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455B1 -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455B1
KR101510455B1 KR20150018685A KR20150018685A KR101510455B1 KR 101510455 B1 KR101510455 B1 KR 101510455B1 KR 20150018685 A KR20150018685 A KR 20150018685A KR 20150018685 A KR20150018685 A KR 20150018685A KR 101510455 B1 KR101510455 B1 KR 101510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dium hypochlorite
electrolytic
concentration
water
electrolytic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18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이
최영규
한영석
김광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텍
Priority to KR20150018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은 기존의 염소가스 소독 시스템을 대체하고, 생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8000 ± 500 ppm 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소독부산물인 클로레이트(ClO3 -) 또는 브로메이트(BrO3 -)의 농도를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System For Generating On-Site Un-Divided Type High-Efficiency Sodium Hypochlorite}
본 발명은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이하‘차염’이라고도 함)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은 기존의 염소가스 소독 시스템을 대체하고, 생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8000 ± 500 ppm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소독부산물인 클로레이트(ClO3 -) 또는 브로메이트(BrO3 -)의 농도를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는 희석 염수(적정 농도의 소금물(NaCl))를 격막(이온교환막)이 없는 일련의 전극을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전극 양단에 부가된 직류전류(DC)를 이용해서 소금과 물을 전기분해하여 소량의 수소가스와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만들어 내는 장치로서 상기와 같이 생산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염소의 안전한 형태로서 소독이 필요한 현장의 염소소독을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성 원리는 하기 [화학식 1]과 같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13009799-pat00001
현재 대부분의 정수장 소독시스템을 점유하고 있는 액화염소 주입식 소독설비는 유독성 문제 때문에 현장제조형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환경부 고시인 제2013-188호(2014.1.6)의 기준에 따르면 차아염소산나트륨에 대한 수질 기준이 개정 고시됨에 따라 보다 유해 소독부산물을 최소화하는 1종 기준에 부합하는 안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기술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의 주요 핵심부는 전기분해장치이며, 전기분해 장치의 상태는 생산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 소독부산물(클로레이트 또는 브로메이트) 함유량, 전기소비량 등 제반 장비의 수명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현재 개발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는 소독부산물인 클로레이트 또는 브로메이트의 함유량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소독부산물인 클로레이트 또는 브로메이트의 함유량이 적으면서 품질이 우수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78917 호
생산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품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인자는 온도이며, 생산 차염의 온도가 45℃ 이상일 경우, 농도 저하, 소독부산물 생성량 증가, 장비 수명단축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반대로, 인입수의 수온이 15℃ 이하일 경우, 전기분해장치의 주요 구성품인 전극의 손상이 급격히 진행되어 이 또한 생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품질과 장비 수명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사계절이 뚜렷하고 특히 기온이 낮은 동절기의 경우 초기 운전시에 15℃ 이상의 수온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하절기에는 생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온도를 45℃ 이내로 제어하는 것이 생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품질과 장비 수명을 보증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안전장치가 미흡하게 되면 본 시스템의 주요 구성부인 전기분해조의 수명이 단축되고, 더불어 전기 소비량이 증가하고 생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 저하와 소독부산물인 클로레이트, 브로메이트가 과다 생성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기는 고농도(격막식-약12%)발생기와 저농도(무격막식-약0.8%)발생기의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고농도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기의 경우 소독부산물인 브로메이트(BrO3 -), 클로레이트(ClO3 -)의 발생을 기존 저농도 차염발생기의 1/30 수준으로 저감시킨 우수한 설비이나, 다소 복잡한 시스템 구성과 염소 가스 누출 위험성, 높은 시설 비용(저농도의 1.5배)이 이 장비의 확대 적용 시 문제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염소 가스 누출 위험이 전혀 없고 안전한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의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은 기존의 염소가스 소독 시스템을 대체하고, 생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8000 ± 500 ppm 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소독부산물인 클로레이트(ClO3 -) 또는 브로메이트(BrO3 -)의 농도를 최소화 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장치로,
전기분해조의 전원에 연결되어 있고 농도를 표시하는 본체;
전기분해조에 공급되는 희석염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상기 본체에 전달하는 전도도센서 1; 및
전기분해조에서 배출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상기 본체에 전달하는 전도도센서 2;를 포함하고,
전기분해조에 공급되는 직류전압과 직류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전력량을 산출하여 1차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산출하고, 전도도센서 1과 전도도센서 2의 전기전도도의 차를 이용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차아염소산나트륨 농도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의 실시간 차아염소산나트륨 농도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1종 이내의 고품질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산하는 기술로서, 소독부산물인 클로레이트(ClO3 -) 또는 브로메이트(BrO3 -)의 농도가 낮은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을 이용한 정수 처리 시 먹는 물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고 작업자의 편리성 제고하며 유지 관리 비용 절감할 수 있고 유해 물질로부터의 안정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에 따르면 제품 구성의 소형화 및 단순화를 이룰 수 있어 시설의 복잡성, 넓은 설치 공간의 필요성 등의 설치 면적 상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더욱 다양한 산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
기존 저농도 차염발생기의 경우 높은 생산 원가와 차염생산을 위한 전기분해과정에서 소독부산물인 브로메이트(BrO3 -), 클로레이트(ClO3 -)의 대량 발생에 따른 문제점이 있어 대규모 정수처리장에 적용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의 소독부산물 저감형 차염발생시스템의 개발로 대/중/소 모든 정수 처리 공정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물소독시장의 점유율이 가장 높은 염소가스 소독방식과 비교할 때 월등한 안전성을 가진다. 또한 차염을 고농도가 아닌 저농도(1%이하)로 생산하고 저장하고 사용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은 인체와 환경 모두에 매우 안전하며, 특히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생성되는 부산물의 안전한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가진다.
본 발명의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은 희석염수 온도에 따라 순환 유량을 조절하여 전해조 내부 온도와 희석염수 온도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고, 예열 및 예냉 기능이 있으므로, 실내 전체를 냉/난방 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소비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희석염수 전체를 가열 및 냉각 하는 기존 방식에 비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최상의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거시적 목표를 시작으로 각 정수장에 적합한 차염소독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시설규모의 비대화와 유지관리비용의 과다발생 등의 문제점을 우선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기존 저농도 차염발생기의 문제점인 높은 생산원가를 25% 이상 절감하고, 차염 생산을 위한 전기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브로메이트(BrO3 -), 클로레이트(ClO3 -)의 생성을 기존 저농도 차염발생기의 1/10 수준으로 낮추어 환경부 고시기준 1종을 적용한 고품질의 차염을 생산하여, 소독부산물 문제로 인해 그동안 적용하지 못하던 30만톤 이상의 대규모 정수처리 현장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염과 정수의 열교환 또는 전해수 순환식 열교환 방식의 효과적인 적용으로 동절기 및 하절기에도 추가되는 전력소모가 없는 장점이 있어 결과적으로, 기존 제품 대비 25 ~ 50 %까지 전력사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규모 차염실 전체(100 ㎥)를 냉난방 하는 기존방식보다 약 1000배 작은 전해조(0.1㎥)만을 예열 또는 냉각시키므로 연평균 25 ~ 50% 에너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순환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능 내장 12상 정류기 제어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차아염소산나트륨 농도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의 일 예로 그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로 전해수 순환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분해조의 전원에 연결되어 있고 농도를 표시하는 본체; 전기분해조에 공급되는 희석염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상기 본체에 전달하는 전도도센서 1; 및 전기분해조에서 배출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상기 본체에 전달하는 전도도센서 2;를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차아염소산나트륨 농도 측정장치는 전기분해조에 공급되는 직류전압과 직류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전력량을 산출하여 1차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산출하고, 전도도센서 1과 전도도센서 2의 전기전도도의 차를 이용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간 차아염소산나트륨 농도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를 나타내었다. 기존의 차염발생시스템에서는 생산 중인 차염의 농도를 표시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생산된 차염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수질분석기관에 의뢰하거나, 요오드 적정법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만 차염 농도의 측정이 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간 차아염소산나트륨 농도 측정장치는 전기분해원리를 이용하여 전력사용량과 전도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차염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장치로, 기존 제품에는 없는 간단하면서도 유용한 응용 기술로서 생산 차염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비용부담과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실시간 차아염소산나트륨 농도 측정장치는 전기분해조의 전원에 연결되어 있고 농도를 표시하는 본체; 전기분해조에 공급되는 희석염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상기 본체에 전달하는 전도도센서 1; 및 전기분해조에서 배출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상기 본체에 전달하는 전도도센서 2;를 포함하고, 전기분해조에 공급되는 직류전압과 직류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전력량을 산출하여 1차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산출하고, 전도도센서 1과 전도도센서 2의 전기전도도의 차를 이용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값을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러데이법칙을 이용하여 전기분해조에 공급되는 직류전압과 직류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전력량을 산출하고, 전기분해조에 공급되는 전기전도도와 생산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전기전도도의 차를 이용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 값으로 변환하여 생산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생산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는데, 상기 농도의 편차 범위는 ± 500ppm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독부산물인 클로레이트(ClO3 -) 또는 브로메이트(BrO3 -)의 농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의 실시간 차아염소산나트륨 농도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은,
상기 실시간 차아염소산나트륨 농도 측정장치와 함께
정수를 공급받아 소금을 용해하여 포화염수를 만들어 저장하는 포화염수조;
상기 포화염수조로부터 토출되는 소금물과 정수를 혼합하는 염수희석장치;
염수희석장치로부터 토출되는 희석염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
상기 온도조절장치로부터 유입되는 희석염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발생시키는 전기분해조;
전기분해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및
상기 전기분해조의 전력조절을 위한 통신기능 내장 12상 정류기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를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은 정수장에 적용하는 것으로, 정수저장소의 정수를 이용하여 염수를 만들고 또한 염수를 희석하는데 사용한다.
또한 정수를 순환시켜 이송함으로써 온도조절장치의 냉각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데, 정수저장조의 물은 상시 흘러 이송되는 구조이므로 정수저장조에서는 온도 상승이 일어나지 않고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정수저장조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아 소금을 용해하여 포화염수를 만들어 저장하는 포화염수조와 포화염수조로부터 토출되는 소금물과 정수저장조에서 토출되는 정수를 혼합하는 염수희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염수희석장치로부터 토출되는 희석염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의 일 예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팰티어 소자를 사용한 팰티어 온도조절장치 또는 칠러 또는 판형 열 교환기일 수 있다.
온도조절장치는 판형 열 교환기의 인입부로 공급하여 희석염수의 온도를 15℃ 내외로 조절함으로써, 동 하절기 수온 변화에 자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수냉식 냉각방식을 갖는 팰티어 소자를 사용한 팰티어 온도 조절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팰티어 온도 조절 장치와 판형 열 교환기를 동시에 병행 사용하는 경우, 에너지 절약과 설치공간의 절약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동절기에 전기분해조에 처음 공급되는 희석염수를 가열하기 위하여 추가로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은 전기분해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전기 분해조를 포함하는데, 전기분해조는 상기 온도조절장치로부터 유입되는 희석염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산한다.
상기 전기분해조의 내부 온도는 15 내지 45℃인 것이 바람직한데,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 시 전기분해조 내부 온도가 45℃ 이상 올라가게 되면 유해물질(클로레이트, 브로메이트)이 만들어지고, 음극에 스케일이 많이 생성되므로 전기 분해조에 내부 온도는 반드시 45℃ 이하로 유지되어 유해물질과 스케일 생성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된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과 정수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시스템은 생상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전기분해조로 재순환시킬 수 있다. 전기분해조의 전해수를 순환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여 희석염수와 생산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직접 접촉되도록 하여 희석 염수의 온도는 필요한 만큼 상승시키고, 전기분해조 온도 및 생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온도 또한 원하는 온도로 내릴 수 있도록 하였다. 전기분해조는 원통형의 튜브형 또는 사각모양의 각형의 두 가지 형태가 있고, 전기분해조 내부는 2개 이상의 분리된 구획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상 2 ~ 20개 내외의 분리된 구획으로 나누어지는데, 이는 전기분해 시 미반응되는 소금의 양을 줄이고 전기 분해가 잘 진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해수의 순환은 전기분해가 70 ~ 80% 이루어진 후 순환되고, 바이패스되는 전해수는 80%의 전기분해 구획에 바이패스시켜 후단의 90 ~ 100% 전기분해 구획을 거쳐 약 8000 ± 500 ppm 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산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전기분해된 전해수를 순환시키는 장치(전해수 순환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전기분해조에서 토출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포함 전해수의 일부를 전기분해조로 순환시키는 라인이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기분해조로 순환되는 전해수의 바이패스 유량을 조절하여 희석염수 및 생산 차아염소산나트륨 포함 전해수의 공급 유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분해조 중간의 생산된 차아염소산나트륨 포함 전해수를 전기분해조 인입부로 재공급하는 전해수 방출라인으로, 전기분해로 인해 온도가 높아진 차아염소산나트륨 포함 전해수를 염수희석장치로 보내 희석염수와 직접 접촉한 후 온도조절장치를 거쳐 전기분해조 인입부로 연속적으로 순환하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해수 순환장치는 제 1 자동 밸브 및 제 2 자동 밸브를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의 자동 밸브 개도율을 제어하여 순환유량과 바이패스 유량의 비율을 변환시켜 순환유량 변화에 따른 생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 변화 및 소독부산물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최적 순환유량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에 본 발명의 전해수 순환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를 도시하였다.
상기 전해수 순환장치는 전기분해조가 예열 및 예냉 기능을 갖도록 하고, 전기분해조 통과 후에도 전기분해되지 않은 일부 미반응된 소금물을 추가로 전기 분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때, 전해수 순환 유량은 인입되는 희석염수의 온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국내에 설치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기의 설치 환경은 동절기의 경우 동파를 방지 할 수 있을 정도의 낮은 실내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전기분해조의 수온은 실내온도와 비슷한 수준이므로 약 4 ~ 10℃ 정도의 수온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기 초기 가동 시 저수온에 의한 전극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즉, 초기 가동 시 실내온도와 전기분해조의 온도가 같으므로, 겨울철에는 실내온도를 15℃ 이상 유지하기 위해 실내 전체 난방을 하여 전력소비가 많아진다. 따라서 동절기에는 처음 공급되는 희석염수의 온도를 올려주기 위해 히터를 사용할 수 있다.
여름철에는 실내 온도가 30℃ 이상 온도가 올라가게 되므로 초기 고수온으로 인해 유해물질이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어 에어컨을 가동하여 실내 냉방을 하게 되므로 전력소비가 많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전해수 순환장치를 포함하는 전기분해조를 사용함으로써 하절기 실내온도에 따른 악영향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은 상기 전기분해조의 전력조절을 위한 통신기능 내장 12상 정류기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도 3에 본 발명의 통신기능 내장 12상 정류기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를 도시하였다. 기존의 전기분해용 정류기는 Hard Wire방식으로 되어 있어서 제어장치와의 신호 연결을 위해서는 수많은 전선을 일일이 연결해야만 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과 장치 크기가 비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정류기에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통신 기능을 부가함으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통신기능 내장 12상 정류기 제어장치는 정류기,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 로직 제어기(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및 정류기용 변압기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류기에 탑재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Atmega128 등 일 수 있고, 프로그램 가능 로직 제어기는 GLOFA-CNET 통신UNIT 등과 통신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기능 내장 12상 정류기 제어장치의 인터페이스 방식은 통신방식으로 통신속도는 9,600 ~ 38,400 bps일 수 있는데, 통신 속도의 범위가 상기와 같을 경우에,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고 실시간으로 부하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통신기능 내장 12상 정류기 제어장치의 전류 제어 방식은 정전류제어 및 정전압제어 방식으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위 프로그램 가능 로직 제어기(PLC)와의 통신을 통해 전기분해조에 공급할 전류값을 공급 받아 전기분해조에 전류를 공급하고, 전기분해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해전류 및 전해전압 값을 실시간으로 상위프로그램 가능 로직 제어기(PLC)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기능 내장 12상 정류기 제어장치는 전력 조정기(SCR UNI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력 조정기의 냉각 방식은 공랭식 냉각 방식일 수 있다. 팬(fan)을 이용한 공랭식 냉각방식을 통해 주위 온도 40℃에서도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통신기능 내장 12상 정류기 제어장치는 정류기용 변압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정류기용 변압기는 전력 조정기(SCR UNIT)를 12개 사용하도록 3상 교류전기를 ΔY결선으로 구성하여, 정류시에 발생하는 고조파(THD)의 발생을 서로 상쇄 시킬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변압기 2차 전압과 전기분해조의 전극 배열을 통해 고조파 함유율(Total Harmonics Distortion: THD)이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의 전해수 순환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은 하기 표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평가 지표를 만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산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상기 농도의 편차 범위는 ± 500ppm 이며, 생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는 8000 ± 500 ppm 이고, 소금 사용량은 3.5 kg 이하이고, 전기 사용량은 5.0 kwh 이하이다. 따라서 전력 사용량이 기존제품 대비 25% 이상 저감되는 효과를 갖고, 특히, 동절기 기준 50%이상 저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소독부산물인 클로레이트(ClO3 -) 함유량은 2,000 mg/kg 이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여 8000 ± 500 ppm 농도의 차염을 생산하면서도 소독부산물인 브로메이트(BrO3 -), 클로레이트(ClO3 -)의 발생을 줄여 환경부 고시기준 1종 이내 고품질의 상태를 유지하는 안전성을 확보한 고품질, 고효율의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을 생산하여 대형 중형 소형의 모든 소독 공정에 확대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주요 성능지표
(염소 1kg 생산 시)
단 위
1. 생산 차염농도 ppm 8000 ± 500 ppm
2. 소금사용량 kg 3.5kg 이하
3. 전기사용량 kwh 5.0kwh 이하
4. 브로메이트 mg/L 환경부 고시기준 1종 이내
5. 클로레이트 mg/L 환경부 고시기준 1종 이내
6. THD % 12% 이내
7. 차염농도표시 ppm 실시간 표시
또한, 하기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기존의 액화 염소 주입 방식과 대비하여 환경 분야에서 개선된 사항을 나타내었다.
구분 종래 액화염소 주입방식 본 발명의 차염 현장제조 방식
1.법적규제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규제 대상
(맹독성 고압가스, 극소량에서도 눈,코,인후의 점막 자극, 다량흡입시 질식하여 호흡곤란을 일으켜 치명적임)
고압가스안전관리법 비규제 대상
(단, 수소배출 Vent장치 마련, 발생 차염용액 음용 및 안구접촉 주의)
2.수중에서의 작용 pH 하락
알칼리도 하락(1ppm주입시 1.41 하락)
기기 및 관부식 촉진(관말적수의 원인)
pH 상승(1ppm주입시 0.18 상승)
알칼리도 상승(1ppm주입시 0.5 상승)
3.안전성(독성) 원재료(염소 100%)의 유독성
취급 및 저장시 법적규제 받음
MSDS CAS No. 7782-50-5
NFPA 등급 : 건강(보건) : 4
[위험 척도: 0=최소 1=경미 2=보통 3=심각 4=극심]
원재료(천연물질:정제염+물)의 무독성
취급 및 저장시 법적규제 받지 않음
MSDS CAS No. 7681-52-9
*개발기술의 차염농도는 9,000ppm 내외로 매우 안전함 (등급 : 0~1)
4.잔류염소의 제어 안정성 100%액화염소를 물에 희석하여 주입하므로 정밀한 제어기술이 필요하며, 잔류염소값을 유지하기 어렵고 과다주입의 우려가 있다. 1.0% 액체상태로 현장에서 생산되어 바로 사용하며, 농도가 낮아 단순한 제어만으로도 안정적인 잔류염소값을 유지할 수 있고 과다주입 우려가 없다.
101: 정수저장조, 102: 급수펌프인입관, 103: 급수펌프, 104 : 급수펌프유출관, 105 : 냉각용수인입라인, 106 : 냉각용수유출라인, 107 : 스케일제거장치, 108 : 연수공급라인, 109 : 포화염수저장탱크, 110 : 벤추리관, 111 : 포화염수라인,112 : 희석염수라인, 113 : 공급수/소금물/전해수 혼합자화기, 114 : 팰티어온도장치인입라인, 115 : 팰티어온도장치유출라인, 116 : 전기분해조유입온도센서, 117 : 팰티어온도조절장치, 118 : 팰티어, 119 : 전기분해조, 120 : 정류기 및 제어장치, 121 : 차아염소산나트륨유출라인, 122 : 전기분해조온도센서, 123 : 전기분해조수위센서, 124 : 순환펌프유입라인, 125 : 순환펌프, 126 : 순환펌프유출라인, 127 : 제 1 자동 밸브, 128 : 제 2 자동 밸브, 129 : 순환수라인1, 130 : 순환수라인2, 131 : 순환수유출구, 132 : 순환수유입구, 133 : 전기분해조칸막이 134: 프로그램가능로직제어기(PLC) 135: 실시간차아염소산나트륨농도측정장치

Claims (12)

  1.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장치로,
    전기분해조의 전원에 연결되어 있고 농도를 표시하는 본체;
    전기분해조에 공급되는 희석염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상기 본체에 전달하는 전도도센서 1; 및
    전기분해조에서 배출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상기 본체에 전달하는 전도도센서 2;를 포함하고,
    전기분해조에 공급되는 직류전압과 직류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전력량을 산출하여 1차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산출하고, 전도도센서 1과 전도도센서 2의 전기전도도의 차를 이용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차아염소산나트륨 농도 측정장치.
  2.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에 있어서, 청구항 1의 실시간 차아염소산나트륨 농도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정수를 공급받아 소금을 용해하여 포화염수를 만들어 저장하는 포화염수조;
    상기 포화염수조로부터 토출되는 소금물과 정수를 혼합하는 염수희석장치;
    염수희석장치로부터 토출되는 희석염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
    상기 온도조절장치로부터 유입되는 희석염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발생시키는 전기분해조;
    전기분해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및
    상기 전기분해조의 전력조절을 위한 통신기능 내장 12상 정류기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생산된 차아염소산나트륨과 정수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조에서 토출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포함 전해수의 일부를 전기분해조로 순환시키는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능 내장 12상 정류기 제어장치는
    정류기,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 로직 제어기(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및 정류기용 변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기에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Atmega128이고, 프로그램 가능 로직 제어기는 GLOFA-CNET 통신UNIT와 통신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소프트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능 내장 12상 정류기 제어장치의 전류제어 방식은 정전류제어 및 정전압제어 방식으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위 프로그램 가능 로직 제어기와의 통신을 통해 전기분해조에 공급할 전류값을 공급 받아 전기분해조에 전류를 공급하고, 전기분해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해전류 및 전해전압 값을 실시간으로 프로그램 가능 로직 제어기(PLC)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능 내장 12상 정류기 제어장치는 변압기 2차 전압과 전기분해조의 전극 배열로 고조파 함유율(Total Harmonics Distortion: THD)이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생산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농도의 편차 범위는 ± 500pp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조로 순환되는 전해수의 바이패스 유량을 조절하여 희석염수 및 생산 차아염소산나트륨 포함 전해수의 공급 유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는 8000 ± 500 pp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12. 청구항 3에 있어서,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전해수의 클로레이트(ClO3 -) 함유량은 2,000 mg/kg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KR20150018685A 2015-02-06 2015-02-06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KR101510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8685A KR101510455B1 (ko) 2015-02-06 2015-02-06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8685A KR101510455B1 (ko) 2015-02-06 2015-02-06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455B1 true KR101510455B1 (ko) 2015-04-10

Family

ID=53033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18685A KR101510455B1 (ko) 2015-02-06 2015-02-06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4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193B1 (ko) * 2015-10-21 2016-01-20 표재민 소금속의 브롬이온을 제거하는 전처리장치가 부착된 현장제조형 염소발생기
KR20170013749A (ko) * 2015-07-28 2017-02-07 한윤석 살균수 생성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31746B1 (ko) * 2015-06-02 2018-12-24 주식회사 제이텍 현장발생형 수소가스 재활용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975B1 (ko) * 1993-02-22 1998-04-20 마쭈무라 요시오 전해수 생성방법과 그 장치
JP3267816B2 (ja) 1994-10-20 2002-03-25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KR100897069B1 (ko) 2008-06-11 2009-05-14 주식회사 동방수기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기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농도 실시간모니터링 시스템
KR101378917B1 (ko) 2013-11-28 2014-03-27 주식회사 제이텍 전해수 순환식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975B1 (ko) * 1993-02-22 1998-04-20 마쭈무라 요시오 전해수 생성방법과 그 장치
JP3267816B2 (ja) 1994-10-20 2002-03-25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KR100897069B1 (ko) 2008-06-11 2009-05-14 주식회사 동방수기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기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농도 실시간모니터링 시스템
KR101378917B1 (ko) 2013-11-28 2014-03-27 주식회사 제이텍 전해수 순환식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746B1 (ko) * 2015-06-02 2018-12-24 주식회사 제이텍 현장발생형 수소가스 재활용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KR20170013749A (ko) * 2015-07-28 2017-02-07 한윤석 살균수 생성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726303B1 (ko) 2015-07-28 2017-04-12 한윤석 살균수 생성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587193B1 (ko) * 2015-10-21 2016-01-20 표재민 소금속의 브롬이온을 제거하는 전처리장치가 부착된 현장제조형 염소발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640B1 (ko) 고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TWI439569B (zh) 用於製備次氯酸水的電解系統
US20130236569A1 (en) Electrochemical device
CN103796958A (zh) 次氯酸钠发生装置
KR102138641B1 (ko) 염소약품탱크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소소독 시스템
KR20080050380A (ko) 전기분해식차아염소산나트륨발생시스템
KR101530374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장치
KR101510455B1 (ko) 현장발생형 무격막식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US5935393A (en) Apparatus for producing hypochlorite
KR101556371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수 제조장치
CN111074293B (zh) 离子膜法烧碱生产中氯酸盐分解工艺方法
KR101326272B1 (ko) 부산물 저감형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CN107668069A (zh) 一种制造可变浓度的弱酸性次氯酸消毒液生成机
KR101393361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제조장치
KR101446571B1 (ko) 고농도 및 저농도 차아염소산나트륨수용액 동시 생성장치
JP3818619B2 (ja) 次亜塩素酸塩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US20170314150A1 (en) Aiding device and system for stably producing food-grade chlorine dioxide solution with high purity
KR101931746B1 (ko) 현장발생형 수소가스 재활용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CN211394648U (zh) 离子膜法烧碱生产中氯酸盐分解工艺装置
KR101517676B1 (ko) 고농도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생성 장치
KR20210079459A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KR20170104893A (ko) 염소 주입량 및 온도 조절이 가능한 염소수 전해소독 장치
CN111560622A (zh) 一种制造稳定pH值的高浓度弱酸性次氯酸消毒液生成机
CN106498439A (zh) 次氯酸钠发生装置
CN206843596U (zh) 一种二氧化氯混合高效消毒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