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038Y1 - 자전거용 우산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038Y1
KR200362038Y1 KR20040018152U KR20040018152U KR200362038Y1 KR 200362038 Y1 KR200362038 Y1 KR 200362038Y1 KR 20040018152 U KR20040018152 U KR 20040018152U KR 20040018152 U KR20040018152 U KR 20040018152U KR 200362038 Y1 KR200362038 Y1 KR 2003620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bicycle
fixed
fixing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18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기
Original Assignee
윤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창기 filed Critical 윤창기
Priority to KR20040018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0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0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0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8Hoods protecting the r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8Hoods protecting the rider
    • B62J17/083Frame mounted hoods specially adapted for rider propelled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용 우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단계로 접철되는 접철식 우산대(10)에 고정되는 우산살 고정구(20)에 우산살(30)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여 상기 우산살(30)에 고정되는 우산막(40)이 적정한 폭을 유지하면서 자전거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장방형으로 길게 펼쳐질 수 있게 함으로써 주행과 보행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게 되면서 탑승자도 빗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자전거용 우산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전거용 우산 {Bicycle parasol}
본 고안은 자전거 상부에 양산과 우산의 용도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우산막 또는 양산막을 필요에 따라 사용하여 자전거 주행 중 빗물이나 햇빛을 차단시켜줄 수 있는 자전거용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탑승자가 강력한 직사광선을 피할 수 없음은 물론 우천시에는 빗물을 그대로 맞게 된다. 따라서 일사량이 많거나 우천시에 탑승자는 한손으로 자전거 핸들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양산이나 우산을 들고 주행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주행 상태는 자전거 주행이 숙달된 사람인 경우에만 가능하며, 또한 숙달된 사람이라도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아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을 필요로 하는데, 사고의 가능성을 감안한다면 아예 우산 등을 들고 주행하는 것은 자제하여야 한다.
따라서 자전거가 중요한 이동 및 운반 수단이고, 유익한 레저 스포츠용으로 사용되는 도구임에도 일사량이 강하거나 우천시에는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자전거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자전거 주행 중에 탑승자가 일사와 빗물을 피할 수 있도록 자전거에 우산을 설치할 수 있는 장치들이 출현하게 되었다.
상기 장치들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20-1987-9988 '자전거 부착용 우산', 동 20-1998-68049 '우산 장착 기구', 실용신안등록 20-220429 '우산 겸용 자전거 우산',동 20-280421 '자전거용 우산'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장치들은 자전거 프레임에 우산 고정 장치를 형성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우산 고정 장치에 고정되는 우산은 링크 타입으로 연결되어 우산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우산살에 의하여 원형의 우산막이 접히고 펼쳐지는 전형적인 접이식 우산이다.
우산막이 원형으로 되는 접이식 우산을 자전거에 설치할 때에 나타나는 문제점의 하나는 우천시 빗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상적으로 자전거의 주행 속도는 보행자의 주행속도 보다 빠르기 때문에 우산 전방의 빗물이 탑승자에게 도달되어 결국 탑승자가 빗물을 맞게 된다. 자전거의 속도에 의하여 탑승자가 빗물을 맞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우산을 전방에 설치할 경우에는 자전거의 속도가 늦을 경우 탑승자의 허리 부분이 빗물에 젖게 될 것이며, 자전거의 속도에 관계없이 탑승자가 빗물에 맞지 않게 하기 위하여 우산막을 크게 형성할 경우에는 주행 중에 우산이 공기의 저항을 많이 받게 되어 주행이 곤란하게 되고, 보행자나 도로 주변의 설치물과 접촉할 위험성이 있을 뿐만이 아니라 휴대 및 보관상에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본 고안은 종래의 자전거용 우산에 내재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철식 우산대에 의하여 우산막이 적정한 폭을 유지하면서 자전거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길게 펼쳐질 수 있게 함으로써 주행과 보행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게 되면서 탑승자도 빗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자전거용 우산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자전거에 설치된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이 펼쳐진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우산살이 접혀진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우산대가 접혀진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우산살이 펼쳐진 상태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선단부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선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1의 A부 확대도
도 9는 도 1의 B부 확대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전거의 프레임 후방에 설치되는 고정용 브라켓에 고정되는 우산을 형성함에 있어서, 굽힘이 자유롭고, 걸림턱이 형성되어 점차 작은 직경을 가지고 다단계로 접철 가능하게 삽입되면서 하단부가 자전거 프레임의 고정용 브라켓에 고정되는 우산대;
상기 각각의 우산대 선단에 고정되는 우산살 고정구;
상기 우산살 고정구의 양쪽에 대칭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우산살;
상기 우산살에 고정되어 우산대가 신축되는 방향으로 펼쳐지고 접혀지는 우산막;
상기 우산막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펼쳐진 선단의 우산살이 지지되는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선단의 우산대에 고정되는 우산살 지지구;
상기 우산막이 자전거 안장과 핸들의 상부 공간에 드리워질 수 있도록 우산대를 굽혀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구조적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단계의 우산대가 접철되고, 각각의 우산대에는 한 쌍의 우산살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우산막이 고정됨으로써, 우산막은 우산대를 접철시키는 방향을 따라서 펼쳐지고 접혀지게 되어 좌우 폭보다는 펼쳐지는 길이 방향으로 더 길게 펼쳐지게 되어 자전거의 형상을 따라 상부에 길게 드리워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주행시 공기의 저항을 적게 받으면서 빗물을 쉽게 차단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우산이 주변의 시설물과 부딪칠 우려가 없다.
상기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음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우산대(10), 우산살 고정구(20), 우산살(30), 우산막(40), 우산살 지지구(50) 및 상기 우산대(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우산대(10)는 굽힘이 자유롭고, 강력한 탄성을 가지고 탄성변형을 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면 화이버 글래스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데, 외경이 점차 작아져서 다단계로 삽입되어 접철되는 형태로 되는 다수개의 우산대로 형성되면서 상기 각각의 우산대는 신장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단부에는 각각 걸림턱(11)(12)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각각의 우산대(10) 상부에는 우산살 고정구(20)가 고정된다.
우산살 고정구(20)는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는 브라켓(21)(22)이 한 쌍이 되어 우산대(10) 상부에서 마주보면서 리벳(23)(24)으로 고정되는데, 상기 리벳(23)(24)에는 우산살(30)(30a)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우산살(30)은 한쪽 단부가 한 쌍의 브라켓(21)(22) 사이의 공간에서 리벳(23)(24)으로 고정되고 다른 한쪽의 자유 단부는 우산막(40)이 고정됨에 따라 상기 공간에서 회전하여 우산막(40)을 펼치고 접을 수 있게 된다.
우산막(40)은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정한 위치가 각각의 우산살(30)에 고정된다.
우산살 지지구(50)는 도 6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우산살 지지구(50)는 최선단의 우산대(10a)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체(51)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돌출되는 수평봉체(52)(52a)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봉체(52)(52a)의 하단부에는 우산살 걸림고리(53)(5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산살 걸림고리(53)(53a)는 우산막(40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최선단의 우산대(10a)에 고정되어 있는 우산살(30a)(30b)이 걸려지게 되는 것으로 원통형 부재의 일부 구간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되는 일반적인 고리를 적용할 수 있으나 우산살(30a)(30b)이 이탈되지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구간이 개방되는 원통체(54) 내부에서 탄성부재(도시되지 아니함)의 탄성을 받으면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구(55)가 작동구(56)로 개폐작동을 하게 되어 원통체(54)의 개방된 공간을 개폐시켜줄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상기 우산대(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60)은 하부 고정수단과 상부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하부 고정수단은 본 고안의 우산을 자전거에 설치하기 위하여 최하단의 우산대(10b)를 자전거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전거의 안장(100)을 적정한 높이로 고정하는 통상적인 구조의 안장고정구(101)의 후방으로 형성되는 제1고정봉(102)과, 아래쪽의 단부는 상기 제1고정봉(102)에 삽입되어 보울트와 너트로 되는 체결구(103)로 고정되고, 위쪽의 단부는 상기 안장 고정구(101)와 동일한 구조로 되는 우산대 고정구(104)가 상부에 형성되는 제2고정봉(105)으로 된다.
상부 고정수단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펼쳐진 우산막(40)이 자전거 핸들의 전방 상부까지 드리워지게 하는 것으로 최선단의 우산살(30a)(30b)에 고정되는 고정용 끈(200)과, 앞서 설명한 우산살 걸림고리(53)(53a)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용 끈(200)에 연결되는 끈 걸림고리(201)와, 상기 끈 걸림고리(201)가 자전거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자전거의 앞쪽 프레임에 형성되는 고정편(202)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자전거에 설치되지 않을 때에는 안장 고정구(101)의 제1고정봉(102)에서 체결구(103)를 풀어서 제2고정봉(105)을 분리하거나 또는 체결구(103)에 의하여 제2고정봉(105)이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자전거에서 분리되는 본 고안의 우산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우산대(10)를 접철시켜서 최소한의 부피가 되게 하여 고정용 끈(200)으로 우산막(40)이 풀어지지 않도록 감싼 다음 자전거의 뒷좌석에 묶어서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다.
이후 일사량이 강하거나 우천시에 본 고안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최하단의 우산대(10b) 하단부를 제1고정봉(102)에 고정된 제2고정봉(105)에 삽입한 다음 체결구(106)를 이용하여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한다.
그 다음 다단계의 우산대(10)를 상부로 인출시키고 최상부의 우산대(10a)에 고정되어 있는 우산살(30a)(30b)이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키면 우산막(40)에 고정되어 있는 다른 우산살들이 연속적으로 회전하여 우산막(40)이 장방형의 형상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러한 우산살(30)과 우산막(40)은 최선단의 우산살(30)(30a)과 우산살 지지구(50)에 의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우산살 걸림고리(53)(53a)의 작동구(56)를 작동시켜서 개폐구(55)가 열려지게 한 다음, 열려진 공간을 통하여 우산살(30a)을 원통체(54) 내부에 넣으면 양족의 우산살(30a0(30b)가 수평으로 펴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펼쳐진 우산막(40)과 연동하는 다른 우산살들도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는 우산이 자전거의 뒷쪽에서 수진 방향으로 펼쳐져 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후 통상적인 구조로 작동하는 끈 걸림 고리(201)를 자전거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편(202)에 고정시키면 고정용 끈(200)이 당겨지면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산대(10)가 휘어지면서 우산막(40)이 자전거의 전방 상부 공간까지 드리워지게 된다.
이때 고정용 끈(200)이 우산살(30)(30a)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당겨지는 장력에 의하여 우산살(30a)(30b)이 아래쪽으로 휘어지게 되어 우산막(4)의 전방은 곡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를 제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사항들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한 실시예에서 우산살 걸림고리(53)(53a)는 작동구(56)과 개폐구(55)가 없이 일부 구간이 개방된 원통체(54)로 되는 통상적인 고리가 채택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끈 걸림고리(201a)가 고정된 고정용 끈(200a)이 고정체(51a)에 고정되는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최선단의 우산살(30a)(30b)이 우산막(40)을 평행하게 드리워지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전방으로 길게 인출되는 접철식 우산대에 의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우산막이 일정한 폭을 유지하면서 자전거 안장의 뒤쪽으로부터 핸들 전방의 상부 공간까지 드리워지게 됨으로써 탑승자가 일사광선과 빗물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고, 특히 일정한 촉을 가지고 장방형으로 펼쳐지는 우산막은 자전거 주행 중에 다른 보행자나 시설물과 충동할 우려가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을 자전거에 적용하게 된다면 일기 상황에 관계없이 자전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운반 이동 및 레저 스포츠용으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자전거의 프레임 후방에 설치되는 고정용 브라켓에 고정되는 우산을 형성함에 있어서,
    굽힘이 자유롭고, 걸림턱이 형성되어 점차 작은 직경을 가지고 다단계로 접철 가능하게 삽입되면서 하단부가 자전거 프레임의 고정용 브라켓에 고정되는 우산대;
    상기 각각의 우산대 선단에 고정되는 우산살 고정구;
    상기 우산살 고정구의 양쪽에 대칭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우산살;
    상기 우산살에 고정되어 우산대가 신축되는 방향으로 펼쳐지고 접혀지는 우산막;
    상기 우산막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펼쳐진 선단의 우산살이 지지되는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선단의 우산대에 고정되는 우산살 지지구;
    상기 우산막이 자전거 안장과 핸들의 상부 공간에 드리워질 수 있도록 우산대를 굽혀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자전거용 우산.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이 최선단의 우산살(30a)(30b)에 고정되는 고정용 끈(200)과, 통상적인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용 끈(200)에 연결되는 끈 걸림고리(201)와, 상기 끈 걸림고리(201)가 자전거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자전거의 앞쪽 프레임에 형성되는 고정편(2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우산.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이 최선단의 우산대(10a) 선단에 형성되는 고정체(51)에 고정되는 고정용 끈(200)과, 통상적인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용 끈(200)에 연결되는 끈 걸림고리(201)와, 상기 끈 걸림고리(201)가 자전거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자전거의 앞쪽 프레임에 형성되는 고정편(2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우산.
KR20040018152U 2004-06-26 2004-06-26 자전거용 우산 KR2003620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8152U KR200362038Y1 (ko) 2004-06-26 2004-06-26 자전거용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8152U KR200362038Y1 (ko) 2004-06-26 2004-06-26 자전거용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038Y1 true KR200362038Y1 (ko) 2004-09-16

Family

ID=4113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18152U KR200362038Y1 (ko) 2004-06-26 2004-06-26 자전거용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03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5231A1 (en) * 2007-10-05 2009-04-09 Melvin Allen Hopkins Arched canopy system
KR101348827B1 (ko) 2009-10-14 2014-02-13 정현 오토바이 우산
KR200473050Y1 (ko) * 2012-11-09 2014-06-05 이진우 우산이 겸비된 배낭
KR200485074Y1 (ko) * 2016-10-19 2017-11-24 주식회사 이티엔커머스 이륜 차량용 캐노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5231A1 (en) * 2007-10-05 2009-04-09 Melvin Allen Hopkins Arched canopy system
KR101348827B1 (ko) 2009-10-14 2014-02-13 정현 오토바이 우산
KR200473050Y1 (ko) * 2012-11-09 2014-06-05 이진우 우산이 겸비된 배낭
KR200485074Y1 (ko) * 2016-10-19 2017-11-24 주식회사 이티엔커머스 이륜 차량용 캐노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0036B2 (ja) 自転車などのための保護ルーフ
JP2008506575A (ja) 自転車構造
JPH05506385A (ja) パラソル、特に大型パラソル
KR200362038Y1 (ko) 자전거용 우산
KR101971707B1 (ko) 바이크용 캐노피 조립체
RU143370U1 (ru) Противоградовый автозонт
KR200376641Y1 (ko) 자전거의 상부커버
CN104787168A (zh) 一种新型的电动摩托车防雨遮阳折叠篷
KR200384135Y1 (ko) 자전거용 조립식 텐트
CN103879482A (zh) 即调式多功能二轮车用遮护篷
KR200451049Y1 (ko) 이동수단용 루프 막재 자동 펼침형 텐트
JP2001048076A (ja) 自転車用簡易屋根
NL1042943B1 (en) Adjustable two-layer bicycle rain screen
CN207015497U (zh) 摩托车、电动车遮阳雨蓬
RU2764626C1 (ru) Автомобильный зонт
JP3139173U (ja) 自転車用屋根
EP4003826A1 (en) A weather protection device
JP2024049271A (ja) クリアレインシェード
DK2809192T3 (en) Umbrella
EP2735499A1 (fr) Protection pour vélo
CN204606037U (zh) 一种新型的电动摩托车防雨遮阳折叠篷
KR101615487B1 (ko) 자전거용 차수 장치
JP4277266B2 (ja) 自転車の屋根
JP3093970U (ja) 雨よけ風防付き自転車
CN207075669U (zh) 一种带雨帘的摩托车用雨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