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814B1 -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814B1
KR101554814B1 KR1020140020360A KR20140020360A KR101554814B1 KR 101554814 B1 KR101554814 B1 KR 101554814B1 KR 1020140020360 A KR1020140020360 A KR 1020140020360A KR 20140020360 A KR20140020360 A KR 20140020360A KR 101554814 B1 KR101554814 B1 KR 101554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guide member
guide
guide hole
sl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8949A (ko
Inventor
박병욱
Original Assignee
박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욱 filed Critical 박병욱
Priority to KR102014002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814B1/ko
Publication of KR20150098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2Mountain guy-ropes or accessories, e.g. avalanche ropes; 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accidentally buried, e.g. snow-buri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의 박판형상의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홀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된 만곡부를 갖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홀의 상하부로 끼워진 로프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의 간단한 당김 조작에 의해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length of rope}
본 발명은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의 박판형상의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홀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된 만곡부를 갖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홀의 상하부로 끼워진 로프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의 간단한 당김 조작에 의해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물과 피고정물을 연결하는 로프는 다양한 구조의 길이조절장치에 의해 그 길이(고정물과 피고정물 간의 거리)가 조절된다.
특히, 암벽 등반시 고정물과 등반자를 연결하는 확보용 로프의 경우에 등반자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조절되어야 하고, 그 길이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즉 상기한 확보용 로프에 등반자가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물과 등반자 사이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서는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를 조작하여 그 길이를 조절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어려워 등반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등반의 즐거움도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53319 호 (2011.04.14.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박판형상의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홀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된 만곡부를 갖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홀의 상하부로 끼워진 로프의 선단부가 당겨지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부재가 하강하여 만곡부를 구비한 슬라이드 부재의 하방 압입력을 통해 견고히 위치가 고정되고, 로프의 후단부가 당겨지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부재가 약간 상승하여 용이하게 로프가 풀릴 수 있도록 된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통상의 슬라이드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만곡부를 더 편심되도록 돌출시킴으로써, 로프의 위치 고정시에 편심된 만곡부와 로프와의 접촉 면적 증대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의 하방향 압입력이 크게 증가하여 로프의 위치 고정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는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후면 하단부에 보조 로프 삽입 홀을 갖는 보조 유도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보조 로프를 통해 가이드 부재의 전체 방향을 쉽게 조정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로프의 위치 고정 작업이나 풀림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편의성이 더욱 증대되는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는,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로프 길이 조절 장치로서, 전후면과, 상기 전후면을 관통하여 상하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홀을 구비한 박판의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박판의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홀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전후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의 전후면쪽으로 각각 제 1 만곡부 및 제 2 만곡부가 대향하여 형성되는 슬라이드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프의 선단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홀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만곡부에 유도된 후 상기 가이드 홀의 하부를 반대로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로프의 후단부를 하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로프가 상기 가이드 홀의 하부에 밀착고정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로프의 선단부를 당기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승하여 상기 가이드 홀의 하부에 위치 고정된 로프가 풀려 당김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박판의 가이드 부재는 그 상측에 상기 가이드 홀과 연통되는 고정고리 삽입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제 1 만곡부 및 제 2 만곡부의 대향하는 좌우 양단부 사이에는 한 쌍의 레일홈이 형성되어 상기 대향하는 한 쌍의 레일홈내에 상기 가이드 홀의 좌우 양측의 전후면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하로 슬라이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제 2 만곡부는 상기 제 1 만곡부 보다 큰 반경으로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만곡부에는 상하로 각진 형태의 다단 절곡부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만곡부에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 돌기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의 후면 하단부에 후면방향으로 돌출되는 로프 보조 유도 부재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프 보조 유도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후면 하단부에서 후면방향으로 일체 연장 돌출되는 링형상의 로프 보조 유도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형상의 로프 보조 유도 부재에는 보조 로프 삽입 홀이 형성되어 별도의 보조 로프를 삽입하여 사용하도록 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프 보조 유도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후면 하단부에 용접결합되는 원통형의 제 3 만곡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고리 삽입홀의 지름은 상기 가이드 홀의 좌우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에 의하면, 단일의 박판형상의 가이드 부재와 만곡부를 갖는 슬라이드 부재에 의한 간단한 슬라이드 체결 방식을 통해 로프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의 간단한 당김 조작에 의해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통상의 슬라이드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만곡부를 더 편심되도록 돌출시켜 로프의 위치 고정시에 편심된 만곡부와 로프와의 접촉 면적 증대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의 하방향 압입력이 크게 증가하여 로프의 위치 고정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보조 로프를 통해 가이드 부재의 전체 방향을 쉽게 조정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로프의 위치 고정 작업이나 풀림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편의성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의 가이드 부재로부터 슬라이드 부재를 분리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의 가이드 부재로부터 슬라이드 부재를 분리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들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들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1)는 고정물과 피고정물을 연결하는 원형 단면을 갖는 로프(2)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로프길이 조절장치(1)는 박판의 가이드 부재(10)와 원통상의 슬라이드 부재(20)로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박판의 가이드 부재(10)는 전후면(11, 12)으로 이루어지는 얇은 판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후면(11, 12)을 관통해서는 상하로 고정고리 삽입홀(13) 및 가이드 홀(14)이 순차적으로 연통되어 형성된다.
상기한 고정고리 삽입홀(13)은 캐러비너(karabiner)와 같은 고정고리(3)가 삽입되어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대략 원호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가이드 홀(14)은 대략 원호형의 고정고리 삽입홀(13)의 하측에 길게 연통되어 대략 직사각 장공 형태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통상의 슬라이드 부재(20)가 끼워져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가능함과 동시에, 끼워진 슬라이드 부재(20)의 상하로 로프(2)가 통과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대략 원호 형태의 고정고리 삽입홀(13)의 지름은 가이드 홀(14)의 좌우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상의 슬라이드 부재(20)를 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고정고리 삽입홀(13)을 통해 박판의 가이드 부재(10)의 가이드 홀(14)에 끼워지거나, 또는 끼워진 원통상의 슬라이드 부재(20)를 가이드 부재(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박판의 가이드 부재(10)는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티타늄, 철,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강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본 발명에 있어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전후라 함은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박판의 가이드 부재(10)는 전후면(11, 12)으로 대향하는 전후 사이드(side)를 지칭하며, "좌우"라 함은 상기 "전후"와는 수평으로 직교하는 가이드 홀(14)의 대향하는 사이드(side)를 지칭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한 슬라이드 부재(20)는 대략 원통형 바(bar) 형상으로 상기 박판의 가이드 부재(10)의 가이드 홀(14)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10)의 전후면(11, 12)을 따라 상하로 가이드되어진다.
즉, 슬라이드 부재(20)는, 가이드 부재(10)의 가이드 홀(14)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전후면쪽으로 각각 제 1 만곡부(21) 및 제 2 만곡부(22)가 일체 형성되고, 제 1 만곡부(21) 및 제 2 만곡부(22)의 대향하는 좌우 양단부 사이에는 한 쌍의 대향하는 레일홈(23, 24)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홀(14)의 좌우 양측의 전후면(11, 12)이 상기 좌우로 대향하는 한 쌍의 레일홈(23, 24)내에 삽입되어 가이드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부재(20)는 상기 한 쌍의 레일홈(23, 24)내에 삽입된 가이드 홀(14)의 좌우 양측의 전후면(11, 12)을 가이드면으로 해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대략 원호 형태의 고정고리 삽입홀(13)의 지름은 가이드 홀(14)의 좌우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20)의 분리시에는 사용자가 슬라이드 부재(20)를 상측의 고정고리 삽입홀(13) 상단까지 이동시킨 후, 슬라이드 부재(20)를 고정고리 삽입홀(13)의 중심을 기준으로 90도 회전시켜 수직방향으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고정고리 삽입홀(13)의 상측의 전후면(11, 12) 상단으로부터 레일홈(23)을 분리하여 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끼워진 원통상의 슬라이드 부재(20)를 가이드 부재(10)로부터 완전 분리가 가능해진다. 물론, 다시 원통상의 슬라이드 부재(20)를 가이드 부재(10)에 끼우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분리 동작의 반대로 조작하게 되면, 쉽게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20)의 재질도, 상기 박판의 가이드 부재(10)와 동일하게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티타늄, 철,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강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본 발명에 있어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원통상의 슬라이드 부재(20)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 2 만곡부(22)는 좌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만곡부(21) 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후면쪽으로 더 편심되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 2 만곡부(22)가 제 1 만곡부(21)보다 더 큰 반경으로 돌출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프(2)의 위치 고정시에 제 2 만곡부(22)와 로프(2)와의 접촉 면적 증대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20)의 하방향 압입력이 크게 증가하여 로프의 위치 고정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제 2 만곡부(22)에는 상하로 각진형태의 다단 절곡부를 형성하거나, 오돌오돌한 엠보싱 돌기 형태의 다수의 미끄럼 방지 돌기를 형성하여 더욱더 마찰력을 제고(提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1)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리된 원통상의 슬라이드 부재(20)를 고정고리 삽입홀(13)을 경유하여 가이드 부재(10)의 직사각형상의 가이드 홀(14) 사이로 끼워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한다.
이어서, 로프(2)의 선단부(2A)를 상기 슬라이드 부재(20)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홀(14)의 상부를 관통하여 우측으로 끼운 후, 슬라이드 부재(20) 우측의 제 2 만곡부(22)에 유도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가이드 홀(14) 하부를 통해 반대 방향으로 통과시켜 빼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로프(2)를 길이 조절 장치인 박판의 가이드 부재(10)에 설치하는 작업이 완료되고, 로프(2)는 슬라이드 부재(20)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가이드 홀(14) 상부를 통과해서 슬라이드 부재(20)의 제 2 만곡부(22) 외주연을 감싸면서 밀착 유도된 상태에서 가이드 홀(14) 하부를 통과해서 반대방향으로 빠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캐러비너와 같은 고정고리(3)를 고정고리 삽입홀(13)내에 삽입하고 고정고리(3)를 고정물(미도시)에 걸어 고정한다.
계속해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2)의 후단부(2B)를 고정고리(3)와 일직선이 되도록 하방향(화살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로프(2)와 슬라이드 부재의 제 2 만곡부(22)의 외주연 및 제 1 만곡부(21)의 일부 외주연과의 압착과 함께 하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20)가 하강하여 상기 로프가 상기 가이드 홀의 하부 공간에 영역이 좁혀지면서 강하게 밀착고정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물과 피고정물의 간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또한 피고정물은 안정되게 고정물에 매달릴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정물과 피고정물의 거리(간격)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로프(2)의 길이를 조절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로프(2)의 선단부(2A)를 하방(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는 동작만으로 로프(2)의 길이(고정물과 피고정물 간의 거리-도시되지 않음)가 조절된다. 즉, 로프(2)의 선단부(2A)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로프(2)의 선단부(2A)를 고정고리(3)와 반대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좁혀져 있던 가이드 홀의 하부 공간이 자동으로 넓어짐과 동시에 제 2 만곡부(22)를 감싸고 있던 로프(2)가 제 2 만곡부(22)를 따라 이동하면서 슬라이드 부재(20)를 상부(고정고리(3) 측)로 밀어 올리게 되어 로프(2)의 선단부(2A)는 원활하게 화살표 방향(고정고리(3)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로프가 풀려 당김 진행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로프(2)의 선단부(2A) 또는 후단부(2B)를 '하방으로 당긴다' 라고 표현했으나, 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할 때 이해를 돕고자 한 것이며, 달리 표현하자면 고정고리(3)와 반대방향으로 당겨야 하거나, 고정고리(3)를 로프(2)의 후단부(2B)와 반대방향으로 당겨야 한다. 그리고, 고정물과 피고정물을 연결하는 것은 로프(2)의 후단부(2B)와 고정고리(3)이다. 따라서, 후단부(2B)가 고정되기 위해서는 후단부(2B) 일측이 길이 조절장치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이 고정물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고리(3)를 피고정물에 고정해야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고리(3)를 후단부(2B)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전술한 바와 같이 후단부(2B)를 하방으로 당김으로써 발생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동일 구성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100)는 가이드 부재(10)의 후면(12) 하단부에 후면(12)방향으로 돌출되는 대략 원통형의 제 3 만곡부(30)를 용접 등의 결합방식에 의해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3 만곡부(30)의 형성에 의해, 로프의 후단부의 하방향 당김에 의한 로프(2)의 위치 고정시에는, 로프(2), 슬라이드 부재의 제 2 만곡부(22), 및제 1 만곡부(21)와의 압착력에 부가하여 제 3 만곡부(30)가 그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강하게 밀착됨으로 압입력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더욱이, 로프의 선단부의 하방향 당김에 의한 로프(2)의 풀림시에도 로프(2)가 가이드 홀(14) 하단의 에지(edge)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로프(2)가 가이드 홀(14) 하단의 에지(edge)에 간섭되어 않게 되므로, 로프(2)가 잘려지지 않게 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동일 구성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200)는 가이드 부재(10)의 후면(12) 하단부에서 후면(12)방향으로 일체 연장 돌출되는 대략 링형상의 로프 보조 유도 부재(40)를 더 형성된다.
이러한 링형상의 로프 보조 유도 부재(40)는 가이드 부재(10)의 후면(12) 하단부를 벤딩 머신(미도시)을 통해 링형상으로 말아서 절곡하는 형태로서, 용접 방식에 비해 제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링형상의 로프 보조 유도 부재(40)에는 보조 로프 삽입 홀(41)이 형성되어 보조 로프(미도시)를 보조 로프 삽입 홀(41)에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로프 길이를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 로프를 통해 가이드 부재(10)의 전체 방향을 쉽게 조정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로프(2)의 위치 고정 작업이나 풀림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편의성이 더욱 증대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100, 200: 본 발명에 따른 로프길이 조절장치
2: 로프 2A: 선단부
2B: 후단부 3: 고정고리
10: 박판의 가이드 부재 11. 12: 전후면
13: 고정고리 삽입홀 14: 가이드 홀
20: 슬라이드 부재 21: 제 1 만곡부
22: 제 2 만곡부 23, 24: 한 쌍의 대향하는 레일홈
30: 제 3 만곡부 40: 로프 보조 유도 부재
41: 보조 로프 삽입 홀

Claims (11)

  1.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로프 길이 조절 장치로서,
    전후면과, 상기 전후면을 관통하여 상하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홀을 구비한 박판의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박판의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홀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전후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의 전후면쪽으로 각각 제 1 만곡부 및 제 2 만곡부가 대향하여 형성되는 슬라이드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프의 선단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홀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만곡부에 유도된 후 상기 가이드 홀의 하부를 반대로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로프의 후단부를 하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로프가 상기 가이드 홀의 하부에 밀착고정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로프의 선단부를 당기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승하여 상기 가이드 홀의 하부에 위치 고정된 로프가 풀려 당김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의 가이드 부재는 그 상측에 상기 가이드 홀과 연통되는 고정고리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제 1 만곡부 및 제 2 만곡부의 대향하는 좌우 양단부 사이에는 한 쌍의 레일홈이 형성되어 상기 대향하는 한 쌍의 레일홈내에 상기 가이드 홀의 좌우 양측의 전후면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제 2 만곡부는 상기 제 1 만곡부 보다 큰 반경으로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만곡부에는 상하로 각진 형태의 다단 절곡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만곡부에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 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후면 하단부에 후면방향으로 돌출되는 로프 보조 유도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보조 유도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후면 하단부에서 후면방향으로 일체 연장 돌출되는 링형상의 로프 보조 유도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로프 보조 유도 부재에는 보조 로프 삽입 홀이 형성되어 보조 로프를 삽입하여 사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보조 유도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후면 하단부에 용접결합되는 원통형의 제 3 만곡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고리 삽입홀의 지름은 상기 가이드 홀의 좌우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KR1020140020360A 2014-02-21 2014-02-21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KR101554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360A KR101554814B1 (ko) 2014-02-21 2014-02-21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360A KR101554814B1 (ko) 2014-02-21 2014-02-21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949A KR20150098949A (ko) 2015-08-31
KR101554814B1 true KR101554814B1 (ko) 2015-09-21

Family

ID=54060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360A KR101554814B1 (ko) 2014-02-21 2014-02-21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8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457B1 (ko) 2015-09-16 2017-03-10 한선규 와이어 장력 보강용 부재
KR102159007B1 (ko) * 2020-06-29 2020-09-23 남경호 등반용 자기확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5948A (ja) 2005-06-13 2006-12-28 Kaijo Hoanchiyou Chokan 降下器
US20130306405A1 (en) 2006-12-05 2013-11-21 Conterr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Rope
KR101528699B1 (ko) 2014-01-10 2015-06-16 김주회 확보줄 체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5948A (ja) 2005-06-13 2006-12-28 Kaijo Hoanchiyou Chokan 降下器
US20130306405A1 (en) 2006-12-05 2013-11-21 Conterr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Rope
KR101528699B1 (ko) 2014-01-10 2015-06-16 김주회 확보줄 체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949A (ko) 201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4131C (en) Support metal structure of a false ceiling
KR101554814B1 (ko)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TWI577305B (zh) 拉鏈用之滑件
EP2741597A3 (en) Jam prevention mechanism
KR200453319Y1 (ko) 로프길이 조절장치
MY188308A (en) Column-beam connecting assembly capable of being manually assembled and frame structure assembled thereby
JP2005187073A (ja) 陥凹面を設けたストラップ緊結用バックル
FR3022759B1 (fr) Trancheuse pour aliments telle qu'une mandoline
EP2261544A3 (de) Befestigungsschelle
FR3054379B1 (fr) Outil de sertissage et contact obtenu avec l'outil
KR101528699B1 (ko) 확보줄 체결구
KR101351977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체결구
US11330873B2 (en) Clip-on belt buckle
JP4960166B2 (ja) 引き寄せ金物
JP4822157B2 (ja) チューブの内容物を搾り出す道具
US20190242046A1 (en) Hollow pipe joint structure for a sewing machine
CN102360791A (zh) 自铆接铁芯变压器
KR200394419Y1 (ko) 끈부재 길이조절용 버클
JP2012162381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0473144Y1 (ko) 개선된 벨트타입 클램프
KR200478328Y1 (ko) 머리핀
JP6752409B2 (ja) 棚受け具
KR100512975B1 (ko) 끈부재 길이조절용 버클
TWI620606B (zh) 拉釘槍槍頭替換結構
JP5589104B2 (ja) 竪樋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