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0380A - 전기분해식차아염소산나트륨발생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분해식차아염소산나트륨발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0380A
KR20080050380A KR1020080046415A KR20080046415A KR20080050380A KR 20080050380 A KR20080050380 A KR 20080050380A KR 1020080046415 A KR1020080046415 A KR 1020080046415A KR 20080046415 A KR20080046415 A KR 20080046415A KR 20080050380 A KR20080050380 A KR 20080050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soft water
water
sodium hypochlorite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철
타츄오 오모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현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현수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현수기
Priority to KR1020080046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0380A/ko
Publication of KR20080050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380A/ko
Priority to KR1020090006638A priority patent/KR100914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4Cur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45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55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7DC o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분해식 차아 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분해식 차아 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일반수를 연수로 제조, 공급하는 연수기와 염수를 연속적으로 순환하여 포화소금물을 안정되게 제조, 공급할 수 있는 소금용해조와 상기 포화 염수를 적정하게 전해조에 공급하는 염수정류량 펌프와 상기 연수로 포화염수를 희석하여 저농도 염수를 생성하는 연수정유량 제어밸브와 정밀유량계를 구비한 희석수공급부와 상기 포화 염수와 희석수를 혼합하여 전해조에 공급하는 전해수공급관과 정전류 제어기능을 구비한 정전류전원과 상기 정전류전원에서 공급되는 전해전류로 저농도염수를 전해하며, 전해시에 생성하는 전해열을 이용하여 1차 전해조에 투입되는 저온의 전해수를 가열하고, 2차전해조의 전해시에 생성하는 과열을 안전하게 냉각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해조와 2차 전해조에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중계탱크에 저장된 상기 중계탱크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소독 시스템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탱크로 송액하는 펌프와 도관으로 구성되는 전기분해식 차아염소 산나트륨 발생시스템이다.
Figure P1020080046415
전기분해식.차아염소산나트륨, 염수순환, 전해수가열,냉각

Description

전기분해식차아염소산나트륨발생시스템 {Electrolitic Sodium Hypochlorite Generating System}
본 발명은 안정된 농도의 차아 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는 전기분해식 차아 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분해식 차아 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은 본 출원인이 2007년도에 선 출원한 < 전기분해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기(출원번호; 10-2007-0125219) >를 개선한 전기분해식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발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정된 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는 전기분해식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열교환기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유입되는 일반수를 연수로 제조, 공급하는 연수기(110)기; 포화소금물을 저장, 공급하기위한 소금물저장탱크(130);소금물 송액 정류량 펌프(135), 소금물 유량계(136),소금물 공급관(131); 포화소금물 희석용 연수 공급 관(111-117) 과 연수유량계(138),상기 포화소금물과 희석 연수가 소금물 희석도관 (132) 에서 희석되어 약 3%의 소금물 전해수로 형성되고, 전해수는 전해조(125)에 유입된 후, 전해전원 (120)에서 공급하는 전해전류에 의해 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며, 생성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차아염소산 나트륨 배출관 (141)를 유동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탱크(100)에 유입되는 것이다. 도5의 시스템에 있어서, 저온의 전해수를 전해에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하여 연수유로 상에 열교환기 (140)를 부착하여, 전기분해시에 생성하는 전해열을 이용하여 저온도 전해수를 가열하며, 상기 가열이 부족할경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경로에 전기히터(150)를 장착하여 저온도 전해수를 가열하는 것으로 상기의 열교환기와 전기히터 유로에는 전해수 온도가 높고, 장비가 고장날 때를 대비하여 교체유로로 바이패스관 (113, 1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전기분해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는 약 3%의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며, 그 전기분해공식은 아래와 같다.
NaCL + H2O + 2e → NaOCL + H2 + 열
상기와 같이 형성된 소금물 저장탱크는 소금 용해수가 탱크내의 저수위에 내려오면 용해수를 보충하며, 탱크내의 고수위에 도달하면 용해수의 유입을 차단하지만, 용해수를 도입한 직후에는 소금물이 포화농도에 도달하기까지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게 되며, 따라서 일정한 유량으로 희석되는 전해수의 소금농도는 설정농도보다 낮고, 동시에 생성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가 낮아질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열교환기와 전기히터에 의한 저온도 전해수 가열 방식은 열교환기가 전해조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 열교환효율이 낮고, 이를 보충하기위하여 별도 설치하는 전기 히터는 전원을 사용함으로서 장치의 운전비용이 소모된다. 동시에 열교환기가 전해조 외부에 설치됨에 따라 전기분해시에 생성되는 열에 의한 전해조의 과열은 해결 방법이 없으며, 별도 전해조 열 냉각 조치가 필요하게 된다. 아울러 외부온도에 의한 전해수 온도가 상승시 전해조의 냉각은 더욱 필요하게 된다.
소금물 전기분해과정에 있어서, 전해효율과 전해조의 과열을 고려하면 전해조에 유입하는 전해수 온도는 약 15-20℃가 적당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전해전원은 보통 정전압전원으로 형성되고, 직류전원은 단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전원은 전해수의 유량변화와 농도변화시에 전해전류치(값)가 변화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가 변하는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전해전원은 단일체전원으로 형성되기에 전원에 문제가 발생시, 발생기전체를 정지하여 전원을 수리, 교환하여야 함으로서 생산성이 떨어지고 비용상 부담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기존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1. 소금용해조에 염수순환펌프를 사용하여 염수를 상시 순환시킴으로서 안정된 포화염수를 전기분해식 차아염소산나트륨발생시스템에 공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전해조는 1차전해조, 2차전해조로 2단 전해방식을 채용하며, 2차전해조 내부에 열 교환기를 내장하며, 2단 전기분해에서 생성된 전해열을 이용하여 1단 전해조에 유입되는 저온 전해수를 전해에 적당한 온도로 바꾸며, 동시에 2단 전해조의 전해열에 의한 과열을 냉각하는 가능을 구비한 전해조를 제공하고 아울러 열교환기는 전극판으로 가공 제작되어 열교환기 자체가 전극이기에, 전해조의 공간을 최소화하고 전해조의 전극부는 서랍식(drawer)으로 조립되어 전극의 분해세척, 교환이 매우 편리한 전해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전해조에 유입되는 전해수의 유량과 소금농도의 변화가 있어도 전해전류치가 일정하게 자동 제어가 되는 기능을 구비한 전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해전원은 다수의 전원을 직렬 혹은 병렬로 사용하며, 그중 한대가 고장나도 나머지가 정상적으로 전해전원을 공급함으로 고장시 즉시로 발생장치를 멈출필요가 없고, 운전정지시 고장난 전원만 교체하면 됨으로써 비용이 적고 안전한 전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소금용해조에 염수순환 펌프를 장착함으로서 상시 안정된 포화염소를 공급할 수 있으며 소금용해조의 소금의 응결현상을 완전히 극복한다.
전해열을 이용하는 열교환기를 2차전해조 내부에 설치함으로서 열교환 효율이 높아 연수온도가 10℃ 이하에서도 1차전해조에 유입하는 전해수 온도를 15℃이상으로 충분히 가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차전해조의 과열도 충분히 냉각할 수 있으며 전기히터를 사용하지 않으며, 가열과 냉각을 동시에 완성할 수 있기에 매우 경제적이고 효과가 현저하다.
전해수 유량과 전해수 농도 및 전극면의 조건이 수시로 변화할수있는 전기 분해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에 있어서, 전해조내의 조건이 변화하여도 상시 일정한 전해전류를 유지함으로서 생성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정전류전원은 독립된 직류전원 수대를 직렬 혹은 병렬로 구성한 바, 그 중 한대가 고장나도 시스템의 정상적인 운전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경제적인 전원이다.
본 발명의 특징을 도1에 도시된 전기분해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의 유로도를 참고하여 통괄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외부에서 유입되는 일반수를 연수로 제조, 공급하는 연수기(30)와; 소금을 용해하여 포화염수를 제조하며 염수순환펌프(58)를 사용하여 염수를 연속적으로 순환시켜 안정된 포화 염수를 제조, 공급할 수있는 소금용해조(50)와; 소금용해조 수위센서(56)의 신호에 의하여 소금용해 연수를 소금용해조에 도입 혹은 차단하는 전자차단밸브(43)와, 포화염수를 일정한량으로 전해부에 공급 하는 포화염수 정류량 펌프(55)와, 포화염수를 희석하여 저농도염수(약 3%)의 전해수를 생성하는 연수 정류량 제어밸브 (44)와 연수 유량계(45)및 연수 유동관(31-39)과 포화염수와 희석연수가 염수희석관(23)에서 희석되어 1차전해조(21)에 유입되고, 전해수의 유량과 염수농도가 변화하여도 일정한 전해전류를 유지하여 안정된 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할 수 있는 정전류제어기능을 구비한 정전류 전해전원(10)과; 상기 정전류 전해전원(10)에서 공급하는 전해전류로 전해수를 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며, 전해시에 생성하는 열을 이용하여 1차전해조(21)에 유입되는 저온도 전해수를 가열하여 전해에 필요한 온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전해시에 생성하는 열에 의한 2차전해조(22)의 과열을 냉각시켜주는 기능을 구비한 1, 2차전해조(21-22)와, 전해조에 유입되는 연수의 온도를 상시 측정하는 연수 온도센서(80)와, 연수온도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유로를 개통 혹은 차단하는 연수유동관에 설치한 전자차단밸브(40-42)와; 2차전해조에서 배출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차아염소산나트륨 유동관(25)을 유동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중계탱크(60)와; 차아염소산 나트륨을 차아염소산나트륨 소독시스템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탱크에 유동시키는 차아 염소산나트륨 중계펌프(59)와; 각 부품수리, 교환시 유로를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다수의 수동차단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소금용해조 염수순환유로를 도시한다.
전기분해식 차아염소산 나트륨 발생장치에 있어서, 전해수의 소금농도는 약 3%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포화염수를 상기 저농도염수에 희석할시, 포화염수유량은 연수농도가 28%인 포화염수를 기초로 하여 그 유량을 결정한다. 도5에 도시한 종래의 소금용해조에는 염수순환을 채용하지 않는다. 소금용해조에 도입되 는 용해연수는 소금용해조 내부에 설치한 수위센서에 의하여 제어하며, 소금용해조 내부 수위가 저수위에 도달하면 용해연수를 소금용해조에 도입하며, 상기 수위가 정하여진 고수위에 도달하면 용해연수를 차단한다. 용해연수를 새로 도입한 수금물 농도는 일정한 용해시간을 거친 후 포화농도로 되기에, 도입직후의 소금물농도는 포화농도보다 낮을 우려가 있고, 상기 소금물을 포화염수로 전해조에 도입할 시, 전해수 농도가 소정 전해수 소금농도보다 낮아 "전해조건이 일정하다"라고 가정하면 생성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농도가 낮을 수밖에 없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소금물 용해조에는 염수순환기술을 채용함으로서 용해수가 상시 소금층을 유동하여 짧은 시간내에 소금물이 포화상태에 도달하며, 전해수의 농도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소금용해조에는 위층의 소금이 딱딱한 덩어리로 응결되어 아래까지 내려오지 않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의 소금용해조는 염수가 소금의 상부부터 분해하여 유동하므로 상기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며, 본 발명의 염수순환펌프는 송액 용량을 포화염수 유량의 약 5-10 배(5L/min이하)이며 소형펌프를 사용하여 전기소모량이 작다.
도3에 본 발명의 전해수의 가열, 전해조의 냉각 기능을 구비한 전해조의 가열, 냉각 유로를 도시한다.
종래의 전기분해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도5)에는 전기분해효율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전해수 온도가 15-18℃ 이하시, 전해조외부에 설치한 열교환기(140)에서 전기분해시 생성하는 열을 이용하여 연수를 가열하며, 가열이 부족할 경우, 연수 유로상에 설치한 전기히터(150)에서 필요한 온도로 가열하여 차아염소산 나트륨을 발생한다. 상기 열교환기는 전해조외부에 설치되어 열교환 효율이 제한을 받게 되고, 전해시에 생성하는 열에 의한 전해조의 과열을 냉각할 수가 없다. 전해시 온도상승은 전해조건에 의하지만 보통 전해전류치가 50A이상, 차아염소산나트륨농도가 7000ppm이상시에는 전해조의 과열에 의한 안전성과 전해효율의 저하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 많다.
본 발명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수온도가15 - 18℃ 이하시, 연수기(30)에서 유입하는 연수(연수출구 압력치에 의하여서는 별도 연수 송액펌프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는 연수유동관(31), 연수온도센서(80)를 유동하여 2차전해조(22) 내부의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전기분해시에 생성하는 열을 냉각하며, 상기 냉각과정에서 가열된 연수는 연수유동관(33), 전자차단밸브(41), 연수유동관(34.36)을 유동하여 연수 정류량 제어밸브(44)에서 일정한 유량으로 조절된 후 연수유동관(38), 연수유량계(45), 연수유동관(39)을 유동하여 염수희석관(23)에 유입한다. 동시에 소금용해조(50)에서 배출되는 포화염수는 포화염수 정류량 펌프(55)의 구동으로 포화염수유동관(51.52)을 유동하여 염수희석관(23)에 유입되며, 염수희석관(23)에서 소정 전해수농도(약 3%)로 희석 된 후 1차전해조에 유입하며, 정전류 제어기능을 구비한 정전류 전해전원(10)에서 공급하는 전해전류에 의해 전해한 후 차아염소산나트륨 유동관(24)를 유동하여 2차 전해조(22)에 유입하며, 2차전해조에서 상기 전해전류에 의하여 더 한층 전해하여 약 7000∼8000ppm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생성된 후 차아염소산나트륨 유동관(25)을 유동하여 차아염소산 나트륨 중계탱크에 저장된다.
연수온도가 15∼18℃ 이상시, 연수기(30)에서 유입하는 연수(연수출구 압력치에 의하여서는 별도 연수 송액펌프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는 연수유동관(31), 연수온도센서(80)를 유동하여 2차전해조(22) 내부의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전기분해시에 생성하는 열을 냉각한 후 연수유동관(33), 전자차단 밸브(40)를 유동하여 정수지(70)에 유입하여 재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가열, 냉각유로의 전자차단밸브의 연수유로 제어는 연수유로에 설치된 연수온도센서(80)의 온도 신호에 의하여 실시되고, 15-18℃의 온도범위는 전자차단밸브의 개통, 차단작동의 상한, 하한으로 된다.
본 발명의 2차전해조에 내장된 열교환기는 양면이 전극으로 구성되어 열교환기 전체가 전해수에 잠겨 있기에 열교환 효울이 높고, 열교환기내부에 흐르는 연수의 압력이 전해조내부의 전해수압력보다 약간 높아 전극에 핀홀이 생겨도 전해수가 연수에 침입할 우려가 없고, 반대로 핀홀에 의한 연수의 전해수에 리크하는 량이 극히 적어 전해에 주는 영향이 매우 적고, 동시에 정전류 전원의 기능으로 완전히 극복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정전류전원의 작동원리 및 구성도를 도시한다.
종래의 전기분해식 차아염소산나트륨발생시스템에 사용하는 전해전원은 단일 전원으로 구성되되, 그 대부분은 정전압 전원으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전원은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에 있어서 전해수의 유량변화, 전해수의 소금농도등이 변화할시, 전해전류가 변화하며, 따라서 전해조건이 일정하다고 볼때 생성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가 변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전원이 고장날때는, 즉시로 시 스템의 운전을 정지하지 않으면 안되고, 시스템의 정지를 허용하지 않는 장소에 사용할 시에는 예비전원을 배치할 필요가 있으나, 단일 전원은 가격이 비싸기에 매우 큰 부담이 된다.
본 발명의 정전류전원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대의 독립전원을 직렬(도4-1)혹은 병렬(도4-2)로 구성하며, 어느 한대가 고장나도 나머지전원이 정상적으로 운전할 수 있으며, 고장난 전원의 교환도 빠른시간 내에 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운전이 정상 정지 시에 신속히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정전류전원의 구성 및 작동원리는 도4-1 직렬형 정전류 전원회로도와 도4-2 병렬형 정전류 전원회로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1는 직렬형 정전원 전원회로도이다. 수대의 직류전원(1)을 직렬연결하며, 전해조 유니트(20)에 전류를 공급하는 라인에 전해전류 검측센서(2)를 설치하며, 상기 전해전류 검측센서의 전류신호와 설정전류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직류전원의 출력을 조정하여 설정전류치에 맞추어 주는 직렬전원 정전류제어 기판(4)과 전해전류설정용 버튼(5)과 전해전류 지시용 전류계(3)로 구성된다.
도 4-2는 병렬형 정전원 전원회로도이다. 수대의 직류전원(1)을 병렬연결하며, 전해조 유니트(20)에 전류를 공급하는 라인에 전해전류 검측센서(2)를 설치하며, 상기 전해전류 검측센서의 전류신호와 설정전류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직류전원의 출력을 조정하여 설정전류치에 맞추어 주는 병렬전원정전류조정기판(6)과 전해전류 설정 버튼(5)과 전해전류 지시용 전류계(3)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정전류전원에 있어서, 전해전류의 설정은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 상량과 농도에 따라 전해전류치를 결정한 후 장치앞면에 고정한 전류설정버튼(5)를 돌려 전류계의 표시를 보면서 전류 표시치가 설정전류치에 일치하도록 맞추어 준다. 전해조에 유입하는 전해수의 유량과 소금농도는 일정한 범위내에서 항시 변할 수 있으며, 전극막의 부착물에 의하여서도 전극간의 저항도 항시 변화할 수 있다. 종래의 정전압전원은 상기 변화가 생길시, 전해전류가 변하며, 따라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가 변화하며, 이를 인위적으로 수시로 전해전류치를 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정전류전원은 전해조의 상기의 변화가 있어도 전해전류검측센서(2)에서 즉시 검측하여 직렬전원정전류 제어기판(4)에 그 신호를 출력하며, 정전류 제어기판은 상기 변화한 전류신호와 전류설정치에 근거하여 전해전류치가 소정 전류치가 되도록 직류전원의 출력을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상기와 같은 변화 하에서도 생성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일정하게 안정시키는 기능이 있다.
도1는 본 발명의 전해식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의 전체 흐름도,
도2는 본 발명의 소금용해조 염수순환방법에 의한 안정포화염수 생성회로도,
도3는 본 발명의 전기분해열을 이용하여 1차 저온도 전해수를 가열하며,동시에 전기분해시에 발생하는 2차전해조의 과열을 냉각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해조의 가열,냉각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저농도 염수의 유량의 변화, 농도의 변화시에도 일정한 전해전류를 유지공급함으로서 안정된 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생성을 보증하며, 수대의 독립전원을 직렬, 혹은 병렬로 사용하여 그중 한대가 고장나도 나머지 전원이 정상적으로 전해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정전류 전원회로도,
도4-1는 상기 정전류전원의 직렬 회로도
도4-2는 상기 정전류전원의 병렬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직류전원 2.전해전류검측센서 3.전류계
4. 직렬전원정전류제어기판 5.전해전류 설정 버튼
6. 병렬전원 정전류제어 기판
10. 정전류 전해전원 11. 전해전원 공급케이불
20. 전해조 유니트 21. 1차 전해조
22. 2차 전해조(수위센서 부착) 23. 염수희석관
24.∼26. 차아염소산나트륨 유동관 30. 연수기
31∼39.46. 연수 유동관 40∼43. 전자 차단 밸브
44. 연수 정류량제어 밸브 45. 연수유량계
48. 수동 차단 밸브 50.소금 용해조(수위센서 부착)
51∼53. 포화염수 유동관 55. 포화염수 정류량펌프
56. 소금용해조 수위센서 58. 염수 순환펌프
59.차아염소산나트륨 중계펌프 60.차아염소산나트륨 중계탱크
70. 정수지 80.연수 온도센서

Claims (5)

  1. 외부에서 유입되는 일반수를 연수로 제조, 공급하는 연수기(30)와; 소금을 용해하여 포화염수를 제조하며 염수순환펌프(58)를 사용하여 염수를 연속적으로 순환시켜 안정된 포화 염수를 제조, 공급할 수있는 소금용해조(50)와; 소금용해조 수위센서(56)의 신호에 의하여 소금용해 연수를 소금용해조에 도입 혹은 차단하는 전자차단밸브(43)와, 포화염수를 일정한량으로 전해부에 공급하는 포화염수 정류량 펌프(55)와, 포화염수를 희석하여 저농도염수(약 3%)의 전해수를 생성하는 연수 정류량 제어밸브 (44)와 연수 유량계(45)및 연수 유동관(31-39)과 포화염수와 희석연수가 염수희석관(23)에서 희석되어 1차전해조(21)에 유입되고, 전해수의 유량과 염수농도가 변화하여도 일정한 전해전류를 유지하여 안정된 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할 수 있는 정전류 제어기능을 구비한 정전류 전해전원(10)과; 상기 정전류 전해전원(10)에서 공급하는 전해전류로 전해수를 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며, 전해시에 생성하는 열을 이용하여 1차전해조(21)에 유입되는 저온도 전해수를 가열하여 전해에 필요한 온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전해시에 생성하는 열에 의한 2차전해조(22)의 과열을 냉각시켜주는 기능을 구비한 1, 2차전해조(21-22)와, 전해조에 유입되는 연수의 온도를 상시 측정하는 연수 온도센서(80)와, 연수 온도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유로를 개통 혹은 차단하는 연수유동관에 설치한 전자차단밸브(40-42)와; 2차전해조에서 배출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차아염소산나트륨 유동관(25)을 유동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중계탱크(60)와; 차아염 소산 나트륨을 차아염소산나트륨 소독시스템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탱크에 유동시키는 차아 염소산나트륨 중계펌프(59)와; 각 부품수리, 교환시 유로를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다수의 수동차단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2. 청구항1에 있어서, 소금을 용해하여 포화염수를 제조, 저장하며 전해부에 공급하는 소금용해조(50)에 염수순환펌프(58)를 사용하여 염수를 연속적으로 순환시켜 안정된 포화 염수를 제조, 공급할 수있는 소금용해조(50)와; 소금용해조 수위센서(56)의 신호에 의하여 소금용해 연수를 소금용해조에 도입 혹은 차단하는 전자차단밸브(43)와; 포화염수를 정량으로 전해조에 유입시키는 정류량 펌프를 연결하는 포화염수 유동관(51)으로 구성되는 전기분해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
  3. 청구항1에있어서, 연수온도가15 - 18℃이하시, 연수기(30)에서 유입하는 연수(연수출구 압력치에 의하여서는 별도 연수 송액펌프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는 연수유동관(31), 연수온도센서 (80)를 유동하여 2차전해조(22) 내부의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전기분해시에 생성하는 열을 냉각한후, 상기냉각과정에서 가열된 연수는 연수유동관(33),전자차단밸브(41),연수유동관(34.36)을 유동하여 연수 정류량제어밸브(44)에서 일정한 유량으로 조절된후 연수유동관(38),연수유량계(45),연수유동관(39)를 유동하여 염수희석관(23)에 유입한다.
    동시에 소금용해조(50)에서 배출되는 포화염수는 포화염수 정류량 펌프(55) 의 구동으로 포화염수유동관(51.52)을 유동하여 염수희석관(23)에 유입하며, 염수회석관 (23)에서 소정 전해수농도(약 3%)로 희석되어 1차 전해조에 유입하며, 정전류제어기능을 구비한 정전류 전해전원(10)에서 공급하는 전해전류에 의해 전해한후 차아염소산나트륨 유동관(24)를 유동하여 2차 전해조(22)에 유입하며, 2차전해조에서 상기 전해전류에 의하여 더한층전해하여 약 7000- 8000ppm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생성된 후 차아염소산나트륨유동관 (25)을 유동하여 차아염소산 나트륨 중계탱크에 저장되며; 연수온도가 15-18℃ 이상시, 연수기(30)에서 유입하는 연수(연수출구 압력치에 의하여서는 별도 연수 송액펌프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는 연수유동관(31), 연수온도센서 (80)를 유동하여 2차전해조(22) 내부의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전기분해시에 생성하는 열을 냉각한후 연수유동관(33), 전자차단 밸브(40)를 유동하여 정수지(70)에 유입하여 재이용하게된다. 한면으로는, 연수기(30)에서 유입하는 연수(연수출구 압력치에 의하여서는 별도 연수 송액펌프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는 연수유동관 (31), 전자차단밸브(42), 연수유동관(35.36)을 유동하여 연수 정류량제어밸브(44)에서 일정한 유량으로 조절 된후 연수유동관(38), 연수유량계(45), 연수유동관(39)를 유동하여 염수희석관(23)에 유입한다. 동시에 소금용해조(50)에서 배출되는 포화염수는 포화염수 정류량 펌프(55)의 구동으로 포화염수유동관(51.52),을 유동하여 염수희석관(23)에 유입하며,염수희석관(23)에서 소정 전해수농도(약 3%)로 희석되여 1차 전해조에 유입하며, 정전류제어기능을 구비한 정전류 전해전원(10)에서 공급하는 전해전류에 의해 전해한후 차아염소산 나트륨유동관(24)를 유동하여 2차전해조(22)에 유입하며, 2차전해조에서 상기 전해전류에 의하여 더한층전해하여 약 7000-8000ppm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생성된후 차아염소산나트륨유동관 (25)을 유동하여 차아염소산 나트륨 중계탱크에 저장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기분해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
  4. 청구항3에있어서, 전개분해조는 1차전해조(21)와 2차전해조(22)로 구성되고, 열교환기를 2차전해조내부에 내장하여 저온도 전해수를 가열하는 동시에 2차 전해조의 과열을 냉각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기분해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
  5. 청구항1에 있어서, 정전류전원은 수대의 직류전원(1)을 직렬(도4-1참조) 혹은 병렬(도4-2참조)로 연결하며, 전해조 유니트(20)에 전류를 공급 하는 라인에 전해전류 검측센서(2)를 설치하며, 상기 전해전류 검측센서의 전류신호와 설정전류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직류전원의 출력을 조정하여 설정전류치에 맞추어 주는 직렬전원 및 병렬전원의 정전류 제어기판(4,6)과 전해전류 설정 버튼(5)과 전해전류 지시용 전류계(3)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KR1020080046415A 2008-05-16 2008-05-16 전기분해식차아염소산나트륨발생시스템 KR20080050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415A KR20080050380A (ko) 2008-05-16 2008-05-16 전기분해식차아염소산나트륨발생시스템
KR1020090006638A KR100914679B1 (ko) 2008-05-16 2009-01-28 전기분해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415A KR20080050380A (ko) 2008-05-16 2008-05-16 전기분해식차아염소산나트륨발생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380A true KR20080050380A (ko) 2008-06-05

Family

ID=398058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415A KR20080050380A (ko) 2008-05-16 2008-05-16 전기분해식차아염소산나트륨발생시스템
KR1020090006638A KR100914679B1 (ko) 2008-05-16 2009-01-28 전기분해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638A KR100914679B1 (ko) 2008-05-16 2009-01-28 전기분해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80050380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537B1 (ko) * 2008-12-09 2009-06-15 (주) 테크윈 자동 전기분해 살균소독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027063B1 (ko) * 2009-04-07 2011-04-11 수상개발(주) 정전류를 이용한 전해 살균제 생성장치
KR200454214Y1 (ko) * 2009-06-25 2011-06-23 김광유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101046942B1 (ko) * 2008-10-13 2011-07-06 (주) 테크윈 전기분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146762B1 (ko) * 2010-03-31 2012-05-17 (주) 테크윈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101258940B1 (ko) * 2010-10-05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발라스트 수 처리시스템
KR101326272B1 (ko) * 2012-03-29 2013-11-11 (주) 테크윈 부산물 저감형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101427563B1 (ko) * 2012-03-29 2014-08-06 (주) 테크윈 해수 전해 장치
KR101436111B1 (ko) * 2012-04-05 2014-09-01 희성금속 주식회사 살균소독제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FR3027612A1 (fr) * 2014-10-24 2016-04-29 Dominique Delabarre Dispositif de desinfection de l'eau a configurations multiples utilisant une cellule d'electrolyse
KR20180095394A (ko) * 2017-02-17 2018-08-27 주식회사 이플로우솔루션 전해수 생성장치
CN113186551A (zh) * 2021-05-08 2021-07-30 潍坊思源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次氯酸钠发生器及其生产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954B1 (ko) 2009-12-22 2012-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도에 따른 전류제어 기능이 있는 이온수기
KR101244313B1 (ko) 2010-03-31 2013-03-19 (주)하이클로 열교환기를 구비한 고효율의 비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발생장치
KR101969585B1 (ko) * 2018-12-07 2019-04-16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102288834B1 (ko) * 2019-12-19 2021-08-1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1795B2 (ja) * 1994-08-25 2004-12-15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次亜塩素酸系処理用液の製造方法
JP2000070947A (ja) * 1998-09-04 2000-03-07 Aiken Kogyo Kk 電解水生成装置
JP4090662B2 (ja) * 2000-03-23 2008-05-28 東京都 燃料電池を用いた塩水電解槽の制御方法
JP2002332585A (ja) * 2001-05-10 2002-11-22 Takuma Co Ltd 次亜塩素酸ナトリウム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設備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942B1 (ko) * 2008-10-13 2011-07-06 (주) 테크윈 전기분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0902537B1 (ko) * 2008-12-09 2009-06-15 (주) 테크윈 자동 전기분해 살균소독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027063B1 (ko) * 2009-04-07 2011-04-11 수상개발(주) 정전류를 이용한 전해 살균제 생성장치
KR200454214Y1 (ko) * 2009-06-25 2011-06-23 김광유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101146762B1 (ko) * 2010-03-31 2012-05-17 (주) 테크윈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101258940B1 (ko) * 2010-10-05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발라스트 수 처리시스템
KR101326272B1 (ko) * 2012-03-29 2013-11-11 (주) 테크윈 부산물 저감형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101427563B1 (ko) * 2012-03-29 2014-08-06 (주) 테크윈 해수 전해 장치
KR101436111B1 (ko) * 2012-04-05 2014-09-01 희성금속 주식회사 살균소독제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FR3027612A1 (fr) * 2014-10-24 2016-04-29 Dominique Delabarre Dispositif de desinfection de l'eau a configurations multiples utilisant une cellule d'electrolyse
KR20180095394A (ko) * 2017-02-17 2018-08-27 주식회사 이플로우솔루션 전해수 생성장치
CN113186551A (zh) * 2021-05-08 2021-07-30 潍坊思源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次氯酸钠发生器及其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679B1 (ko) 200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0380A (ko) 전기분해식차아염소산나트륨발생시스템
KR101226640B1 (ko) 고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CN102888623B (zh) 一种电解式次氯酸钠发生系统
US20160200573A1 (en) Electrolytic water generator,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method and electrolytic water
KR101146762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20180078224A (ko) 전해수 생성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소수 서버와 투석액 조제용수의 제조장치
KR200454214Y1 (ko)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101750494B1 (ko) 공급수 다단유입에 따른 최적효율 유지가 가능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WO2020179340A1 (ja) 水素付加装置及び水素透過膜の消耗度判定方法
TW201716337A (zh) 富氫水供給器
KR200417036Y1 (ko) 연수온도 조절장치가 구비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
KR101556371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수 제조장치
KR100736155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101969585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CN105939969B (zh) 海水电解系统以及电解液注入方法
KR101446571B1 (ko) 고농도 및 저농도 차아염소산나트륨수용액 동시 생성장치
KR101835629B1 (ko) 공정 유연성을 지닌 차아염소산나트륨 제조장치
KR101378917B1 (ko) 전해수 순환식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KR101714587B1 (ko)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101371616B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의 차염 희석구조
WO2018084117A1 (ja) 電解水サーバー
KR100706118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의 물 보충장치
CN219363822U (zh) 具有水位、水温自动调节功能的pem纯水制氢系统
KR101840234B1 (ko) 염소 주입량 및 온도 조절이 가능한 염소수 전해소독 장치
CN207511881U (zh) 电解水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