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030Y1 - 개폐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030Y1
KR200452030Y1 KR2020100005008U KR20100005008U KR200452030Y1 KR 200452030 Y1 KR200452030 Y1 KR 200452030Y1 KR 2020100005008 U KR2020100005008 U KR 2020100005008U KR 20100005008 U KR20100005008 U KR 20100005008U KR 200452030 Y1 KR200452030 Y1 KR 2004520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boss
spacer
open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기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우텍
Priority to KR2020100005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0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0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0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에 고정되는 창호 프레임, 상기 창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창짝 프레임 및 닫힘 상태에서 상기 창호 프레임과 상기 창짝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창짝 프레임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일 종단부가 상기 창호 프레임에 안착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폐 시스템{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본 고안은 개폐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특히 창짝 프레임의 하단부에 스페이서가 마련되는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상기 실내 공간을 구획하게 되는데, 구획된 실내 공간 사이에는 여닫이문 등이 설치되며 이를 통하여 사람이 출입한다. 즉, 주택 등의 주방과 다용도실 사이 또는 거실과 발코니 사이 등에는 사람이 드나드는 여닫이문이 설치된다.
상기 여닫이문은 창호 프레임과 창짝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창호 프레임의 일측에 창짝 프레임의 일측을 힌지로 결합함으로써 창짝 프레임이 창호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되어 상기 구획된 공간 사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창짝 프레임은 외부로의 에너지 손실을 막기 위하여 낮은 열 전도율을 가짐으로써 단열성이 우수한 PVC(Polyvinyl chlorid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창호 프레임을 개폐하기 위하여 창짝 프레임이 마련되는 것이므로 창호 프레임의 내부면과 창짝 프레임의 외부면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창짝 프레임의 외부면이 창호 프레임의 내부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면, 창호 프레임과 창짝 프레임의 마찰에 의하여 사용자는 손쉽게 여닫이문을 개폐할 수 없으므로 여닫이문은 창짝 프레임의 하측과 창호 프레임 사이에 5~10mm의 틈새가 생기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창짝 프레임과 창호 프레임을 결합하는 힌지는 창짝 프레임의 일측에만 결합되어 창짝 프레임을 창호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되도록 마련되는데, 상기 틈새로 인하여 창짝 프레임은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힌지가 결합되지 않은 창짝 프레임의 타측으로 처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창짝 프레임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창호 프레임에 처짐 방지 장치가 구비되는 경우, 여닫이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처짐 방지 장치가 항상 노출이 되므로 외관상 좋지 않고 사람이 드나들 때에 상기 처짐 방지 장치에 걸리게 되어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처짐 방지 장치는 창호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착탈할 수 없으므로, 생산 초기에서부터 창호 프레임에 대하여 창짝 프레임이 회동되는 방향을 고려하여 처짐 방지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짝 프레임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는 개폐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개폐 시스템은, 벽체에 고정되는 창호 프레임; 상기 창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창짝 프레임; 및 닫힘 상태에서 상기 창호 프레임과 상기 창짝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창짝 프레임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일 종단부가 상기 창호 프레임에 안착되는 스페이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창호 프레임과 창짝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를 구비하여 창짝 프레임이 창호 프레임에 대하여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창짝 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여닫이문을 닫는 경우 창짝 프레임이 창호 프레임에 접촉 간섭되지 않으므로 여닫이문의 개폐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페이서를 창짝 프레이의 하단부에 장착함으로써, 여닫이문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스페이서가 노출이 되지 않으므로 외관상 보기가 좋으며, 사람이 드나들 때에 스페이서에 걸려 부상을 입을 위험이 없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는 창짝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창호 프레임의 생산시 창짝 프레임의 회동 방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창짝 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는 여닫이문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채용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시스템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채용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시스템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와 창짝 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와 창짝 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스페이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고안이 채용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채용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시스템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며 상기 개폐 시스템의 구성 요소, 재질 및 결합 관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개폐 시스템은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창짝 프레임(200) 및 상기 창짝 프레임(20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호 프레임(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창짝 프레임(200)은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거나 4개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창짝 프레임(200)의 재질로서 외부로의 에너지 손실을 막기 위하여 낮은 열 전도율을 가짐으로써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하고, 습기에 의한 부식의 염려가 없는 PVC(Polyvinyl chloride)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창짝 프레임(200)이 PVC 재질로 형성된 4개의 프레임을 연결시킨 경우, 각 프레임의 양단부를 열에 의하여 용융시켜 열융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창짝 프레임(200)의 내부에는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유리가 마련될 수 있다. 유리는 창짝 프레임(200)의 내부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며 단열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유리가 겹겹이 끼워질 수 있다.
한편, 개폐 시스템이 닫히는 경우에 구획된 실내 공간 사이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창짝 프레임(200)과 창호 프레임(100)이 접촉되는 부분에는 패킹(Packing)이 마련될 수 있다.
패킹은 탄성 재질의 고무로 형성되어, 창짝 프레임(200)과 창호 프레임(100)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킴으로써 공기의 누설을 방지한다. 따라서, 개폐 시스템의 단열성 및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나아가, 창짝 프레임(200)이 개폐 시스템을 개폐시킬 때 창호 프레임(100)에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창짝 프레임(200)은 창호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획된 실내 공간을 개폐하므로, 창짝 프레임(200)을 회동시킬 때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230)가 마련된다.
손잡이(230)는, 창짝 프레임(200)이 창호 프레임(1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힌지가 마련된 일측과 반대 방향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창짝 프레임(200)의 높이 방향으로 중앙 부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손잡이(230)는 창짝 프레임(200)의 내부에서 개폐 시스템을 잠그는 록킹 장치와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열쇠를 손잡이(230) 주위에 마련된 열쇠 구멍에 삽입 회전시키거나 잠금 버튼을 작동시킴으로써, 개폐 시스템을 잠글 수 있다.
한편, 창호 프레임(100)은 주택 등의 실내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창짝 프레임(200)을 지지하기 위해 벽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창짝 프레임(2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창짝 프레임(200)과 마찬가지로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하고, 습기에 의한 부식의 염려가 없는 PVC(Polyvinyl chlorid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이 채용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시스템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창짝 프레임(200)과 창호 프레임(100)의 결합 부분에는 창짝 프레임(200)이 창호 프레임(1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미도시)가 마련된다.
즉, 힌지는 창짝 프레임(200)의 일측과 창호 프레임(100)의 일측을 연결함으로써, 창짝 프레임(200)은 힌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창호 프레임(100)에 대하여 회동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가 창짝 프레임(200)의 일측에 마련됨으로써 창짝 프레임(200) 및 창짝 프레임(200)에 마련된 유리의 하중으로 인하여 창짝 프레임(200)이 타측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힌지는 창짝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300)와 창짝 프레임(200)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300)와 창짝 프레임(200)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며 본 고안인 개폐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인 개폐 시스템은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창호 프레임(100) 및 창짝 프레임(200)과 개폐 시스템이 닫힌 상태에서 창호 프레임(100)과 창짝 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300)를 포함한다.
창짝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 일측과 창호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 일측이 힌지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창짝 프레임(200)은 그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하부로 처지게 되므로, 스페이서(300)는 창짝 프레임(200)의 하단부에 장착된다.
즉, 개폐 시스템이 닫힘 상태인 경우 스페이서(300)의 일 종단부는 창호 프레임(100)에 안착되어 창짝 프레임(200)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창호 프레임(100)을 개폐하기 위하여 창짝 프레임(200)이 마련되는 것이므로 창호 프레임(100)의 내부면과 창짝 프레임(200)의 외부면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창짝 프레임(200)의 외부면이 창호 프레임(100)의 내부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면, 창호 프레임(100)과 창짝 프레임(200)의 마찰에 의하여 사용자는 손쉽게 여닫이문을 개폐할 수 없으므로 여닫이문은 창짝 프레임(200)의 하측과 창호 프레임(100) 사이에 5~10mm의 틈새가 생기도록 형성된다.
한편, 창짝 프레임(200)은 창짝 프레임(200)의 하단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닫힘 상태에서 창호 프레임(100)과 창짝 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을 커버하는 돌출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돌출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창짝 프레임(200)의 하측과 창호 프레임(100)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커버함과 동시에 창짝 프레임(200)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스페이서(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고안인 개폐 시스템이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스페이서(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사용시 외관을 좋게 한다.
그리고 스페이서(300)는 창짝 프레임(200)의 하단부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본체(310)와, 본체(310)로부터 창짝 프레임(200)을 향하여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스(320)와, 본체(310)로부터 연장되며 창짝 프레임(200)의 하단부에 삽입되는 삽입 리브(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310)는 창호 프레임(100)에 안착되어 창짝 프레임(200)을 지지하는 지지부(312)와, 지지부(312)의 전방에 배치되고 창호 프레임(100)의 개폐시 창호 프레임(100)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부(3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지지부(312)는 본 고안인 개폐 시스템의 하부에 마련되고, 창짝 프레임(200)이 창호 프레임(100)에 대하여 회동하는 경우 창호 프레임(100)에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창짝 프레임(200)이 창호 프레임(100)에 대하여 회동되는 경우 창짝 프레임(200)의 하측과 창호 프레임(100) 사이에는 5~10mm의 틈새가 생기게 되는데, 지지부(312)는 창짝 프레임(200)와 창호 프레임(100)의 틈새에서 창호 프레임(100)에 접촉하여 창짝 프레임(20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창짝 프레임(200)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312)는 상기 지지부(312)가 접촉되는 창호 프레임(100)의 일부분과 평행하는 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부(314)는 지지부(312)의 전방에 마련되고 창짝 프레임(200)의 하단부의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창짝 프레임(200)이 창호 프레임(100)에 대하여 회동되는 경우, 슬라이딩부(314)는 소정의 경사면을 따라 창호 프레임(100)에 대하여 슬라이드 된다.
한편, 본 고안인 개폐 시스템에 채용된 창짝 프레임(200)이 창호 프레임(100)에 대하여 회동되는 경우, 슬라이딩부(314)가 창호 프레임(100)에 대하여 슬라이드 되는 과정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스페이서(300)는 창짝 프레임(200)과 체결되는 보스(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보스(320)는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는 체결 부재(500)가 삽입됨으로써 보스(320)와 창짝 프레임(200)은 결합된다. 따라서, 스페이서(300)는 창짝 프레임(200)에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는다.
여기서 체결 부재(500)는 나사 또는 피스 등 두 물체를 결합시키는 부재라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나, 상기 보스(320)는 창짝 프레임(200)과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되므로 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스(320)는 창짝 프레임(200)와 견고하게 체결되기 위해서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이 채용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시스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보스(320)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창짝 프레임(200)의 내부에는 공간부(220)가 형성되고, 공간부(220)에는 창짝 프레임(200)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 부재(400)가 수용된다. 즉, 창짝 프레임(200)은 자체의 하중을 줄이기 위하여 그 내부에 공간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공간부(220)에는 보강 부재(400)가 삽입되는데, 보강 부재(400)는 창짝 프레임(200)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스틸(Steel)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창짝 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보스(320)와 창짝 프레임(200)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500)가 창짝 프레임(200)과 보강 부재(400)를 함께 관통, 결합하여 보강 부재(400)는 창짝 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에 고정된다. 보강 부재(400)가 창짝 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에 고정됨으로써 창짝 프레의 강도를 보강하여 뒤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삽입 리브(3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창짝 프레임(200)의 하단부에 삽입되는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310)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연장시킨 제1삽입 리브(332)와 제2삽입 리브(3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창짝 프레임(200)의 하단부에는 제1그루브(242)와 상기 제1그루브(242)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그루브(244)가 마련되는데 상기 제1삽입 리브(332)와 상기 제2삽입 리브(334)는 상기 제1그루브(242)와 상기 제2그루브(244)에 각각 삽입된다.
즉, 제1삽입 리브(332)와 제2삽입 리브(334)는 제1그루브(242)와 제2그루브(244)의 깊이 및 너비에 대응하는 높이 및 너비를 가짐으로써 빈틈없이 삽입되어 스페이서(300)와 창짝 프레임(20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스페이서(3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스페이서(30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며, 스페이서(300)를 구성하는 보스(320)의 형상, 보강 리브(340)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스(320)는 중공의 기둥 형상을 가지고, 지지부(312)에 마련되는 체결홈(316)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홈(316)에는 창짝 프레임(200)과 보스(320)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 부재(500)가 삽입되며, 상기 체결 부재(500)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회동되어 창짝 프레임(200)의 하부면을 관통함으로써 보스(320)와 창짝 프레임(200)은 체결된다.
그리고, 스페이서(300)의 결합 부위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체결 부재(500)를 분리시켜 창짝 프레임(200)으로부터 스페이서(300)를 이탈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스(320)는 제1삽입 리브(332)와 함께 제1그루브(242)에 삽입되므로 보스(320)와 제1삽입 리브(332)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스(320)는 스페이서(300)의 양측에 마련된 제1삽입 리브(332)와 일직선상에 마련되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보스(320)의 직경은 제1삽입 리브(332)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310)의 내부에는 에 복수 개의 보강 리브(340)가 서로 교차되게 마련됨으로써, 창짝 프레임(200) 및 창짝 프레임(200) 테두리 안에 마련된 유리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스페이서(300)의 강도를 보강한다.
즉, 스페이서(300)의 내면에 보강 리브(340)를 형성하여 스페이서(300)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리브(340)는 제1보강 리브(342), 제2보강 리브(344) 및 제3보강 리브(346)로 구성되며, 제1보강 리브(342)와 제3보강 리브(346)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2보강 리브(344)는 제1보강 리브(342) 및 제3보강 리브(346)에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제1보강 리브(342)는 일직선상에 마련된 제1삽입 리브(332)와 보스(320) 사이를 연결하여 본체(310)의 내면에 대한 보스(320)의 고정을 보강한다. 그리고, 제1보강 리브(342)의 상단부의 높이는 제1삽입 리브(332) 및 보스(320)의 단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보강 리브(344)는 보스(320)의 중심을 교차점으로 하여 제1보강 리브(342)와 직교되도록 형성되고, 제3보강 리브(346)는 슬라이딩부(314)의 상측에 마련되어 제1보강 리브(342)와 평행하고 제2보강 리브(344)와는 직교되도록 형성된다.
제1삽입 리브(332), 보스(320) 및 제1보강 리브(342)는 창짝 프레임(200)에 형성된 제1그루브(242)에 삽입되는 반면, 제2보강 리브(344) 및 제3보강 리브(346)는 창호 프레임(100)의 외부면과 대면되므로, 제2보강 리브(344) 및 제3보강 리브(346)의 상단부의 높이는 지지부(312)에서부터 슬라이딩부(314)의 전단부까지의 수직 거리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삽입 리브(330), 본체(310), 보스(320) 및 복수 개의 보강 리브(340)는 창짝 프레임(200)나 창호 프레임(100)에 비하여 상대적인 크기가 작고 그 조립 또한 용이하지 않으므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고안이 채용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며, 창짝 프레임(200)이 창호 프레임(100)에 대하여 회동되는 경우 개폐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창짝 프레임(200)의 하부에는 스페이서(300)가 결합되고, 개폐 시스템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부(314)는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312)는 지지부(312)가 접촉되는 창호 프레임(100)의 일부분과 평행하는 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창짝 프레임(200)가 창호 프레임(100)에 대하여 회동하여 개폐 시스템이 닫히기 직전의 상태에 있다.
슬라이딩부(314)는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폐 시스템이 닫히는 경우 슬라이딩부(314)는 창호 프레임(100)과 접촉된 상태에서 전단부에서 후단부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딩부(314)가 창호 프레임(100)을 따라 접촉 이동된 후, 지지부(312)도 창호 프레임(100)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개폐 시스템은 닫히게 된다.
이 때, 지지부(312)는 창짝 프레임(200)의 하측과 창호 프레임(100) 사이에 형성되는 5~10mm의 틈새에서 창호 프레임(100)에 접촉하여 창짝 프레임(200)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창짝 프레임(200)의 처짐을 방지한다.
한편, 창짝 프레임(200)의 하중을 지지하여 창짝 프레임(20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창짝 프레임(200)의 하부에는 스페이서(300)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창호 프레임 200: 창짝 프레임
210: 돌출부 220: 공간부
230: 손잡이 300: 스페이서
310: 본체 320: 보스
330: 삽입 리브 340: 보강 리브
400: 보강 부재 500: 체결 부재

Claims (9)

  1. 벽체에 고정되는 창호 프레임;
    상기 창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창짝 프레임; 및
    닫힘 상태에서 상기 창호 프레임과 상기 창짝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창짝 프레임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일 종단부가 상기 창호 프레임에 안착되는 스페이서; 를 포함하고,
    상기 창짝 프레임은, 상기 창짝 프레임의 하단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닫힘 상태에서 상기 창호 프레임과 상기 창짝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커버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창짝 프레임의 하단부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창짝 프레임을 향하여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스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창짝 프레임의 하단부에 삽입되는 삽입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창짝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처짐 방지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상기 창짝 프레임과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처짐 방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창짝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창호 프레임의 개폐시 상기 창호 프레임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되고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창짝 프레임의 하단부의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보강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 프레임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창짝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 부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창짝 프레임과 상기 보강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보스를 상기 창짝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시스템.
KR2020100005008U 2010-05-12 2010-05-12 개폐 시스템 KR2004520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008U KR200452030Y1 (ko) 2010-05-12 2010-05-12 개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008U KR200452030Y1 (ko) 2010-05-12 2010-05-12 개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030Y1 true KR200452030Y1 (ko) 2011-02-01

Family

ID=4424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008U KR200452030Y1 (ko) 2010-05-12 2010-05-12 개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03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2995B2 (en) 2006-08-17 2011-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writing data using coercivity distribution of data storage medium
KR101455572B1 (ko) * 2014-04-02 2014-10-28 박종석 창호 프레임용 단열부재
KR200496934Y1 (ko) * 2022-10-21 2023-06-13 주식회사 선테크 모헤어 설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회전 경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615Y1 (ko) * 2001-12-15 2002-03-25 이병노 여닫이문의 처짐방지구
KR20020069615A (ko) * 2001-02-27 2002-09-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동기 속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21695A (ko) * 2005-08-19 2007-02-23 이화선 창문용 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615A (ko) * 2001-02-27 2002-09-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동기 속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269615Y1 (ko) * 2001-12-15 2002-03-25 이병노 여닫이문의 처짐방지구
KR20070021695A (ko) * 2005-08-19 2007-02-23 이화선 창문용 프레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2995B2 (en) 2006-08-17 2011-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writing data using coercivity distribution of data storage medium
KR101455572B1 (ko) * 2014-04-02 2014-10-28 박종석 창호 프레임용 단열부재
KR200496934Y1 (ko) * 2022-10-21 2023-06-13 주식회사 선테크 모헤어 설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회전 경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030Y1 (ko) 개폐 시스템
JP2009052333A (ja) 合成樹脂製引違いサッシ
JP6001251B2 (ja) 開口部装置、防火部材
JP6255315B2 (ja) 扉および建具
KR101600585B1 (ko) 단열 도어조립체
KR102126344B1 (ko) 양문 개방형 전기외함
JP4738393B2 (ja) サッシ
JPH1181805A (ja) スライディングサッシ
JP6113635B2 (ja) 障子の支持構造
JP4155564B2 (ja) 上げ下げ障子を有する断熱ドア
JP4601588B2 (ja) サブロックを備えたサッシ
JP7225035B2 (ja)
JPH0247736Y2 (ko)
KR100873735B1 (ko)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JP4225937B2 (ja) 下枠フラットサッシ
JP2021071003A (ja) 建具
KR101030709B1 (ko) 무난간대형 슬라이딩 창호의 미들프레임 구조
JP6434824B2 (ja) 引戸
JP2023067244A (ja) 建具
JP5232402B2 (ja) 換気装置
KR101688971B1 (ko) 시스템창호
WO2012023188A1 (ja) 上げ下げ窓
JP2023067246A (ja) 建具及びメンテナンス方法
JP3244433B2 (ja) 断熱サッシ窓
KR100713181B1 (ko) 내외면 전환형 건축물의 창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