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896Y1 - 문틀 체결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문틀 체결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896Y1
KR200451896Y1 KR2020100001616U KR20100001616U KR200451896Y1 KR 200451896 Y1 KR200451896 Y1 KR 200451896Y1 KR 2020100001616 U KR2020100001616 U KR 2020100001616U KR 20100001616 U KR20100001616 U KR 20100001616U KR 200451896 Y1 KR200451896 Y1 KR 200451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frame
screw
fastening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림임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림임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림임업
Priority to KR2020100001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8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8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틀을 형성함에 있어서 사각 모서리에 위치하여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되, 나사를 프레임의 정,배면이 아닌 측면에서 체결하여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문틀을 심플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안정적으로 문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문틀 체결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상기에 따른 본 고안 문틀 체결용 브래킷은
이중 문틀용 프레임(10) 중 "ㄷ"자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중앙프레임(11)이 삽입되는 삽입공(110)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나사 체결공(130)을 형성하여 체결공(130)을 통하여 나사를 중앙프레임(11)에 체결할 때 중앙프레임(11)의 측면에 체결되어 문틀을 형성하였을 때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하되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하여 이중 문틀용 프레임(10) 2개를 직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돌출부(100)와; 상기 돌출부(100)를 기점으로 상하로 구비되어 이중 문틀용 프레임(10)의 연장프레임(13)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체결공(310)을 형성하여 체결공(310)을 통하여 나사를 연장프레임(13)에 체결할 때 연장프레임(13)의 측면에 체결되어 문틀을 형성하였을 때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되,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하여 이중 문틀용 프레임(10) 2개를 직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연장편(300)과; 연장편(300)들에 구비되어 문틀용 프레임(10)의 절곡프레임(15) 하부에 밀착 체결되도록 하여, 외부의 압력에 의해 문틀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압력에 더욱 견딜 수 있도록 연장편(300)과 절곡편(500)을 연결하는 보강편(510)을 구비하되,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하여 이중 문틀용 프레임(10) 2개를 직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절곡편(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틀 체결용 브래킷{bracket for doorvframe connection}
본 고안은 문틀 체결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틀을 형성함에 있어서 사각 모서리에 위치하여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되, 나사를 프레임의 정,배면이 아닌 측면에서 체결하여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문틀을 심플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안정적으로 문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문틀 체결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코니 창틀을 포함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창틀 또는 문틀은 비교적 무거우며, 크기가 크고 두꺼운 것에 비하여 건축물 외벽의 폭은 보통 12cm 내외로써 설치되는 창틀에 비해 얇게 형성되어 있어 두꺼운 문틀이나 창틀을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 브래킷이 필요하다.
종래의 고정 브래킷은 보통 "ㄱ"자 형태로 구성되어 창틀에 먼저 상측 받침부가 고정된 후 외벽에 하측 받침부가 고정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한쪽으로 절곡되어 있어 창틀 또는 문틀의 하중이 한쪽으로만 편중되어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고, 시공상 외벽의 평탄도가 고르지 못한 경우 창틀 저면에 고정된 브래킷들이 외벽과 닿는 간격이 서로 달라 그 틈새의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별도의 충전재를 사용하여 외벽과 체결시켜야 함으로써 구성이 복잡하여 공정이 장기화되며, 이로 인하여 경제성이 떨어지고, 문틀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고안은 문틀을 형성함에 있어서 사각 모서리에 위치하여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되, 나사를 프레임의 정,배면이 아닌 측면에서 체결하여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문틀을 심플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안정적으로 문틀을 형성함으로써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공정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문틀 체결용 브래킷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실시 예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고안 문틀 체결용 브래킷은
이중 문틀용 프레임(10) 중 "ㄷ"자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중앙프레임(11)이 삽입되는 삽입공(110)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나사 체결공(130)을 형성하여 체결공(130)을 통하여 나사를 중앙프레임(11)에 체결할 때 중앙프레임(11)의 측면에 체결되어 문틀을 형성하였을 때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하되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하여 이중 문틀용 프레임(10) 2개를 직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돌출부(100)와;
상기 돌출부(100)를 기점으로 상하로 구비되어 이중 문틀용 프레임(10)의 연장프레임(13)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체결공(310)을 형성하여 체결공(310)을 통하여 나사를 연장프레임(13)에 체결할 때 연장프레임(13)의 측면에 체결되어 문틀을 형성하였을 때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되,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하여 이중 문틀용 프레임(10) 2개를 직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연장편(300)과;
연장편(300)들에 구비되어 문틀용 프레임(10)의 절곡프레임(15) 하부에 밀착 체결되도록 하여, 외부의 압력에 의해 문틀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압력에 더욱 견딜 수 있도록 연장편(300)과 절곡편(500)을 연결하는 보강편(510)을 구비하되,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하여 이중 문틀용 프레임(10) 2개를 직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절곡편(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21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고안 문틀 체결용 브래킷은
단순 문틀용 프레임(30)이 삽입되도록 "ㄷ"형상의 삽입공(710)이 구비되며, 다수의 체결공(730)을 형성하여, 체결공(730)을 통하여 나사를 단순 문틀 프레임(30)에 체결할 때 단순 문틀 프레임(30)의 측면에 체결하여 문틀을 형성하였을 때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되,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하여 단순 문틀용 프레임(30) 2개를 직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몸체(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 문틀 체결용 브래킷은 문틀을 형성함에 있어서 사각 모서리에 위치하여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되, 나사를 프레임의 정,배면이 아닌 측면에서 체결하여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문틀을 심플하게 구성하도록 하여 전체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나사를 프레임의 정,배면이 아닌 측면에서 체결하여 나무 프레임의 경우 나사에 의해 프레임이 갈라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문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문틀을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문틀을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 예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문틀 체결용 브래킷(1)은 중앙에 이중 문틀용 프레임(10) 중 "ㄷ"자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중앙프레임(11)이 삽입되는 삽입공(110)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1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00)에는 다수의 나사 체결공(130)이 형성되되, 체결공(130)을 통하여 나사를 중앙프레임(11)에 체결할 때 중앙프레임(11)의 측면에 체결되어 문틀을 형성하였을 때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돌출부(100)는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이중 문틀용 프레임(10) 2개를 직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00)를 기점으로 상하로 연장편(300)이 구비되어 이중 문틀용 프레임(10)의 연장프레임(13)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연장편(300)에는 다수의 체결공(310)이 형성되되, 체결공(310)을 통하여 나사를 연장프레임(13)에 체결할 때 연장프레임(13)의 측면에 체결되어 문틀을 형성하였을 때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연장편(300)도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이중 문틀용 프레임(10) 2개를 직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연장편(300)들에는 절곡편(500)이 구비되어 문틀용 프레임(10)의 절곡프레임(15) 하부에 밀착 체결되도록 하여, 외부의 압력에 의해 문틀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압력에 더욱 견딜 수 있도록 연장편(300)과 절곡편(500)을 연결하는 보강편(5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절곡편(500)도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이중 문틀용 프레임(10) 2개를 직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돌출부(100)와 연장편(300), 절곡편(500)은 직각으로 "ㄱ"자 형상으로 일측에 절곡하여 더 구비하여 문틀을 형성함에 모서리에 위치시켜 이중 문틀용 프레임(10) 2개를 서로 직각이 되도록 체결함으로써 문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문틀 체결용 브래킷(1)의 다른 예로 단순 문틀용 프레임을 통하여 문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단순 문틀용 프레임(30)이 삽입되도록 "ㄷ"형상의 삽입공(710)을 몸체(700)에 구비하여 단순 문틀 프레임(30)을 직각으로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몸체(700)에는 다수의 체결공(730)을 형성하되, 체결공(730)을 통하여 나사를 단순 문틀 프레임(30)에 체결할 때 단순 문틀 프레임(30)의 측면에 체결하여 문틀을 형성하였을 때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몸체(700)도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단순 문틀용 프레임(30) 2개를 직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문틀 체결용 브래킷 10 : 이중 문틀용 프레임
11 : 중앙프레임 13 : 연장프레임
15 : 절곡프레임 30 : 단순 문틀용 프레임
100 : 돌출부 110 : 삽입공
130 : 체결공
300 : 연장편 310 : 체결공
500 : 절곡편 510 : 보강편
700 : 몸체 710 : 삽입공
730 : 체결공

Claims (2)

  1. 이중 문틀용 프레임(10) 중 "ㄷ"자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중앙프레임(11)이 삽입되는 삽입공(110)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나사 체결공(130)을 형성하여 체결공(130)을 통하여 나사를 중앙프레임(11)에 체결할 때 중앙프레임(11)의 측면에 체결되어 문틀을 형성하였을 때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하되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하여 이중 문틀용 프레임(10) 2개를 직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돌출부(100)와;
    상기 돌출부(100)를 기점으로 상하로 구비되어 이중 문틀용 프레임(10)의 연장프레임(13)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체결공(310)을 형성하여 체결공(310)을 통하여 나사를 연장프레임(13)에 체결할 때 연장프레임(13)의 측면에 체결되어 문틀을 형성하였을 때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되,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하여 이중 문틀용 프레임(10) 2개를 직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연장편(300)과;
    연장편(300)들에 구비되어 문틀용 프레임(10)의 절곡프레임(15) 하부에 밀착 체결되도록 하여, 외부의 압력에 의해 문틀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압력에 더욱 견딜 수 있도록 연장편(300)과 절곡편(500)을 연결하는 보강편(510)을 구비하되,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하여 이중 문틀용 프레임(10) 2개를 직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절곡편(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체결용 브래킷.
  2. 삭제
KR2020100001616U 2010-02-12 2010-02-12 문틀 체결용 브래킷 KR200451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616U KR200451896Y1 (ko) 2010-02-12 2010-02-12 문틀 체결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616U KR200451896Y1 (ko) 2010-02-12 2010-02-12 문틀 체결용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896Y1 true KR200451896Y1 (ko) 2011-01-18

Family

ID=44243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616U KR200451896Y1 (ko) 2010-02-12 2010-02-12 문틀 체결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89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249A (ko) * 2001-08-10 2004-02-26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취성재료기판의 스크라이브 방법 및 스크라이브 장치
KR200417249Y1 (ko) * 2006-03-14 2006-05-24 이봉학 창짝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249A (ko) * 2001-08-10 2004-02-26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취성재료기판의 스크라이브 방법 및 스크라이브 장치
KR200417249Y1 (ko) * 2006-03-14 2006-05-24 이봉학 창짝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9331B2 (ja) 組立式棚
KR200438474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킷
KR101199523B1 (ko) 결로방지구조를 갖는 폴딩도어용 창틀프레임
KR200451896Y1 (ko) 문틀 체결용 브래킷
KR101163134B1 (ko) 다양한 형태를 갖는 체결패널 및 원터치 방식의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거푸집 체결구조
CN103422640A (zh) 一种墙面包饰安装结构
JP5074078B2 (ja) 外装材の取付金具
KR101314873B1 (ko) 건축물의 천장 마감부재
KR101119176B1 (ko) 부스용 블록 프레임
KR200451130Y1 (ko) 창틀 및 문틀 고정용 브래킷
KR100954551B1 (ko) 방화문 둘레 장착용 테두리골조의 모서리 고정장치
KR101926476B1 (ko) 건축물의 수직 패널
JP5864192B2 (ja) エレベータの三方枠
JP2007125162A (ja) 平面合板を物置棚の支柱に組み立てるための構造
KR20110118260A (ko) 창틀 고정용 브래킷
KR20150003307U (ko) 목재블록 연결장치
JP6099512B2 (ja)
KR101081041B1 (ko) Pvc를 이용한 주택 라운드 우물천장 설치구조
KR102587453B1 (ko) 수평프레임 연장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하는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KR102285770B1 (ko)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이 가능한 패널용 수직프레임
JP7263690B2 (ja) 貯湯ユニット用ケース
JP2009287244A (ja) ガラスパネル及びガラスパネルの取付け構造
TWM471492U (zh) 框架裝置
JP2006263380A (ja) 洗面化粧台の壁面への取付け方法
JP4719026B2 (ja) 建築用組立パネル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