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457B1 -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 - Google Patents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457B1
KR101714457B1 KR1020150131254A KR20150131254A KR101714457B1 KR 101714457 B1 KR101714457 B1 KR 101714457B1 KR 1020150131254 A KR1020150131254 A KR 1020150131254A KR 20150131254 A KR20150131254 A KR 20150131254A KR 101714457 B1 KR101714457 B1 KR 101714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nding
fixing
present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원희
한선규
Original Assignee
한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선규 filed Critical 한선규
Priority to KR1020150131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2Mountain guy-ropes or accessories, e.g. avalanche ropes; 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accidentally buried, e.g. snow-buried,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에 설치된 와이어의 장력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변형된 와이어의 복구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보강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어의 인장작업의 횟수를 대폭 감소하고, 와이어에 균일한 인장력을 줄 수 있으며, 양 방향으로 보강이 가능한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를 제공하며, 와이어의 인장력이 손실되거나 와이어가 이완된 경우에 손쉽게 와이어를 재인장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ELEMENT FOR REINFORCING WIRE TENSION}
본 발명은 구조물에 기설치되어 있는 와이어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보강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에 설치된 와이어의 장력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변형된 와이어의 복구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보강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 구조물을 프리스트레싱하려고 하는 경우에 와이어를 설치하게 된다. 인장을 위해 설치된 와이어는 다양한 구조의 길이조절장치에 의해 그 길이(고정물과 피고정물 간의 거리)가 조절된다.
하지만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와이어(W)는 온도, 습도와 같은 외부환경에 노출 될 경우 수축, 팽창과 같은 길이의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본래 유지하고 있던 인장력이 약해지게 되어 구조물(S)을 당기는 힘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8949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3319호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8949호는 단일 박판형상의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홀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된 만곡부를 갖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를 기준으로 가이드 홀의 상하부로 끼워진 로프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의 간단한 당김 조작에 의해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를 개시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3319호는 한 쌍의 슬라이드 판부재의 짝힘(couple of forces)과 일측의 슬라이드 판부재에 구비되는 유도부재에 의해 로프의 당김이 정지되거나 당김이 허용되어 로프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로프길이 조절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길이조절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하였고,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곤란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8949호 (2015.08.31 자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3319호 (2011.04.14 자 등록)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와이어의 인장작업의 횟수를 감소하고, 와이어에 균일한 인장력을 줄 수 있으며, 양 방향으로 보강이 가능한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의 인장력이 손실되거나 와이어가 이완된 경우에 손쉽게 와이어를 재인장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구조물에 설치되는 와이어의 인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를 감기 위한 감김부; 상기 와이어의 감겨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감김부와 고정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김부의 중간이 벤딩되어 상기 감김부의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절곡형성되고, 상기 감김부의 양단은 높이차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감김부의 양 단 중 낮은 높이를 가지는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감김부의 양 단 중 높은 높이를 가지는 일단과 상기 연결부 사이에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에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높은 높이를 가지는 일단의 하측에 인접하게 가로지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중간이 벤딩되고, 상기 고정부의 일단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의 벤딩된 부분이 상기 감김부의 높은 높이를 가지는 일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감겨진 감김부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형상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감김부와 연결부를 통해 형성되는 삽입공으로 와이어가 탄력적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삽입 후 걸림되어 역방향의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로 안정된 감김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의 장력보강 후의 재변형을 막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간편하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외부환경조건에 따른 와이어의 장력 변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의 형상유지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물에 설치되는 와이어의 인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부재에 있어서, 와이어를 감기 위한 감김부(110), 와이어의 감겨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40), 및 감김부(110)와 고정부(14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를 제공한다.
감김부(110)는 와이어가 감겨지는 부분으로써, 와이어가 일방향으로 삽입되어 감겨질 수 있도록 감김부(110)의 중간이 벤딩되게 절곡 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조의 감김부(110)를 통하여 와이어의 감김이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해 질 수 있다.
한편, 감김부(110)의 양 단은 높이 차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와이어의 감김을 더욱 견고하게 해주고, 와이어의 감김 폭을 증가시켜서 보다 신속한 인장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감김부(110)의 일 실시예로서, 직선형의 부재를 절곡한 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그 형태는 한정되지 않고, 와이어의 일방향 삽입을 통한 견고한 감김이 이루어 질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연결부(120)는 감김부(110)에 와이어를 감을 시 손잡이 역할을 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감김부(110)의 양단 중 하나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감김부(110)의 양단이 높이 차를 가지는 경우, 연결부(120)는 감김부(110)의 양단 중 하나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연결부(120)는 감김부(110)의 양 단 중 낮은 높이를 가지는 단에 일단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높은 높이를 가지는 단의 하측으로 인접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감김부(110)의 양 단 중 높은 높이를 가지는 단의 하측으로 연결부(120)가 인접하게 연장 형성되면서 높은 높이를 가지는 단과 연결부(120) 사이에 삽입공(13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삽입공(130)은 연결부(120)가 연결된 감김부(110)의 일측으로 와이어(W)가 삽입되는 입구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감김부(110)와 연결부(120)의 교차점에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형성되는 삽입공(130)은 감김부(110) 내부로 와이어(W)가 탄력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삽입공(130)으로 와이어(W)가 삽입된 후에는 일정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역방향의 이탈이 어려운 구조이므로 삽입된 와이어(W)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더욱 견고한 구조로 안정된 감김을 할 수 있게 한다.
계속해서 고정부(140)는 감김부(110)에 와이어(W)가 감겨진 상태를 고정하여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감김부(110) 양단 중 연결부(120)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단 또는 높은 높이를 가지는 단 방향으로 일정 경사를 가질 수 있게 서로 대향되게 절곡 형성된 양단 중 일단이 연결부(12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변형된 와이어(W)의 감김이 완료된 감김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부(140)는 양단 사이로 감김부(110)를 통해 이완된 와이어(W)가 삽입됨과 동시에 고정부(140)의 일정 경사로 인해 걸려지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 보강용 부재(110)를 통해 감겨지는 와이어(W)가 전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일 실시예로서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정부(140)의 양단 중 연결부(120)와 연결되지 않은 단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150)는 고정부(140)의 타단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걸림부(150)의 돌출방향은 고정부(140) 양단의 내측으로 구성되어 고정부(140)에 의해 고정 걸림된 와이어(W)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120)가 연결되지 않은 감김부(110)의 일단에도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50)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걸림부(150)는 와이어(W)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김부(110)에 감겨진 와이어(W)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거나, 본 발명에 따른 보강용 부재(100)의 전체적인 고정을 위한 고정부(140)의 고정시에 견고한 걸림이 가능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강용 부재(100)는 와이어(W)가 감겨진 감김부(1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형상유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형상유지부(160)는 감김부(110)에 와이어(W)가 감겨질 시에 와이어(W)의 쪼임으로 인한 감김부(11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W)의 감김이 완료된 감김부(110)의 양단부를 잡아주어 감김부(1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로도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 와이어
100: 보강용 부재
110: 감김부
120: 연결부
130: 삽입공
140: 고정부
150: 걸림부
160: 형상유지부

Claims (5)

  1. 구조물에 설치되는 와이어의 인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를 감기 위한 감김부;
    상기 와이어의 감겨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감김부와 고정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지 않은 상기 고정부의 타단에서 상기 와이어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김부의 중간이 벤딩되어 상기 감김부의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절곡형성되고, 상기 감김부의 양단은 높이차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감김부의 양 단 중 낮은 높이를 가지는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감김부의 양 단 중 높은 높이를 가지는 일단과 상기 연결부 사이에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에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높은 높이를 가지는 일단의 하측에 인접하게 가로지르는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중간이 벤딩되고, 상기 고정부의 일단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의 벤딩된 부분이 상기 감김부의 높은 높이를 가지는 일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감겨진 감김부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형상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
KR1020150131254A 2015-09-16 2015-09-16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 KR101714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254A KR101714457B1 (ko) 2015-09-16 2015-09-16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254A KR101714457B1 (ko) 2015-09-16 2015-09-16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457B1 true KR101714457B1 (ko) 2017-03-10

Family

ID=58410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254A KR101714457B1 (ko) 2015-09-16 2015-09-16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4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3634A (en) * 1986-05-02 1988-02-09 Fisk Brian K Rappelling device
US4745663A (en) * 1987-08-03 1988-05-24 Crowson Harold J Fastening device for a rope
US6062340A (en) * 1999-03-02 2000-05-16 Walker; George Kriston Emergency tree and height descender
KR200453319Y1 (ko) 2009-04-28 2011-04-20 박병욱 로프길이 조절장치
KR20150098949A (ko) 2014-02-21 2015-08-31 박병욱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3634A (en) * 1986-05-02 1988-02-09 Fisk Brian K Rappelling device
US4745663A (en) * 1987-08-03 1988-05-24 Crowson Harold J Fastening device for a rope
US6062340A (en) * 1999-03-02 2000-05-16 Walker; George Kriston Emergency tree and height descender
KR200453319Y1 (ko) 2009-04-28 2011-04-20 박병욱 로프길이 조절장치
KR20150098949A (ko) 2014-02-21 2015-08-31 박병욱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8089B2 (en) Lashing support spacer tie
JP5919448B1 (ja) 釣り糸ガイド、釣り糸ガイドの製造方法及び釣り糸ガイドを備える釣り竿
CN103547100A (zh) 电子装置及其线材固定机构
KR101714457B1 (ko)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
US10649169B2 (en) Sliding jaw drop clamp
CN102043214B (zh) 光缆固定装置
KR20150071307A (ko) 피씨 구조물의 쉬스관 내부로의 긴장재 배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피씨 구조물의 제작 방법
JP2012165514A (ja) フラット電線用の折曲げ状態保持具、フラット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及びフラットワイヤーハーネス
US8186868B2 (en) Wire fixing structure and backlight module
JP5385576B2 (ja) 支柱間架設部材の支持装置
CN201828699U (zh) 皮线光缆外表皮紧固装置
JP2002362851A (ja) エレベーター巻上機の綱掛け方法
CN217577847U (zh) 一种引线夹具及具有该引线夹具的穿线装置
JP3117509U (ja) 引込線引留具
JP5076628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分岐部分結束用治具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2018105068A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JP2006100181A (ja) 自己支持型ケーブル
JP2010197687A (ja) 光ドロップケーブル敷設具
CN216197076U (zh) 用于帐篷的帐杆的卡件以及用于帐篷的帐杆
KR200388600Y1 (ko) 와이어링 하네스의 분기고정용 밴드케이블
JPH01247659A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pc鋼材の緊張方法
JP3115358U (ja) ドロップ支持線の端部収納装置
JP5076636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分岐部分結束用治具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EP1519076B1 (en) Dead end cable fitting
CN100523417C (zh) 拉线装配工具以及装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