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049Y1 -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 - Google Patents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049Y1
KR200451049Y1 KR2020100005659U KR20100005659U KR200451049Y1 KR 200451049 Y1 KR200451049 Y1 KR 200451049Y1 KR 2020100005659 U KR2020100005659 U KR 2020100005659U KR 20100005659 U KR20100005659 U KR 20100005659U KR 200451049 Y1 KR200451049 Y1 KR 2004510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support
cradle
tent
intermediat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일
Original Assignee
양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영일 filed Critical 양영일
Priority to KR2020100005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0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0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8Hoods protecting the r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8Hoods protecting the rider
    • B62J17/086Frame mounted hood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루프 막재와 그 지지수단이 자동적으로 펼침 동작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루프 막재를 포함한 조립 부품간의 해체 작업없이 탈거가 쉽게 이루어지고, 부피가 작아져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수평적으로 배치되는 전방 지지축과; 전방 지지축의 양단에 각기 한 쌍으로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회전 동작하는 전방 거치대 및 하부에 서로 다른 높이로 제 1 및 제2 도르레 지지원판이 구비되어 있는 중공형의 중간 거치대와; 중간 거치대의 내부에 각기 단면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중공형의 원형 단면을 갖고 출몰 동작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복수 개의 루프 지지대와; 복수 개의 루프 지지대 중 최소 단면을 갖는 최내측의 루프 지지대의 말단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후방 거치대; 및 전방 거치대, 중간 거치대 및 복수 개의 루프 지지대를 통하여 연결되어 절첩 가능한 루프 막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Roof membrane automatic unfolding tent for transport means}
본 고안은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차양과 비막이를 겸용할 수 있도록 한 텐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루프 막재의 자동 펼침으로 설치가 간편하고, 조립 부품간의 해체 작업 없이 루프 막재를 포함한 부품들의 접힘 동작으로 이동수단으로부터의 분리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이동수단 예로 자전거, 오토바이, 스쿠터 등은 루프가 없는 개방형 구조로서 우천시나 햇볕이 강한 날에는 승차자가 주행에 방해를 받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대부분의 승차자는 우천시 우비를 사용하며, 햇볕이 강한 날에는 모자를 착용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84135호(자전거용 조립식 텐트)의 경우 자전거의 상부로 덮개를 구성하고, 덮개는 다수 개의 폴대를 통해 자전거에 지지되어 있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사용자가 여러 개의 폴대를 연결 조립시켜야 하고, 그 폴대를 다시 덮개와 연결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조립 과정이 필요하다. 그 외 일본의 경우 특개평11-34958, 특개2009-113783 및 실용신안등록 제3109036호에서 자전거에 맞는 빗물 차단과 차양을 위한 텐트 구조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위 기술들의 경우에도 덮개를 자동으로 펼치고 접을 수 있는 구조는 없다. 따라서 루프의 넓은 영역을 커버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덮개를 포함한 지지틀을 함께 접을 수 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부피가 커져 탈거 후 보관이 용이치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텐트 설치를 위해 각 부품들간의 번거로운 조립이 필요하므로 설치의 편리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루프 막재와 그 지지수단이 자동적으로 펼침 동작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루프 막재를 포함한 조립 부품간의 해체 작업 없이 탈거가 쉽게 이루어지고, 부피가 작아져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텐트에 있어서,
수평적으로 배치되는 전방 지지축과;
전방 지지축의 양단에 각기 한 쌍으로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회전 동작하는 전방 거치대 및 하부에 서로 다른 높이로 제1 및 제2 도르레 지지원판이 구비되어 있는 중공형의 중간 거치대와;
중간 거치대의 내부에 각기 단면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중공형의 원형 단면을 갖고 출몰 동작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복수 개의 루프 지지대와;
삭제
복수 개의 루프 지지대 중 최소 단면을 갖는 최내측의 루프 지지대의 말단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후방 거치대; 및
전방 거치대, 중간 거치대 및 복수 개의 루프 지지대를 통하여 연결되어 절첩 가능한 루프 막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루프 막재를 자동으로 펼치기 위한 수단으로,
중간 거치대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이동링과;
일단이 중간 거치대의 제2 도르레 지지원판의 상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이동링에 지지되어 압축 반발력으로 이동링을 중간 거치대의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이동링 복귀용 스프링과;
일단이 중간 거치대 내의 제2 도르레 지지원판에 지지되고 타단이 최내측에 위치한 루프 지지대의 내부 말단에 지지되어 복수 개의 루프 지지대를 압축 반발력으로 신장시키는 루프지지대 신장용 스프링과;
루프지지대 신장용 스프링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단이 중간 거치대의 하측에 고정된 후 이동링과 제2 도르레 지지원판의 하방에 배치된 제1도르레 지지원판에 지지시켜 수회 감긴시킨 후 제2도르레 지지원판에 지지된 상태로 루프 지지대의 중심을 통과하여 최내측의 루프 지지대의 말단에 타단이 연결된 스프링 안내 와이어; 및
일단이 이동링에 연결된 후 하강하여 제1도르레 지지원판에 지지된 후 중간 거치대의 하측을 삽통하여 다시 상승 위치되어 전방 거치대의 상단에 타단이 연결되어 이동링의 하강 동작을 유도하는 이동링 하강용 와이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이동링 하강용 와이어의 노출단에는 스톱퍼가 고정 설치되고, 중간거치대에는 이동링 하강용 와이어의 당김 후 스톱퍼를 록킹시키고, 누르면 스톱퍼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작동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방거치대는 일단이 전방거치대와 중간거치대 중 어느 한 쪽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다른 한 쪽에 걸침되는 고정바를 통해 중간거치대로부터 벌여져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는 루프 막재와 그 지지수단의 자동 펼침과 접힘 동작으로 설치와 사용이 간편하고, 루프 막재를 포함한 조립 부품간의 해체 작업 없이 탈거가 이루어져 탈거 시간이 단축되고, 루프 막재와 그 지지수단이 접어져 부피가 작아지므로 보관이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의 펼쳐진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의 접혀진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에 적용되는 막재 자동 펼침장치의 구성도.
도 3b는 도 3a의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의 접어진 상태도.
도 5a는 도 4의 "A"부 확대도.
도 5b는 도 4의 "B"부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가 자전거에 설치된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가 스쿠터에 설치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의 펼쳐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의 접혀진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에 적용되는 막재 자동 펼침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b에서와 같이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10)는 전방 지지축(12)이 수평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방 지지축(12)의 양단에는 각기 한 쌍으로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회전 동작하는 전방 거치대(14)와, 하부에 서로 다른 높이로 제1 및 제2 도르레 지지원판(161,162)이 구비되어 상방으로 개구부를 갖는 중공형의 중간 거치대(16)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전방 거치대(14)와 중간 거치대(16)는 전방 지지축(12)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결된다.
전방 거치대(14)에는 고정바(13)의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있고, 고정바(13)의 타단은 중간 거치대(14)의 상단측 홀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바(13)는 도 3과 같이 전방 거치대(14)를 회전시켜 중간 거치대(16)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벌어져 있도록 유지할 수 있다.
중간 거치대(16)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루프 지지대(18a,18b,18c,18d)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내지 제4의 루프 지지대(18a,18b,18c,18d)는 각기 단면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중공형의 원형 단면을 갖고 있다. 따라서 작은 원형 단면의 루프 지지대가 바로 큰 단면의 루프 지지대의 내부로 삽입되어, 루프 지지대(18a,18b,18c,18d)는 중간 거치대(16)로부터 출몰 동작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중간 거치대(16)와 제1 루프 지지대(18a) 그리고 제2 내지 제3의 루프 지지대(18b,18c,18d)간은 상호 내,외측의 원형 걸림턱 결합 구조를 통하여 이탈이 방지되게 되어 있다.
복수 개의 루프 지지대 중 최소 단면을 갖는 제4의 루프 지지대(18d)의 말단에는 후방 거치대(20)가 힌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후방 거치대(20)는 도 2와 같이 제4 루프 지지대(18d)의 말단에서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여 접혀질 수 있다.
전방 거치대(14), 중간 거치대(16) 및 복수 개의 루프 지지대(18a,18b,18c,18d)에는 절첩 가능한 루프 막재(30)가 연결되어 있다. 루프 막재(30)는 방수가 가능한 천으로 제작되거나 방수코팅이 이루어진 방수포가 될 수 있다. 또 루프 막재(30)는 차광과 복사열을 차단할 수 있는 시트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루프 막재(30)는 전방 거치대(14), 중간 거치대(16), 제2 루프지지대(18b) 및 제4 루프 지지대(18d)의 각 상단에 위치된 고리(32)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전방 거치대(14)가 중간 거치대(16)에 나란하게 접혀지고, 루프 지지대(18a,18b,18c,18d)가 중간 거치대(16)의 내부로 인입되면 루프 막재(30)는 수회 접혀지게 된다.
이때 전방 지지축(12)에는 도 6과 같이 자전거의 핸들축 부분에 연결되기 위해 핸들축 연결대(122)와 그 양측으로 각기 핸들 연결대(124)가 설치되어 있다. 핸들축 연결대(122)는 자전거의 핸들축에 연결되고, 핸들 연결대(124)는 핸들 측방에 연결된다. 이때 핸들축 연결대(122)와 핸들 연결대(124)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중간에 분할되어 너트(N)로 조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들 핸들축 연결대(122)와 핸들 연결대(124)의 말단에는 각기 고정용 볼트(B)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 거치대(20)의 경우에도 중간의 분할 부분을 너트(N)로 조임 연결시켜 자전거의 후방측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10)는 설치시 루프 막재가 자동적으로 펼쳐지도록 유도하고, 보관시 루프 막재의 접힘을 유도하기 위해 도 4 및 도 5a,5b와 같이 루프 막재 자동 펼침장치가 설치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의 접어진 상태도이고, 도 5a는 도 4의 "A"부 확대도이고, 도 5b는 도 4의 "B"부 확대도이다.
루프 막재 자동 펼침장치는 전방 거치대(14)의 회전 벌림 조작에 의해 이동링(40)이 하강하고 루프 지지대(18a~18d)가 길게 신장되어 도 3과 같이 루프 막재(30)가 펼쳐지고, 도 4와 같이 전방 거치대(14)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동작에 의해 루프 지지대(18a~18d)가 서로 삽입되어 중간 거치대(16)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루프 막재(30)가 접어지도록 유도한다.
루프 막재 자동 펼침장치는 도 4 내지 도 5b와 같이 중간 거치대(16)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이동링(40)과, 일단이 중간 거치대(16)의 제2 도르레 지지원판(162)의 상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이동링(40)에 지지되어 압축 반발력으로 이동링(40)을 중간 거치대(16)의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이동링 복귀용 스프링(50)과, 일단이 중간 거치대(16)내의 제2 도르레 지지원판(162)에 지지되고 타단이 최내측에 위치한 루프 지지대(18d)의 내부 말단에 지지되어 복수 개의 루프 지지대(18a,18b,18c,18d)를 압축 반발력으로 신장시키는 루프지지대 신장용 스프링(60)과, 루프지지대 신장용 스프링(60)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단이 중간 거치대(16)내의 제1 도르레 지지원판(161)에 고정된 후 이동링(40)과 제1 도르레 지지원판(161)에 도르레 바퀴(R1,R2)를 통해 지지시켜 2회 감긴시킨 후 제2 도르레 지지원판(162)에 도르레 바퀴(R3,R4)를 통해 지지된 상태로 최내측 루프 지지대(18d)의 내부를 통과하여 최내측의 루프 지지대(18d)의 말단에 타단이 연결된 스프링 안내 와이어(70)와, 일단이 이동링(40)에 연결된 후 하강하여 제1 도르레 지지원판(161)에 도르레(R5)를 통해 지지된 후 중간 거치대(16)의 하측을 삽통하여 도르레 바퀴(R8)에 지지된 후 다시 상승 위치되어 도르레 바퀴(R9)에 지지된 후 전방 거치대(14)의 상단에 타단이 연결되어 이동링(40)의 하강 동작을 유도하는 이동링 하강용 와이어(80)로 구성된다. 이때 도르레 바퀴(R8,R9)는 중간 거치대(16)의 일측 채널(17)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링 안내 와이어(70)는 이동링(40)을 2회 감긴시키는 구조로 하였으나 루프 지지대의 개수 가감에 따라 왕복 횟수가 비례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이동링 복귀용 스프링(50)은 루프지지대 신장용 스프링(60)보다 직경이 큼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더 큰 압축 반발력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다. 이는 이동링 복귀용 스프링(50)의 압축 반발력에 의해 루프 지지대(18a~18d)가 루프지지대 신장용 스프링(60)의 팽창력을 이기고 접어져 중간 거치대(16)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이동링(40)의 하강을 유도한 후 이동링 하강용 와이어(80)를 고정 및 해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작동레버(90) 및 스톱퍼(8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작동레버(90)는 중간 거치대(16)의 중간 부위에 힌지 설치되어 있다. 작동레버(90)는 본 실시예에서 대략 S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작동레버(90)는 이동링 하강용 와이어(80)의 노출단에 고정 설치된 스톱퍼(82)를 고정 및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스톱퍼(82)는 이동링 하강용 와이어(80)의 노출단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레버(90)는 전방 거치대(14)가 최대로 벌어지고 스톱퍼(82)가 상승 완료한 위치에서 스톱퍼(82)가 원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도록 멈춤시키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설치 방법 및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10)의 루프 막재(30)가 수회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핸들축 연결대(122)와 핸들 연결대(124) 및 후방 거치대(20)를 도 6과 같이 자전거에 거치시킨다. 이때 복수 개의 루프 지지대(18a~18d)는 도 4와 같이 중간 거치대(16)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전방 거치대(14)는 하부측 힌지를 축으로 중간 거치대(16)측으로 회전된 상태이고, 이동링(40)은 이동링 복귀용 스프링(50)의 압축 반발력으로 중간 거치대(16)의 상방에 위치되고, 동시에 이동링(40)에 연결된 스프링 안내와이어(70)는 당김되어 루프지지대 신장용 스프링(60)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스톱퍼(82)는 중간 거치대(16)의 하방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이같은 상태에서 전방 거치대(14)를 도 3a에서와 같이 화살표(K) 방향으로 젖혀 벌리게 되면 전방 거치대(14)에 연결된 이동링 하강용 와이어(80)가 당겨진다. 따라서 이동링 하강용 와이어(80)에 연결된 이동링(40)이 이동링 복귀용 스프링(50)을 강제적으로 압축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같이 이동링(40)의 하강 동작에 의해 이동링(40)과 제1 도르레 지지원판(161)에 연결된 스프링 안내 와이어(70)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그 줄어든 길이만큼 복수 개의 루프 지지대(18a~18d)가 중간 거치대(16)에서 빠져나와 길게 신장된다.
이후 이동링(40)이 완전히 하강 동작을 멈추게 되면, 고정바(13)의 자유단을 중간 거치대(16)의 상단에 연결한다. 이렇게 되면 이동링(40)이 하강한 구간의 4배에 해당하는 길이가 신장되고, 이 신장된 길이가 중간 거치대(16)를 빠져나가게 되므로 도 3a와 같이 루프 지지대(18a~18d)가 루프 지지대 신장용 스프링(60)의 압축 반발력을 이용하여 신장된다. 이와 동시에 루프 지지대(18b,18d)에 연결된 루프 막재(30)가 자동적으로 펼쳐지게 된다.
여기서 이동링 하강용 와이어(80)의 당김 동작에 의해 스톱퍼(82)는 도 3b와 같이 상승 위치하여 작동레버(90)의 선단에 걸림되어 이동링(40)의 복귀 동작을 억제하고 멈춤된다.
이같이 본 고안의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10)는 전방 거치대(14)를 벌려 조작시키는 것만으로 루프 지지대(18a~18d)를 인출해낼 수 있어 루프 막재(30)의 자동적인 펼쳐짐을 쉽게 유도할 수 있다.
이후 도 6과 같이 후방 거치대(20)를 자전거의 후미에 거치시키면 루프 막재의 설치가 완료되어, 차양은 물론이고 우천시에 비막이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자전거에서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10)를 접고자 할 경우, 후방 거치대(20)를 자전거에서 분리시킨 후 고정바(13)를 접고 작동레버(90)를 누르게 되면 스톱퍼(82)가 작동레버(90)에서 이탈된다. 이와 동시에 이동링 복귀용 스프링(50)의 팽창 복원력에 의해 이동링(40)이 원위치로 상승하고, 이동링(40)이 루프 지지대 신장용 스프링(60)을 압축시키면서 동시에 스프링 안내와이어(70)를 잡아 올리므로 신장된 루프 지지대(18a~18d)는 수축하여 도 4와 같이 중간 거치대(16)의 내부로 모두 삽입된다. 따라서 루프 막재(40)는 루프 지지대(18a~18d)의 삽입 동작에 연동하여 접혀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10)는 자동 펼침되는 루프 막재(30)가 구비되어 있어 이동수단인 자전거는 물론이고 도 7과 같이 오토바이나 스쿠터에 설치하여 비와 뜨거운 햇볕으로부터 승차자를 보호시킬 수 있다.
특히 전방 거치대(14)를 회전 벌림 조작시키는 것만으로 루프지지대(18a~18d)가 중간 거치대(16)로부터 빠져나오고 루프 막재(30)가 자동으로 펼쳐지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조립부품을 개별적으로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10)에 대한 설치 편의성이 일층 향상된다.
또한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10)를 접게 되면 루프지지대(18a~18d)가 중간 거치대(16)의 내부로 삽입되고 루프 막재(30)가 접어지므로 부피가 작아지고 별도의 부품간 해체 작업 없이 보관이 용이해지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12: 전방 지지축
14: 전방 거치대
16: 중간 거치대
18a,18b,18c,18d: 루프 지지대
20: 후방 거치대
30: 루프 막재
40: 이동링
50: 이동링 복귀용 스프링
60: 루프지지대 신장용 스프링
70: 스프링 안내 와이어
82: 스톱퍼
90: 작동레버
161: 제1 도르레 지지원판
162: 제2 도르레 지지원판

Claims (4)

  1.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텐트에 있어서,
    수평적으로 배치되는 전방 지지축(12)과;
    전방 지지축(12)의 양단에 각기 한 쌍으로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회전 동작하는 전방 거치대(14) 및 하부에 서로 다른 높이로 제1 및 제2 도르레 지지원판(161,162)이 구비되어 있는 중공형의 중간 거치대(16)와;
    중간 거치대(16)의 내부에 각기 단면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중공형의 원형 단면을 갖고 출몰 동작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복수 개의 루프 지지대(18a,18b,18c,18d)와;
    복수 개의 루프 지지대 중 최소 단면을 갖는 최내측의 루프 지지대(18d)의 말단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후방 거치대(20); 및
    전방 거치대(14), 중간 거치대(16) 및 복수 개의 루프 지지대(18a,18c,18c,18d)를 통하여 연결되어 절첩 가능한 루프 막재(3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루프 막재(30)를 자동으로 펼치기 위한 수단으로,
    중간 거치대(16)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이동링(40)과;
    일단이 중간 거치대(16)의 제2 도르레 지지원판(162)의 상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이동링(40)에 지지되어 압축 반발력으로 이동링(40)을 중간 거치대(16)의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이동링 복귀용 스프링(50)과;
    일단이 중간 거치대(16)의 제2 도르레 지지원판(162)에 지지되고 타단이 최내측에 위치한 루프 지지대(18d)의 내부 말단에 지지되어 복수 개의 루프 지지대(18a,18b,18c,18d)를 압축 반발력으로 신장시키는 루프지지대 신장용 스프링(60)과;
    루프지지대 신장용 스프링(60)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단이 중간 거치대(16)의 하측에 고정된 후 이동링(40)과 제2 도르레 지지원판(162)의 하방에 배치된 제1도르레 지지원판(161)에 지지시켜 수회 감긴시킨 후 제2 도르레 지지원판(162)에 지지된 상태로 루프 지지대(18a,18b,18c,18d)의 중심을 통과하여 최내측의 루프 지지대(18d)의 말단에 타단이 연결된 스프링 안내 와이어(70); 및
    일단이 이동링(40)에 연결된 후 하강하여 제1 도르레 지지원판(161)에 지지된 후 중간 거치대(16)의 하측을 삽통하여 다시 상승 위치되어 전방 거치대(14)의 상단에 타단이 연결되어 이동링(40)의 하강 동작을 유도하는 이동링 하강용 와이어(8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이동링 하강용 와이어(80)의 노출단에는 스톱퍼(82)가 고정 설치되고, 중간거치대(16)에는 이동링 하강용 와이어(80)의 당김 후 스톱퍼(82)를 록킹시키고, 누르면 스톱퍼(82)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작동레버(9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방거치대(14)는 일단이 전방거치대(14)와 중간거치대(16) 중 어느 한 쪽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다른 한 쪽에 걸침되는 고정바(13)를 통해 중간거치대(16)로부터 벌여져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
KR2020100005659U 2010-05-31 2010-05-31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 KR2004510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659U KR200451049Y1 (ko) 2010-05-31 2010-05-31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659U KR200451049Y1 (ko) 2010-05-31 2010-05-31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049Y1 true KR200451049Y1 (ko) 2010-11-19

Family

ID=4447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659U KR200451049Y1 (ko) 2010-05-31 2010-05-31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0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736B1 (ko) 2013-05-21 2015-01-12 (주)매직코스 휴대용 차양장치
KR101615487B1 (ko) * 2015-07-21 2016-04-25 정운진 자전거용 차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736B1 (ko) 2013-05-21 2015-01-12 (주)매직코스 휴대용 차양장치
KR101615487B1 (ko) * 2015-07-21 2016-04-25 정운진 자전거용 차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4609B (zh) Shielding device
KR101796394B1 (ko) 접이식 대형 파라솔
US20060254635A1 (en) Receiver hitch mounted canopy
JPH05506385A (ja) パラソル、特に大型パラソル
KR102079204B1 (ko) 포켓부를 구비한 파라솔
KR200451049Y1 (ko)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
WO1998007937A1 (en) Shading apparatus
CN201380912Y (zh) 电动自行车专用折叠晴雨篷
KR20100003684A (ko) 차량 덮개장치
JP2000168659A (ja) 自動二輪用カバ―
EP2165870B1 (en) Air-permeable simple car cover tent
KR101477276B1 (ko) 텐트
CN205239104U (zh) 多功能折叠伸缩式汽车遮阳罩
CN206049894U (zh) 一种可收纳车棚
KR101563898B1 (ko) 차량용 차양장치
KR200362038Y1 (ko) 자전거용 우산
JP3060836U (ja) 自動車用テント
CN2298707Y (zh) 汽车太阳伞
CN205990816U (zh) 设有可移动底座的便携式遮阳篷
CN220220988U (zh) 一种电动车雨棚
CN201276172Y (zh) 一种电动车折叠伞
CN206829767U (zh) 凉篷的伞顶结构
CN201841923U (zh) 一种伞型可折叠汽车遮阳篷
CN219993322U (zh) 一种车顶帐篷及其车辆
CN211442604U (zh) 一种节能电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