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144Y1 - 개선된 벨트타입 클램프 - Google Patents

개선된 벨트타입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144Y1
KR200473144Y1 KR2020130005582U KR20130005582U KR200473144Y1 KR 200473144 Y1 KR200473144 Y1 KR 200473144Y1 KR 2020130005582 U KR2020130005582 U KR 2020130005582U KR 20130005582 U KR20130005582 U KR 20130005582U KR 200473144 Y1 KR200473144 Y1 KR 200473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ent
guide
clamp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 김
Original Assignee
프리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프리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5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1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1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8Hose-clips in which a worm coacts with a part of the hose-encircling member that is toothed like a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타입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톱니홈이 형성된 밴드와, 상기 밴드의 일단 면에 고정되어 밴드의 다른 일단을 통과 및 고정시키는 조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특히 상기 조정구는 밴드의 일단에 고정되는 'ㄷ'형 바디와, 상기 바디 상에 제공되는 커버형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에 장착되는 조임 스크루 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클램프의 조립이 비교적 쉬우며, 조작자의 안전성과 구성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벨트타입 클램프 {Improved clamp of belt type}
본 고안은 벨트타입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벨트 조임 빙식으로 대응하는 두 물체를 감싸 결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벨트타입의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나 호스 등은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공장 등의 가스, 먼지 등을 외부로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데, 이러한 덕트나 호스는 벨트식 클램프에 의하여 외경이 체결됨으로써 길이가 연장되어, 필요한 만큼의 길이 또는 방향 변환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관련 기술로서, 특허 제893038호에 개시된 '벨트식 클램프'와 본 출원인에 의한 특허 제1170405호에 개시된 '벨트타입 클램프'가 있다. 전자는 요소 간의 결합관계가 불안정하고 밴드의 결속력이 약하여 풀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후자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후자의 클램프를 종래의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클램프(10)는 연속하는 톱니홈이 형성된 밴드(11)와 상기 밴드(11)의 일단 부분에 설치되는 조정구(1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조정구(12)는 밴드(11) 표면에 용접 고정되는 'ㄷ'형 바디(13)와, 상기 바디(13)의 홈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어 대략 육면체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역 'ㄷ'형 가이드(14)와, 상기 가이드(14)의 전·후방 절곡부를 관통하며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부분에 스크루가 형성된 조임볼트(15)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13)의 양 측판에는 전·후 2 개의 장공(16,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14)의 양 절곡부에는 상기 장공(16,17)에 끼워지도록 수평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스토퍼(18,19)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14)의 돌출 스토퍼(18,19)가 장공(16,17)을 통하여 바디(13)의 양 측판을 관통 및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밴드(11)와 조정구(12)가 완전히 조립되는 것이다.
이 구조에서, 밴드(11)의 다른 일단이 바디(13)과 가이드(14) 사이를 지나도록 하여 충분히 삽입한 다음 조임볼트(15)를 조임으로써, 물체를 클램핑 할 수 있게 된다. 이전의 장치에 비하면, 이 클램프(10)는 사용의 편리성, 클램핑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클램프(10) 구조는:
'ㄷ'형 바디(13)의 좁은 공간 내에 가이드(14)를 배치 및 조립함에 따라, 구성 요소 간의 조립이 매우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
스토퍼(18,19)가 바디(13)의 양 측판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사용자 또는 조작자의 안전을 해칠 염려가 상시 존재하는 문제;
'ㄷ'형 바디(13)의 양 측판에 대한 별도의 보호 조치가 없음에 따라, 외력에 의해 측판이 벌어지기 쉬우며 그에 따라 바디(13)와 가이드(14)가 임의로 분해되어 버리는 문제;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클램프(10)가 'ㄷ'형 바디(13)의 좁은 공간 내에 가이드(14)를 배치 및 조립하는 구조를 취함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이 비교적 쉬우며, 조작자의 안전성과 구성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벨트타입 클램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자는, 상기한 클램프(10)에서 가이드의 형태 및 결합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인식하고, 본 고안을 완성하고자 하였다.
본 고안의 벨트타입 클램프는 톱니홈이 형성된 밴드와, 상기 밴드의 일단 면에 고정되어 밴드의 다른 일단을 통과 및 고정시키는 조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조정구는:
상기 밴드의 일단에 면접하여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 절곡판을 포함하여 'ㄷ'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절곡판에는 장공이 형성된 바디;
상기 양측 절곡판의 상단을 감싸는 한 쌍의 제1절곡부와 상기 베이스의 전·후방 개구 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제2절곡부를 포함하는 커버형 부재로, 상기 제1절곡부의 단부 스토퍼가 내측으로 다시 절곡되어 장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가이드;
양단이 상기 제2절곡부에 형성된 축공에 장착되며, 중간 부분에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밴드의 톱니홈과 치합되는 스크루가 형성된 조임볼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토퍼는 제1절곡부의 끝단에서 연장된 체결돌기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2절곡부 중의 하나에는 상기 밴드의 톱니홈에 대응하는 하단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돌기는 밴드를 조이는 전진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는 바디의 양측 절곡판의 상단을 감싸는 형태의 커버형 부재로 제공되어, 개략적으로는 바디를 덮는 구조로 결합된다. 이에 본 고안의 클램프에 따르면:
1) 커버형 가이드를 바디에 덮어 조임으로서 조립이 되므로, 바디의 좁은 공건 내에서 가이드를 조립하는 종래 구조에 비하여, 조립이 비교적 쉬우며;
2) 가이드의 스토퍼, 체결돌기가 바디의 내부로 삽입되므로, 외향 돌출되는 종래 구조에 비하여, 조작자의 안전이 확보되며;
3) 바디의 양측 절곡판이 가이드의 제1절곡부에 의해 보호되므로, 그대로 노출되는 종래 구조에 비하여, 견고하게 유지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클램프에 적용되는 조정구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조정구가 적용된 종래 클램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에 적용되는 조정구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
도 4은 도 3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정구가 적용된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사시도.
이상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고안 밸트타입 클램프(이하 '클램프')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3 이하에서, 부호 20은 본 고안의 클램프에 적용되는 조정구를 나타내며, 부호 40은 상기 조정구(20)가 적용된 클램프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클램프(40)는 표면 또는 양면에 톱니홈(42)이 형성된 밴드(41)와, 상기 밴드(41)의 일단 면에 고정되어 밴드(41)의 다른 일단 즉 자유단(41a)을 통과 및 고정시키는 조정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점에서 본 고안의 클램프(40)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다르지 않다. 그러나 본 고안은, 후술하는 바, 조정구(20)에 관련하여 구조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정구(20)는 상기 밴드(41)의 일단 면에 고정되는 공간형 바디(21)와, 상기 바디의 상측에 제공되는 커버형 가이드(22)와, 상기 가이드(22)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조임볼트(23)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21)는 밴드(41)의 일단에 면접하여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베이스(24)와 상기 베이스(24)의 양측 절곡판(25)을 포함하여 'ㄷ'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절곡판(25)에는 장공(26,27)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공(26,27)은 서로 모양이 다른 2 개의 장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지만, 본 고안이 그 형태나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 장공(26,27) 형태는 바디(21) 상에서 가이드(22)가 적절하게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밴드(41) 자유단의 진행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형태면에서는 단지 '구멍'이어도 상관은 없다.
상기 가이드(22)는 바디(21)의 양측 절곡판(25)의 상단을 감싸는 한 쌍의 제1절곡부(28)와 상기 베이스(24)의 전·후방 개구 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제2절곡부(29)를 포함하는 커버형 부재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1절곡부(28)의 단부에는 스토퍼(30)가 형성되고, 그 스트퍼(30)가 내측으로 다시 절곡되어 장공(26,27)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가이드(22)가 바디(2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30)는 바디(21)의 장공(26,27)에 삽입되는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그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공(26,27)의 형태에 대응하여, 제1절곡부(28)의 끝단에서 연장된 2 개의 체결돌기로 구성되며 하나씩 각 장공(26,27) 내에 삽입되는 것이다.
부연하면, 가이드(22) 제작시 우선 대향하는 제2절곡부(29)의 폭을 조금 벌려 놓은 상태에서, 조립시에는 가이드(22)를 바디(21)의 절곡판(25) 상에 올려 놓고 벌려진 제2절곡부(29)를 오므려 그 폭을 좁혀줌으로써, 상기 스토퍼(30)가 장공(26,27)에 삽입되고 이에 가이드(22)가 바디(21)에 결합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 상기 가이드(22)는 유동 가능하다.
이러한 조립과정은 공간적 제약이 없으므로, 비교적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체결돌기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내측에 삽입되므로, 이후 작업자가 이 돌기에 의해 다칠 염려도 없게 된다. 또한, 바디(21)의 절곡판(25)이 커버형 부재인 가이드(22)에 의해 보호되므로, 외력에 의하여 절곡판(25)이 벌어지거나 그에 따라 가이드(22)가 이탈될 염려도 없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절곡부(29)는 베이스(24) 측으로 절곡되지만, 밴드(41)의 통과 및 진행을 위하여, 당연히 접촉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각 제2절곡부(29)에는 조임볼트(23)의 장착을 위한 축공(31)이 대응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절곡부(29) 중의 하나에는, 상기 밴드(41)의 톱니홈(42)에 대응하는 하단 걸림돌기(3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32)는 밴드(41)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인데,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돌기(32)는 밴드(41)를 조이는 전진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된 것이며, 이에 따라 밴드의 전진이동이 자유로운 반면, 후진이동은 상기 걸림돌기(32)에 의하여 제약된다.
상기 조임볼트(23)는 그 양단이 상기 제2절곡부(29)에 형성된 축공(3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중간 부분 즉 바디(21)와 가이드(22)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위치한 부분에는 상기 베이스(24) 상에 배치되는 밴드(41)의 톱니홈(42)과 치합되는 스크루(33)가 형성된 것이다.
이상의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클램프(40)는, 밴드(41)의 자유단이 물체의 외경을 둘러싼 다음, 조정구(20)를 통과하면서 고정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밴드(41)의 자유단(41a)은 바디(21)의 베이스(24) 상면을 접촉하면서 조정구(20)를 통과하여 진행한다. 작업자가 밀어 자유로운 진행이 가능한 과정이 지나면, 조임볼트(23)를 조여 압박을 가하게 된다. 이때 조임볼트(23)를 회전시키면 밴드(41)의 톱니홈(42)에 치합된 스크루(33)가 회전하면서 밴드(41)를 서서히 가압 및 진행시킨다.
상기 밴드(41)의 진행이 더 이상의 불가능해지면, 클램프(40)는 그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절곡부(29)에 형성된 하단 걸림돌기(32)가 밴드(41)의 톱니홈(42)에 걸려 지지되므로, 클램프(40) 및 밴드(41)의 고정상태는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20. 조정구 21. 바디
22. 가이드 23. 조임볼트
24. 베이스 25. 절곡판
26,27. 장공 28. 제1절곡부
29. 제2절곡부 30. 스토퍼
31. 축공 32. 걸림돌기
33. 스크루

Claims (4)

  1. 톱니홈이 형성된 밴드와, 상기 밴드의 일단 면에 고정되어 밴드의 다른 일단을 통과 및 고정시키는 조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조정구는:
    상기 밴드의 일단에 면접하여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 절곡판을 포함하여 'ㄷ'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절곡판에 장공 또는 구멍이 형성된 바디;
    상기 양측 절곡판의 상단을 감싸는 한 쌍의 제1절곡부와 상기 베이스의 전·후방 개구 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제2절곡부를 포함하는 커버형 부재로, 상기 제1절곡부의 단부 스토퍼가 내측으로 다시 절곡되어 장공 또는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가이드;
    양단이 상기 제2절곡부에 형성된 축공에 장착되며, 중간 부분에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밴드의 톱니홈과 치합되는 스크루가 형성된 조임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바디와 가이드를 결합시키는 수단으로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제1절곡부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체결돌기로서 상기 장공 또는 구멍으로부터 외측 또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모든 스토퍼가 내측에 삽입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타입 클램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곡부 중의 하나에는 상기 밴드의 톱니홈에 대응하는 하단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타입 클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밴드를 조이는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타입 클램프.


KR2020130005582U 2013-07-08 2013-07-08 개선된 벨트타입 클램프 KR200473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582U KR200473144Y1 (ko) 2013-07-08 2013-07-08 개선된 벨트타입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582U KR200473144Y1 (ko) 2013-07-08 2013-07-08 개선된 벨트타입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144Y1 true KR200473144Y1 (ko) 2014-06-17

Family

ID=51490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582U KR200473144Y1 (ko) 2013-07-08 2013-07-08 개선된 벨트타입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1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990B1 (ko) 2015-12-14 2018-01-18 대일강업주식회사 밴드 클램핑 헤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7618A (en) 1992-05-22 1994-07-12 Etablissements Caillau Hose clamp incorporating tightening screw
KR100893038B1 (ko) 2008-12-18 2009-04-15 윤성환 벨트식 클램프
KR20120079886A (ko) * 2011-01-06 2012-07-16 프리론 주식회사 벨트타입 클램프
KR101282795B1 (ko) * 2012-03-14 2013-07-05 이인재 원터치 잠금 버클식 스틸 밴드 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7618A (en) 1992-05-22 1994-07-12 Etablissements Caillau Hose clamp incorporating tightening screw
KR100893038B1 (ko) 2008-12-18 2009-04-15 윤성환 벨트식 클램프
KR20120079886A (ko) * 2011-01-06 2012-07-16 프리론 주식회사 벨트타입 클램프
KR101282795B1 (ko) * 2012-03-14 2013-07-05 이인재 원터치 잠금 버클식 스틸 밴드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990B1 (ko) 2015-12-14 2018-01-18 대일강업주식회사 밴드 클램핑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0635B1 (en) Sprinkler mounting device
KR101322235B1 (ko) 스프링클러 클램프
KR20160003132A (ko) 호스 클램프
US20110167594A1 (en) Plastic clamp
JP5819516B2 (ja) バンド締付け具
JP6301468B2 (ja) バンドクランプ
KR200473144Y1 (ko) 개선된 벨트타입 클램프
JP2008196709A5 (ko)
JP5232542B2 (ja) ワイヤハーネス固定構造
KR20140052681A (ko) 타이 클램프
US9969449B2 (en) Holder for a two-wheeler accessory
CA2844770C (en) Hose clamp
WO2015198965A1 (ja) 結束バンド
KR101170405B1 (ko) 벨트타입 클램프
KR101315276B1 (ko) 벨트형 클램프
KR101229584B1 (ko) 호스클램프
KR101903016B1 (ko) 밴드 클램핑 헤드
JP2016031116A (ja) 結束バンド
JP7340253B2 (ja) 屋根用雪止め装置
JP2007166781A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クランプ
JP5807564B2 (ja) バンドロック構造部及びハーネスクランプ
KR200486842Y1 (ko) 견고성이 향상된 체결밴드
KR101819990B1 (ko) 밴드 클램핑 헤드
JP5853705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6348444B2 (ja) バンド締付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