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319Y1 - 로프길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로프길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319Y1
KR200453319Y1 KR2020090005090U KR20090005090U KR200453319Y1 KR 200453319 Y1 KR200453319 Y1 KR 200453319Y1 KR 2020090005090 U KR2020090005090 U KR 2020090005090U KR 20090005090 U KR20090005090 U KR 20090005090U KR 200453319 Y1 KR200453319 Y1 KR 200453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ope
front surface
slide plate
adjus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879U (ko
Inventor
박병욱
Original Assignee
박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욱 filed Critical 박병욱
Priority to KR2020090005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319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8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8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3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2Mountain guy-ropes or accessories, e.g. avalanche ropes; 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accidentally buried, e.g. snow-buri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로프길이 조절장치가 개시된다. 본 로프길이 조절장치는 얇은 판 구조로 형성되어 제 1전면(32)과 제 1밀착면(34)을 구비하고, 상부측에 고정고리(20)가 삽입되기 위한 제 1관통공(36)이 형성되며, 하부측에는 로프(20)가 통과되기 위한 제 2관통공(38)이 형성된 제 1슬라이드 판부재(30); 얇은 판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 1밀착면(34)에 접촉되는 제 2밀착면(42) 및 상기 제 1밀착면(34)에 밀착되지 않는 제 2전면(44)을 구비하고, 상부측에 상기 고정고리(20)가 삽입되기 위한 제 1통과공(46)이 상기 제 1관통공(36)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며, 하부측에는 상기 제 2관통공(38)의 상부와 대응되는 제 2통과공(48A) 및 하부가 상기 제 2관통공(38)의 하부와 일치되는 제 3통과공(48B)이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되는 제 2슬라이드 판부재(40); 및 만곡진 유도부(52)를 구비하여 상기 제 2통과공(48A)과 제 3통과공(48B) 사이의 제 2전면(44)에 구비되는 유도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조절장치에 의하면, 고정물과 피 고정물을 연결하는 로프의 길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로프, 길이, 조절장치

Description

로프길이 조절장치{device for adjusting length of a rope}
본 고안은 로프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쌍의 슬라이드 판부재의 짝힘과 일측의 슬라이드 판부재에 구비되는 유도부재에 의해 로프의 당김이 정지되거나 당김이 허용되어 로프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로프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물과 피 고정물을 연결하는 로프는 다양한 구조의 길이조절장치에 의해 그 길이(고정물과 피 고정물 간의 거리)가 조절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길이조절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하였고,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곤란하였다.
한편, 암벽 등반시 고정물과 등반자를 연결하는 확보용 로프의 경우에 등반자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조절되어야 하고, 그 길이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특히, 확보용 로프에 등반자가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물과 등반자 사이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서는 로프 길이조절장치를 조작하여 그 길이를 조절해야 했으나, 길이조절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길이를 조절하는 작업이 곤란하였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고정물과 피 고정물을 연결하는 로프의 길이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또한 그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은,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얇은 판 구조로 형성되어 제 1전면과 제 1밀착면을 구비하고, 상부측에 고정고리가 삽입되기 위한 제 1관통공이 형성되며, 하부측에는 로프가 통과되기 위한 제 2관통공이 형성된 제 1슬라이드 판부재;
얇은 판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 1밀착면에 접촉되는 제 2밀착면 및 상기 제 1밀착면에 밀착되지 않는 제 2전면을 구비하고, 상부측에 상기 고정고리가 삽입되기 위한 제 1통과공이 상기 제 1관통공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며, 하부측에는 상기 제 2관통공의 상부와 대응되는 제 2통과공 및 하부가 상기 제 2관통공의 하부와 일치되는 제 3통과공이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되는 제 2슬라이드 판부재; 및
만곡진 유도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 2통과공과 제 3통과공 사이의 제 2전면에 구비되는 유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관통공과 제 1통과공에 고정고리가 끼워지고, 상기 로프의 선단이 제 2관통공 상부와 제 2통과공을 통과하여 만곡진 상기 유도부에 유도된 후 제 3통과공과 제 2관통공의 하부로 통과된 상태에서 상기 로프의 후단부를 상기 고정고리와 일직선이 되도록 하방으로 당기면 상기 제 2슬라이드 판부재가 하강하여 제 1,2슬라이드 판부재가 어긋나면서 제 3통과공과 제 2관통공 하부 사이에 로프가 끼어 그 위치가 고정되어 당김이 멈춰지고, 상기 로프의 선단부를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제 2슬라이드 판부재가 상승하여 제 3통과공과 제 2관통공이 일치되어 당김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유도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직경은 상기 제 2통과공과 제 3통과공 사이에 형성되는 제 2전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 2전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제 2전면에서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제 2통과공과 제 3통과공 사이의 거리와 같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관통공 하부 측의 제 1전면에는 로프의 선단을 하방으로 당길 때, 제 2관통공의 엣지에 간섭되지 않도록 만곡부를 구비한 보조 유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유도부재는 상기 제 1전면에서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유도부재는 상기 만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 1전면에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관통공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로프길이 조절장치에 의하면, 제 1슬라이드 판부재와 제 2슬라이드 판부재의 짝힘에 의해 로프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제 2슬라이드 판부재에 구비된 유도부재에 의해 로프의 길이가 원활하고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원기둥 구조를 갖는 로프가 견고하게 고정되거나 그 길이가 용이하게 조절됨으로써 일반적인 로프의 길이 조절은 물론, 암벽 등반시에 고정물과 등반자 사이의 로프 길이를 조절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로프의 고정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2b는 도 1에 도시된 로프길이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는 고정물과 피 고정물을 연결하는 원형 단면을 갖는 로프(10)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로프길이 조절장치는, 제 1슬라이드 판부재(30)와 제 2슬라이드 판부재(40) 및 제 2슬라이드 판부재(40)에 구비되는 유도부재(50)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슬라이드 판부재(30)는 얇은 판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슬라이드 판부재(40)와 밀착되지 않는 면은 제 1전면(32)이고, 밀착되는 면은 제 1밀착면(34)이다. 상부측에는 캐러비너와 같은 고정고리(20)가 삽입되기 위한 제 1관통공(36)이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로프(20)가 통과되기 위한 제 2관통공(38)이 형성된다. 제 2관통공(38)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로프(10)가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독립된 관통공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 2슬라이드 판부재(40)는 얇은 판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밀착면(34)에 접촉되는 제 2밀착면(42)과 제 1밀착면(34)에 밀착되지 않는 제 2전면(44)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 2슬라이드 판부재(40)의 크기(길이)는 제 1슬라이드 판부재(30)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2슬라이드 판부재(40)의 상부측에는 제 1관통공(36)을 통과한 고정고리(20)가 삽입되기 위한 제 1통과공(46)이 제 1관통공(36)에 비하여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측에는 제 2관통공(38)의 상부와 대응되는 제 2통과공(48A)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 2관통공(38)의 하부와 일치되는 제 3통과공(48B)이 제 2통과공(48A)과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1,2슬라이드 판부재(30,40)는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티타늄, 철,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유도부재(50)는 로프(10)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여 그 길이 조절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만곡진 유도부(52)를 구비하여 제 2통과공(48A)과 제 3통과공(48B) 사이의 제 2전면(44)에 구비된다. 이러한 유도부재(50)는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것이 적용된다. 유도부재(50)의 단면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일 경우 만곡진 유도부(52)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도부재(50)의 재질은 제 1,2슬라이드 판부재(30,40)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같은 재질일 경우에는 용접에 의해 제 2전면(44)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슬라이드 판부재(30,40)의 각 밀착면(34,42)을 밀착시키되, 제 1관통공(36)과 제 1통과공(46)이 일치되도록 밀착시킨다. 이어서, 로프(10)의 선단부(10A)를 제 2관통공(38)의 상부와 제 2통과공(48A)으로 끼운 후 유도부재(50)의 유도부(52)에 밀착되도록 제 3통과공(48B)과 제 2관통공(36)의 하부로 통과시켜 빼낸다. 이러한 과정으로 로프(10)를 길이조절장치(제 1,2슬라이드 판부재(30,40))에 설치하는 작업이 완료되고, 로프(10)는 유도부재(50)의 유도부(52)에 밀착되어 유도부재(50)를 감싼 상태가 된다.
이어서, 캐러비너와 같은 고정고리(20)를 제 1관통공(36)과 제 1통과공(46)에 삽입하고, 고정고리(20)를 고정물(미도시)에 걸어 고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10)의 후단부(10B)를 고정고리(20)와 일직선이 되도록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제 2슬라이드 판부재(40)가 제 1슬라이드 판부재(30)와 밀착된 상태로 하방(도 2a를 기준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슬라이드 판부재(30)의 제 1관통공(36)에 비하여 제 1통과공(46)이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슬라이드 판부재(30)는 고정고리(20)와 유동(상,하부로 이동)없이 결합된 상태이나, 제 2슬라이드 판부재(40)는 제 1관통공(36)과의 크기 차이만큼 유동(상,하부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 2통과공(48A)에 위치한 로프(10)의 후단부(10B)를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제 1슬라이드 판부재(30)는 고정고리(20)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제 2슬라이드 판부재(40)는 제 1관통공(36)과 제 1통과공(46)의 크기 차이만큼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 1,2슬라이드 판부재(30,40)에는 짝힘(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은 제 2관통공(38)이 장공으로 형성되어 후단부(19B)가 간섭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제 2슬라이드 판부재(40)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 2관통공(38) 하부와 제 3통과공(48B)에 삽입된 상태인 로프(10)는 제 2관통공(38) 하부와 제 3통과공(48B) 사이에 끼이게 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즉, 제 2관통공(38) 하부와 제 3통과공(48B)이 일치되는 영역이 좁혀지면서 로프(10)가 그 사이에 끼이게 되어 로프(10)의 이동이 견고하게 정지된다. 이때, 로프(10)의 후단 부(10B)를 하방으로 당기는 힘이 크면 클수록 제 2슬라이드 판부재(40)는 더 큰 힘으로 하방으로 이동하려 하고, 이에 따라 짝힘이 더욱 크게 작용하여 제 3통과공(48B)의 엣지영역은 큰 힘으로 로프(10)를 가압하게 되어 로프(10)는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 그 이동이 정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물과 피 고정물의 간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또한 피 고정물은 안정되게 고정물에 매달릴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정물과 피 고정물의 거리(간격)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로프(10)의 길이를 조절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로프(10)의 선단부(10A)를 하방(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는 동작만으로 로프(10)의 길이(고정물과 피 고정물 간의 거리-도시되지 않음)가 조절된다. 즉, 로프(10)의 선단부(10A)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로프(10)의 선단부(10A)를 고정고리(20)와 반대 방향으로 당기 되면, 유도부재(50)를 감싸고 있던 로프(10)가 유도부재(50)의 만곡진 유도부(52)를 따라 이동하면서 유도부재(50)를 상부(고정고리(20) 측)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제 슬라이드 판부재(40)는 고정고리(20) 측으로 이동하게 되거나, 제 2관통공(38)과 제 2,3통과공(48A,48B)이 일치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선단부(10A)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어느 것도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선단부(10A)는 원활하게 화살표 방향(고정고리(20)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당겨지는 로프(10)가 만곡진 유도부(52)를 갖는 유도부재(50)에 의해 그 이동이 유도되기 때문에 간섭없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로프(10)의 선단부(10A) 또는 후단부(10B)를 '하방으로 당긴다'라고 표현했으나, 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할 때 이해를 돕고자 한 것이며, 달리 표현하자면 고정고리(20)와 반대방향으로 당겨야 하거나, 고정고리(20)를 로프(10)의 후단부(10B)와 반대방향으로 당겨야 한다. 그리고, 고정물과 피 고정물을 연결하는 것은 로프(10)의 후단부(10B)와 고정고리(20)이다. 따라서, 후단부(10B)가 고정되기 위해서는 후단부(10B) 일측이 길이 조절장치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이 고정물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고리(20)를 피 고정물에 고정해야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고리(20)를 후단부(10B)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전술한 바와 같이 후단부(10B)를 하방으로 당김으로써 발생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는 고정물과 피 고정물을 연결하는 로프(10)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물과 피 고정물의 간격을 조절할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로프(10)의 길이를 조절할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 예는 제 2관통공(38) 하부 측의 제 1전면(32)에 로프(10)의 선단부(10A)를 하방으로 당길 때, 즉 로프(10)를 이동시켜 그 길이를 조절할 때, 로프(10)가 제 2관통공(38)의 엣지에 간섭되지 않도록 만곡부(62)를 구비한 보조 유도부재(60)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전면(32)의 하부에 만곡부(62)를 구비한 보조 유도부재(60)가 구비됨으로써 고정된 로프(10)의 길이를 조절하고 선단부(10A)를 고정고리(20)와 반대방향으로 당길 때, 로프(10)가 제 2관통공(38)의 엣지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로프(10)가 엣지에 간섭되지 않으면 로프(10)게 엣지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본 고안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 예는 유도부재(50)가 제 2전면(44)에서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보조 유도부재(60)가 제 1전면(32)에서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각 실시 예와 같다.
이와 같이 유도부재(50)나 보조 유도부재(60)가 제 2전면(44)이나 제 1전면(32)에서 엠보싱과 같이 그 자체가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각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2b는 도 1에 도시된 로프길이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프 20 : 고정고리
30 : 제 1슬라이드 판부재 32 : 제 1전면
34 : 제 1밀착면 36 : 제 1관통공
38 : 제 2관통공 40 : 제 2슬라이드 판부재
42 : 제 2밀착면 44 : 제 2전면
46 : 제 1통과공 48A : 제 2통과공
48B : 제 3통과공 50 : 유도부재
52 : 유도부 60 : 보조 유도부재
62 : 만곡부

Claims (9)

  1. 로프(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얇은 판 구조로 형성되어 제 1전면(32)과 제 1밀착면(34)을 구비하고, 상부측에 고정고리(20)가 삽입되기 위한 제 1관통공(36)이 형성되며, 하부측에는 로프(20)가 통과되기 위한 제 2관통공(38)이 형성된 제 1슬라이드 판부재(30);
    얇은 판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 1밀착면(34)에 접촉되는 제 2밀착면(42) 및 상기 제 1밀착면(34)에 밀착되지 않는 제 2전면(44)을 구비하고, 상부측에 상기 고정고리(20)가 삽입되기 위한 제 1통과공(46)이 상기 제 1관통공(36)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며, 하부측에는 상기 제 2관통공(38)의 상부와 대응되는 제 2통과공(48A) 및 하부가 상기 제 2관통공(38)의 하부와 일치되는 제 3통과공(48B)이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되는 제 2슬라이드 판부재(40); 및
    만곡진 유도부(52)를 구비하여 상기 제 2통과공(48A)과 제 3통과공(48B) 사이의 제 2전면(44)에 구비되는 유도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관통공(36)과 제 1통과공(46)에 고정고리(20)가 끼워지고, 상기 로프(10)의 선단이 제 2관통공(38) 상부와 제 2통과공(48A)을 통과하여 만곡진 상기 유도부(52)에 유도된 후 제 3통과공(48B)과 제 2관통공(38)의 하부로 통과된 상태에서 상기 로프(10)의 후단부를 상기 고정고리(20)와 일직선이 되도록 하방으로 당기면 상기 제 2슬라이드 판부재(40)가 하강하여 제 1,2슬라이드 판부재(30,40)가 어긋나면서 제 3통과공(48B)과 제 2관통공(38) 하부 사이에 로프(10)가 끼어 그 위 치가 고정되어 당김이 멈춰지고, 상기 로프(10)의 선단부를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제 2슬라이드 판부재(40)가 상승하여 제 3통과공(48B)과 제 2관통공(38)이 일치되어 당김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길이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5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직경은 상기 제 2통과공(48A)과 제 3통과공(48B) 사이에 형성되는 제 2전면(44)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 2전면(4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길이 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50)는 상기 제 2전면(44)에서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길이 조절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50)는 상기 제 2통과공(48A)과 제 3통과공(48B) 사이의 거리와 같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길이 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관통공(38) 하부 측의 제 1전면(32)에는 로프(10)의 선단을 하방으로 당길 때, 제 2관통공(38)의 엣지에 간섭되지 않도록 만곡부(62)를 구비한 보조 유도부재(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길이 조절장치.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관통공(38) 하부 측의 제 1전면(32)에는 로프(10)의 선단을 하방으로 당길 때, 제 2관통공(38)의 엣지에 간섭되지 않도록 만곡부(62)를 구비한 보조 유도부재(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길이 조절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조 유도부재(60)는 상기 제 1전면(32)에서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길이 조절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조 유도부재(60)는 상기 만곡부(62)를 구비하여 상기 제 1전면(3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길이 조절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관통공(38)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길이 조절장치.
KR2020090005090U 2009-04-28 2009-04-28 로프길이 조절장치 KR2004533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090U KR200453319Y1 (ko) 2009-04-28 2009-04-28 로프길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090U KR200453319Y1 (ko) 2009-04-28 2009-04-28 로프길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879U KR20100010879U (ko) 2010-11-05
KR200453319Y1 true KR200453319Y1 (ko) 2011-04-20

Family

ID=4420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090U KR200453319Y1 (ko) 2009-04-28 2009-04-28 로프길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3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978A (ko) 2013-11-14 2015-05-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로프 길이조절유닛 및 이를 구비한 크레인
KR101714457B1 (ko) 2015-09-16 2017-03-10 한선규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699B1 (ko) * 2014-01-10 2015-06-16 김주회 확보줄 체결구
KR102159001B1 (ko) * 2019-03-27 2020-09-23 남경호 등반용 자기확보장치
KR102159007B1 (ko) * 2020-06-29 2020-09-23 남경호 등반용 자기확보장치
KR102465921B1 (ko) * 2022-09-19 2022-11-11 주식회사 주영피앤에스 끈 길이 조절 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0809A1 (en) 2007-09-26 2010-12-02 Olivier Miceli Follow-up fall preven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0809A1 (en) 2007-09-26 2010-12-02 Olivier Miceli Follow-up fall prevent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978A (ko) 2013-11-14 2015-05-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로프 길이조절유닛 및 이를 구비한 크레인
KR101714457B1 (ko) 2015-09-16 2017-03-10 한선규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879U (ko) 201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319Y1 (ko) 로프길이 조절장치
JP4307356B2 (ja)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5541759B2 (ja) ひずみゲージホルダー
CN108577055B (zh) 拉链用拉头和拉链
JP5782837B2 (ja) パンチング方法及びパンチング装置
CN101680259A (zh) 用于窗户调节器引导件上的改良型槽轮支撑件
JP4798068B2 (ja) ロック付コルゲートチューブ取付治具
KR101554814B1 (ko)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KR101528699B1 (ko) 확보줄 체결구
CN204989114U (zh) 一种管道环焊缝超声相控阵检测设备的辅助固定装置
KR101048643B1 (ko) 천장 패널 고정 장치
CN203655817U (zh) 一种杆端连接装置
JP3220691U (ja) くくり罠
KR100853866B1 (ko) 와이어 고정구
JP2015008574A (ja) 防護管装着具
KR20100121297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커튼행거
JP2005045915A (ja) サドル
KR101597504B1 (ko) 역류방지기능을 갖는 인장클램프
US11536396B2 (en) Cable restraint and method of securing a cable
KR20120039392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커튼행거
CN205555843U (zh) 移动扶栏把持夹具
KR102159007B1 (ko) 등반용 자기확보장치
KR200407901Y1 (ko) 온수 난방배관용 고정 클립
CN216519133U (zh) 一种改进型勾扣
JP2015025549A (ja) 茄子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