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885Y1 - 이동식 튀김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튀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885Y1
KR200450885Y1 KR2020100004137U KR20100004137U KR200450885Y1 KR 200450885 Y1 KR200450885 Y1 KR 200450885Y1 KR 2020100004137 U KR2020100004137 U KR 2020100004137U KR 20100004137 U KR20100004137 U KR 20100004137U KR 200450885 Y1 KR200450885 Y1 KR 2004508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oil
frying
opening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원
Original Assignee
이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원 filed Critical 이창원
Priority to KR2020100004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8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8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8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19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lowering or raising the frying bask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튀김조리 설비가 차량 내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이동되는 차량 내에서도 튀김조리가 가능하며, 튀김조리가 진행되는 전 과정이 전자동으로 진행됨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운행을 멈추고 튀김조리 과정에 관여할 필요가 없으며, 배달요청이 들어오는 즉시 튀김조리를 시작하면서 배달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어 신선한 튀김요리를 신속하게 배달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튀김기는 하측에는 튀김용 유류의 수용이 가능한 조리부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밀폐가능한 격벽부가 구비되는 튀김기 본체와, 상기 조리부 하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유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조리부 및 격벽부 사이에 구비되어 양측을 기밀하게 구획하되, 내측에는 상기 조리부측과 연통가능하도록 상방향 개폐되는 개폐도어가 구비되는 구획수단과, 상기 격벽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설정된 셋팅에 따라 권취된 와이어를 상기 개폐도어 내측의 유류를 항해 수직하강 및 수직상승 시키는 제어수단과,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작동 여부에 따라 개방된 개폐도어를 통해 상기 유류 내로 입유되며, 내측에는 튀겨질 음식물이 수용되는 튀김망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튀김기{PORTABLE TYPE FRYING EQUPMENT}
본 고안은 이동식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튀김조리 설비가 차량 내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이동되는 차량 내에서도 튀김조리가 가능하며, 튀김조리가 진행되는 전 과정이 전자동으로 진행됨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운행을 멈추고 튀김조리 과정에 관여할 필요가 없으며, 배달요청이 들어오는 즉시 튀김조리를 시작하면서 배달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어 신선한 튀김요리를 신속하게 배달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라이드치킨과 같은 튀김조리에는 가열수단, 튀김용 용기, 식용유류등이 사용되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유류내에 튀겨질 음식물을 입유시켜 조리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또한, 종래에는 차량에서 튀김조리가 가능한 설비도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설비는 필요한 장소에 차량을 주차시킨 상태에서 조리하는 것이지, 이동하는 차량내에서 조리하는 것은 가열수단 및 가열된 유류로 인한 안전사고가 염려되는 실정이었다.
또한, 후라이드치킨의 경우 배달음식으로서 인기가 높지만, 배달하는 과정에서 튀겨진 음식물이 식어 소비자가 가장 맛있는 상태의 음식물을 접하기 어려운 아쉬움이 있어왔다.
따라서 고안의 목적은 튀김조리 설비가 차량 내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이동되는 차량 내에서도 튀김조리가 가능한 이동식 튀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튀김조리가 진행되는 전 과정이 전자동으로 진행됨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운행을 멈추고 튀김조리 과정에 관여할 필요가 없는 이동식 튀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달요청이 들어오는 즉시 튀김조리를 시작하면서 배달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어 신선한 튀김요리를 신속하게 배달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튀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하측에는 튀김용 유류의 수용이 가능한 조리부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밀폐가능한 격벽부가 구비되는 튀김기 본체와, 상기 조리부 하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유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조리부 및 격벽부 사이에 구비되어 양측을 기밀하게 구획하되, 내측에는 상기 조리부측과 연통가능하도록 상방향 개폐되는 개폐도어가 구비되는 구획수단과, 상기 격벽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설정된 셋팅에 따라 권취된 와이어를 상기 개폐도어 내측의 유류를 항해 수직하강 및 수직상승 시키는 제어수단과,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작동 여부에 따라 개방된 개폐도어를 통해 상기 유류 내로 입유되며, 내측에는 튀겨질 음식물이 수용되는 튀김망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튀김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조리부의 일측에는 상기 가열된 유류의 열에 의해 음식물을 데울 수 있도록 착탈가능한 서랍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조리부의 타측에는 상기 가열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연기가 배기될 수 있도록 연통이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격벽부의 일측에는 개폐가능한 도어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격벽부의 타측에는 상기 격벽부 내측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환풍기가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구획수단은 상기 튀김망부재의 이동시 유입된 유류가 상기 개폐도어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도어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구배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도어의 테두리측에는 상기 튀김망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튀김망부재의 내측 하부면에는 음식물에 삽입되어 음식물을 고정하는 다수의 탐침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튀김기에 따르면, 첫째 튀김조리 설비가 차량 내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이동되는 차량 내에서도 튀김조리가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둘째 튀김조리가 진행되는 전 과정이 전자동으로 진행됨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운행을 멈추고 튀김조리 과정에 관여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셋째 배달요청이 들어오는 즉시 튀김조리를 시작하면서 배달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어 신선한 튀김요리를 신속하게 배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튀김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튀김기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튀김기의 부분 작동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튀김기의 사용상태도.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튀김기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튀김기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3a 내지 도 3d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튀김기의 부분 작동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튀김기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튀김기(1)는 하측에는 튀김용 유류의 수용이 가능한 조리부(110)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밀폐가능한 격벽부(120)가 구비되는 튀김기 본체(100)와, 조리부(110) 하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유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130)과, 조리부(110) 및 격벽부(120) 사이에 구비되어 양측을 기밀하게 구획하되, 내측에는 조리부(110)측과 연통가능하도록 상방향 개폐되는 개폐도어(141)가 구비되는 구획수단(140)과, 격벽부(1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설정된 셋팅에 따라 권취된 와이어(151)를 개폐도어(141) 내측의 유류를 항해 수직하강 및 수직상승 시키는 제어수단(150)과, 와이어(151)의 단부에 연결되어 제어수단(150)의 작동 여부에 따라 개방된 개폐도어(141)를 통해 상기 유류 내로 입유되며 내측에는 튀겨질 음식물이 수용되는 튀김망부재(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튀김기 본체(100)는 하측에는 튀김용 유류의 수용이 가능한 조리부(110)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밀폐가능한 격벽부(120)가 구비되는 것으로,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먼저 조리부(1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유류가 저장될 유류저장탱크(111)가 구비되며 이 유류저장탱크(111)는 추후에 설명될 가열수단(130), 서랍부재(113) 및 연통(115)의 설치를 위해서 전술한 조리부(110)와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그 바닥면은 차량 내부일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단 테두리측에는 차량의 바닥면과 볼팅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삽입구가 관통형성된 브래킷(도시되지 않음)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조리부(110)의 일측에는 서랍부재(113)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 서랍부재(113)는 내부에 음식을 넣어 가열된 유류의 열에 의해 음식물을 데우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서랍부재(113)에는 이미 튀겨진 후라이드치킨과 같은 음식물을 넣어 음식물이 식지않도록 할 수도 있으며, 튀겨진 음식물 외에 또 다른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하거나 차겁게 식은 음식물을 데우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조리부(110)의 타측에는 연통(115)이 구비되는데, 이 연통(115)은 추후에 설명될 가열수단(130)으로부터 발생된 연기가 배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리부(110)는 가열수단(130)의 열과 유류의 뜨거운 열기에도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격벽부(120)는 전술한 조리부(110)의 사방측과 상부면 측에 위치된 패널(121)이 상호 기밀하게 연결구비됨으로써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격벽부(120)는 내부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의 패널(121)이 사용되는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격벽부(120)의 일측에는 개폐가능한 도어부재(123)가 설치되어 튀김조리가 마무리된 음식물을 꺼낼 수 있도록 하며, 타측에는 튀김조리가 막 끝난 음식물에 외부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바삭한 식감이 살아날 수 있도록 환풍기(125)가 설치된다.
또한, 전술한 환풍기(125)는 추후에 설명될 제어수단(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조리가 마무리되어 튀김망부재(160)가 격벽부(120) 측에 위치되면 일정시간동안 자동으로 가동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유류저장탱크(111)의 직하부에는 가열수단(130)이 구비되는데, 이 가열수단(130)은 음식물을 튀길수 있도록 유류를 가열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열수단(130)은 이동식 튀김기(1) 외부에 구비된 가스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이를 원료로 발열되는 것으로 하며, 조리부(110) 일측에는 온도조절장치(117)가 설치되어 있어 불의 세기조절 및 온(on)/오프(off)의 제어도 총괄하게 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한 가열수단(130)에는 차량의 과도한 흔들림이나 사고시에 자동으로 가스를 차단함으로써 대형사고를 방지하는 가스차단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조리부(110) 및 격벽부(120) 사이에는 구획수단(140)이 구비되는데, 이 구획수단(140)은 양측을 기밀하게 구획함으로써 유류저장탱크(111) 내의 유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측에는 조리부(110) 측과 연통가능하도록 상방향 개폐되는 개폐도어(141)가 구비된다.
이 개폐도어(141)를 개방해 튀김조리될 음식물이 유류측으로 이동시킬수 있게 되고, 튀김조리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개폐도어(141)를 폐쇄해 유류가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되며, 튀김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다시 개폐도어(141)를 개방해 음식물을 꺼낼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개폐도어(141)의 개방 및 폐쇄는 추후에 설명될 제어수단(150)을 통해 튀김망부재(160)가 이동될 시에 이와 연동하여 진행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구획수단(140)은 튀김망부재(160)의 이동시 유입된 유류가 개폐도어(141)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개폐도어(141)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구배가 형성되며, 개폐도어(141)의 테두리측에는 튀김망부재(16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43)가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격벽부(120)의 상부에는 제어수단(150)이 구비되는데, 이 제어수단(150)은 설정된 셋팅에 따라 권취된 와이어(151)를 개폐도어(141) 내측의 유류를 항해 수직하강 및 수직상승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 제어수단(150)의 내측에는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와이어(151)가 권취된 롤러와, 이 롤러의 중심축과 그 구동축이 연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모터가 구비되며, 모터의 회전방향 제어에 따라 와이어(151)를 권취하거나 풀어주게 된다.
그런데 제어수단(150)에는 조리시간이 미리 셋팅되어 있어, 와이어(151)를 풀어 음식물을 유류 내로 입유하게되면, 시간이 카운팅되고 조리시간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와이어(151)를 권취해 음식물을 꺼내게 된다.
이때, 전술한바와 같이 개폐도어(141)의 개방 및 폐쇄 역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수단(150)으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받아 자동으로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수단(150) 및 개폐도어(141)의 작동이 전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와이어(151)의 단부에는 튀김망부재(160)가 연결 구비되는데, 이 튀김망부재(160)는 내측에 튀겨질 음식이 수용되며 제어수단(150)의 작동 여부에 따라 개방된 개폐도어(141)를 통해 유류 내로 입유됨으로써 음식물을 튀겨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튀김망부재(160)는 고온의 유류 내에서 견딜 수 있으며 격자구조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내측 하부면에는 음식물에 삽입되어 음식물을 고정하는 다수의 탐침부재(161)가 돌출 형성된다.
예를들어, 닭을 튀김조리 하기 위해서 튀김망부재(160) 내측에 구비된 탐침부재(161)에 조각난 생닭을 관통시켜 고정하는데, 탐침부재(161)가 해당 부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위치되어있어 다리부위나 가슴부위 같이 상대적으로 완전히 조리도는데 시간이 더 걸리는 부위에는 보다 신속한 조리를 위해 많은 수의 탐침부재(161)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닭을 튀김조리하기 위해 부위별로 조각난 생닭을 탐침부재(161)에 각각 끼워 고정시키는데, 이때 탐침부재(161)가 각각의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 다리부위 형상으로 돌출된 탐침부재(161)에는 다리부위를 고정시키고 날개부위 형상으로 돌출된 탐침부재(161)에는 날개부위를 고정시킨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튀김기(1)에서는 사용자가 조리된 상태에 따라 음식물을 꺼낼 수 없는 바, 비교적 조리시간이 더 소요되는 다리부위나 가슴부위에는 유류가 효과적으로 침투될 수 있도록 보다 많은 탐침부재(161)가 구비되도록 하여 각각의 부위가 동일한 시간내에서도 완벽한 튀김조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튀김망부재(160)의 상부 일측은 음식물을 넣고 꺼낼 수 있도록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하되, 별도의 덮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와이어(151)와 튀김망부재(160)의 연결은 상호 고정 연결될 수도 있고, 와이어(151) 단부측에 클립부재(153)가 구비되도록 해 와이어(151)에 튀김망부재(160)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할수도 있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튀김기(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닭튀김 주문을 받은 사용자는 차량 내부 일측에 고정설치된 이동식 튀김기(1)의 온도조절장치(117)를 통해 가열수단(130)이 유류저장탱크(111) 내의 유류가 가열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부위별로 조각난 생닭을 튀김망부재(160) 내의 탐침부재(161)에 고정시키는데, 해당부위 형상으로 돌출된 탐침부재(161)에 대응되도록 고정해 준다.
그런 다음, 생닭이 수용된 튀김망부재(160)를 클립부재(153)를 통해 와이어(151)에 연결해 주고, 제어수단(150)에 미리 셋팅된 내용 중 닭튀김에 해당하는 메뉴를 설정한다.
이때, 제어수단(150)은 권취된 와이어(151)를 풀어 튀김망부재(160)를 유류측으로 수직하강시키며, 동시에 제어수단(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획수단(140)의 개폐도어(141)가 개방된다.
개방된 개폐도어(141)를 통과한 튀김망부재(160)는 유류로 입유되어 튀김조리를 시작하며, 동시에 개방된 개폐도어(141)가 자동으로 폐쇄되어 차량 운행중에도 유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배달 목적지로 차량을 이동시키는데, 이때 튀김조리가 진행되는 동안 발생되는 연기는 연통(115)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또한 조리부(110)의 일측에는 서랍부재(113)가 구비되어 있어 이 내부에 미리 튀김조리된 닭튀김을 넣어 유류의 열에 의해 이 닭튀김이 식지않도록 해준다
차량이 이동되는 시간동안 튀김조리가 마무리되면, 먼저 개폐도어(141)를 개방하고 와이어(151)를 권취해 튀김망부재(160)를 유류 내에서 끌어올리는데 튀김망부재(160)가 개방된 개폐도어(141)를 통과해 격벽부(120) 내에 위치하게 되면 다시 개방된 개폐도어(141)를 자동으로 폐쇄한다.
그런 다음, 제어수단(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환풍기(125)가 일정시간동안 작동해 튀겨진 음식물을 외부공기와 접촉시킴으로써 바삭한 식감이 살아나게 된다.
배달위치에 차량이 도착하면, 사용자는 격벽부(120)의 도어부재(123)를 열어 튀김망부재(160)를 와이어(151)로부터 분리한 다음, 튀김조리가 완료된 닭튀김을 꺼내어 별도의 포장용기에 담아 배달을 완료한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이동식 튀김기 100 : 튀김기 본체
110 : 조리부 111 : 유류저장탱크
113 : 서랍부재 115 : 연통
117 : 온도조절장치 120 : 격벽부
121 : 패널 123 : 도어부재
125 : 환풍기 130 : 가열수단
140 : 구획수단 141 : 개폐도어
143 : 가이드부재 150 : 제어수단
151 : 와이어 153 : 클립부재
160 : 튀김망부재 161 : 탐침부재

Claims (5)

  1. 하측에는 튀김용 유류의 수용이 가능한 조리부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밀폐가능한 격벽부가 구비되는 튀김기 본체;
    상기 조리부 하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유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조리부 및 격벽부 사이에 구비되어 양측을 기밀하게 구획하되, 내측에는 상기 조리부측과 연통가능하도록 상방향 개폐되는 개폐도어가 구비되는 구획수단;
    상기 격벽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설정된 셋팅에 따라 권취된 와이어를 상기 개폐도어 내측의 유류를 항해 수직하강 및 수직상승 시키는 제어수단; 및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작동 여부에 따라 개방된 개폐도어를 통해 상기 유류 내로 입유되며, 내측에는 튀겨질 음식물이 수용되는 튀김망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리부의 일측에는 상기 가열된 유류의 열에 의해 음식물을 데울 수 있도록 착탈가능한 서랍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조리부의 타측에는 상기 가열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연기가 배기될 수 있도록 연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튀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의 일측에는 개폐가능한 도어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격벽부의 타측에는 상기 격벽부 내측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환풍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튀김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수단은 상기 튀김망부재의 이동시 유입된 유류가 상기 개폐도어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도어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구배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도어의 테두리측에는 상기 튀김망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튀김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튀김망부재의 내측 하부면에는 음식물에 삽입되어 음식물을 고정하는 다수의 탐침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튀김기.
  5. 삭제
KR2020100004137U 2010-04-20 2010-04-20 이동식 튀김기 KR2004508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137U KR200450885Y1 (ko) 2010-04-20 2010-04-20 이동식 튀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137U KR200450885Y1 (ko) 2010-04-20 2010-04-20 이동식 튀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885Y1 true KR200450885Y1 (ko) 2010-11-08

Family

ID=4447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137U KR200450885Y1 (ko) 2010-04-20 2010-04-20 이동식 튀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8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996Y1 (ko) 2011-04-07 2013-07-16 주식회사 파세코 튀김기용 가이드 유닛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6044A (ja) 1983-03-14 1984-09-19 Sanyo Electric Co Ltd フライヤ
JP2003310448A (ja) * 2002-04-23 2003-11-05 Kunio Shibazaki フラ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6044A (ja) 1983-03-14 1984-09-19 Sanyo Electric Co Ltd フライヤ
JP2003310448A (ja) * 2002-04-23 2003-11-05 Kunio Shibazaki フライ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996Y1 (ko) 2011-04-07 2013-07-16 주식회사 파세코 튀김기용 가이드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63148B (zh) 用于烹饪食物的自动设备
US4287818A (en) Automatic fryer for breaded products
CN104138219A (zh) 烹饪设备
CN102188164B (zh) 烤管上下移动的电烤箱
CN104138224A (zh) 烹饪设备
CN104138225A (zh) 烹饪设备
CN204091765U (zh) 一种烘烤架可自动推出的新型烤箱
CN105852659B (zh) 全开式空气炸锅
KR101710701B1 (ko) 바비큐 그릴 장치
KR20180125918A (ko) 고기구이 장치
KR200450885Y1 (ko) 이동식 튀김기
KR101983863B1 (ko) 보온유지가 되어 구이용 음식물이 빠르고 균일하게 익힘이 가능한 숯불구이기
JP6129707B2 (ja) 揚げ物調理装置
KR101300863B1 (ko) 숯불 구이기
KR102348147B1 (ko) 에어 프라이어
CN205357949U (zh) 一种旋转烤炉
CN205107268U (zh) 一种微火锅
CN210697272U (zh) 一种上掀式电烤器结构
KR101493896B1 (ko)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를 구비하는 숯불 구이기
CN203354363U (zh) 无油炸锅
CN208491826U (zh) 一种具有干果制备功能的空气炸锅
KR101156632B1 (ko) 바베큐용 오븐조리기
KR20170024723A (ko) 고강도 가스통을 재활용한 타지 않는 간접화 바비큐 장치
CN217852509U (zh) 一种具有顶部煎盘的烤箱
KR20130080590A (ko)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