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214Y1 -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214Y1
KR200454214Y1 KR2020090008220U KR20090008220U KR200454214Y1 KR 200454214 Y1 KR200454214 Y1 KR 200454214Y1 KR 2020090008220 U KR2020090008220 U KR 2020090008220U KR 20090008220 U KR20090008220 U KR 20090008220U KR 200454214 Y1 KR200454214 Y1 KR 200454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water
tank
brine
discharged
sodium hypochlo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335U (ko
Inventor
김광유
Original Assignee
김광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유 filed Critical 김광유
Priority to KR2020090008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21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3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3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2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45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포화염수조에서 토출되는 포화염수를 저장하되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플로트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소금물 정수위 탱크와; 상기 소금물 정수위 탱크에서 토출되는 소금물과 연수 탱크에서 토출되는 연수를 혼합하는 벤츄리관과; 상기 벤츄리관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발생시키는 전기분해조와; 연수기에서 공급받은 연수와 상기 전기분해조에서 유입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열교환에 의해 연수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코일형 또는 판형의 연수 라인이 설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연수를 저장하되 히터 제어용 온도센서 및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연수 탱크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상기 연수 탱크로 토출되는 연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자동 밸브 제어용 온도 센서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상기 연수 탱크로 토출되는 연수가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수기에서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연수를 바이패스시키는 자동 밸브와; 상기 연수 탱크에서 토출되는 연수를 차단하기 위한 연수공급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밸브, 유량센서, 차아염소산나트륨, 전기분해조, 플로트 밸브, 벤츄리관

Description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A PRODUCER OF SODIUM HYPOCHLORITE WITH AUTO VALVE AND FLOW SENSOR}
본 고안은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금물과 연수가 혼합된 저농도의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는 희석염수(적정농도의 소금물(Nacl))를 격막(이온교환막)이 없는 일련의 전극을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전극 양단에 부가된 직류전류(DC)를 이용해서 소금을 전기분해하고 이를 물과 반응시켜 소량의 수소가스와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만들어 내는 장치로서 상기와 같이 생산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염소의 안전한 형태로서 소독이 필요한 현장의 염소소독을 위하여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일반수를 연수로 제조 공급하는 연수기(50)와; 소금물을 저장하거나 소금물유동관(60)을 통하여 전기분해장치(15)에 공급하는 소금물저장탱크(10)와; 상기 소금물저장탱크(10)에서 배출되는 소금물이 유동되는 소금물유동관(60)과; 상기 소금물유동관(60)에 설치되어 소금물을 유동시키는 유동펌프(40)와; 상기 소금물유동관(60)과 전기분해장치(15) 간에 설치되며, 소금물유동관(60)을 통해 유동되는 소금물과 연수를 희석하여 저농도의 소금물을 만들기 위한 다수의 소금물유량계(45)와; 상기 연수기(50)에서 배출되는 연수가 소금물유량계(45)에서 소금물과 혼합되어 저농도의 소금물로 희석되도록 연수기와 소금물유량계(45) 간을 연결하여 공급하는 연수공급관(55)과; 상기 소금물유량계(45)에서 희석된 저농도의 소금물을 정류기(75)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으로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발생시키는 전기분해장치(15)와; 상기 전기분해장치(15)에서 발생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이 배출관(35)으로 유동되어 저장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탱크(30)와; 상기 전기분해장치(15)와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탱크(30)를 연결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배출관(35)에 설치되어 전기분해 반응시 발생되는 반응열을 연수공급관(55)으로 전달하는 열교환기(20)와; 상기 열교환기(20)를 통과한 연수가 유동되는 연수공급관(55)과 전기분해장치(15) 사이에 설치되어 연수를 가열하는 전기히터(25)와; 상기 열교환기(20) 또는 전기히터(25)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연수가 유동되는 제1,2바이패스관(56,71)과; 상기 열교환기(20) 또는 전기히터(25) 내부로 연수가 유동되거나 제1,2바이패스관(56,71)을 통해 유동되도록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한 차단밸브(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술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는 열교환기(20)의 내부에 차염 라인을 코일형으로 설치함으로써 연수기(50)에서 유입되는 연수가 열교환기(20) 및 바이패스관(56)으로 흐르게 됨으로써 다수의 차단밸브(65)를 설치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분해장치(15)의 전기분해시 발생되는 수소로 인해 열교환기(20)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수소의 갑작스런 이동으로 인해 관로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종래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에서 포화된 소금물과 연수를 희석하여 저농도의 희석염수를 만들때 펌프를 사용하여 포화염수조에 저장된 포화된 소금물을 공급하게 되는데, 포화염수조에 저장된 소금물은 소금 보충시 소금의 부피만큼 수위가 상승하게 되고 또한 포화염수조에 설치된 수위계에 상하(H,L) 수위 신호 범위(예컨대, 1m)만큼 운전수위를 가지게 되므로 수두차(물의 낙차)에 의해 펌프 토출량의 변화가 발생함으로써 소금물을 일정하게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펌프를 사용하여 소금물을 공급하게 되면 유입 유량의 변화에 연동하지 못하고 일정한 양만 공급하게 되므로 유입 유량이 일정부분 변화(예컨대 10 l/min에서 9 l/min)했을 경우 희석염수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에서, 희석염수의 농도는 생성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와 직결되므로 희석염수의 농도변화는 곧 생성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 변화를 의미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90)는 일반적으로 2대 이상, 많게는 10대 이상이 같은 공간에 설치되어 운전된다.
이 때, 공급수 펌프(91)에서 각각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90)로 공급 되는 원수는 하나의 배관을 통해 분기 공급되는데, 통상적으로 일정한 압력 편차 범위(예컨대 2~3kg/㎠)내에서 공급된다. 따라서, 압력 변동으로 인한 유입 유량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각각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90)로 공급되는 배관 인입부에 레귤레이터(92)를 설치한다. 그런데, 아무리 여러대의 레귤레이터(92)를 설치하더라도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90)가 1대일 때와 여러대일 때에는 각각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90)로 공급되는 유량이 변할 수 밖에 없으므로, 각각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90)로 항상 정확하게 일정량을 공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설령 부스터 펌프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얻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교환기의 내부에 코일형 차염 라인 대신 코일형 또는 판형의 연수 라인을 설치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며, 관로가 보호되며, 열교환기 주변에 다수의 차단밸브가 필요하지 않도록 고안된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플로트 밸브를 이용하여 일정하게 수위를 유지하고 일정한 농도의 소금물을 전기분해조에 공급해서 일정한 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할 수 있도록 된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소금물과 연수를 혼합할 때 벤츄리관을 사용하여 일정 범위 이내의 유입 유량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된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는, 연수기에서 연수를 공급받아 소금을 용해하여 포화염수를 만들어 저장하되 수위계 및 물공급 밸브에 의해 수위가 조절되는 포화염수조와; 상기 포화염수조에서 토출되는 포화염수를 저장하되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플로트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소금물 정수위 탱크와; 상기 소금물 정수위 탱크에서 토출되는 소금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소금물 유량조절 밸브와; 상기 소금물 정수위 탱크에서 토출되는 소금물의 유량을 표시하는 소금물 유량계와; 상기 소금물 정수위 탱크에서 토출되는 소금물과 연수 탱크에서 토출되는 연수를 혼합하는 벤츄리관과; 상기 벤츄리관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발생시키는 전기분해조와; 연수기에서 공급받은 연수와 상기 전기분해조에서 유입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열교환에 의해 연수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코일형 또는 판형의 연수 라인이 설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연수를 저장하되 연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히터 제어용 온도센서 및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연수 탱크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상기 연수 탱크로 토출되는 연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자동 밸브 제어용 온도 센서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상기 연수 탱크로 토출되는 연수가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수기에서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연수를 바이패스시키는 자동 밸브와; 상기 연수 탱크에서 토출되는 연수를 필요에 따라 차단하기 위한 연수공급용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연수 탱크에서 토출되는 연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연수유량 조절밸브와; 상기 연수 탱크에서 토출되는 연수의 유량을 표시하는 연수 유량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는 상기 연수 탱크에서 토출되는 연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연수유량 센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전기분해조로 유입되는 연수 유량에 비례하도록 상기 연수유량 센서의 신호에 의해 전기분해조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수 탱크는 수충격 방지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열교환기의 내부에 코일형의 차염 라인 대신 코일형 또는 판형의 연수 라인이 설치됨으로써, 종래에 열교환기의 내부에 코일형의 차염 라인이 설치되었을 때 야기되었던, 전기분해장치의 전기분해시 발생되는 수소로 인한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저하 문제, 수소의 갑작스런 이동으로 인한 관로의 손상 및 그로인한 장치의 운전 정지 문제, 및 열교환기 주변에 다수의 차단밸브가 요구되는 문제가 효과적으로 해결된다.
또한, 열교환기와 연수 탱크 사이에 자동밸브 제어용 온도 센서 및 자동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연수기에서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연수량을 자동 조절하여 열교환기에서 연수 탱크로 유입되는 연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안정적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운전자의 수동 밸브 조작 실수로 인해 발생되었던 전극 손상을 방지하여 장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히터 제어용 온도센서 및 히터가 설치되며 수충격 방지기능을 갖는 연수 탱크를 열교환기와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발생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재분해되지 않고 열교환기를 통과한 연수를 가열함으로써 히터의 구동을 최소화하여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장치의 운전, 정지시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 동작으로 인한 수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화염수조측에 플로트 밸브가 설치된 소금물 정수위 탱크를 구비함으로써 수위를 일정하게 조절하고 포화염수의 흡입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일정한 농도의 소금물을 전기분해조에 공급해서 일정한 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벤츄리관을 통해 소금물과 연수를 혼합하여 희석염수를 만들게 됨으로써 일정 범위 이내의 유입 유량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전기분해조로 유입되는 유량에 비례하도록 전기분해조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성량이 변하더라도 일정한 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는 크게 연수기(110), 포화염수조(120), 소금물 정수위 탱크(130), 전기분해조(140), 열교환기(150), 차염 저장탱크(160) 및 연수 탱크(180)를 구비한다.
상기 연수기(110)는 외부에서 펌프를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연수 처리한다.
상기 포화염수조(120)는 상기 연수기(110)에서 연수를 공급받고 소금을 용해하여 포화염수를 만들어 저장하는데 수위계(121) 및 물공급 밸브(122)에 의해 수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소금물 정수위 탱크(130)는 상기 포화염수조(120)에서 포화염수를 공급 받아 저장하는데 항상 일정하게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플로트 밸브(131)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플로트 밸브(131)를 이용하여 항상 일정하게 수위를 유지함으로써 포화염수의 흡입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일정한 농도의 소금물을 전기분해조에 공급해서 일정한 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소금물 정수위 탱크(130)의 소금물이 토출되는 관에는 소금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소금물 유량조절 밸브(132), 소금물의 유량을 표시하는 소금물 유량계(133) 및 상기 소금물 정수위 탱크(130)에서 토출되는 소금물과 연수 탱크(180)에서 토출되는 연수를 적절히 혼합하는 벤츄리관(134)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소금물과 연수를 혼합할 때 벤츄리관(134)을 사용함으로써 일정 범위 이내의 유입 유량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전기분해조(140)는 상기 벤츄리관(134)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희석염수 즉, 저농도의 소금물을 정류기(141)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으로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발생시킨다.
상기 열교환기(150)는 상기 연수기(110)에서 공급되는 연수와 상기 전기분해조(140)에서 유입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열교환에 의해 연수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 때, 열교환기(150)에는 열교환 효율을 보다 좋게 하기 위해, 예컨대 관경이 15A인 연수 공급관 및 바이패스관보다 관경이 10A인 관을 많이 감은 코일형 또는 판형으로 연수 라인(151)을 설치함으로써 연수 라인(151)에 관로 압력이 발생하여 외부의 바이패스관으로 연수가 흐르게 된다.
상기 차염 저장탱크(160)는 상기 열교환기(150)를 통과한 차아염소산나트륨 을 저장한다.
상기 연수 탱크(180)는 상기 열교환기(150)에서 토출되는 연수를 저장하는데, 연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히터 제어용 온도센서(181) 및 히터(182)가 설치된다. 예컨대, 초기 운전시(약 7분간) 전기분해 반응열이 낮아 열교환기(150)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초기 운전시 빠른 열교환 효율을 위해 히터(182)가 작동하여 연수의 온도를 정해진 온도(예컨대 15℃)만큼 올리게 된다.
또한, 상기 연수 탱크(180)는 수충격 방지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히터(182)의 초기 운전 시간이 지나면 열교환기(150)만으로도 정상 운전이 가능하므로 장치의 운전, 정지시 연수 탱크(180)의 연수가 토출되는 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183)의 개폐 동작으로 인한 수충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 대신에 전동 밸브를 사용하는 경우, 정전시 차단기능을 할 수 없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
상기 열교환기(150)와 상기 연수 탱크(180)를 연결하는 관에는 열교환기(150)에서 연수 탱크(180)로 유입되는 연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자동밸브 제어용 온도 센서(171)가 설치되고, 연수기(110)에서 열교환기(150)로 유입되는 연수를 바이패스시켜 연수 탱크(180)로 직접 유입되도록 하는 바이패스관에는 자동밸브(172)가 설치된다. 즉, 자동밸브 제어용 온도 센서(171)에 의해 측정된 연수 온도가 정해진 온도(예컨대 15℃)에 근접되도록 모터를 작동시켜 자동 밸브(172)를 개폐시키는 것이다. 예컨대, 연수 온도가 정해진 온도 이상이 되면 유입되는 연수가 바이패스되도록 자동 밸브(172)를 개방하고, 연수 온도가 정해진 온도 이하가 되면 유입 되는 연수가 열교환기(150)로 유입되어 차아염소산나트륨과 열교환되도록 자동 밸브(172)를 폐쇄시키는 것이다.
상기 연수 탱크(180)의 연수가 토출되는 관에는 연수 탱크(180)에서 토출되는 연수를 필요에 따라 차단하기 위한 연수공급용 솔레노이드 밸브(183), 연수 탱크(180)에서 토출되는 연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연수유량 조절밸브(184), 연수 탱크(180)에서 토출되는 연수의 유량을 표시하는 연수 유량계(185) 및 연수 탱크(180)에서 토출되는 연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연수유량 센서(186)가 설치된다. 상기 연수공급용 솔레노이드 밸브(183)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의 운전 또는 정지시에 컨트롤러(미도시)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개폐하여 연수를 공급한다.
본 고안의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는 상기 연수유량 센서(186)에서 측정된 연수유량 즉, 전기분해조(140)로 유입되는 연수유량에 비례하도록 전기분해조(140)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분해조(140)에서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성량이 변하더라도 일정한 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는 상기 연수유량 센서(186)에서 측정된 연수유량 즉, 전기분해조(140)로 유입되는 연수유량이 운전범위의 한계를 벗어나는 경우, 컨트롤러의 지시로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를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 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연수기 120 : 포화염수조
121 : 수위계 122 : 물공급 밸브
130 : 소금물 정수위 탱크 131 : 플로트 밸브
132 : 소금물 유량조절 밸브 133 : 소금물 유량계
134 : 벤츄리관 140 : 전기분해조
141 : 정류기 150 : 열교환기
151 : 연수 라인 160 : 차염 저장탱크
171 : 자동밸브 제어용 온도 센서 172 : 자동밸브
180 : 연수 탱크 181 : 히터 제어용 온도센서
182 : 히터 183 : 연수공급용 솔레노이드 밸브
184 : 연수유량 조절밸브 185 : 연수 유량계
186 : 연수유량 센서

Claims (3)

  1.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연수기에서 연수를 공급받아 소금을 용해하여 포화염수를 만들어 저장하되 수위계 및 물공급 밸브에 의해 수위가 조절되는 포화염수조와;
    상기 포화염수조에서 토출되는 포화염수를 저장하되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플로트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소금물 정수위 탱크와;
    상기 소금물 정수위 탱크에서 토출되는 소금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소금물 유량조절 밸브와;
    상기 소금물 정수위 탱크에서 토출되는 소금물의 유량을 표시하는 소금물 유량계와;
    상기 소금물 정수위 탱크에서 토출되는 소금물과 연수 탱크에서 토출되는 연수를 혼합하는 벤츄리관과;
    상기 벤츄리관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발생시키는 전기분해조와;
    연수기에서 공급받은 연수와 상기 전기분해조에서 유입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열교환에 의해 연수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코일형 또는 판형의 연수 라인이 설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연수를 저장하되 연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히터 제어용 온도센서 및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연수 탱크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상기 연수 탱크로 토출되는 연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자동 밸브 제어용 온도 센서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상기 연수 탱크로 토출되는 연수가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수기에서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연수를 바이패스시키는 자동 밸브와;
    상기 연수 탱크에서 토출되는 연수를 필요에 따라 차단하기 위한 연수공급용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연수 탱크에서 토출되는 연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연수유량 조절밸브와;
    상기 연수 탱크에서 토출되는 연수의 유량을 표시하는 연수 유량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수 탱크에서 토출되는 연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연수유량 센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전기분해조로 유입되는 연수 유량에 비례하도록 상기 연수유량 센서의 신호에 의해 전기분해조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수 탱크는 수충격 방지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2020090008220U 2009-06-25 2009-06-25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2004542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220U KR200454214Y1 (ko) 2009-06-25 2009-06-25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220U KR200454214Y1 (ko) 2009-06-25 2009-06-25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593 Division 2008-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335U KR20100003335U (ko) 2010-03-25
KR200454214Y1 true KR200454214Y1 (ko) 2011-06-23

Family

ID=4419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220U KR200454214Y1 (ko) 2009-06-25 2009-06-25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21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655A1 (ko) * 2012-08-01 2014-02-06 한국코스믹라운드(주)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생성장치
KR101367779B1 (ko) * 2013-02-01 2014-02-27 김정남 염소소독수 생성장치의 염수 공급구조
KR20150047242A (ko) * 2013-10-24 2015-05-04 코웨이 주식회사 살균수기 전해질 도징 시스템
KR101941375B1 (ko) * 2017-09-01 2019-01-22 김정남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199B1 (ko) * 2011-03-14 2011-10-27 김경수 오픈셀 방식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제조장치
KR101248571B1 (ko) * 2011-03-28 2013-03-28 (주) 테크윈 복합 전해 살균 소독 장치 및 그 방법
KR101427563B1 (ko) * 2012-03-29 2014-08-06 (주) 테크윈 해수 전해 장치
KR101693826B1 (ko) * 2015-04-30 2017-01-06 주식회사 두산 수전해 장치 및 이의 운전 방법
KR102325378B1 (ko) * 2021-04-16 2021-11-11 인바이로테크 주식회사 차아염소산수 생산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036A (ko) * 2002-08-20 2004-02-26 학교법인 동의학원 신발 밑창 성형을 위한 플래시 발생 방지형 밀폐 금형
KR200417036Y1 (ko) * 2006-03-03 2006-05-23 (주) 테크윈 연수온도 조절장치가 구비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
KR20080050380A (ko) * 2008-05-16 2008-06-05 주식회사 태현수기 전기분해식차아염소산나트륨발생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036A (ko) * 2002-08-20 2004-02-26 학교법인 동의학원 신발 밑창 성형을 위한 플래시 발생 방지형 밀폐 금형
KR200417036Y1 (ko) * 2006-03-03 2006-05-23 (주) 테크윈 연수온도 조절장치가 구비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
KR20080050380A (ko) * 2008-05-16 2008-06-05 주식회사 태현수기 전기분해식차아염소산나트륨발생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655A1 (ko) * 2012-08-01 2014-02-06 한국코스믹라운드(주)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생성장치
US9828683B2 (en) 2012-08-01 2017-11-28 Cosmic Roud Korea Co., Ltd. Apparatus for producing slightly weak acidic hypochlorous acid water
KR101367779B1 (ko) * 2013-02-01 2014-02-27 김정남 염소소독수 생성장치의 염수 공급구조
KR20150047242A (ko) * 2013-10-24 2015-05-04 코웨이 주식회사 살균수기 전해질 도징 시스템
KR102113724B1 (ko) * 2013-10-24 2020-05-21 코웨이 주식회사 살균수기 전해질 도징 시스템
KR101941375B1 (ko) * 2017-09-01 2019-01-22 김정남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335U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214Y1 (ko)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US7993600B2 (en) Salt dispensing system
KR100914679B1 (ko) 전기분해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
ES2904295T3 (es) Sistema y método de purificación de agua
CN102381799B (zh) 反渗透设备
KR101226640B1 (ko) 고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AU2017225104A1 (en) Device for manufacturing sodium hypochlorite or hypochlorous acid and water treatment system in general
KR101146762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JP6737661B2 (ja) 逆浸透膜処理システム及び逆浸透膜処理システムの運転方法
ES2651091T3 (es) Procedimiento para la supervisión de una instalación de tratamiento de agua para una instalación de llenado de circuito
KR200417036Y1 (ko) 연수온도 조절장치가 구비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
JP2008159462A (ja) 燃料電池装置
JP2010115639A (ja) ペーハー調整方法および装置
JP6065687B2 (ja) 水処理装置
KR100736155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101393361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제조장치
JP5190674B2 (ja) ボイラシステムの運転方法
CN116693036B (zh) 一种用于水处理消毒的装置及其水处理方法
KR102032441B1 (ko) 하이브리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및 하이브리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US20130199928A1 (en) Device for producing an electrochemically activated solution by means of an electrolysis process
KR100706118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의 물 보충장치
KR101510455B1 (ko)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KR101612424B1 (ko) 신뢰성이 높은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
JP6176149B2 (ja) 水処理装置
KR101931746B1 (ko) 현장발생형 수소가스 재활용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