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629Y1 - 스위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스위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629Y1
KR200454629Y1 KR2020090001203U KR20090001203U KR200454629Y1 KR 200454629 Y1 KR200454629 Y1 KR 200454629Y1 KR 2020090001203 U KR2020090001203 U KR 2020090001203U KR 20090001203 U KR20090001203 U KR 20090001203U KR 200454629 Y1 KR200454629 Y1 KR 200454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air
coupling structure
bent port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038U (ko
Inventor
강은병
양현익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1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62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0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0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6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2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lock status, i.e. locked or unlocked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13/183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for actuation by moving a closing member, e.g. door, cov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05Y2400/445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위치 결합구조에 있어서, 전원단과 연결되며 상호 이격 위치되고, 그 일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단자부; 상기 한 쌍의 단자부 사이의 상기 절곡부 하부에 위치되는 통전 재질의 스프링; 및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하방으로 이동 시 상기 스프링이 가압됨에 의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절곡부에서 떨어지게 하여 상기 스위치를 오프하고,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이 상기 한 쌍의 단자부의 상기 절곡부에 접촉되게 하여 상기 스위치를 온시키는 로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결합구조는 통전성을 가지는 스프링과, 한 쌍의 단자부의 절곡부를 사용하여, 단자부 사이에 전기가 흐르거나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그 구조 및 조립공정이 단순화 되며, 이에 따라 제조 비용 또한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위치 결합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Switch}
본 고안은 차량의 후드 또는 트렁크 리드의 개폐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표시하는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의 수를 줄여서 조립 과정을 단순화 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앞쪽의 엔진룸이나 뒤쪽의 트렁크에 위치된 후드(Hood) 또는 트렁크 리드(trunk lid)는 개폐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엔진룸이나 트렁크의 전방측에는 후드 또는 트렁크 리드의 개폐에 따라 변화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이들의 개폐를 감지하는 스위치 장치가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개폐 상태를 표시하거나, 도난 경보를 발하는 등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러한 종래 스위치 장치는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77599호(이하 “선행특허”라 함)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외부의 이물질 침투를 감소시키고, 브라켓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를 제거한 종래 스위치 결합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 스위치 결합구조는 돌출부(220)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220)가 브라켓(400) 홀(420)의 하측에서 삽입되어 홀(420)에 삽입되어 걸쳐지는 본체(100)와, 상기 브라켓(400)의 홀(420)에 삽입된 돌출부(220)에 끼워져 브라켓(400)과 본체(100)를 결합하는 결합부재(5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100)의 내부에는 돌출부(220)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노출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한 로더(120)와, 상기 로더(12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접촉자(160)와, 상기 로더(120)와 상기 접촉자(160)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8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100)의 상측에는 신축성과 탄력성이 있는 합성고무 재질의 캡(600)이 로더(120)를 감싸도록 씌워 상방에서 스며드는 빗물이나 이슬을 차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후드가 열리면, 로더(120)가 스프링(180)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접촉편(340)과 접촉자(160)가 서로 접촉되어 통전되는 상태가 되어, 전기가 일측의 핀(380)과 일측의 접촉편(340)을 지나 이에 접촉된 접촉자(160)를 통해 타측의 접촉편(340)과 타측의 핀(380)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전기가 흐르게 되면, 운전자에게 이를 표시하거나, 도난 경보를 울리거나, 내부 램프를 작동시키게 할 수 있다. 반대로 후드가 닫히게 되면, 로더(120)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접촉자(160)는 양측의 접촉편(340) 사이에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양 접촉편(340) 사이에는 전기가 흐르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스위치 결합구조는 로더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접촉자가 상하 이동되면서 접촉편과 접촉되거나 접촉되지 않는 구조인바, 구성이 복잡하고, 조립 과정 또는 사용 과정에서 접촉자가 스프링에 의하여 외부로 튕겨져 나갈 수도 있으 며, 이는 제품의 고장률 및 불량률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은 부품의 수를 줄여서 조립 과정을 단순화 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스위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위치 결합구조에 있어서, 전원단과 연결되며 상호 이격 위치되고, 그 일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단자부; 상기 한 쌍의 단자부 사이의 상기 절곡부 하부에 위치되는 통전 재질의 스프링; 및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하방으로 이동 시 상기 스프링이 가압됨에 의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절곡부에서 떨어지게 하여 상기 스위치를 오프하고,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이 상기 한 쌍의 단자부의 상기 절곡부에 접촉되게 하여 상기 스위치를 온시키는 로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단자부의 외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한 쌍의 상기 지지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에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단자부가 수용되도록 내부가 빈 공간이 구비되고, 일측 에 상기 로더의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는 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지지대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는 상기 단자부가 위치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결합구조는 통전성을 가지는 스프링과, 한 쌍의 단자부의 절곡부를 사용하여, 단자부 사이에 전기가 흐르거나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그 구조 및 조립공정이 단순화 되며, 이에 따라 제조 비용 또한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결합구조는 그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품질 및 내구성이 상승되며, 스프링의 일단부가 한 쌍의 단자부의 절곡부와 접촉되거나 접촉되지 않는 단순한 구조만으로 전기가 흐르거나 흐르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스프링의 탄성이 없어지지 않는 한, 접점 불량에 대한 불량 요인이 사라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결합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결합구조는 본체(5)에 관통 위치된 로더(30)의 상하이동에 따라 단자부(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해제되면서, 차량의 후드 또는 트렁크 리드의 닫힘 및 열림이 감지되도록 구성된다.
본체(5)는 차량 앞쪽의 엔진룸이나 뒤쪽의 트렁크 등에 고정된 브라켓(미도시) 등에 끼워지며, 나사 등의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본체(5)는 합성수지 재질로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로더(30)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본체(5) 내부에 내장되어, 스위치 결합구조가 컴팩트하게 구성되도록 한다.
로더(30)의 일단부는 본체(5)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본체(5) 상측에 형성된 삽입부(7)를 통하여, 본체(5)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로더(30)의 타단부에는 신축성과 탄력성이 있는 합성고무 재질의 캡(미도시)이 씌워져서, 본체(5)의 삽입부(7)와 로더(30) 사이로 스며드는 빗물이나 이슬이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결합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스위치 결합구조는 본체(5) 내부에 지지부(40), 한 쌍의 단자부(10), 스프링(20), 로더(30)를 포함하고 있다.
지지부(40)는 상기 단자부(10)들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단자부(10)를 지지하도록 상호 이격 위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42)와, 한 쌍의 지지대(42)의 하측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44)를 구비한다.
그리고 한 쌍의 지지대(42)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는 단자부(10)가 위치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딩부(42a)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44)의 상면 중앙, 즉 한 쌍의 지지대(42) 중앙에는 스프링(20)이 삽입 위치되도록 스프링 고정부(45)가 돌출 형성된다.
단자부(10)는 통전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한 쌍의 단자부(10)가 각각 가이딩부(42a)에 삽입 위치되어,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이격 위치된다. 그리고 각 단자부(10)의 상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부(12)를 형성하고, 하단부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단(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20)은 탄성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단자부(10) 사이에 위치되어, 그 일단부는 단자부(10)의 절곡부(12) 방향에 위치되고, 그 타단부는 연결부(44)의 스프링 고정부(45)에 삽입 고정되어, 스프링(20)이 한 쌍의 단자부(10) 사이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스프링(20)은 통전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로더(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스프링(20)의 일단부가 절곡부(12)와 접촉되어 본 발명의 스위치가 온되거나 접촉되지 않아 오프되도록 구성된다. 스프링(20)의 일단부가 한 쌍의 절곡부(12)와 접촉되면, 일측의 단자부(10)의 절곡부(12)에서 전달되는 전기는 스프링(20)의 일단부를 통해 타측의 단자부(10)의 절곡부(12)로 흘러, 일측의 단자부(10)의 전기가 스프링(20)의 일단부를 통해 타측의 단자부(10)로 통전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스위치는 온 된다. 구체적으로, 스프링(20)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스프링(20)의 일단부가 절곡부(12)와 접촉되거나 접촉되지 않게 됨과 동시에, 일측의 단자부(10)의 전기가 타측의 단자부(10)로 흐르거나 흐르지 않도록 구성된다.
로더(3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일단부는 스프링(20)의 일단부에 위치되고, 그 타단부는 본체(5)의 삽입부(7)를 통하여 본체(5) 외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로더(30)의 일단부에는 스프링(20)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스프링 가이드부(3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의 힘이 로더(30)의 타단부를 가압하면, 로더(30)의 일단부가 스프링(20)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더가 하방으로 가압되지 않은 상태의 스위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더가 하방으로 가압된 상태의 스위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결합구조가 온 및 오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4는 로더(30)가 하방으로 가압되지 않은 상태 즉, 본넷 후드가 열려있는 상태이다. 본넷 후드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로더(30)가 스프링(20)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올려져 있게 되어, 단자부(10)의 절곡부(12)와 스프링(20)의 일단부가 서로 접촉되어 통전되도록 구성된다. 절곡부(12)와 스프링(20)의 일단부가 접촉된 상태는 도 6의 (a)를 참조하면,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
이처럼 본넷 후드가 열리면 일측 단자부(10)의 절곡부(12)의 전기가 스프링(20)의 일단부를 지나, 타측 단자부(10)의 절곡부(12)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전기가 흐르게 되면, 운전자에게 이를 표시하거나, 도난 경보를 울리거나, 내부 램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로더(30)가 하방으로 가압된 상태 즉, 본넷 후드가 닫혀있는 상태이다. 본넷 후드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로더(30)가 본넷 후드의 가압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되어, 단자부(10)의 절곡부(12)와 스프링(20)의 일단부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절곡부(12)와 스프링(20)의 일단부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는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
이처럼 본넷 후드가 닫히면, 양 단자부(10) 사이에는 전기가 흐르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위치 결합구조는 통전성을 가지는 스프링과, 한 쌍의 단자부의 절곡부를 사용하여, 단자부 사이에 전기가 흐르거나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그 구조 및 조립공정이 단순화 되며, 이에 따라 제 조 비용 또한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스위치 결합구조는 그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품질 및 내구성이 상승되며, 스프링의 일단부가 한 쌍의 단자부의 절곡부와 접촉되거나 접촉되지 않는 단순한 구조만으로 전기가 흐르거나 흐르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스프링의 탄성이 없어지지 않는 한, 접점 불량에 대한 불량 요인이 사라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스위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결합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더가 하방으로 가압되지 않은 상태의 스위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더가 하방으로 가압된 상태의 스위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결합구조가 온 및 오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본체 7: 삽입부
10: 단자부 12: 절곡부
20: 스프링 30: 로더
32: 스프링 가이드부 40: 지지부
42: 지지대 42a: 가이딩부
44: 연결부 45: 스프링 고정부

Claims (4)

  1. 스위치 결합구조에 있어서,
    전원단과 연결되며 상호 이격 위치되고, 그 일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단자부;
    상기 한 쌍의 단자부 사이의 상기 절곡부 하부에 위치되는 통전 재질의 스프링; 및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하방으로 이동 시 상기 스프링이 가압됨에 의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절곡부에서 떨어지게 하여 상기 스위치를 오프하고,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이 상기 한 쌍의 단자부의 상기 절곡부에 접촉되게 하여 상기 스위치를 온시키는 로더를 포함히고,
    한 쌍의 상기 단자부의 외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한 쌍의 상기 지지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에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가 고정되며,
    한 쌍의 상기 지지대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는 상기 단자부가 위치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결합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단자부가 수용되도록 내부가 빈 공간이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로더의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는 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결합구조.
  4. 삭제
KR2020090001203U 2009-02-04 2009-02-04 스위치 결합구조 KR200454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203U KR200454629Y1 (ko) 2009-02-04 2009-02-04 스위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203U KR200454629Y1 (ko) 2009-02-04 2009-02-04 스위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038U KR20100008038U (ko) 2010-08-12
KR200454629Y1 true KR200454629Y1 (ko) 2011-07-14

Family

ID=4445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203U KR200454629Y1 (ko) 2009-02-04 2009-02-04 스위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62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3068A (ja) * 2005-12-22 2007-07-05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3068A (ja) * 2005-12-22 2007-07-05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038U (ko)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4772B1 (ko)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JP4456521B2 (ja) 自動車用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6310151A5 (ko)
KR200454629Y1 (ko) 스위치 결합구조
CN111306879A (zh) 冰箱及其门体状态检测方法
KR101076551B1 (ko) 스위치 결합구조
KR101286942B1 (ko) 슬라이딩 접점을 구비하는 스위치 구조
KR200377599Y1 (ko) 스위치 결합구조
CN214123746U (zh) 一种大电流工业按钮开关
CN203013594U (zh) 单开双联开关功能模块
KR101064794B1 (ko) 스위치 구조
KR100879102B1 (ko) 차량의 도어스위치
JP2013218979A (ja) 車両用スイッチ
KR101086582B1 (ko) 스위치 구조
KR100798337B1 (ko) 자동차용 도어 램프의 스위치
JP3617066B2 (ja) 筐体のスイッチ付照明装置
KR200456333Y1 (ko) 접촉 경계가 명확한 차량용 스위치
CN211182007U (zh) 一种用于车辆座椅的集成式常开常闭双联开关
CN109243874B (zh) 一种开关结构的触发装置
CN220890458U (zh) 一种机械式电控干燥器结构
KR101076498B1 (ko) 소형 스위치 구조
CN219017492U (zh) 一种开关结构及车把手开关
CN215933446U (zh) 机械开关和冰箱
CN208559679U (zh) 摩托车制动开关
KR20180072004A (ko) 스위치 일체형 글로브박스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