-03-19 | 양건이 | 고가 사다리차 |
-
2018
- 2018-01-22 KR KR1020180007717A patent/KR1018414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52096A (ja) * | 1994-03-16 | 1995-10-03 | Aichi Corp:Kk | ブーム作動範囲規制装置 |
JP2004299904A (ja) * | 2003-03-31 | 2004-10-28 | Yasusato Honda | 高所作業用装置 |
KR20100001854U (ko) * | 2008-08-12 | 2010-02-22 | 이정호 | 지게차 장착용 오더피킹 장치 |
JP5111546B2 (ja) * | 2010-03-25 | 2013-01-09 | 株式会社サンリョウ・テック | 荷揚げ装置 |
KR101374540B1 (ko) * | 2012-11-08 | 2014-03-19 | 양건이 | 고가 사다리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127058B (zh) | 导弹挂架及导弹挂载结构 | |
KR101841415B1 (ko) | 말단 홀더부를 구비한 익스텐션 붐 | |
WO1991005730A1 (fr) | Regulateur automatique d'angle de levage pour cable de levage | |
KR19990087267A (ko) | 활주-관통 너클을 갖춘 관절식 신축성 부움 | |
JPH11124298A (ja) | 移載装置 | |
CN207713989U (zh) | 一种自动升降收缩式晾衣架 | |
JP4810291B2 (ja) | クレーン | |
EP1449808A1 (en) | Mobile lifting device with a pivot connection | |
JP3853149B2 (ja) | 伸縮ブーム | |
JP2002211890A5 (ko) | ||
JP6604673B1 (ja) | ハッカー | |
JP2002321894A (ja) | 高所作業車の吊り上げ装置 | |
CN217810123U (zh) | 悬臂式晾衣机 | |
CN210854977U (zh) | 一种整车吊装夹具 | |
JP3039878U (ja) | 物干し具 | |
JP2574939Y2 (ja) | 高所作業車のクレーン装置 | |
US6669518B2 (en) |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a boat gimbal housing | |
JPS5874492A (ja) | 作業機械のaフレ−ム | |
JP2001064000A (ja) | ハンガー杆の昇降機構 | |
JPH11301975A (ja) | クレーンの吊り荷装置 | |
JP3041584U (ja) | クレーン装置 | |
CN216345542U (zh) | 一种便携式led舞台灯 | |
JP4708067B2 (ja) | クレーン装置 | |
CN212101619U (zh) | 新型吊具 | |
CN212532080U (zh) | 具有照明装置的塔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