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050Y1 - 우산이 겸비된 배낭 - Google Patents

우산이 겸비된 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050Y1
KR200473050Y1 KR2020120010224U KR20120010224U KR200473050Y1 KR 200473050 Y1 KR200473050 Y1 KR 200473050Y1 KR 2020120010224 U KR2020120010224 U KR 2020120010224U KR 20120010224 U KR20120010224 U KR 20120010224U KR 200473050 Y1 KR200473050 Y1 KR 200473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backpack
fixing
circular plate
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931U (ko
Inventor
용 배 최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이진우
(주)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우, (주)경진 filed Critical 이진우
Priority to KR2020120010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05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29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9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0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40Umbrella, stick, or glove holders attached to a ba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깨끈을 갖는 배낭에 있어서 상기 배낭의 배면에 고정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 상단에 우산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원형태의 원형판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 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구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에 상기 우산이 일정각도 회동 되어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우산의 우산살 중 적어도 2곳의 선택되는 우산살에 고리를 갖는 탄성줄을 형성하여, 상기 고리와 사용자의 허리벨트 또는 배낭에 구비되는 허리밴드에 체결하여 상기 우산이 일정 방향으로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배낭을 짊어진 상태에서 등산이나 또는 도보시 갑작스럽게 비가 오는 등 우천 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배낭에 매달린 우산을 펼쳐 일정각도로 회동시켜 고정 시키고, 우산살에 구비되어 있는 탄성줄을 이용하여 배낭에 구비되어 있는 허리밴드나 또는 사용자의 바지에 착용하고 있는 허리띠 등에 결합하여 우산이 바람에 뒤로 젖혀지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비를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도록 하고 비가 그친 후에는 우산을 접어 배낭에 매달린 상태로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여, 등산 및 도보 등과 같은 운동시 우산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우산이 겸비된 배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산이 겸비된 배낭{A RUCKSACK WHIH AN UMBRELLA}
본 고안은 사용자의 등에 걸쳐서 사용되는 배낭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상시에는 등산이나 하이킹 등을 하는 과정에서 비가 올 경우, 비를 맞지 않도록 하기 위한 우산이 겸비된 배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낭은, 물건 등을 담아 신체의 등에 지도록 형성된 백(Bag) 형태의 가방 종류를 말하는 것으로, 등산이나 여행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근래들어서는 학생들의 가방 등으로도 쓰여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우산은 일자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것에서부터 2단 또는 3단으로 절첩되어 손쉽게 접거나 펴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비가 올 때 손에 들고 머리 위를 받쳐서 비를 피하기 위한 수단을 말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형태는 다양하게 이루어지며, 상술한 배낭과 우산은 각각 나름대로의 기능과 목적을 갖고 적절히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러한 우산과 배낭은 각각 별개의 제품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우천시에는 휴대하고 있는 우산을 펼쳐 사용하다가, 비가 그치거나 할 경우에는 우산을 접어 손에 들고 다니거나 또는 배낭 속에 집어넣어 보관하며 이동하였다.
이와 같이 비가 온 후 우산은 필요한 수단이 아니어서, 이동시에는 매우 번거로운 휴대품이 되어 버려, 비가 온 당일 날 날씨가 화창해지거나 비가 오지 않을 경우에는 우산을 휴대하며 다니기에는 상당히 번거롭게 인식되어 왔으며, 이동 과정에서 우산을 분실하거나, 머무른 장소에 우산을 두고 나와 우산을 분실하는 등 경제적 손실이 뒤따르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우산과 배낭을 하나로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우천시 우산을 펼쳐 사용하고 비가 그치거나 비가 오지 않는 경우 배낭에 매달린 상태로의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배낭과는 별도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배낭으로부터 착탈되도록 하여, 우산을 배낭과 함께 항시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배낭과 우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우산이 겸비된 배낭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낭(100) 배면에 구비되는 고정대(110) 상단에, 우산(2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원형태의 원형판(210)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 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구(120)에 우산(200)이 일정각도 회동 되어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123)를 구비하고, 상기 우산(200)의 우산살(220) 중 적어도 2곳의 선택되는 우산살(220)에 고리(222)를 갖는 탄성줄(221)을 형성하여, 상기 고리(222)와 사용자의 허리벨트 또는 배낭(100)에 구비되는 허리밴드(130)에 체결하여 상기 우산(200)이 일정 방향으로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어깨끈을 갖는 배낭에 있어서,
상기 우산(200)의 원형판(210)과 대응되는 원형태의 고정판(121)을 갖는 고정구(120)가 상기 고정대(110)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121)과 상기 원형판(210)은 조임구(122)에 의해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우산이 겸비된 배낭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배낭을 짊어진 상태에서 등산이나 또는 도보시 갑작스럽게 비가 오는 등 우천 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배낭에 매달린 우산을 펼쳐 일정각도로 회동시켜 고정 시키고, 우산살에 구비되어 있는 탄성줄을 이용하여 배낭에 구비되어 있는 허리밴드나 또는 사용자의 바지에 착용하고 있는 허리띠 등에 결합하여 우산이 바람에 뒤로 젖혀지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비를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도록 하고 비가 그친 후에는 우산을 접어 배낭에 매달린 상태로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여, 등산 및 도보 등과 같은 운동시 우산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배낭과 우산이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배낭에 우산이 접목된 상태에서 우산의 회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배낭과 우산의 결합 부분을 분리도시한 부분 확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배낭과 우산의 결합 부분의 다른 예를 분리 도시한 부분 확대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배낭과 우산의 결합 부분에서 또 다른 예를 분리 도시한 부분 확대 분리 사시도
도 6은 우산의 살 부분에 탄성줄을 구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탄성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배낭을 착용한 다음 우산을 펼친 상태에서 상기 탄성줄의 단부측 고리부분을 배낭의 허리밴드측에 결합한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서 보듯이 우산과 배낭을 결합하여 우산이 겸비되는 배낭을 제공하므로서, 우천시에 편리하게 우산을 사용하고 비가 그칠 경우 우산을 접어 배낭에 매달린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우천시 우산의 편리한 활용성 제공과 비가 그친 후 우산의 분실을 방지토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현을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배낭(100)의 배면(사용자에서 보면 사용자의 등과 접하지 않는 곳으로 배낭의 안쪽면)에 고정대(110)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110) 상단에 우산(200)의 형성되는 원형태의 원형판(210)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 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구(1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고정대(110)는 배낭(100)의 전면측에 견고하게 고정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재질은 합성수지류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한 고정대(100)의 내부로부터 상방측으로는 고정구(120)가 내입 고정되도록 하고, 그 고정구(120)의 상단측으로 우산(2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원형태의 원형판(2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서, 고정구(12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조의 고정판(121)을 대향 형성하고, 그 고정판(121)의 중앙을 가로지르며 조이거나 풀림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임구(122)를 형성하였다.
아울러, 상기한 고정판(121) 사이에는 우산(2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원형태의 원형판(210)이 삽입되어 상기 조임구(122)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우산(200)의 하단부측에 형성되는 원형판(210)과 배낭(100)에 형성되는 고정대(110)의 고정구(120)간 결합 상태에 따라 각각의 실시형태가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구(120)의 상단측으로 상호 대향되는 2 개의 고정판(121)을 형성하고, 그 형성되는 2개의 고정판(121) 사이에 우산(200)의 하단부측으로 이루어지는 원형판(210)이 삽입된 후, 이 고정판(121)과 원형판(210)을 관통하며 조이거나, 또는 풀림 작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우산(200)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우산(200)이 전방향측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면 더 이상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구(120)의 고정판(121) 어느 일측에 스토퍼(123)을 내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일체 형성하여 우산(200)의 하단부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스토퍼(123)의 지지와 더불어 고정판(121)과 원형판(210)을 조임구(122)에 의해 조여지도록 하여, 우산(200)이 비나 바람에 의해 강제 회동되지 않으면서도 쉽게 앞이나 뒤로 제껴지는 현상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였다.
한편, 이와는 달리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고정판(121)을 한조로 구성하지 않고, 하나의 고정판(121)과 이에 대응되는 원형판(210)의 결합에 의해 우산(200)의 회동각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우산(200)의 원형판(210)과 대응되는 원형태의 고정판(121)을 갖는 고정구(120)가 상기 고정대(110)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121)에 상기 우산(200)이 일정각도 회동 되어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123)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판(121)과 우산(200) 하단부 형성되는 원형태의 원형판(210)은 조임구(122)에 의해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우산(200)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원형판(210)과 대응되는 고정판(121)이 상호 접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고정판(121)은 고정구(120)의 단부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정구(120)는 배낭(100)의 고정대(110) 내부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원형판(210)과 고정판(121)이 상호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며 그 중앙을 관통하는 조임구(122)에 의해 풀려지거나 조여지도록 하게 된다.
이때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판(121)의 적정 위치에 스토퍼(123)를 구비하여 상기 우산(200)의 하단부측이 일정각 회동될 때 더 이상의 회동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스토퍼(123)만으로의 회동 제어보다는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판(210) 내측면과 대응되는 고정판(121)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돌부(a)와 결합요홈(b)을 형성하여 우산(200)의 기울임 각도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조임구(122)를 풀러 우산(200)이 전후로 회동 가능하도록 한 상태에서 일정각 우산(200)을 회동시켜 적정 위치에 오게 되면 재차 조임구(122)를 조여주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원형판(210) 및 고정판(12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돌부(a)와 결합요홈(b)이 각각 결합되며 긴밀하게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임구(122)를 조여주게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에 의해 원형판(210)은 고정판(121)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여 회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원형판(210)과 일체로 이루어지는 우산(200) 또한 회동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우산(200)이 기울어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우산(200)을 사용하게 되면 주변 여건이나 날씨 즉 바람의 세기 정도 등에 따라 상기한 원형판(210)과 고정판(121) 및 스토퍼(123) 등의 역할이 미약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우산(200)의 우산살(220) 중 적어도 2곳의 선택되는 우산살(220)에 단부측에 고리(222)를 갖는 탄성줄(221)을 형성하여, 상기 고리(222)와 사용자의 허리벨트 또는 배낭(100)에 구비되는 허리밴드(130)에 체결하여 상기 우산(200)이 일정 방향으로 고정 지지되도록 하였다.
즉, 사용자는 우산(200)을 펼친 후 우산(200)의 방수포를 지지하고 있는 이른바 우산살(220) 중에서 좌우측에서 각각 탄성줄(221)을 형성하여 그 탄성줄(221)을 잡아당겨 사용자의 허리벨트 등에 그 탄성줄(221) 단부에 구비되는 고리(222) 등을 이용하여 결착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일반 배낭 이외에 등산용 배낭과 같은 경우에는 배낭(100) 하단의 좌우측에서 각각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 배낭(100)과 사용자 신체간 긴밀한 결착을 갖도록 하는 허리밴드에 상기한 탄성줄(221)의 고리(222)를 연결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할 경우, 도 7 에서 보듯이 우산(200)이 항상 사용자가 이동하는 전방측으로 일정각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우산이 겸비된 배낭(100)을 사용할 경우, 예정된 기후 또는 급작스런 변화에 의해 비가 내리게 되면, 배낭(100)의 고정구(120)에 매달려 있는 우산(200)를 회동시켜 적정 위치상에 오도록 세운 후, 우산(200) 하단부의 원형판(210)과 배낭(100)의 고정판(121)을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일정각 고정된 상태를 이용하여, 우산살(220)의 탄성줄(221)을 잡아당겨 그 탄성줄(221) 단부에 구비되는 고리(222)가 사용자의 허리띠 또는 배낭(100)의 허리밴드(130)측에 고정시키게 되면, 우산(200)이 스토퍼(123) 및 결합돌부(a), 결합요홈(b)의 상호 보완적 안정성과 함께 우산(200)이 뒤로 제껴지는 현상을 더욱 완벽히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우산(200)을 펼쳐 사용한 후 비가 오지 않을 경우에는 우산(200)을 접은 후, 조임구(122) 등을 이용하여 우산(200)과 고정대(110)의 고정구(120)간 결합 상태를 느슨하게 하여 우산(200)의 회동이 자유롭도록 한 상태에서, 배낭(100) 전면쪽으로 젖혀지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하게 되어 우산(200)의 보관 유무 등에 크게 구애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100; 배낭 110; 고정대
120; 고정구 121; 고정판
122; 조임구 123; 스토퍼
130; 허리밴드 200; 우산
210; 원형판 220; 우산살
221; 탄성줄 222; 고리
a; 결합돌부 b; 결합요홈

Claims (4)

  1. 배낭(100) 배면에 구비되는 고정대(110) 상단에, 우산(2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원형태의 원형판(210)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 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구(120)에 우산(200)이 일정각도 회동 되어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123)를 구비하고, 상기 우산(200)의 우산살(220) 중 적어도 2곳의 선택되는 우산살(220)에 고리(222)를 갖는 탄성줄(221)을 형성하여, 상기 고리(222)와 사용자의 허리벨트 또는 배낭(100)에 구비되는 허리밴드(130)에 체결하여 상기 우산(200)이 일정 방향으로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어깨끈을 갖는 배낭에 있어서,
    상기 우산(200)의 원형판(210)과 대응되는 원형태의 고정판(121)을 갖는 고정구(120)가 상기 고정대(110)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121)과 상기 원형판(210)은 조임구(122)에 의해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우산이 겸비된 배낭.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20010224U 2012-11-09 2012-11-09 우산이 겸비된 배낭 KR200473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224U KR200473050Y1 (ko) 2012-11-09 2012-11-09 우산이 겸비된 배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224U KR200473050Y1 (ko) 2012-11-09 2012-11-09 우산이 겸비된 배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931U KR20140002931U (ko) 2014-05-19
KR200473050Y1 true KR200473050Y1 (ko) 2014-06-05

Family

ID=51489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224U KR200473050Y1 (ko) 2012-11-09 2012-11-09 우산이 겸비된 배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0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540A1 (ko) * 2014-10-27 2016-05-06 주식회사 서준 우산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505Y1 (ko) 1998-11-19 2001-02-01 설명 배낭의 우산겸용 양산장치
KR200263368Y1 (ko) * 2001-06-20 2002-02-04 (주)햇님토이 유모차의 양산장치
KR200362038Y1 (ko) * 2004-06-26 2004-09-16 윤창기 자전거용 우산
KR20060021736A (ko) * 2004-09-04 2006-03-08 주식회사 동방테크라인 자전거용 우산 조종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505Y1 (ko) 1998-11-19 2001-02-01 설명 배낭의 우산겸용 양산장치
KR200263368Y1 (ko) * 2001-06-20 2002-02-04 (주)햇님토이 유모차의 양산장치
KR200362038Y1 (ko) * 2004-06-26 2004-09-16 윤창기 자전거용 우산
KR20060021736A (ko) * 2004-09-04 2006-03-08 주식회사 동방테크라인 자전거용 우산 조종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540A1 (ko) * 2014-10-27 2016-05-06 주식회사 서준 우산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931U (ko) 201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21417A1 (en) Convertible pants
US6866173B2 (en) Backpack for carrying an umbrella and/or child hands free
US10219586B2 (en) Multifunctional strap with fastener having concealed tool bits
US9907369B2 (en) Adjustable carrying pack
JP2019500137A (ja) 娯楽用及び特殊なフットウェアを持ち運ぶためのシステム
KR101644026B1 (ko) 우산 내장형 배낭
US20100252592A1 (en) Sandal/footwear carrying device
KR200473050Y1 (ko) 우산이 겸비된 배낭
US20110315285A1 (en) Configurable purse to be worn around a leg, sustained at a waist belt or hanging from a shoulder strap
US9814961B2 (en) Collapsible snowshoes and methods thereof
US20050072825A1 (en) Modular pack system with accessory couplers
CN110881719A (zh) 一种穿戴收纳环形支架雨衣
CN213908985U (zh) 功能性双肩减重背带支撑架
JP2018051316A (ja) リュック用補助具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450000B1 (ko) 배낭의 허리 밴드 체결구조
CN110693182A (zh) 功能性双肩减重背带支撑架
US20180093163A1 (en) Collapsible snowshoes and methods thereof
KR101440279B1 (ko)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CN211794389U (zh) 一种穿戴收纳环形支架雨衣
KR200488260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
KR20120000462U (ko) 등산용 가방의 허리벨트 구조
JP4105743B2 (ja) 傘ささえ袋付ショルダーバック
JP3202497U (ja) 着物の衣紋位置を固定する着付け用小物。
TWM502368U (zh) 穿戴式傘具
KR100453144B1 (ko) 모자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