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147Y1 - 계란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계란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147Y1
KR200454147Y1 KR2020090003572U KR20090003572U KR200454147Y1 KR 200454147 Y1 KR200454147 Y1 KR 200454147Y1 KR 2020090003572 U KR2020090003572 U KR 2020090003572U KR 20090003572 U KR20090003572 U KR 20090003572U KR 200454147 Y1 KR200454147 Y1 KR 200454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er
egg
plate
egg plate
sea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814U (ko
Inventor
윤택진
Original Assignee
윤택진
주식회사 에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택진, 주식회사 에그텍 filed Critical 윤택진
Priority to KR2020090003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14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8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8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1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6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 B65B43/165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specially adapted for carton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such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02Packaging or unpacking eg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적층된 계란판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해 보다 확실하게 적층된 계란판으로부터 하부의 계란판만을 분리할 수 있게 한 계란판 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기체의 상부에 상호 마주하게 설치하여 적층된 계란판들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지지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적층된 계란판들을 후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하나씩 순차적으로 하부로 배출하여 공급할 수 있게 한 계란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계란판의 하부 양측부에서 각각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 되게 설치한 픽커(picker)와 안착편으로 이루어진 계란판 픽커부; 상기 계란판 픽커부의 픽커와 안착편이 일체로 승강될 수 있게 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픽커와 안착편이 상승된 위치에서는 전진되게 함과 아울러 하강된 위치에서는 후진되도록 하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감지부를 포함한다.
계판판, 공급장치, 란포장, 자동화, 계란

Description

계란판 공급장치{carrier device of eggs packaging plate}
본 고안은 계란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별된 계란들을 수납하기 위한 계란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계란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계장으로부터 수거된 계란들은 크기별로 선별된 후 소비자들에게 유통되는 과정에서 계란들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란판에 담아서 운반 및 보관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상기 계란판에 계란들을 수납하기 위한 작업을 예전에는 수작업으로 하였으나, 최근에는 자동화 포장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즉, 집란에서 포장까지의 모든 작업을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화 포장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화 포장 시스템에서는 상기 계란판의 공급 역시 자동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종래에는 상기 계란판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시스템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 적층된 계란판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 "계란판 공급장치"를 특허번호 제10-0456781호(등록일자:2004년11월02일)로 특허 받았다. 이러한 선특허는 적층된 계란판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본 고안자는 상기 선특허 보다 더 간단한 구조에 의해 보다 더 확실하게 적층된 계란판으로부터 하부의 계란판만을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공급할 수 있게 개량한 계란판 공급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상기 선특허에서 개량된 계란판 공급장치를 특허출원 제2008-78332호로 출원중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계란판 공급장치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적층된 계란판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해 보다 확실하게 적층된 계란판으로부터 하부의 계란판만을 분리할 수 있게 한 계란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체의 상부에 상호 마주하게 설치하여 적층된 계란판들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지지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적층된 계란판들을 후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하나씩 순차적으로 하부로 배출하여 공급할 수 있게 한 계란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란판의 하부 양측부에 상호 마주하게 위치되어 제1실린더에 의해 상기 계란판을 향하여 전후진 되게 설치한 픽커(Picker)와 상기 픽커의 하부에 인접하여 상호 마주하게 위치되어 상기 픽커에 의해 하부로 배출되는 계란판이 안착될 수 있게 제2실린더에 의해 상기 계란판을 향하여 전후진 되게 설치한 안착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적층된 계란판들로부터 최하부의 계란판만을 분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계란판 픽커부; 상기 계란판 픽커부의 픽커와 안착편이 일체로 승강될 수 있게 상기 픽커와 안착편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상단이 자유로이 회전되게 결합한 로드와 상기 로드의 하단이 편심된 위치에서 자유로이 회전되게 결합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로 이루어져,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전판에 편심 결합된 로드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킬 수 있게 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픽커와 안착편이 상승된 위치에서는 전진되게 함과 아울러 하강된 위치에서는 후진되도록 상기 제1~제2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게 상기 회전판에 인접하여 상부에는 제1센서를, 하부에는 제2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 대한 작동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적층된 계란판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격을 낮출 수 있고, 또 구조가 간단함으로서 고장이 적고 수명이 연장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계란판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표시의 평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계란판 공급장치(100)는 기체(102)의 상부에 상호 마주하게 지지판(104)을 설치하여 적층된 계란판(10)들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지지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적층된 계란판(10)들을 후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하나씩 순차적으로 하부로 배출하여 공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적층된 계란판(10)을 소정 높이에서 지지(支持)하기 위한 지지판(104)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의 선특허(특허번호 제10-0456781호) 및 특허출원 제2008-78332호를 보면 자세하게 알 수 있다.(도 10 ~도 11참조) 특히, 본 출원인의 선특허에서는 상호 마주하게 설치되는 지지판(104)의 위치를 구동부(120)의 승강 방향에 대하여 동일축선상으로 위치되게 설치하였으나, 본 고안에는 구동부(120)의 승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위치로 설치하여 장공(106a)이 형성된 걸림편(106)에 의해 상기 구동부(120)와 연동하여 작동되게 하였다.(도 1~ 도 3참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계란판 공급장치에 구비되는 픽커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I-I선 방향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표시의 II-II선 방향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계란판 공급장치(100)는 계란판 픽커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계란판 픽커부(110)는 상기 지지판(104)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지지되는 계란판(10) 중 최하부의 계란판을 하부로 분 리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톱날이 형성된 픽커(Picker)(112)가 양측부에 상호 마주하게 위치되어 제1실린더(114)에 의해 전후진 됨과 아울러 승강되면서 상기 적층된 계란판들 중 최하부에 위치하는 계란판의 양측부를 상기 픽커(112)의 톱날로 찍어 내림으로서 적층된 계란판으로부터 최하부의 계란판만을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픽커(112)의 하부에 인접하여 그 픽커(112)에 의해 하부로 분리되는 계란판(10)이 안착되게 하기 위한 안착편(116)이 설치되는데, 상기 안착편(116) 역시 픽커(112)와 동일하게 작동하도록 제2실린더(118)에 의해 전후진 됨과 아울러 승강되면서 상기 픽커(112)에 의해 하부로 분리 배출되는 계란판(10)이 안착되게 함으로서 분리된 계란판(10)을 안정적으로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계란판 픽커부(110)는, 상기 픽커(112)에 의해 적층된 계란판(10)들 중 최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계란판(10)만을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픽커(112)의 상승 위치에서 제1실린더(114)에 의해 순간적으로 픽커(112)가 전진되어 계란판(10)의 양측부를 찍게 됨과 아울러 하강 위치에서는 제1실린더(114)에 의해 픽커(112)가 후진되게 작동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1은 상기 제1,제2실린더(114,118)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호스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4a와 도 114b는 상기 제1실린더(114)에 의해 픽커(112)가 전후진 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봉을 나타낸 것이며, 도 118a,118b는 상기 제2실린더(118)에 의해 안착편(116)이 전후진 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봉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계란판 공급장치에 구비되는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표시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계란판 공급장치에서 계란판들을 지자하기 위한 지지판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표시의 측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계란판 공급장치(100)는 구동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동부(120)는 상기 계란판 픽커부(110)에 구비되는 픽커(112)와 안착편(116)이 함께 승강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동부(120)는 상기 픽커(112)와 안착편(116)이 일체형으로 함께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픽커(112)와 안착편(116)을 브라켓(122)에 설치하며, 상기 브라켓(122)은 승강부재(124)에 의해 승강되게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124)의 승강에 의해 상기 브라켓(122)에 설치되는 픽커(112)와 안착편(116)은 함께 승강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124)는 모터(129)의 회전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하는 로드(126)에 의해 승강되게 작동한다. 즉, 상기 모터(129)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128)에 편심되도록 상기 로드(126)의 하단부를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로드(126)의 상단부를 승강부재(124)에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129)의 구동에 의해 회전판(128)이 회전되면 상기 로드(126)가 편심 작동하면서 승강부재(124)를 승강되게 하면서 상기 픽커(112)와 안착편(116)이 설치되는 브라켓(122)을 승강시킨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124)의 승강을 돕기 위하여 리니어모터 혹은 가이드바를 설치함이 좋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계란판 공급장치(100)는 감지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감지부(130)는 상기 승강부재(124)의 승강에 따라 상기 픽커(112)와 안착편(116)을 전후진시키기 위한 제1,제2실린더(114,118)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감지부(130)는 상기 구동부(120)의 회전판(128)에 인접하여 상부에는 제1센서(132)를 설치하고, 하부에는 제2센서(134)를 설치하여 상기 로드(126)의 하단부에 대한 작동 위치를 감지함에 의해 픽커(112)와 안착편(116)을 전후진 시키기 위한 제1,제2실린더(114,118)를 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계란판 공급장치(100)는, 적층된 계란판(10)으로부터 최하부에 위치된 계란판(10)을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하부로 배출함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후공정(계란판에 선별된 계란을 담는 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적층된 계란판(10)들이 지지판(104)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모터(129)의 회전으로 상기 승강부재(124)가 승강되면서 상기 지지판(104)에 지지된 계란판들을 픽커(112)와 안착편(116)에 의해 순차적으로 하부로 분리 배출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승강부재(124)가 하강하면 그 승강부재(124)의 하강을 제2센서(134)에서 감지하여 즉, 로드(126)의 하단부 위치를 제2센서(134)로서 감지함에 의해 상기 픽커(112)와 안착편(116)을 전후진 시키기 위한 제1,제2실린더(114,118)가 후진될 수 있게 하는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픽커(112)와 안착편(116)이 후진되게 한다.
이후, 상기 승강부재(124)가 상승되면 그 승강부재(124)의 상승된 상태를 제 1센서(132)에서 감지하여 즉, 로드(126)의 상단부 위치를 제1센서(132)로서 감지함에 의해 상기 픽커(112)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제1실린더(114,118)가 전진될 수 있게 하는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픽커(112)가 전진되게 한다. 한편, 상기 안착편(116)의 전진은 상기 승강부재(124)의 상승 시작과 동시에 제어부(미도시)에서 신호를 받아 전진된다. 즉, 상기 픽커(112)의 전진은 그 픽커(112)가 상승된 상태를 제1센서(132,134)에서 감지하여 전진시킴으로 픽커(112)가 상승 위치에서 전진되고, 또 상기 안착편(116)은 제어부에 의해 승강되는 시점에서 전진된 상태로 상승한다. 이후, 상기 픽커(112)와 안착편(116)의 후진은 하강된 상태에서 제2센서(134)의 신호를 받아 후진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124)가 상승된 상태에서 제1실린더(114,118)의 신호를 받아 상기 픽커(112)가 전진되어 계란판(10)의 양측면을 톱날로 찍게 되고, 또 상기 안착편(116)에 상승 시작과 동시에 전진된 상태로 상승함에 의해 상기 픽커에 의해 분리된 계란판(10)을 안착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픽커(112)에 의해 계란판(10)의 양측부를 찍은 후 상기 안착편(116)에 계란판(10)이 안착되게 하면, 상기 구동부(120)의 계속적인 동작에 의해 상기 픽커(112)와 안착편(116)은 하강되게 되며, 상기 승강부재(124)의 하강을 제2센서(134)로 로드(126)의 하부를 감지하여 제1,제2실린더(114,118)에 의해 픽커(112)와 안착편(116)이 후진되게 하여 계란판을 후 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적층된 계란판으로부터 하부의 계란판을 분리하기 위한 픽커(112)와 안착편(116)의 전후진 동작을 제1,제2실린더(114,118)에 의해 이루어지게 함과 아울러 상기 로드(126)의 하단부를 제1,제2센서(132,134)로서 감지하여 제1,제2실린더(114,118)를 작동시킴으로서 픽커(112)와 안착편(116)이 정확한 위치에 전후진 되게 할 수 있어 정확한 동작에 의한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계란판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표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계란판 공급장치에 구비되는 픽커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I-I선 방향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표시의 II-II선 방향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계란판 공급장치에 구비되는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표시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계란판 공급장치에서 계란판들을 지자하기 위한 지지판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표시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계란판 공급장치 110 - 계란판 픽커부
112 - 픽커 114 - 제1실린더
116 - 안착편 118 - 제2실린더
120 - 구동부 122 - 브라켓
124 - 승강부재 126 - 로드
128 - 회전판 130 - 감지부
132 - 제1센서 134 - 제2센서

Claims (1)

  1. 기체의 상부에 상호 마주하게 설치하여 적층된 계란판들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지지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적층된 계란판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하부로 배출하여 후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 계란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란판의 하부 양측부에 상호 마주하게 위치되어 상기 계란판을 향하여 제1실린더에 의해 전후진 되게 설치한 픽커(Picker)와 상기 픽커의 하부에 인접하여 상호 마주하게 위치되어 상기 픽커에 의해 하부로 배출되는 계란판이 안착될 수 있게 상기 계란판을 향하여 제2실린더에 의해 전후진 되게 설치한 안착편으로 이루어진 계란판 픽커부;
    상기 픽커와 안착편을 고정하여 상기 계란판 픽커부의 픽커와 안착편이 일체로 승강될 수 있게 하기 위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상단이 자유로이 회전되게 결합한 로드와 상기 로드의 하단이 편심된 위치에서 자유로이 회전되게 결합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전판에 편심 결합된 로드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킬 수 있게 한 구동부; 및
    상기 회전판의 상하부에 인접하게 각각 설치된 제1센서 및 제2센서로 하여금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 대한 작동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픽커와 안착편을 전진 혹은 후진되게 하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판 공급장치.
KR2020090003572U 2009-03-27 2009-03-27 계란판 공급장치 KR200454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572U KR200454147Y1 (ko) 2009-03-27 2009-03-27 계란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572U KR200454147Y1 (ko) 2009-03-27 2009-03-27 계란판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814U KR20100009814U (ko) 2010-10-06
KR200454147Y1 true KR200454147Y1 (ko) 2011-06-17

Family

ID=4420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572U KR200454147Y1 (ko) 2009-03-27 2009-03-27 계란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14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975B1 (ko) * 2021-07-28 2022-12-05 이한열 계란 수평 이동 장치
KR102383605B1 (ko) * 2021-08-10 2022-04-08 함영식 적층 계란판 분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986A (ko) * 2006-09-22 2008-03-26 씨제이제일제당 (주) 용기 자동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986A (ko) * 2006-09-22 2008-03-26 씨제이제일제당 (주) 용기 자동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814U (ko)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412B1 (ko) 트레이 이송장치
KR101173274B1 (ko) 패킹 조립장치
CN202002630U (zh) 一种lcd玻璃面板检测流水线
KR20160049452A (ko) 태빙장치의 셀지그 이재장치
CN101866990B (zh) 石英舟自动上下片装置
KR100689710B1 (ko) 베어링 이송장치
CN205668797U (zh) 一种自动上料送板机
KR200454147Y1 (ko) 계란판 공급장치
CN105979764A (zh) 一种元件脚测量机及其测量工艺
CN107738920B (zh) 一种金属板料智能分合机
CN211359681U (zh) 一种单面覆铜pcb板铜厚度检测装置
CN106429414B (zh) 一种自动送耳片装置
CN212922189U (zh) 托盒输送机构及入托机
CN211544969U (zh) 一种新型在线印刷一体机
CN210417159U (zh) 包装机送袋装置及挂面自动包装机
KR102409196B1 (ko)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
CN111439456A (zh) 基于机器人的连铸方坯端面贴标系统
CN103182546A (zh) 饰品加工对接穿孔机
KR101719305B1 (ko) 진단 키트용 케이스 정렬장치
KR101146345B1 (ko) 배터리용 필터 조립장치
KR101305409B1 (ko) 부품공급장치
CN106516702A (zh) 一种高效条码扫描装置及其物料输送线
CN112345577A (zh) 一种色母粒自动检测系统及方法
CN213003677U (zh) 一种紫外灯生产用自动化组装设备
KR200237158Y1 (ko) 배터리용 절연부재 자동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