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260Y1 -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260Y1
KR200488260Y1 KR2020170004721U KR20170004721U KR200488260Y1 KR 200488260 Y1 KR200488260 Y1 KR 200488260Y1 KR 2020170004721 U KR2020170004721 U KR 2020170004721U KR 20170004721 U KR20170004721 U KR 20170004721U KR 200488260 Y1 KR200488260 Y1 KR 200488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astening
length
st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정
Original Assignee
정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정 filed Critical 정희정
Priority to KR2020170004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2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2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이루는 가방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양측단이 서로 대향하도록 접히는 접이부 및 상기 접이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에 체결되어 길이의 변위가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체결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끈부를 포함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BAG ADJUST LENGTH OF A STRING}
본 고안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방 몸체의 상부 양측에 결합된 고리부를 끈부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에 결합시켜 끈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사용자가 외출시 여러주변 물건이나 지갑, 수첩 및 화장품등을 넣어 휴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가방에 손잡이와 물품을 수납 및 수거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멋으로도 가방을 이용하고 있고, 이러한 사용자의 구매요구에 맞추어 다양한 디자인 및 기능을 하는 가방이 제작되었다.
이와 같이 상기 가방은 여러 가지 형태의 구조로 된 가방이 있으며 그 구조를 살펴보면, 가방에 끈을 구비하여 어깨에 메고 다는 가방과, 가방에 손잡이를 구비하여 손에 들고다니는 가방과, 가방를 어깨에 멜 수 있도록 멜빵으로 이루어지 가방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어깨에 메는 가방을 구입하면 다른 기능을 하는 가방을 새로 구입해야함으로, 사용자 구입비용의 상승으로 인한 비경제적인 문제점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 출원번호 제 94-001365호에 선출원된바 상기 선행 기술의 구성을 살펴보면, 가방본체에 한쪽 어깨에 메는 형태의 기능, 손으로 들고 다니는 형태의 기능 및 양쪽 어깨에 메는 배낭형태의 기능을 하도록 다수개의 지퍼가 부착되고, 밸트를 결착시키는 다수개의 밸트 결착부로 이루어진 구성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은 여러 가지 편리한 기능을 할 수는 있으나, 가방을 한쪽 어깨에 메는 형태의 기능을 위해서는 다수개의 밸트 결착부와 결착될 수 있는 결착구가 구비된 어깨밸트를 사용하고, 가방을 손으로 들고 다니는 형태의 기능을 위해서는 가방본체에 지퍼를 이용하여 별도 제작된 손잡이를 부착하여 사용하며, 양쪽 어깨에 메는 배낭형태의 기능을 위해서는 또 다른 다수개의 밸트 결착부를 구비하고, 이 밸트 결착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방본체에 밸트 고정부를 부착하여 사용됨으로, 사용기능에 따라 다수개의 지퍼 및 밸트 결착부가 필요되고, 이로인해 가방의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또한 제조공정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가방의 가격이 상승하며, 또한, 가방본체에 다수개 지퍼 및 밸트 결착부를 부착시킴으로 가방의 외관 디지인이 미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방 몸체의 상부 양측에 결합된 'T'자형 체결고리로 이루어진 고리부를 끈부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에 결합시킴에 따라 가방끈의 길이가 가변되는 새로운 구조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이루는 가방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양측단이 서로 대향하도록 접히는 접이부 및 상기 접이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에 체결되어 길이의 변위가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체결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끈부를 포함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관통구에 체결되는 체결리벳, 상기 체결리벳에 연결되고 링부, 상기 링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와이어부 및 상기 와이어부의 말단에 'T'자형으로 형성된 체결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에 있어서, 상기 체결리벳은 미리 정해진 크기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각각 내측면 중심으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만큼 일체로 연장 형성된 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은 끈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홀에 "T"자형 체결고리로 이루어진 고리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용이하게 가방끈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은 다양한 색상의 끈부를 구비함으로써, 독특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사용자의 개성을 충족시켜 만족감을 높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의 결합부 및 고리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의 끈부의 길이가 가변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의 결합부 및 고리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의 끈부의 길이가 가변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10)은 몸체부(100), 결합부(200), 고리부(300) 및 끈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이루는 가방 몸체부(100), 몸체부의 상부 양측단이 서로 대향하도록 접히는 접이부 및 접이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결합부(200), 결합부와 연결되는 고리부(300) 및 고리부에 체결되어 길이의 변위가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체결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끈부(4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이루도록 일정크기로 형성되며, 가죽, 면 또는 직물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00)는 후술하는 끈부(400)와 결합하여 어깨에 멜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결합부(200)는 몸체부(100)의 상부 양측단이 서로 대향하도록 접히는 접이부(210) 및 접이부(210)를 관통하는 관통구(2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접이부(210)는 몸체부(100)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양측단이 접혀지도록 형성되고, 접혀지는 시접만큼 몸체부(100)의 확장이 가능하다.
관통구(220)는 접이부(210)를 관통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축부(312)가 삽입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구(220)는 고리부(300)와 연결되는 경우 헤지거나 파손될 우려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구(220)의 둘레를 따라 금속소재의 링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부(200)는 끈부(400)를 몸체부(100)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형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몸체부(100)의 상부에 부착된다.
고리부(300)는 결합부(200)와 연결되는 것으로 결합부(200) 뿐만 아니라 끈부(400)와 연결된다. 즉, 고리부(300)는 몸체부(100)와 끈부(400)를 연결시켜주도록 하여 사용자가 어깨에 멜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해준다. 이를 위해, 고리부(300)는 체결리벳(310), 링부(320), 와이어부(330) 및 체결고리(34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체결리벳(310)은 관통구(220)에 체결되는 것으로, 한 쌍의 지지판(311) 및 축부(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한 쌍의 지지판(311)은 미리 정해진 크기의 직경을 가지며 관통구(220)의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지지판(311)은 관통구(220)의 지름보다 넓은 크기의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일정 두께로 형성된다. 그리고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판(311)은 접이부(210)가 축부(31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축부(312)는 지지판(311)의 각각 내측면 중심으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만큼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즉, 축부(312)는 한 쌍의 지지판(311)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고, 이를 서로 연결해주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축부(312)는 접이부(210)가 소정거리만큼 유격을 가지며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다시 설명하면, 축부(312)는 몸체부(100)의 상부를 개방하여 물품을 수납하는 경우, 몸체부(100)의 상부를 확장시켜 개방시키도록 접이부(210)가 축부(312)의 길이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레일 역할을 한다.
링부(320)는 체결리벳(310)에 연결되는 것으로, 축부(312)와 결합되도록 내경이 축부(31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부(330)는 링부(320)의 일측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와이어부(330)는 체결고리(340)를 끈부(400)와 체결시키는 경우, 몸체부(100)의 상부와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 시켜준다.
또한 와이어부(330)는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쇠사슬 형태로도 제작되어 사용자의 패션감각을 돋보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고리(340)는 와이어부(330)의 말단에 'T'자형으로 형성된다. 즉, 체결고리(340)는 후술하는 끈부(400)에 체결되는 것으로, 끈부(400)가 가방 몸체부(100)와 결합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체결고리(340)는 'T'자형을 이루어 끈부(400)에 형성된 체결홀(410)에 삽입되도록 체결된다. 또한, 비록 여기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체결고리(340)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카라비너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끈부(400)는 고리부(300)에 체결되어 길이의 변위가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체결홀(410)을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즉, 끈부(4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체결홀(410)이 형성되어 가방 몸체부(100)의 상부 양측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가방을 멜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체결홀(410)은 끈부(400)를 관통하는 홀 형상이 끈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홀(410)은 체결고리(340)와 체결됨으로써, 끈부(400)의 길이가 가변되는 역할을 한다.
이하, 각 구성을 통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10)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을 멜 수 있도록 끈부(400)가 가방 몸체부(100)의 상부 양측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끈부(40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몸체부(100)의 일측에 연결된 고리부(300)와 끈부(400)를 분리한 이후, 고리부(300)를 끈부(400)에 형성된 체결홀(410) 중 끈부(400)의 말단에서 중앙부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홀(410)과 체결시킨다. 그리고 몸체부(100)의 타측에 연결된 고리부(300)를 전술한 바와 같이 끈부(400)와 분리한 이후 끈부(400)에 형성된 체결홀(410)과 체결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방 몸체부(100)의 양측에 연결된 고리부(300)와 체결된 끈부(40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먼저, 고리부(300)를 이루는 체결고리(340)중 일측의 체결고리(340)와 체결된 체결홀(410)을 분리시킨다. 그리고 체결고리(340)를 끈부(400)의 말단에서 중앙부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홀(410)과 체결시킨다. 이때, 체결고리(340)는 'T'자형상이므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체결홀(410)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사용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잡고 일정각도로 회전 시킨 이후, 체결홀(410)에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체결고리(340)가 체결홀(410)에 삽입되어 체결되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체결홀(4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홀(410)의 지름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몸체부(100)의 타측에 연결된 체결고리(3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홀(410)에 체결시키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끈부(400)의 색상을 다양하게 구비하도록 하여 독특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사용자의 개성을 충족시켜 만족감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
100 : 몸체부
200 : 결합부
210 : 접이부
220 : 관통구
300 : 고리부
310 : 체결리벳
311 : 한 쌍의 지지판
312 : 축부
320 : 링부
330 : 와이어부
340 : 체결고리
400 : 끈부
410 : 체결홀

Claims (3)

  1.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이루는 가방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양측단이 서로 대향하도록 접히는 접이부 및 상기 접이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관통구에 체결되는 체결리벳, 상기 체결리벳에 연결되는 링부, 상기 링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와이어부 및 상기 와이어부의 말단에 'T'자형으로 형성된 체결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에 체결되어 길이의 변위가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체결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끈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리벳은
    미리 정해진 크기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각각 내측면 중심으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만큼 일체로 연장 형성된 축부;를 포함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
  2. 삭제
  3. 삭제
KR2020170004721U 2017-09-06 2017-09-06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 KR200488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21U KR200488260Y1 (ko) 2017-09-06 2017-09-06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21U KR200488260Y1 (ko) 2017-09-06 2017-09-06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260Y1 true KR200488260Y1 (ko) 2019-01-03

Family

ID=65012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721U KR200488260Y1 (ko) 2017-09-06 2017-09-06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26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647Y1 (ko) * 2006-08-24 2006-11-23 강재대 걸림핀이 포함된 가방끈 결합구조를 갖는 가방
JP3140678U (ja) * 2008-01-25 2008-04-03 株式会社協和 ショルダーバッグ
KR101476719B1 (ko) * 2013-12-24 2014-12-29 조동주 변형 가능한 형상을 가진 가방
KR101609979B1 (ko) * 2015-02-26 2016-04-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에코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647Y1 (ko) * 2006-08-24 2006-11-23 강재대 걸림핀이 포함된 가방끈 결합구조를 갖는 가방
JP3140678U (ja) * 2008-01-25 2008-04-03 株式会社協和 ショルダーバッグ
KR101476719B1 (ko) * 2013-12-24 2014-12-29 조동주 변형 가능한 형상을 가진 가방
KR101609979B1 (ko) * 2015-02-26 2016-04-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에코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9175B1 (en) Child's knapsack harness and method of use therefor
US8267289B2 (en) Wearable wallet
US9247838B2 (en) Collapsible clothes and article hanger
US9826817B2 (en) Convertible, self adjusting, multimodal strap system for carrying bags and packs
US8746523B1 (en) Two way convertible shoulder strap construction
US9737122B1 (en) Convertible backpack handbag
KR101319665B1 (ko) 스트랩 고정 배열을 구비하는 슬링 백
US20170280793A1 (en) Convertible garment bag
US5975392A (en) Backpack with harness for toy figure
JPH08117026A (ja) 背負い具用ひも及び背負い具
US20040206430A1 (en) Bag with adjustable carrying strap
KR200488260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끈이 부착된 가방
JP4941857B2 (ja) 肩掛けと背負いの両方の機能を有するバッグ
US9492026B2 (en) Adjustable outfit hanger
JP2009275307A (ja) リュックサック兼用ジャンパーおよびジャンパーを転用したリュックサック
JP6850710B2 (ja) リュック用補助具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495703B1 (ko) 여행용 가방
KR200463562Y1 (ko) 가방끈 체결 다변형 가방
US20100237113A1 (en) Money belt
TWM559629U (zh) 扣具裝置
JP3175195U (ja) 多形態バッグ
JP5229676B1 (ja) 鞄用ベルト及びその鞄用ベルトを備えた鞄
US20060226190A1 (en) Hope walking pouch
JP7344753B2 (ja) カップホルダー
KR100662020B1 (ko) 다리에 메는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