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266Y1 -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266Y1
KR200452266Y1 KR2020100009860U KR20100009860U KR200452266Y1 KR 200452266 Y1 KR200452266 Y1 KR 200452266Y1 KR 2020100009860 U KR2020100009860 U KR 2020100009860U KR 20100009860 U KR20100009860 U KR 20100009860U KR 200452266 Y1 KR200452266 Y1 KR 200452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plate
roasting
main body
dir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8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남
Original Assignee
윤석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남 filed Critical 윤석남
Priority to KR20201000098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2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2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47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gas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47J37/0768Disposable barbecue packages containing a quantity of fuel, e.g. charco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stoves or ranges, e.g. each having a different kind of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직화(直火)를 이용한 구이방식과 간접가열을 이용한 구이방식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가 소개된다. 이 구이장치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의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측부 가장자리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통기구(121)가 형성되는 측벽(120)과, 측벽(120)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턱부(130)로 구성되는 본체(100); 본체(100)의 걸림턱부(130)에 안착되고, 일측에 고기를 직화(直火)하기 위한 직화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간접가열방식을 통해 고기를 구이하기 위한 석쇠부가 형성되는 구이판(200); 구이판(200)을 가열하기 위한 버너(300); 버너(300)가 고정되는 안착플레이트(410)와, 버너(300)가 상기 구이판(200)의 직화부 또는 석쇠부에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안착플레이트(410)가 결합되어 본체(1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편(420)으로 구성되는 가동체(400); 버너(300)의 주위를 두르는 보호원통(500); 및 버너(30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보호원통(500)의 상단에 안착되고 내부에 숫을 담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다공통(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ROASTER HAVING MOVABLE TYPE BURNER}
본 고안은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화를 이용한 구이방식과 간접가열을 이용한 구이방식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의 굽는 구이방식은 크게 직화(直火)를 이용한 구이방식과, 간접가열을 이용한 구이방식으로 구분된다.
직화(直火)를 이용한 구이방식은 고기를 석쇠 위에 올려놓고 석쇠의 밑에서 불을 피워 그 불의 복사열이 직접 고기에 닿도록 함으로써 고기를 직접적으로 익히는 방식이고, 간접가열을 이용한 구이방식은 밑면이 막힌 금속재 또는 석재로 된 구이판에 고기를 올려놓고 그 구이판을 가열하여 고기를 간접적으로 익히는 방식이다.
직화를 이용한 구이방식은 간접가열을 이용한 구이방식에 비하여 구운 고기맛이 좋지만, 고기가 볼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짧은 시간에도 쉽게 태워질 수 있으며, 태워진 고기에서는 암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헤테로사이클릭아민류(Heterocyclic Amines, HCAs)나 벤조에이피렌(benzopyren)와 같은 발암물질이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간접가열을 이용한 구이방식은 가열된 구이판을 통해 고기가 서서히 구워지므로 고기가 태워지는 경우는 줄일 수 있으나, 직화(直火)를 이용한 구이방식에 비해 고기맛이 떨어지고 고기를 익히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직화를 이용한 구이방식과 간접가열을 이용한 구이방식을 적절하게 조화시켜 상술한 종래 구이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직화(直火)를 이용한 구이방식과 간접가열을 이용한 구이방식을 조화시켜 고기를 단시간에 태우지 않으면서 고기맛을 좋게 할 수 있는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는 본체, 구이판, 버너, 가동체, 보호원통, 및 다공통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측부 가장자리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통기구가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턱부로 구성된다. 버너는 상기 본체의 걸림턱부에 안착되고, 일측에 고기를 직화(直火)하기 위한 직화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간접가열방식을 통해 고기를 구이하기 위한 석쇠부가 형성된다. 버너는 상기 구이판을 가열한다. 가동체는 상기 버너가 고정되는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버너가 상기 구이판의 직화부 또는 석쇠부에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안착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편으로 구성된다. 보호원통은 상기 버너의 주위를 두른다. 다공통은 상기 버너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보호원통의 상단에 안착되고 내부에 숫을 담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에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측벽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바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편은 일단이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바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직화부는 복수의 직화홀이 형성된 원형의 직화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이판에는 상기 직화판이 안착되는 원형공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직화판은 고기기름이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방사방향으로 곡률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너의 일측에는 상기 버너가 석쇠부로 이동된 경우 상기 직화판에서 낙하하는 고기기름을 본체의 측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판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본체의 측벽을 향해 절곡되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현저한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첫째, 본 고안은 숯불을 통해 고기가 직접 가열되는 구이방식과 구이판을 통해 고기가 간접 가열되는 구이방식을 선택하여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고기를 태우지 않으면서도 고기맛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고안은 직화(直火)를 이용한 구이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석쇠부는 직화 사용시 발생되는 열원에 의해 일정 온도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직화를 통해 구워진 고기를 석쇠부로 이동시키면, 맛있는 구워진 고기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면서 장시간 동안 시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고안은 본체의 측벽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고기기름이나 물 등이 본체의 바닥부에 쉽게 모이게 함으로써, 세척 및 청소 작업시 구이장치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고안은 직화판 및 구이판을 방사방향으로 곡률지게 형성하여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된 기름이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기에 존재하는 기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고안은 숯이 장입되는 다공통을 버너의 상측에 마련함으로써, 버너의 연소시 숯을 신속하게 착화시킬 수 있고, 숯이 착화되어 가열된 이후에는 버너의 화력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더라도 숯의 착화상태를 장시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버너의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여섯째, 본 고안은 본체의 측벽에 형성된 통기구를 통해 연소에 필요한 충분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불완전 연소로 인한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해물질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가 테이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에서 버너가 구이판의 직화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에서 버너가 구이판의 석쇠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에서 구이판의 직화부가 버너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에서 구이판의 석쇠부가 버너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가 테이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이장치는, 버너(300)의 이동을 통해 직화를 이용한 구이방식과 간접가열을 이용한 구이방식을 선택함으로써, 고기를 태우지 않으면서 고기맛을 좋게 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구이장치는 본체(100), 구이판(200), 버너(300), 가동체(400), 보호원통(500), 및 다공통(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상술한 구이판(200), 버너(300), 가동체(400), 보호원통(500), 및 다공통(600)이 장착되는 하우징으로, 숫불 및 버너(300)의 강한 가열에 의해서도 견딜 수 있는 내열성 및 내식성이 강한 재질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스틸재 또는 스테인레스스틸재로 제조된다.
이러한 본체(100)는 고기기름이나 물이 모여질 수 있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의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측부 가장자리에서 폭이 넓어지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벽(120)과, 구이판(20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형태로 측벽(120)의 상단에 절곡 형성되는 걸림턱부(130)로 구성된다. 따라서, 고기 기름이나 물 등이 측벽(120)의 상부측에 떨어지면, 측벽(120)에 떨어진 고기 기름이나 물 등은 경사지게 형성된 측벽(120)을 따라 평평한 바닥부(110)에 모이게 되는 바, 이렇게 바닥부(110)에 모인 고기기름이나 물은 본체의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손쉽게 처리될 수 있다.
본체(100)의 측벽(120)에는 해당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통기구(121)가 형성된다. 이 통기구(121)는 공기를 숫불 및 버너(300)에 원활하게 공급함으로써,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해물질의 발생을 방지한다.
본체(100)에는 측벽(12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바(140)가 구비된다. 가이드바(140)는 본체(100)의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이 가이드바(140)에는 본체(100)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가동체(400)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바(140)의 단부측에는 스토퍼(141)가 마련된다. 이 스토퍼(141)는 후술하는 가동체(400)의 이동편(420)이 가이드바(140)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이동편(420)의 이동을 일정 거리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이동편(420)이 가이드바(140)의 일단부에 위치되는 때는 고기의 직화가 이루어지는 위치가 되고, 이동편(420)이 가이드바(140)의 타단부에 위치되는 때는 고기의 간접가열이 이루어지는 위치가 된다.
본체(100)의 걸림턱부(130)에는 구이판(200)이 장착된다. 본체(10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구이판(200)과 대응되는 사각 형태의 개방홀(101)이 형성되므로, 구이판(200)은 걸림턱부(130)을 통해 본체(100)의 개방홀(101)에 안착될 수 있다.
구이판(200)은 숫불 및 버너(300)에 의해 가열이 이루어지는 사각 형태의 불판으로, 해당 가장자리를 향해 고기기름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방사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구이판(200)의 일측에는 고기를 직화(直火)하기 위한 직화부가 마련되고, 구이판(200)의 타측에는 간접가열방식을 통해 고기를 굽기 위한 석쇠부(220)가 형성된다. 예컨대, 숫불 및 버너(300)가 구이판(200)의 직화부측으로 이동되면, 구이판(200)의 직화부에 위치한 고기는 직화되면서 구워지고, 숫불 및 버너(300)가 구이판(200)의 석쇠부(220)측으로 이동되면, 구이판(200)의 석쇠부(220)에 위치한 고기는 간접 가열되면서 구워진다.
여기서, 직화부는 원형의 직화판(210)으로 이루어진다. 이 직화판(210)은 구이판(200)의 일측에 형성된 원형공(20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복수의 직화홀(211)을 형성하여 숫불 및 버너(300)의 가열시 고기가 직화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직화판(210)은 고기기름이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방사방향으로 곡률지게 형성된다.
버너(300)는 구이판(200)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버너(300)의 상측에 위치된 숫불을 매개로 구이판(200)을 가열한다. 이를 위해, 버너(300)에는 이를 둘러싸는 보호원통(500)이 마련되고, 보호원통(500)의 상단에는 숫의 수용이 가능한 다공통(600)이 장착된다.
즉, 버너(300)의 화력은 일차적으로 다공통(600)을 달구고 이차적으로 다공통(600)의 내부공간에 담긴 숯을 착화하여 달군다. 따라서, 버너(300)를 연소시키게 되면 숯을 신속하게 착화시킬 수 있고, 숯이 착화된 이후에는 버너(300)의 화력을 줄이거나 제거하더라도 숯의 착화상태를 장시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원통(500)은 버너(300)의 열이 다공통(600)에서 집중되도록 버너(300)의 주위를 감싸는 원형의 고리 형태로 구성되고 해당 직경은 적어도 버너(300)의 직경보다 더 크게 설계된다.
그리고 다공통(600)은 해당 상단에 방사상으로 굴곡되게 형성되는 날개갓(610)이 형성되는데, 이 날개갓(610)은 숯불구이 과정에서 생기는 고기기름이 직접 버너(300) 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공통(600)의 단부 직경은 보호원통(500)의 내경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보호원통(500)의 직경보다 다소 작게 설계된다.
버너(300)의 일측에는 가이드판(700)이 설치된다. 이 가이드판(700)은 본체(100)의 측벽(120)을 향해 절곡되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버너(300)가 석쇠부(220)로 이동된 경우 직화판(210)에서 떨어지는 고기기름을 본체(100)의 측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본체(100)의 측방향으로 이동된 고기기름은 본체(100)의 측벽(120)을 타고 바닥부(110)에 모이게 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에서 버너가 구이판의 직화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에서 버너가 구이판의 석쇠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체(400)는 버너(300)를 본체(10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기가 직화(直火)를 통해 구워지거나 간접가열을 통해 구워지도록 한다.
이러한 가동체(400)는 버너(300)가 고정되는 안착플레이트(410)와, 안착플레이트(410)가 결합되어 본체(100)의 가이드바(14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편(4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이동편(420)은 해당 일단이 안착플레이트(410)에 고정되고 해당 타단이 가이드바(140)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동체(400)를 본체(1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푸쉬하면, 가동체(400)의 이동편(420)이 본체(100)의 가이드바(140)를 따라 본체(100)의 석쇠부(220)측으로 이동되고, 사용자가 가동체(400)를 본체(10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당기면, 가동체(400)의 이동편(420)이 본체(100)의 가이드바(140)를 따라 본체(100)의 직화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에서 구이판의 직화부가 버너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에서 구이판의 석쇠부가 버너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르면, 도 4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판(200)은 숫불 및 버너(300)에 의해 가열이 이루어지는 원형 형태의 불판으로 구성되고, 본체(10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구이판(200)과 대응되는 원형 형태의 개방홀(10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이판(200)의 형태와 본체(100)의 상단 가장자리의 형태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상술한 본 고안의 구이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구이판(200)의 일측단에는 원형의 구이판(200)이 본체(100)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손잡이(230)가 마련된다. 이 회전손잡이(230)는 구이판(200)의 일측단에 손잡이 형태로 돌출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는 회전손잡이(230)를 파지한 상태에서 구이판(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회전손잡이(230)를 파지한 상태에서 구이판(200)을 180도 회전시키면, 구이판(200)의 직화부와 석쇠부(220)의 위치가 일측에 타측으로 바뀌게 되는 바, 가동체(400)를 통해 버너(300)를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직화부와 석쇠부(220)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공통(600)의 내부에 숯을 수용한 후, 가동체(400)를 푸쉬하거나 당김으로써 버너(300)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가동체(400)를 푸쉬하여 버너(300)를 본체(100)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가동체(400)의 이동편(420)이 본체(100)의 가이드바(140)를 따라 본체(100)의 석쇠부(220)로 이동되므로, 간접가열을 이용하여 고기 구울 준비가 완료될 수 있다. 이후, 버너(300)를 연소시키면, 버너(300)의 화력은 다공통(600)에 담긴 숯을 착화하고 착화된 숯은 구이판(200)의 석쇠부(220)를 가열함으로써, 간접가열을 이용한 구이방식을 구현한다.
이에 반해, 가동체(400)를 당겨 버너(300)를 본체(100)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가동체(400)의 이동편(420)이 본체(100)의 가이드바(140)를 따라 본체(100)의 직화부로 이동되므로, 직화를 이용하여 고기 구울 준비가 완료될 수 있다. 이후, 버너(300)를 연소시키면, 버너(300)의 화력은 다공통(600)에 담긴 숯을 착화하고 착화된 숯은 구이판(200)의 직화부인 직화판(210)을 가열함으로써, 직화를 이용한 구이방식을 구현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바닥부
120 :측벽 130 :걸림턱부
200 :구이판 210 :직화부
220 :석쇠부 300 :버너
400 :가동체 410 :안착플레이트
420 :이동편 500 :보호원통
600 :다공통

Claims (5)

  1.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의 바닥부(110)와, 상기 바닥부(110)의 측부 가장자리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통기구(121)가 형성되는 측벽(120)과, 상기 측벽(120)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턱부(130)로 구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걸림턱부(130)에 안착되고, 일측에 고기를 직화(直火)하기 위한 직화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간접가열방식을 통해 고기를 구이하기 위한 석쇠부가 형성되는 구이판(200);
    상기 구이판(200)을 가열하기 위한 버너(300);
    상기 버너(300)가 고정되는 안착플레이트(410)와, 상기 버너(300)가 상기 구이판(200)의 직화부 또는 석쇠부에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안착플레이트(410)가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편(420)으로 구성되는 가동체(400);
    상기 버너(300)의 주위를 두르는 보호원통(500); 및
    상기 버너(30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보호원통(500)의 상단에 안착되고 내부에 숫을 담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다공통(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는 스토퍼(141)를 구비하여 상기 측벽(12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바(140)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편(420)은 일단이 상기 안착플레이트(4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바(140)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화부는 복수의 직화홀(211)이 형성된 원형의 직화판(210)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이판(200)에는 상기 직화판(210)이 안착되는 원형공(20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직화판(210)은 고기기름이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방사방향으로 곡률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버너(300)의 일측에는 상기 버너(300)가 석쇠부로 이동된 경우 상기 직화판(210)에서 낙하하는 고기기름을 본체(100)의 측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판(700)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판(700)은 상기 본체(100)의 측벽(120)을 향해 절곡되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
KR2020100009860U 2010-09-20 2010-09-20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 KR200452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860U KR200452266Y1 (ko) 2010-09-20 2010-09-20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860U KR200452266Y1 (ko) 2010-09-20 2010-09-20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266Y1 true KR200452266Y1 (ko) 2011-02-14

Family

ID=4424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860U KR200452266Y1 (ko) 2010-09-20 2010-09-20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2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941B1 (ko) 2012-07-26 2012-09-26 박세우 구이와 볶음요리가 가능한 조리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776Y1 (ko) 2002-07-02 2002-09-16 가은석 휴대용 직화구이 가스렌지
KR20020089776A (ko) * 2001-05-24 2002-11-3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드럼세탁기의 세탁수 펌핑 장치 및 이에 따른 세탁 제어방법
KR20050087108A (ko) * 2004-02-24 2005-08-31 박순봉 복합식 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776A (ko) * 2001-05-24 2002-11-3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드럼세탁기의 세탁수 펌핑 장치 및 이에 따른 세탁 제어방법
KR200289776Y1 (ko) 2002-07-02 2002-09-16 가은석 휴대용 직화구이 가스렌지
KR20050087108A (ko) * 2004-02-24 2005-08-31 박순봉 복합식 조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941B1 (ko) 2012-07-26 2012-09-26 박세우 구이와 볶음요리가 가능한 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0727B1 (en) Oven for grilling food
JP6559963B2 (ja) 調理装置
EP2850981B1 (en) Barbecue grill with multifunction
KR20140008927A (ko) 고기구이장치
JP2018510756A (ja) 側面直火焼き装置
KR101156692B1 (ko) 다용도 숯불 점화기
KR101299119B1 (ko) 기름유도용 구이판을 갖는 훈제겸용 직화 구이기
KR20130053302A (ko) 무연 숯불구이 장치
KR101647724B1 (ko) 직화 구이장치
KR200452266Y1 (ko)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
KR101685840B1 (ko) 단지를 이용한 육류 구이장치
KR101429362B1 (ko) 바비큐 구이기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US20080053315A1 (en) Grilling and cooking apparatus
KR20110060131A (ko) 세라콜이 설치된 가스 및 숯불겸용 로스터
KR20120000415U (ko) 석쇠 및 이를 이용한 수직형 구이기
KR101867008B1 (ko) 수직형 구이기
KR20110042628A (ko) 숯불 구이기
KR101671629B1 (ko) 수직 직립형 석쇠 구이 방식의 가열조리기구
KR101677596B1 (ko) 고기구이 장치
KR20110002669U (ko) 육류 구이기
KR200480272Y1 (ko) 하향식 그릴장치
KR200353170Y1 (ko) 토치착탈형 가스숯불겸용 바베큐구이기
KR101623599B1 (ko) 야외용 조리기기
KR200467019Y1 (ko) 이중 열원을 갖는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