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956B1 - 블레이드 운송박스 - Google Patents

블레이드 운송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956B1
KR101895956B1 KR1020160173435A KR20160173435A KR101895956B1 KR 101895956 B1 KR101895956 B1 KR 101895956B1 KR 1020160173435 A KR1020160173435 A KR 1020160173435A KR 20160173435 A KR20160173435 A KR 20160173435A KR 101895956 B1 KR101895956 B1 KR 101895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ain body
pallet
mounting
moun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0888A (ko
Inventor
엄원선
Original Assignee
(주)시스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스펙 filed Critical (주)시스펙
Priority to KR1020160173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95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0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블레이드 운송박스가 소개된다.
블레이드 운송박스는 블레이드를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회수시 접힘부를 통해 포개짐이 가능한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커버와, 본체의 하부에 조립되는 파렛트와, 파렛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거치대에 의해, 블레이드를 선택적으로 안착시키는 거치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레이드 운송박스{BOX FOR CARRYING BLADE}
본 발명은 블레이드 운송박스에 관한 것으로, 블레이드를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고, 운송 완료 후 신속한 회수가 가능한 블레이드 운송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 화물 중에서 손상되기 쉬운 물품 등의 화물은, 그 바닥면이나 벽면 등이 포장 박스의 바닥이나 벽면에 접촉한 상태로 운송하게 되면, 충격 및 스크래치 등에 의한 손상 및 습기 등에 의해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항공 화물은 통상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우므로, 바닥이나 벽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항공 화물의 무게를 지탱하는 동시에, 운송 중 붕괴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진 구조물을 가대 형식으로 만들어 항공 화물을 가대 위에 거치시켜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 후, 양측에 커버를 씌워서 벽면과의 접촉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항공 화물의 외곽을 가대와 함께 포장을 하여 운송한다.
그렇지만, 국제운송인 경우 항공 화물이 도착지에 도착한 후 가대를 회수할 시 포장과 가대의 해체가 번거롭고, 회수 해야할 포장재의 부피 역시 줄어들지 않으며, 또한 가대의 회수에도 과도한 물류비용의 사용을 초래한다.
이에 운송박스의 회수 또는 보관시,부피를 신속하고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운송박스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4-0143535호(2014. 12. 17.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블레이드를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는 블레이드 운송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는, 블레이드를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회수시 접힘부를 통해 포개짐이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커버; 상기 본체의 하부에 조립되는 파렛트; 및 상기 파렛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거치대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를 선택적으로 안착시키는 거치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대는 상기 파렛트 상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칸막이가 이격 배치되는 제 1 거치프레임; 상기 블레이드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거치편; 상기 제 1 거치프레임의 상단에 조립 가능하고, 상기 본체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칸막이가 이격 배치되는 제 2 거치프레임; 상기 블레이드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거치프레임에 마련되는 제 2 거치편; 및 상기 제 1 거치프레임을 회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거치편 및 상기 제 2 거치편은 상기 블레이드가 안착되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수직하게 배치되는 다공판; 및 상기 거치홈을 감싸는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거치편 및 상기 제 2 거치편은 상기 블레이드의 형상에 맞추어,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사이에서 상기 칸막이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어셈블리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파렛트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전방 거치대;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파렛트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후방 거치대; 및 상기 블레이드의 중간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파렛트의 중간측에 배치되는 중간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거치대는 상기 중간 거치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파렛트의 전방 일측에 배치되는 후방 일측 거치대; 및 상기 후방 일측 거치대보다 상기 중간 거치대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파렛트의 전방 타측에 배치되는 후방 타측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용공간을 두르는 벽면 형태로 제공하고 하단 가장자리부에 상기 파렛트에 수직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마주보는 전방벽 및 후방벽을 이루는 제 1 측판부와, 상기 본체의 마주보는 측벽을 이루는 제 2 측판부와, 회수시 제 1 측판부가 포개지도록 접혀짐이 가능한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에 의해 포개진 상기 제 1 측판부가 접혀지도록 상기 제 1 측판부 및 상기 제 2 측판부를 연결하는 코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에 따라 가변되도록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파렛트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파렛트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칸막이가 이격 배치되는 제 1 거치프레임; 상기 블레이드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거치편; 상기 제 1 거치프레임의 상단에 조립 가능하고, 상기 본체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칸막이가 이격 배치되는 제 2 거치프레임; 상기 블레이드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거치프레임에 마련되는 제 2 거치편; 상기 제 1 거치프레임을 회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상면에 상기 제 1 거치프레임이 장착되고, 양단부가 상기 파렛트의 측벽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적재 조립 박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박스 내 복수개의 거치대를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함으로써, 블레이드와 같은 항공 화물을 박스 내에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개의 거치대가 파렛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운송박스의 회수시, 운송박스의 부피를 신속하고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 2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의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제 1 거치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에 블레이드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에 블레이드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의 회수를 위해, 거치대가 파렛트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의 회수를 위해, 본체가 파렛트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의 회수를 위해, 커버가 파렛트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의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 12의 우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 2의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는, 접힘이 가능한 본체(100)와, 본체(100)의 상부에 조립되는 커버(200)와, 본체(100)의 하부에 조립되는 파렛트(300)와, 블레이드를 선택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한 거치어셈블리(5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블레이드의 운송을 위해, 블레이드의 보관이 가능한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100)는 수용공간을 두르는 측벽 형태로 제공되어, 하단 가장자리부가 파렛트(300)에 수직하게 조립될 될 수 있다.
특히, 본체(100)는 운송박스의 회수시 접힘부(130)를 통해 접어진 상태에서, 파렛트(300)에 수납될 수 있다. 본체(100)는 블레이드의 운송 후 접어진 상태로 회수될 수 있으므로 재활용이 가능하고, 회수시 부피의 줄일 수 있으므로 물류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0)는 알루미늄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본체(100)는 블레이드의 운송을 위해, 경량이면서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체(100)는 전방벽 및 후방벽을 이루는 제 1 측판부(110)와, 측벽을 이루는 제 2 측판부(120)와, 제 1 측판부(110)의 중앙이 본체(100)의 내측으로 접어질 수 있도록 제 1 측판부(110)의 중앙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접힘부(130)와, 접힘부(130)에 의해 접어진 제 1 측판부(110)가 포개질 수 있도록 제 1 측판부(110) 및 제 2 측판부(120) 사이를 연결하는 코너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를 운송하고자 하는 경우, 본체(100)의 하단 가장자리, 다시 말해, 제 1 측판부(110) 및 제 2 측판부(120)의 하단 가장자리부는 파렛트(300)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조립되므로, 본체(100)는 블레이드의 보관을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블레이드 운송박스를 회수하고자 하는 경우, 제 1 측판부(110)가 접힘부(130)를 통해 본체(100)의 내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코너부(140)를 통해 제 2 측판부(120) 사이로 제 1 측판부(110)가 포개어질 수 있고, 제 1 측판부(110) 및 제 2 측판부(120)가 포개어진 본체(100)는 파렛트(300)에 수납될 수 있다.
커버(200)는 본체(100)의 상부를 덮는 캡 구조로, 전체적으로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레이드의 운송시, 커버(200)는 본체(100)의 제 1 측판부(110), 제 2 측판부(120), 접힘부(130) 및 코너부(140)의 상단부를 덮어 블레이드를 보호할 수 있다. 운송박스의 회수시 커버(200)는 포개어진 본체(100)가 수납된 파렛트(300)에 조립되어, 포개어진 본체(100)를 보호할 수 있다.
커버(200)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리브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200)에는 외곽 테두리를 구성하는 프레임 사이로 가로 보강리브 및 세로 보강리브가 교차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들 가로 보강리브 및 세로 보강리브가 격자 형태로 연결되므로, 커버(200)가 외부 충격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중을 분산시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파렛트(300)는 본체(100)의 하부가 조립되는 플레이트 구조로, 운송박스의 하부를 지지하는 밑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블레이드의 운송시, 파렛트(300)의 내측 테두리부에는 본체(100)의 제 1 측판부(110), 제 2 측판부(120), 접힘부(130) 및 코너부(140)의 하단부가 조립될 수 있다. 운송박스의 회수시 파렛트(300)의 내측공간에는 포개어진 본체(100)가 수납될 수 있다.
거치어셈블리(500)는 블레이드, 보다 자세하게는 블레이드를 이루는 리브(rib)의 일단부, 타단부 및 중간부를 복수개의 거치대(400)를 이용하여 본체(100)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어셈블리(500)는 파렛트(30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블레이드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전방 거치대(400a)와, 파렛트(300)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블레이드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후방 거치대(400b)와, 파렛트(300)의 중간측에 배치되어 블레이드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중간 거치대(400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후방 거치대(400b)는 파렛트(300)의 전방 일측에 배치되는 후방 일측 거치대(400ba)와, 파렛트(300)의 전방 타측에 배치되는 후방 타측 거치대(400bb)로 구성될 수 있다. 후방 일측 거치대(400ba)는 중간 거치대(400c)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파렛트(300)에 설치되고, 후방 타측 거치대(400bb)는 후방 일측 거치대(400ba)보다 중간 거치대(400c)로부터 더 멀리 떨어지도록 파렛트(3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들 후방 일측 거치대(400ba) 및 후방 타측 거치대(400bb)는 중간 거치대(400c)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서로 상이하므로, 길이가 서로 상이한 블레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후방 타측 거치대(400bb)에는 후방 일측 거치대(400ba)에 지지되는 블레이드보다 길이가 더 긴 블레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어셈블리(500)는 전방 거치대(400a), 후방 거치대(400b) 및 중간 거치대(400c)를 통해, 블레이드의 일단부, 타단부 및 중간부를 균형있게 지지함으로써, 운송박스의 항공 운송시, 블레이드를 박스 내에서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의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제 1 거치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어셈블리(500)는 파렛트(3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거치대(400)를 통해, 블레이드를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거치대(400)는 파렛트(300) 상에서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거치프레임(410)과, 블레이드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제 1 거치프레임(410)에 마련되는 제 1 거치편(420)과, 제 1 거치프레임(410)의 상단에 조립 가능하는 제 2 거치프레임(430)과, 블레이드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제 2 거치프레임(430)에 마련되는 제 2 거치편(440)과, 제 1 거치프레임(410)을 회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거치프레임(410)에는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칸막이(403)가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이 복수개의 칸막이(403) 사이에는 제 1 거치편(420)이 설치될 수 있다. 제 2 거치프레임(430)에는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칸막이(403)가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이 복수개의 칸막이(403) 사이에는 제 2 거치편(44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거치편(420) 및 제 2 거치편(440)은 복수개의 칸막이(403)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는 다공판(401)과, 거치홈을 감싸는 완충부재(40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공판(401)에는 블레이드의 상부 또는 하부가 안착되는 거치홈이 형성될 수 있고, 완충부재(402)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내충격성 및 탄력성이 우수한 에틸레초산비닐 중합체(EVA: Ethylene-Vinyl Acetate) 또는 우레탄(Urethane)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 1 거치편(420) 및 제 2 거치편(440)은 블레이드의 형상에 맞추어, 복수개의 칸막이(403)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복수개의 칸막이(403) 사이에서 칸막이(403)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블레이드의 두께가 거치홈의 너비보다 얇은 경우, 제 1 거치편(420) 및 제 2 거치편(440)은 블레이드가 거치홈에 밀착되도록 복수개의 칸막이(403)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블레이드의 두께가 거치홈의 너비에 매칭되는 경우, 제 1 거치편(420) 및 제 2 거치편(440)은 블레이드가 복수개의 칸막이(403) 사이에서 칸막이(403)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450)는 입출가능한 작동로드를 이용하여, 제 1 거치프레임(41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450)의 일단은 파렛트(3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액츄에이터(450)의 타단은 작동로드를 매개로 제 1 거치프레임(4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의 운송을 위해서, 액츄에이터(450)가 작동로드를 인출시키면, 제 1 거치프레임(410)은 작동로드에 의해 파렛트(300) 상에서 수직하게 기립되도록 회동될 수 있고, 운송박스의 회수시 액츄에이터(450)가 작동로드를 인입시키면, 제 1 거치프레임(410)은 작동로드에 의해 파렛트(300) 상에 수납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에 블레이드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에 블레이드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B)가 블레이드 운송박스에 적재되는 경우, 블레이드(B), 보다 자세하게 블레이드(B)를 이루는 리브(rib)는 거치어셈블리(500)를 통해 본체(100)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리브의 일단부, 타단부 및 중간부는 전방 거치대(400a), 후방 거치대(400b) 및 중간 거치대(400c)를 통해 본체(100)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리브의 상부 및 하부는 전방 거치대(400a) 및 후방 거치대(400b)에 마련된 제 1 거치편(420) 및 제 2 거치편(440)에 의해 각각 고정 및 지지될 수 있고, 리브의 중간부는 중간 거치대(400c)에 마련된 제 1 거치편(4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브의 중간부는 중간 거치대(400c)의 제 1 거치편(420)에 의해 상방향 지지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경우에 따라, 리브의 중간부는 중간 거치대(400c)의 제 1 거치편(420)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제 2 거치편에 의해 상하방향 지지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 1 거치편(420) 및 제 2 거치편(440)은 블레이드의 형상에 맞추어, 복수개의 칸막이(403)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복수개의 칸막이(403) 사이에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의 두께가 거치홈의 너비보다 얇은 경우, 제 1 거치편(420) 및 제 2 거치편(440)은 블레이드가 거치홈에 밀착되도록 복수개의 칸막이(403)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블레이드의 두께가 거치홈의 너비에 매칭되는 경우, 제 1 거치편(420) 및 제 2 거치편(440)은 블레이드가 복수개의 칸막이(403) 사이에서 칸막이(403)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리브가 거치어셈블리(500)를 통해 본체(100)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되면, 커버(200)가 본체(100)의 상부에 조립된 후, 별도의 록킹장치에 의해, 잠금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블레이드 운송박스는 운송수단을 통해 목적지로 운송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의 회수를 위해, 거치대가 파렛트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의 회수를 위해, 본체가 파렛트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의 회수를 위해, 커버가 파렛트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가 목적지에 도착 후 블레이드 운송박스를 회수하는 경우, 파렛트(300)의 내측공간에는 거치대(400)가 회동되어 수납될 수 있다. 즉, 액츄에이터(450)가 작동로드를 수축시키면, 거치대(400)는 작동로드에 의해 파렛트(300) 상에 밀착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400)가 파렛트(300)의 내측공간에 수납되면, 거치대(400)의 상측에는 접힘부(130)를 통해 접어진 상태의 본체(100)가 수납될 수 있다. 즉, 제 1 측판부(110)가 접힘부(130)를 통해 본체(100)의 내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코너부(140)를 통해 제 2 측판부(120) 사이로 제 1 측판부(110)가 포개어질 수 있고, 제 1 측판부(110) 및 제 2 측판부(120)가 포개어진 본체(100)는 파렛트(300)에 수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400) 및 본체(100)가 파렛트(300)에 수납되면, 파렛트(300)의 상부에 커버(200)가 조립된 후, 록킹장치에 의해, 잠금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블레이드 운송박스는 운송수단을 통해 출발지로 회송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의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 12의 우측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박스는, 블레이드의 길이에 따라 거치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레이드 운송박스는 회수시 포개짐이 가능한 본체(100)와, 본체(100)의 상부에 조립되는 커버(200)와, 체의 하부에 조립되는 파렛트(300)와,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거치대(400')를 제공하는 거치어셈블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거치어셈블리(5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 예를 들어, 본체(100), 커버(200) 및 파렛트(300) 구성은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본체(100), 커버(200) 및 파렛트(300) 구성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각각의 거치대(400')는 파렛트(300) 상에서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거치프레임(410)과, 블레이드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제 1 거치프레임(410)에 마련되는 제 1 거치편(420)과, 제 1 거치프레임(410)의 상단에 조립 가능하는 제 2 거치프레임(430)과, 블레이드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제 2 거치프레임(430)에 마련되는 제 2 거치편(440)과, 제 1 거치프레임(410)을 회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450)와,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판(4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판(460)의 상면에는 제 1 거치프레임(410)이 장착되고, 이동판(460)의 양단부는 파렛트(300)의 측벽에 형성된 레일홈(101)에 의해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의 길이 변경에 따라,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위치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제 1 거치프레임(410)는 이동판(460)에 의해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블레이드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적정한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결국, 거치어셈블리(500)는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거치대(400')를 통해, 블레이드를 지지하기 위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거치대(400')를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이해,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판(460)이 사용되지만, 이 외에도, 거치대(400')를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본 실시예에서는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박스 내 복수개의 거치대를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함으로써, 블레이드와 같은 항공 화물을 박스 내에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고, 복수개의 거치대가 파렛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운송박스의 회수시, 운송박스의 부피를 신속하고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본체 200 :커버
300 :파렛트 400 :거치대
401 :다공판 402 :완충부재
403 :칸막이 410 :제 1 거치프레임
420 :제 1 거치편 430 :제 2 거치프레임
440 :제 2 거치편 450 :액츄에이터
500 :거치어셈블리

Claims (10)

  1. 블레이드를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회수시 접힘부를 통해 포개짐이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커버;
    상기 본체의 하부에 조립되는 파렛트; 및
    상기 파렛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거치대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를 선택적으로 안착시키는 거치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파렛트 상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칸막이가 이격 배치되는 제 1 거치프레임과, 상기 블레이드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거치편과, 상기 제 1 거치프레임의 상단에 조립 가능하고, 상기 본체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칸막이가 이격 배치되는 제 2 거치프레임과, 상기 블레이드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거치프레임에 마련되는 제 2 거치편과, 상기 제 1 거치프레임을 회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거치편 및 상기 제 2 거치편은
    상기 블레이드가 안착되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에 거치되는 블레이드의 두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상기 칸막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다공판과, 상기 거치홈을 감싸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운송박스.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치편 및 상기 제 2 거치편은,
    상기 블레이드의 두께가 상기 거치홈의 너비보다 얇은 경우,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거치홈에 밀착되도록 복수개의 상기 칸막이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두께가 상기 거치홈의 너비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가 복수개의 상기 칸막이 사이에서 상기 칸막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블레이드 운송박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어셈블리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파렛트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전방 거치대;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파렛트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후방 거치대; 및
    상기 블레이드의 중간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파렛트의 중간측에 배치되는 중간 거치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운송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거치대는
    상기 중간 거치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파렛트의 전방 일측에 배치되는 후방 일측 거치대; 및
    상기 후방 일측 거치대보다 상기 중간 거치대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파렛트의 전방 타측에 배치되는 후방 타측 거치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운송박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용공간을 두르는 벽면 형태로 제공하고 하단 가장자리부에 상기 파렛트에 수직하게 조립되는 블레이드 운송박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마주보는 전방벽 및 후방벽을 이루는 제 1 측판부와, 상기 본체의 마주보는 측벽을 이루는 제 2 측판부와, 회수시 제 1 측판부가 포개지도록 접혀짐이 가능한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에 의해 포개진 상기 제 1 측판부가 접혀지도록 상기 제 1 측판부 및 상기 제 2 측판부를 연결하는 코너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운송박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에 따라 가변되도록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파렛트에 결합되는 블레이드 운송박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파렛트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칸막이가 이격 배치되는 제 1 거치프레임;
    상기 블레이드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거치편;
    상기 제 1 거치프레임의 상단에 조립 가능하고, 상기 본체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칸막이가 이격 배치되는 제 2 거치프레임;
    상기 블레이드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거치프레임에 마련되는 제 2 거치편;
    상기 제 1 거치프레임을 회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상면에 상기 제 1 거치프레임이 장착되고, 양단부가 상기 파렛트의 측벽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판을 포함하는 블레이드 운송박스.
KR1020160173435A 2016-12-19 2016-12-19 블레이드 운송박스 KR101895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435A KR101895956B1 (ko) 2016-12-19 2016-12-19 블레이드 운송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435A KR101895956B1 (ko) 2016-12-19 2016-12-19 블레이드 운송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888A KR20180070888A (ko) 2018-06-27
KR101895956B1 true KR101895956B1 (ko) 2018-10-18

Family

ID=62789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435A KR101895956B1 (ko) 2016-12-19 2016-12-19 블레이드 운송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956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4893A (en) * 1975-09-09 1977-03-17 Mitsubishi Heavy Ind Ltd Support structure for transportation of small airplanes
JPH0713734U (ja) * 1993-08-19 1995-03-07 株式会社ゼクセル 折り畳みパレット
JP2875783B2 (ja) * 1996-09-19 1999-03-31 伊豫鉄工株式会社 ロール部材用パレット
KR101540579B1 (ko) 2013-06-07 2015-07-31 (주)시스펙 포장 운송용 거치 장치
KR200481456Y1 (ko) * 2015-03-12 2016-10-05 (주)시스펙 운송용 거치대
KR20160117947A (ko) * 2015-04-01 2016-10-11 주식회사 대명엔지니어링 절첩가능한 항공기 날개부품용 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888A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921B1 (ko) 조립식 저장 팔레트
KR101591857B1 (ko) 운반용 조립 박스
US9463915B2 (en) Compressible packaging assembly
US7476068B2 (en) Cargo shipping assembly and method
JP4738486B2 (ja) 車両輸送用コンテナ
US9199761B2 (en) Compressible packaging assembly
US20100187148A1 (en) Equipment case with slideout racks
JP2011037474A (ja) 太陽電池パネル用梱包材
US10399505B1 (en) Collapsable pickup truck storage compartment
JP4210693B2 (ja) トレイ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ンテナ
KR20110002494U (ko) 패널제품용 포장박스
KR102023451B1 (ko) 접이식 포장 상자
KR101895956B1 (ko) 블레이드 운송박스
CN102159472A (zh) 运输包装
US10035633B2 (en) Reusable container
KR100838948B1 (ko) 포장박스 및 이를 이용한 포장구조 및 포장방법
KR101540579B1 (ko) 포장 운송용 거치 장치
KR20130127260A (ko) 대차
JP2006016008A (ja) 梱包用パレット
JP2010064758A (ja) ハニカム構造体包装体
US6569073B1 (en) Telescoping platform assembly for packaging systems
US20060278638A1 (en) Pallet for conveying goods
JP5402227B2 (ja) 航空機用コンテナ
JP5367481B2 (ja) 通い箱
US20230101032A1 (en) Stacking crate and transporting and/or storage system containing two or more stacking cr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