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724B1 - 살균수기 전해질 도징 시스템 - Google Patents

살균수기 전해질 도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724B1
KR102113724B1 KR1020130127069A KR20130127069A KR102113724B1 KR 102113724 B1 KR102113724 B1 KR 102113724B1 KR 1020130127069 A KR1020130127069 A KR 1020130127069A KR 20130127069 A KR20130127069 A KR 20130127069A KR 102113724 B1 KR102113724 B1 KR 102113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electrolytic
electrolyte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7242A (ko
Inventor
박설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7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724B1/ko
Publication of KR20150047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에 전해질을 일정한 농도로 공급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농도의 살균수를 생성하여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한 살균수기 전해질 도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기 전해질 도징 시스템에 따르면, 고가의 전자적 장치 대신 기계적인 장치로서 자동으로 전해질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생성되는 살균수의 농도를 일정하게 맞출 수 있게 되고, 오작동의 우려 및 장치를 대형화 하지 않고도 원하는 농도의 살균수를 생성하며,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으로 효율적으로 원수 및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살균수기 전해질 도징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살균수기 전해질 도징 시스템{Electrolyte dosing system for device manufacturing sterilizing water}
본 발명은 살균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수에 전해질을 일정한 농도로 공급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농도의 살균수를 생성하여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한 살균수기 전해질 도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살균은 주로 인체에 해를 주는 유해균을 제거하는 것으로, 음식물의 경우에는 세척을 통해서 제거하고 있다. 유해 세균이 남아 있으면, 식중독, 수인성 질병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즉, 수인성 질병을 일으키는 균과 식중독을 일으키는 균이 식기, 식품 가공기구, 조리기구, 식품공장 제조기기, 집단 급식 시설 등에 남게 되면 식중독이나 수인성 질병이 발병된다.
따라서, 식기, 음식물등을 세척하기 위한 살균수를 생성하여 공급하기 위한 살균수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살균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한 소독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은 식품의 부패균이나 병원균을 사멸하기 위한 살균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음료수, 채소 및 과일, 용기, 기구, 식기 등에 사용된다.
차아염소산나트륨 소독법은 시판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주입하는 방법과 현장에서 전기분해로 직접 발생시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시판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은 기 설정되어 있는 농도를 유지하면서 저류 탱크에 저장하여 사용하며, 전기 분해 방법은 차아염소산 발생기를 이용하여, 염소 소독된 물 또는 염화 나트륨이 첨가된 염수로부터 전기 분해 방법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시켜 희석 사용한다. 상술한 전기 분해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면, 염화나트륨이 혼합된 원수를 전기 분해하면 나트륨과 염소 이온으로 분해되며, 음이온인 염소 이온의 배위 결합 형태인 염소 분자가 다시 산화되면서 차아염소산(HOCL), 수소(H2)가 생성된다.
상기한 방법을 이용하여 살균수기를 생성할 때에 살균수의 농도를 일정수준으로 맞추는 것이 중요한데, 살균수 내의 차아염소산농도가 너무 높으면, 살균후의 대상물에 유리잔류염소의 농도가 높아져 인체에 해로울 수 있고, 반대로 너무 낮으면 살균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살균수기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의 살균수를 필요로 하는데, 이 경우 낮은 농도를 맞추어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대용량의 탱크를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차아염소산나트륨 또는 염화나트륨을 원수에 일정하게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에, 한국등록특허 제 1053088 호에는 유량펄스센서 등을 사용하여 살균수의 농도를 유지하는 살균수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장치의 대형화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으며, 또한 사용유량이 적을 경우에는 고가의 정밀한 유량센서가 아닐 경우에는 유량을 감지하기 어려워 살균수를 일정한 농도로 생성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KR 1053088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입 유량에 따라서 기계적으로 전해질의 공급이 조절됨으로써, 살균수의 농도를 일정하게 생성 및 공급하는 살균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계적으로 전해질의 공급 및 원수의 유동방향을 조절함으로써,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살균수 및 원수를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며, 오작동이 발생할 우려가 적고 생산단가도 저렴한 살균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기 도징 시스템은 수전구(100)로부터의 원수의 일부가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원수 코크(510); 상기 수전구(100)로부터의 원수의 다른 일부가 유입되고 전해질 키트(300)로부터 유입된 전해질과 혼합되어 전해수가 생성되는 전해수 탱크(200); 상기 수전구(100)로부터의 원수의 상기 일부가 밸브(V3)를 거쳐 유동함으로써 상기 전해수 탱크(200)에서 생성된 전해수와 혼합되어 전해질 희석수가 생성되며, 상기 생성된 전해질 희석수가 전기적 작용에 의해 살균수로 생성되는 전극(400); 및 상기 살균수가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살균수 코크(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해수 탱크(200)로부터 전해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제 2 탱크(2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탱크(250)에 저장된 전해수가 상기 수전구(100)로부터의 원수의 상기 일부로서 밸브(V3)를 거쳐 유동한 원수와 혼합되어 전해질 희석수가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전구(100)로부터의 원수의 상기 다른 일부가 유동하는 경우 작동하는 밸브 개폐 부재(T2); 및 상기 밸브 개폐 부재(T2)의 작동시 개방되며, 상기 전해질 키트(300)로부터 상기 전해수 탱크(200)로의 전해질 유입을 단속하는 밸브(V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전구(100)로부터의 원수의 일부가 상기 밸브(V3)를 거쳐 유동하는 경우 작동하는 밸브 개폐 부재(T4); 및 상기 밸브 개폐 부재(T4)의 작동시 개방되며, 상기 전해수 탱크(200)로부터 상기 전극(400)으로의 전해수 유입을 단속하는 밸브(V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 개폐 부재(T2, T4)들은 물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V3)가 개방된 경우 상기 수전구(100)로부터의 원수의 상기 일부는 상기 원수 코크(510)로 유동하고, 상기 밸브(V3)가 폐쇄된 경우 상기 수전구(100)로부터의 원수의 상기 일부는 상기 살균수 코크(510)를 향하여 유동함으로써, 상기 전해수 탱크(200)에서 생성된 전해수와 혼합되어 전해질 희석수가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V3)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해수 탱크(200) 내에 설치되는 센서(210); 및 상기 센서(210)에 의하여 작동되며, 상기 수전구(100)로부터의 원수의 상기 다른 일부의 유동 여부를 단속하는 밸브(V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210)는 수위 감지 센서이며, 상기 센서(210)가 상기 전해수 탱크(200) 내에서 미리 결정된 양의 수위를 감지한 경우 상기 밸브(V1)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210)는 TDS 센서이며, 상기 센서(210)가 상기 전해수 탱크(200) 내에서 미리 결정된 양의 TDS 농도를 감지한 경우 상기 밸브(V1)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기 전해질 도징 시스템에 따르면, 고가의 전자적 장치 대신 기계적인 장치로서 자동으로 전해질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생성되는 살균수의 농도를 일정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오작동의 우려 및 장치를 대형화 하지 않고도 원하는 농도의 살균수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으로 효율적으로 원수 및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살균수기용 도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살균수기용 도징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살균수기용 도징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살균수기용 도징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는, 수전구(100), 전해수 탱크(200), 전해질 키트(300), 전극(400) 및 코크(510, 5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살균수기용 도징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밸브(V3)를 조작함으로써 원수 코크(510)를 통하여 원수가 배출되도록 하거나, 살균수 코크(520)를 통하여 살균수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밸브(V3)가 폐쇄되면 원수는 원수 코크(510)를 통하여 유동하되 살균수 코크(520)를 향하여 유동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원수 코크(510)를 개방시켜 원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원수가 살균수 코크(520)를 향하여 유동하지 않으면 밸브 개폐 부재(T4)가 작동하지 않아 이에 연결된 밸브(V4)가 폐쇄됨으로서 전해수 탱크(200)에서 전해수가 유출되지 않는다.
반대로, 밸브(V3)가 개방되면 원수는 원수 코크(510)를 향하여 유동함과 동시에 살균수 코크(520)를 향하여서도 유동한다. 살균수 코크(520)를 향하여 유동하면 밸브 개폐 부재(T4)가 작동하고 이에 연결된 밸브(V4)가 개방됨으로서 전해수 탱크(200)에서 전해수가 유출되어 전극(400)을 거쳐 살균수가 생성된다. 사용자는 살균수 코크(520)를 개방시켜 살균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술한다.
원수는 수전구(100)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살균수기용 도징 시스템에 유입된다.
유입된 원수는 전해수 탱크(200) 및 코크(510. 520)로 분기된다.
즉, 살균수기용 도징 시스템에 유입된 원수 중 일부는 원수 코크(510)를 통하여 바로 외부로 배출되고, 다른 일부는 밸브(V1)가 개방되는 조건 하에서 전해수 탱크(200)로 유입된다.
전해수 탱크(200)로의 유입되는 원수에 의하여 밸브 개폐 부재(T2)가 자동으로 작동한다.
밸브 개폐 부재(T2)는 물레와 같이 설치된 유로에서 유체의 흐름이 있는 경우에만 기계적으로 자동으로 작동하는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물레와 같이 밸브 개폐 부재(T2)의 회전력을 조절함으로써 특정 유량이 유입된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 개폐 부재(T2)의 작동에 의하여, 이에 연결된 밸브(V2)가 개방된다.
밸브(V2)가 개방되면 전해질 키트(300) 내에 포함된 전해질이 전해수 탱크(200)로 유입된다.
다시 말하면, 전해수 탱크(200)로의 유입되는 원수가 있는 경우에만 자동으로 전해질 키트(300) 내에 포함된 전해질이 전해수 탱크(200)로 유입되는 구조이다.
이로 인하여, 전해수 탱크(200)에는 유입된 원수와 전해질이 혼합되어 전해수가 생성된다. 또한, 여기에서 원수가 일정 유량 유입되는 경우에만 전해질이 전해수 탱크(200)에 유입되기에 기계적이고 손쉬운 방법으로 일정한 농도의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해수 탱크(200)에 원수가 유입되는지 여부를 단속하는 밸브(V1)는 전해수 탱크(200) 내의 센서(210)에 의하여 작동된다.
센서(210)는 수위 센서이거나 TDS 센서일 수 있다.
특히 수위 센서인 경우, 전해수 탱크(200) 내에서 생성된 전해수의 양이 미리 결정된 소정의 양인 경우 자동으로 밸브(V1)가 차단되어 원수의 유입을 중지시키고, 원수의 유입이 중지되면 밸브 개폐 부재(T2)에 의해 밸브(V2)가 차단되어 전해질의 유입이 중지됨으로써, 전해수 탱크(200) 내의 전해수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전해수 탱크(200)에서 생성된 전해수는 밸브(V4)가 개방된 경우 전해수 탱크(200) 외부로 배출된다. 밸브(V4)의 개방 조건은 아래에서 상술한다.
전해수 탱크(200)의 외부로 배출된 전해수는, 수전구(100)에서 유입된 원수 중 일부로서 사용자에 의해 밸브(V3)가 개방되어 이를 통과한 원수와 혼합되어 희석됨으로써 전해질 희석수가 생성된다.
이러한 희석 과정을 통하여, 전술하였던 고농도 또는 저농도의 전해수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밸브 개폐 부재(T4)는 살균수 코크(520)를 향하여 유입되는 원수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한다.
밸브 개폐 부재(T4)는 전술한 밸브 개폐 부재(T2)와 같이 유로에 유체의 흐름이 있는 경우에만 기계적으로 자동으로 작동하는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물레일 수 있으나, 다른 형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밸브 개폐 부재(T4)의 작동에 의하여, 이에 연결된 밸브(V4)가 개방된다.
밸브(V4)가 개방되면 전해수 탱크(200)에 저장된 전해수가 유출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밸브(V3)를 개방한 경우에만 자동으로 전해수 탱크(200)에 저장된 전해수가 유출되는 구조이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살균수의 사용을 원하지 않아 밸브(V3)를 폐쇄한 경우에는 전극(400)을 향해 유동하는 전해수 자체가 없으므로 전극(400)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기계적이고 손쉬운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다.
요컨대, 사용자가 밸브(V3)를 개방하면 수전구(100)로부터 유입된 원수의 일부가 살균수 코크(520)를 향하여서도 유동하고, 살균수 코크(520)를 향하여 유동하는 원수에 의하여 밸브 개폐 부재(T4)가 작동하고, 밸브 개폐 부재(T4)의 작동에 의하여 밸브(V4)가 개방되어 전해수 탱크(200)에 저장된 전해수가 유동함으로써, 유입된 원수와 혼합되어 전해질 희석수가 생성된다.
생성된 전해질 희석수는 전극(400)을 통과하면서 전기적 작용에 의하여 살균수로 생성된다. 전극(400)의 전기적 작용은 종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예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의 제 1 실시예와 달리, 추가의 전해수 탱크(250)가 더 구비된다. 이하, 구분을 위하여 이를 제 2 탱크(250)로 지칭한다. 전해수 탱크(200)에 저장된 전해수는 밸브(미도시)의 작동에 의하여 제 2 탱크(250)로 유동한다.
전해수 탱크(200)에서는 수전구(100)로부터 유입된 원수와 전해질 키트(300)에서 유입된 전해질의 혼합 과정이 이루어지므로, 원수와 전해질이 유입된 직후에는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혼합 후 균등한 농도를 이루기 위해서는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다.
이로 인하여, 살균수를 대량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농도가 미리 결정된 수준이 아닌 전해수가 전극(400)으로 유입되어 살균수가 다소 불완전하게 생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해수 탱크(200) 내의 전해수가 일정한 농도를 이루기 위한 대기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제 2 탱크(250)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원수와 전해질이 유입되어 미리 결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또는 미리 결정된 농도에 이른 경우에만 제 2 탱크(250)로 전해수를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해수 탱크(200)에서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전해수 혼합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하여, 전극(400)으로 유동하는 전해수가 미리 결정된 소정의 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며, 살균수의 대량 또는 연속적 사용의 경우에도 대기 시간을 없앨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 100: 수전구
20, 200: 전해수 탱크
210: 센서
250: 제 2 탱크
30, 300: 전해질 키트
40, 400: 전극
50: 코크
510: 원수 코크
520: 살균수 코크
V1, V2, V3, V4: 밸브
T2, T4: 밸브 개폐 부재

Claims (10)

  1. 수전구(100)로부터의 원수의 일부가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원수코크(510);
    상기 수전구(100)로부터의 원수의 다른 일부가 유입되고 전해질 키트(300)로부터 유입된 전해질과 혼합되어 전해수가 생성되는 전해수 탱크(200);
    상기 수전구(100)로부터의 원수의 상기 일부가 밸브(V3)를 거쳐 유동함으로써 상기 전해수 탱크(200)에서 생성된 전해수와 혼합되어 전해질 희석수가 생성되며, 상기 생성된 전해질 희석수가 전기적 작용에 의해 살균수로 생성되는 전극(400);
    상기 살균수가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살균수 코크(520);
    상기 수전구(100)로부터의 원수의 상기 다른 일부가 유동하는 경우 작동하는 밸브 개폐 부재(T2);
    상기 밸브 개폐 부재(T2)의 작동시 개방되며, 상기 전해질 키트(300)로부터 상기 전해수 탱크(200)로의 전해질 유입을 단속하는 밸브(V2);
    상기 수전구(100)로부터의 원수의 일부가 상기 밸브(V3)를 거쳐 유동하는 경우 작동하는 밸브 개폐 부재(T4);
    상기 밸브 개폐 부재(T4)의 작동시 개방되며, 상기 전해수 탱크(200)로부터 상기 전극(400)으로의 전해수 유입을 단속하는 밸브(V4);
    상기 전해수 탱크(200) 내에 설치되는 센서(210); 및
    상기 센서(210)에 의하여 작동되며, 상기 수전구(100)로부터의 원수의 상기 다른 일부의 유동 여부를 단속하는 밸브(V1); 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V3)가 폐쇄된 경우, 상기 수전구(100)로부터의 원수의 상기 일부는 상기 원수 코크(510)로 유동하고,
    상기 밸브(V3)가 개방된 경우, 상기 수전구(100)로부터의 원수의 상기 일부는 상기 살균수 코크(520)를 향하여 유동함으로써, 상기 전해수 탱크(200)에서 생성된 전해수와 혼합되어 전해질 희석수가 생성되며,
    상기 밸브 개폐 부재(T2, T4)는,
    상기 밸브 개폐 부재(T2, T4)가 각각 구비된 유로 내의 유체의 흐름이 있는 경우에만 기계적으로 자동 작동되어 상기 밸브(V2, V4)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기용 도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탱크(200)로부터 전해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제 2 탱크(2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탱크(250)에 저장된 전해수가 상기 수전구(100)로부터의 원수의 상기 일부로서 밸브(V3)를 거쳐 유동한 원수와 혼합되어 전해질 희석수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기용 도징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개폐 부재(T2, T4)들은 물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기용 도징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V3)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기용 도징 시스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210)는 수위 감지 센서이며,
    상기 센서(210)가 상기 전해수 탱크(200) 내에서 미리 결정된 양의 수위를 감지한 경우 상기 밸브(V1)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기용 도징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210)는 TDS 센서이며,
    상기 센서(210)가 상기 전해수 탱크(200) 내에서 미리 결정된 양의 TDS 농도를 감지한 경우 상기 밸브(V1)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기용 도징 시스템.
KR1020130127069A 2013-10-24 2013-10-24 살균수기 전해질 도징 시스템 KR102113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069A KR102113724B1 (ko) 2013-10-24 2013-10-24 살균수기 전해질 도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069A KR102113724B1 (ko) 2013-10-24 2013-10-24 살균수기 전해질 도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242A KR20150047242A (ko) 2015-05-04
KR102113724B1 true KR102113724B1 (ko) 2020-05-21

Family

ID=53386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069A KR102113724B1 (ko) 2013-10-24 2013-10-24 살균수기 전해질 도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7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746B1 (ko) * 2022-01-14 2022-06-08 주식회사 한결 전해 살균소독수 제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719Y1 (ko) * 2005-05-24 2005-08-17 송철 식품용 살균수 제조장치
KR200454214Y1 (ko) * 2009-06-25 2011-06-23 김광유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205B1 (ko) * 1997-06-19 1999-10-15 유근학 농업용 자동 급수장치
JPH11207348A (ja) * 1998-01-26 1999-08-03 Nippon Intec Kk 電解水生成装置の浄水器の殺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719Y1 (ko) * 2005-05-24 2005-08-17 송철 식품용 살균수 제조장치
KR200454214Y1 (ko) * 2009-06-25 2011-06-23 김광유 자동밸브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242A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8495B2 (en) Dispensing machine sanitization using electro-chemically activated liquid
US10266441B2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and cleansing method thereof
US6059941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 sterilizing solution
KR101734194B1 (ko)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KR20100137451A (ko) 전기 화학적으로 활성화시킨 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가공, 포장 및 분배
WO2008089120A2 (en) Aqueous solution for managing microbes in oil and gas production and method for their production
KR100990497B1 (ko) 살균수 생성 기능과 정수기능을 하는 수처리 장치
CN210796076U (zh) 非电解微酸性次氯酸水生成设备
US10071402B2 (en) Method for steriliz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tanks
KR102111199B1 (ko) 전해수를 활용한 나노버블 세탁방법 및 그 장치
KR101768458B1 (ko) 전해살균수 손 소독기
KR102113724B1 (ko) 살균수기 전해질 도징 시스템
KR101439948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WO2012063583A1 (ja) 浄水装置および浄水装置の消毒殺菌方法
KR100947256B1 (ko) 수처리용 전해 장치
JPH10182325A (ja) 次亜塩素酸ナトリウムの殺菌力増強装置
KR100936731B1 (ko) 전해 차아염소산 살균수 제조 장치
KR100947847B1 (ko) 복합 살균수 제조 장치
KR20190025240A (ko) 희석식 살균수 제조장치
KR20120129333A (ko) 차아염소산 살균수 제조장치
KR20120028515A (ko) 살균제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KR100922866B1 (ko) 수처리용 전해방법
KR102605654B1 (ko) 수처리장치
JP4169634B2 (ja) 殺菌方法
KR101394212B1 (ko) 살균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