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683Y1 - 곤충표본함 운반카트 - Google Patents

곤충표본함 운반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683Y1
KR200456683Y1 KR2020090004142U KR20090004142U KR200456683Y1 KR 200456683 Y1 KR200456683 Y1 KR 200456683Y1 KR 2020090004142 U KR2020090004142 U KR 2020090004142U KR 20090004142 U KR20090004142 U KR 20090004142U KR 200456683 Y1 KR200456683 Y1 KR 200456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cart
carrying
pai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200U (ko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주)동성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성오에이 filed Critical (주)동성오에이
Priority to KR2020090004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683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2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6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for stacking objects like trays, bobbins,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6Bumpers;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42Persons or animals, dead or al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2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length or 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곤충표본함 운반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곤충표본함 운반카트는 전면이 개방되며 하단에 이송바퀴가 복수 개 장착되는 카트본체와,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수평하게 일정길이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적재지지판을 가지며, 상기 적재지지판이 대향되도록 상호 이격되어 대칭으로 상기 카트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다층지지대를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다층지지대의 대향하는 각 적재지지판에 다수의 곤충표본함이 각각 지지되어 층층으로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곤충표본함을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음과 함께 곤충표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다층지지대의 간격 조절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곤충표본함을 적재 운반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곤충표본, 건조표본, 운반, 적재

Description

곤충표본함 운반카트 {Cart for insect cabinet}
본 고안은 곤충표본함 운반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의 곤충표본함을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곤충표본함 운반카트에 관한 것이다.
곤충표본이란 곤충을 채집하여 실물대로 보관하면서 관찰할 수 있게 만들어 놓은 것으로서, 이러한 곤충표본은 곤충 생태의 연구,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의 예방, 학생들에 대한 교육 등 다양한 목적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따라서 곤충표본은 관찰할 때 곤충의 세부구조가 가려지지 않고 잘 관찰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곤충표본은 다양한 생물표본의 제작방법 중 주로 건조방법을 이용한 건조표본으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건조표본의 제작은 먼저 채집한 곤충에 곤충핀을 꽂은 다음, 외형을 고정시킬 수 있는 틀에서 날개, 다리 등의 모양을 펼쳐 고정시키고, 이를 대략 35℃ 정도에서 대략 2 ~ 3주간 건조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제작된 곤충표본은 사각형 형태의 곤충표본함(또는 곤충표본 상자)에 보통 분류순으로 정리 수용되어 보존 및 관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곤충표본이 정리 수용된 곤충표본함은 곤충표본의 안전한 보존을 위하여 별도의 보존실로 운반되거나, 또는 보존실로부터 연구, 전시, 교육 등의 목적을 위하여 연구실, 전시실, 교실 등과 같이 다른 장소로 자주 운반될 수 밖에 없는데, 곤충표본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세부구조의 관찰이 용이하도록 곤충핀 등과 같은 도구로 곤충의 일부분이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특히 이러한 운반시에는 제작된 곤충표본이 진동, 흔들림 등의 충격에 의해 그 형태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어야만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곤충표본함을 운반하기 위한 곤충표본함 전용의 운반기구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수의 곤충표본함을 운반할 때 주로 다른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용도로 제작된 운반기구를 사용하여 곤충표본함을 운반할 수 밖에 없었다.
도 6은 종래 곤충표본함을 운반하는 상태를 예시한 예시도로서, 도시된 것처럼 종래에는 주로 전면부가 개방되며 단순히 내부가 빈 운반기구(100)에 다수의 곤충표본함(200)들을 층층이 적재하여 운반하여 왔는데, 이 경우 곤충표본함(200)을 적재할 때 아래쪽에 먼저 적재된 곤충표본함과 상호 부딪침으로써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매우 조심해서 적재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곤충표본함(200)들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단순히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적재한 후 운반 할 때, 특히, 고르지 못한 바닥이나 문턱 등을 통과할 때는 덜컹거림이나 흔들림 등에 의해 적재된 곤충표본함(200)들이 상호 부딪치면서 곤충표본함(200)에 그 충격이 고스란히 전달될 수 밖에 없어 곤충표본에 손상이 가해질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곤충표본함의 운반시 곤충표본이 손상되지 않도록 곤충표본함을 안정적으로 적재 운반할 수 있는 곤충표본함 전용의 운반카트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곤충표본함을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운반시 곤충표본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곤충표본 운반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를 갖는 곤충표본함을 적재 운반할 수 있는 곤충표본 운반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다수의 곤충표본함을 적재하여 운반하기 위한 곤충표본함 운반카트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되며 하단에 이송바퀴가 복수 개 장착되는 카트본체, 및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수평하게 일정길이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적재지지판을 가지며, 상기 적재지지판이 대향되도록 상호 이격되어 대칭으로 상기 카트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다층지지대를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다층지지대의 대향하는 각 적재지지판에 다수의 곤충표본함을 각각 지지하여 층층으로 적재시키는 곤충표본함 운반카트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적재지지판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고무재질의 완충판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본체의 내부 상면과 하면에는 다수의 삽입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간격조절대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다층지지대가 상기 다수의 삽입홈에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되어 그 이격 간격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곤충표본함 운반카트는,
다층지지대의 각 적재지지판에 지지되어 곤충표본함들이 층층이 분리 적재되므로 적재할 때 보다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곤충표본함을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층지지대에 분리 적재됨과 함께 완충판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므로 적재 또는 운반시에 곤충표본함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여 곤충표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층지지대의 간격 조절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곤충표본함을 적재 운반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표본함 운반카트(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표본함 운반카트(1)는 카트본체(10)와 다층지지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카트본체(10)는 전면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내부에는 곤충표본함이 수용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수용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 중앙에 분리벽(11)을 형성시켜 수용공간을 두 개 마련할 수도 있고, 분리벽(11)을 제거하여 하나를 마련하거나 또는 분리벽(11)을 추가하여 세 개 이상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카트본체(10)의 하단에는 카트본체(10)의 이동을 위한 이송바퀴(12)가 복수 개 장착되며, 상단 일측 또는 양측에는 이동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층지지대(20)는 곤충표본함을 층층히 분리 적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상기 다층지지대(20)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복수 개의 적재지지판(21)을 갖는다.
상기 적재지지판(21)은 상기 다층지지대(20)에서 수평하게 일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적재지지판(21)이 형성되는 수직방향의 간격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곤충표본함의 높이에 대응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재지지판(21)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판(22)이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완충판(22)은 적재지지판(21)의 상면,또는 하면, 또는 상하 양면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완충판(22)은 적재지지판(21)의 상면과 하면 뿐만 아니라, 상기 다층지지대(20)의 일측면(즉, 적재지지판(21)이 형성된 쪽면)에도 더 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다층지지대(20)는 상기 카트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한 쌍(20a, 20b)을 이루어 상기 카트본체(10)의 내부 수용공간 양측에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이격됨과 함께 상기 돌출된 적재지지판(21)이 상호 대향되도록 대칭으로 설치가 된다.
여기서, 상기 카트본체(1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다층지지대(20a, 20b)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카트본체(10) 양측의 내측벽(또는, 분리벽(11)이 마련된 경우는 카트본체(10) 일측의 내측벽과 분리벽(11)의 일측)에 용접, 피스결합, 볼트결합 등과 같이 각각 부착 결합시켜 고정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그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분리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곤충표본함 운반카트(1)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곤충표본 운반카트(1)는 도 1 및 도 2를 통해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표본함 운반카트(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상기 한 쌍의 다층지지대(20a, 20b)를 카트본체(10)의 내부에 설치할 때, 부착 결합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카트본체(10)의 내부 상면과 하면의 양측에 각각 간격조절대(3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간격조절대(30)에는 다수의 삽입홈(31)이 측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간격조절대(30)의 각 삽입홈(31)에 상기 한 쌍의 다층지지대(20a, 20b)를 적재되는 곤충표본함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하여 그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곤충표본함 운반카트(1)의 사용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표본함 운반카트(1)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용 예시도로서, 도시된 것처럼 곤충표본함 운반카트(1)의 각 적재지지판들(21) 사이에 곤충표본함(2)을 넣어 층층이 적재시키면 된다.
그러면, 적재된 곤충표본함(2)은 적재지지판(21)에 지지되어 상호 접촉되지 않고 분리 적재됨과 함께 상하측에서 완충판(22)에 의해 완충효과를 받게 되므로 안정적인 적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곤충표본함 운반카트(1)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용 예시도로서, 적재 운반하고자 하는 곤충표본함(2)의 크기에 따라 삽입홈(31)에 대한 다층지지판(20)의 삽입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그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곤충표본함 운반카트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표본함 운반카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곤충표본함 운반카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예시 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도 3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6은 종래 운반카트의 사용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카트본체
20: 다층지지대
21: 적재지지판
22: 완충판
30: 간격조절대
31: 삽입홈

Claims (3)

  1. 다수의 곤충표본함(2)을 적재하여 운반하기 위한 곤충표본함 운반카트(1)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되며 하단에 이송바퀴(12)가 복수 개 장착되는 카트본체(10);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수평하게 일정길이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적재지지판(21)을 가지며, 상기 적재지지판(21)이 대향되도록 상호 이격되어 대칭으로 상기 카트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다층지지대(20); 및
    상기 카트본체(10)의 내부 상면과 하면에 구비되며, 다수의 삽입홈(3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간격조절대(30);를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다층지지대(20)의 대향하는 적재지지판(21)에 다수의 곤충표본함(2)이 각각 지지되어 층층으로 적재됨과 함께 상기 한 쌍의 다층지지대(20)는 상기 다수의 삽입홈(31)에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되어 그 이격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표본함 운반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지지판(21)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고무재질의 완충판(22)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표본함 운반카트.
  3. 삭제
KR2020090004142U 2009-04-09 2009-04-09 곤충표본함 운반카트 KR200456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142U KR200456683Y1 (ko) 2009-04-09 2009-04-09 곤충표본함 운반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142U KR200456683Y1 (ko) 2009-04-09 2009-04-09 곤충표본함 운반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200U KR20100010200U (ko) 2010-10-19
KR200456683Y1 true KR200456683Y1 (ko) 2011-11-11

Family

ID=4420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142U KR200456683Y1 (ko) 2009-04-09 2009-04-09 곤충표본함 운반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6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2857A (ko) 2022-06-16 2023-12-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분매개충 독성시험 전용 캐비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8902A (zh) * 2019-04-09 2019-06-14 贵州大学 一种防震玻片标本存放盒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2857A (ko) 2022-06-16 2023-12-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분매개충 독성시험 전용 캐비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200U (ko) 201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62462T3 (es) Sistemas y dispositivos robóticos de recogida
ES2924124T3 (es) Un dispositivo de manipulación de carga para recuperar unidades de un sistema de almacenamiento
ES2890505T3 (es) Sistemas de almacenamiento y métodos para recuperar unidades de un sistema de almacenamiento
US7229085B2 (en) Ball storage cart
US8393634B2 (en) Easy access collapsible cart
US20050199459A1 (en) Stackable and interlocking carrying cases for a mobile tactical command and control center
CN1857874A (zh) 转动的工具箱
US20160003584A1 (en) Portable bullet trap
KR200456683Y1 (ko) 곤충표본함 운반카트
ES2356591T3 (es) Dispositivo de almacenamiento para mercancias al detalle y procedimiento correspondiente.
KR200449139Y1 (ko) 안전성이 우수한 시약병 정리용구
WO2007014163A3 (en) Containerized transport and storage system
JPH09202237A (ja) 部品用コンテナ台車
US20200148427A1 (en) Storage Unit
CN216070960U (zh) 一种便于叉运的饮品包装转运用栈板
CN211722369U (zh) 一种教育管理资料存放装置
CN215225783U (zh) 一种会计用会计凭证存储柜
JP6216178B2 (ja) 西瓜運搬用収納装置
KR101895956B1 (ko) 블레이드 운송박스
KR200422145Y1 (ko) 조립식 측판이 구비된 운반용 카트
CN212607342U (zh) 一种仓储系统
JP3910097B2 (ja) 昇降式搬送装置
CN219135287U (zh) 一种物流仓储货架结构
CN211443116U (zh) 一种木质包装架
CN213473187U (zh) 一种物流用捡货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