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874Y1 - 열충격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열충격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874Y1
KR200450874Y1 KR2020100003988U KR20100003988U KR200450874Y1 KR 200450874 Y1 KR200450874 Y1 KR 200450874Y1 KR 2020100003988 U KR2020100003988 U KR 2020100003988U KR 20100003988 U KR20100003988 U KR 20100003988U KR 200450874 Y1 KR200450874 Y1 KR 200450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temperature chamber
hot
low temperature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대석
Original Assignee
오성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에스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성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3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8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8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2Thermal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6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e.g. refractory materials, to rapid heat cha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57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stresses due to heating, e.g. conductive heating, radiative he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22Temperature
    • G01N2203/0226High temperature; He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22Temperature
    • G01N2203/0228Low temperature; Cool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충격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료에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온실 및 저온실 내의 열풍 및 냉풍의 순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고온실과, 상기 본체부 내측 상부에 고온실과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온실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실과, 수직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통공된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고온실과 열풍 공급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격벽과, 상기 제 1 격벽 상부에 고온실 내측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구를 가지는 제 1 돌출 격벽과, 상기 제 1 돌출격벽 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히터부와, 상기 열풍 공급실 내에 설치되며 상기 히터부를 통해 발생되는 열풍을 상기 고온실로 배출하는 제 1 블로워와, 상기 열풍공급실을 상하로 분리시키며 블로워로 공기를 유입하는 홀이 형성되는 제 1 분리판과, 상기 고온실과 연통되며 본체부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저온실과, 상기 본체부 내측 하부면에 저온실과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저온실로 냉풍을 공급하는 냉풍 공급실과, 수직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통공된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저온실과 냉풍 공급실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격벽과, 상기 제 2 격벽 하부에 저온실 내측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구를 가지는 제 2 돌출 격벽과, 상기 제 2 돌출격벽 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냉각부와, 상기 냉풍 공급실 내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부를 통해 발생되는 냉풍을 상기 저온실로 배출하는 제 2 블로워와, 상기 냉풍공급실을 상하로 분리시키며 블로워로 공기를 유입하는 홀이 형성되는 제 2 분리판과, 시료가 안착되며 상기 고온실과 저온실을 연통하여 상하 이동하는 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고온실 및 저온실과 열풍 공급실 및 냉풍 공급실을 분리하며 수직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통공된 배출구를 가지는 격벽을 통해 열풍 및 냉풍이 공급되어 열충격 시험을 위한 시료의 표면에 동일한 조건의 열충격이 가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료가 안착되는 랙에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시료의 크기 및 형태를 판단하여 공급되는 열풍 및 냉풍의 통기량을 조절하여 열충격 시험을 위한 시료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시료의 표면에 균일한 열충격이 가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충격 시험장치{Thermal Shock Test Chamber}
본 고안은 열충격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료로의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한 고온실 및 저온실 내의 열풍 및 냉풍의 순환구조에 관한 것이다.
열충격 시험장치는 저온에서 고온, 혹은 고온에서 저온으로의 온도 변환 시간을 매우 짧게 하면서 가열과 냉각을 반복하여 급격한 온도 변화 조건을 구현하고 그에 따른 제품의 손상 정도를 시험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열충격 시험 장치 중 2존 열충격 시험장치는 단일 챔버 내에 고온실과 저온실을 마련하고 시료를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동하며 시험하는 장치로, 좁은 공간내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2존 열충격 시험장치의 측단면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열충격 시험장치는 본체부(100)와 본체부(100)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고온실(110)과, 고온실(110)과 분리되어 본체부(100)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온실(110)과 연통하는 통기구가 형성된 열풍공급실(111)과, 열풍공급실(111) 내부에 설치되어 고온실(11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111a)와, 생성된 열풍을 고온실(110)부로 공급하는 제 1 블로워(111b)와, 본체부(100) 내측 하부에 고온실(110)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저온실(120)과, 저온실(120)과 분리되어 본체부(100) 내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저온실(120)과 연통하는 통기구가 형성된 냉풍공급실(121)과 냉풍공급실(121) 내부에는 저온실(12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121a)와, 냉각된 냉풍을 저온실(120) 내부로 배출하는 제 2 블로워(121b)와 시료가 안착되며 고온실(110)과 저온실(120)을 연통하여 상하이동하는 랙(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열충격 시험장치는 랙(130)에 시료를 안착하여 고온실(110)과 저온실(120)을 교대로 이동하여 열풍과 냉풍을 시료에 공급한다.
이때, 열풍은 열풍공급실(111)에 마련된 통기구에 의해 공급되는데 하부에 마련된 통기구를 통해 열풍이 고온실(110)내부로 배출되며 열전달된 공기는 다시 열풍공급실(111)의 상부에 마련된 통기구를 통해 히터부(111a)로 순환하여 반복적으로 공급된다.
냉풍은 열풍 공급 방식과 반대로 냉풍공급실(121) 상부에 개구된 통기구를 통해 저온실(120) 내부로 공급되며 시료에 열전달된 공기는 다시 냉풍공급실(121) 하부에 마련된 통기구를 통해 냉각부(121a)로 순환하여 반복하여 냉풍이 공급된다.
이러한 열풍 및 냉풍은 열풍공급실(111) 및 냉풍공급실(121)의 상하부에 마련된 통기구를 통해 고온실(110) 또는 저온실(120)로 공급되므로 공기의 순환구조에서 열이 시료에 충분히 미치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고온실(110)에서는 열풍이 열풍공급실(111)의 하부에 마련된 통기구에서 고온실(110)로 배출되어 시료의 하부면에 가장 많은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되어 시료 전체에 균일한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저온실(120)에서도 냉풍이 냉풍공급실(121)의 상부에 마련된 통기구를 통해 저온실(121) 내부로 배출되어 열충격 시험시 시료의 상부면에 가장 많은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되어, 고온실(110)과 동일하게 시료에 균일한 조건의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열충격 시험장치는 시료의 크기나 형태에 대한 고려없이 설계되어 시료의 표면에 동일한 조건의 열풍 및 냉풍을 공급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균일하지 못한 열풍 및 냉풍 공급방식을 극복하여 시료 표면에 동일한 조건의 공기를 공급시키는 열풍 및 냉풍 공급방식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생성된 열풍과 냉풍을 고온실과 저온실에 고르게 배출되도록 하여 시료의 전체 표면에 동일한 조건의 열충격을 가함으로써 정밀한 열충격 시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료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복수개로 구획된 각 개폐판의 개폐를 제어하여 시료의 표면에 균일한 열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고온실과, 상기 본체부 내측 상부에 고온실과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온실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실과, 수직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통공된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고온실과 열풍 공급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격벽과, 상기 제 1 격벽 상부에 고온실 내측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구를 가지는 제 1 돌출 격벽과, 상기 제 1 돌출격벽 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히터부와, 상기 열풍 공급실 내에 설치되며 상기 히터부를 통해 발생되는 열풍을 상기 고온실로 배출하는 제 1 블로워와, 상기 열풍공급실을 상하로 분리시키며 블로워로 공기를 유입하는 홀이 형성되는 제 1 분리판과, 상기 고온실과 연통되며 본체부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저온실과, 상기 본체부 내측 하부면에 저온실과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저온실로 냉풍을 공급하는 냉풍 공급실과, 수직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통공된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저온실과 냉풍 공급실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격벽과, 상기 제 2 격벽 하부에 저온실 내측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구를 가지는 제 2 돌출 격벽과, 상기 제 2 돌출격벽 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냉각부와, 상기 냉풍 공급실 내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부를 통해 발생되는 냉풍을 상기 저온실로 배출하는 제 2 블로워와, 상기 냉풍공급실을 상하로 분리시키며 블로워로 공기를 유입하는 홀이 형성되는 제 2 분리판과, 시료가 안착되며 상기 고온실과 저온실을 연통하여 상하 이동하는 랙을 포함하는 열충격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분리판은 상기 제 1 격벽 부근에 위치한 부분이 제 1 격벽에 형성된 배출구의 높이만큼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격벽 또는 제 2 격벽 후면에는 통공된 배출구의 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판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개폐판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개방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개폐판은 배출구 후면에 일정 구획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각 구획마다 독립적으로 개폐가 제어되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외측에서 내측을 향할수록 배출구 개방면적이 커지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랙에는 시료의 크기를 인식하기 위한 다수개의 감지센서가 장착되며, 감지된 시료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각 구획의 개폐판이 각기 개폐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고온실 및 저온실과 열풍 공급실 및 냉풍 공급실을 분리하며 수직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통공된 배출구를 가지는 격벽을 통해 열풍 및 냉풍이 공급되어 열충격 시험을 위한 시료의 표면에 동일한 조건의 열충격이 가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료가 안착되는 랙에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시료의 크기 및 형태를 판단하여 공급되는 열풍 및 냉풍의 통기량을 조절하여 열충격 시험을 위한 시료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시료의 표면에 균일한 열충격이 가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열충격 시험장치를 내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충격 시험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충격 시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판의 작동 구조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판의 구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판의 다른 구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크기에 따라 통기량이 제어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충격 시험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충격 시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충격 시험장치(1)는 본체부(10)와 고온실(20)과, 열풍 공급실(30)과, 제 1 격벽(40)과, 저온실(50)과, 냉풍 공급실(60)과, 제 2 격벽(70)과, 랙(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열충격 시험을 위한 고온실(20)과, 고온실(20)과 연통된 저온실(50)이 형성되며, 시료가 안착되는 랙(80)이 상기한 고온실(20)과 저온실(50)을 연통하여 상하로 이동되어 시료에 열충격을 가하게 된다.
고온실(20)은 본체부(10) 내측 상부에 형성되며 열풍 공급실(30)에서 열풍이 고온실(20) 내부로 배출된다.
열풍 공급실(30)은 본체부(10) 내측 상부측면에 고온실(20)과 분리되어 형성되며, 이때 열풍 공급실(30)과 고온실(20)은 제 1 격벽(40)을 사이로 분리 형성된다.
제 1 격벽(40)은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통공된 배출구를 가지며, 상부에서 고온실(20) 내측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고온실(20) 내부의 공기를 인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기구를 가지는 제 1 돌출 격벽(4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돌출 격벽(41) 내부 열풍 공급실(30)측에는 다수개의 히터 열선이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진 히터부(31)가 설치된다.
열풍 공급실(30)의 내부에는 히터부(31)와 본체부(10) 측면에 고정설치되며 모터(34)에 의해 작동되는 제 1 블로워(32)가 설치된다.
그리고, 열풍 공급실(30)의 내부에는 열풍 공급실(30)을 상하로 분리하는 제 1 분리판(33)이 설치되는데, 제 1 분리판(33)에는 히터부(31)에서 공급되는 열풍이 제 1 블로워(32) 측으로 유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분리판(33)은 제 1 격벽(40)에 결합시 제 1 격벽(4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배출구의 높이만큼 절곡되어 제 1 블로워(32)에서 배출되는 열풍이 열풍이 고온실(110) 내로 고르게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열풍 공급실(30) 내측 상부는 히터부(31)에 의한 열풍이 형성되며, 열풍 공급실(30)의 내측 하부는 제 1 블로워(32)를 통해 열풍이 제 1 격벽(40)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된다.
저온실(50)은 고온실(20)과 연통되며 본체부(10) 내측 하부에 형성되며 냉풍 공급실(60)에서 냉풍이 저온실(50) 내부로 공급된다.
냉풍 공급실(60)은 본체부(10) 내측 하부면에 저온실(50)과 분리되어 형성되며, 이때 냉풍 공급실(60)과 저온실(50)은 제 2 격벽(70)을 사이로 분리 형성된다.
제 2 격벽(70)은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통공된 배출구를 가지며, 하부에서 저온실(50)의 내측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저온실(50) 내부의 공기를 인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기구를 가지는 제 2 돌출 격벽(7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 2 돌출 격벽(71) 내부에는 냉각부(61)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냉풍 공급실(60) 내부에는 상기한 냉각부(61)와 본체부(10) 측면에 고정설치되며 모터(64)에 의해 작동되는 제 2 블로워(62)가 설치된다.
그리고, 냉풍 공급실(60) 내부에는 냉풍 공급실(60)을 상하로 분리하는 제 2 분리판(63)이 설치되는데, 제 2 분리판(63)에는 냉각부(61)에서 공급되는 냉풍이 제 2 블로워(62) 측으로 유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냉풍 공급실(60)의 내측 하부는 냉각부(61)에 의한 냉풍이 형성되며, 냉풍 공급실(60) 내측 상부은 제 2 블로워(62)를 통해 냉풍이 제 2 격벽(70)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된다.
랙(80)은 고온실(20)과 저온실(50)을 연통하여 상하로 이동되며, 랙(80)의 내부에는 개방된 공간으로 시료가 안착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판의 작동 구조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온실(20) 또는 저온실(50)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격벽(40) 또는 제 2 격벽(70) 후면에는 제 1 격벽(40) 또는 제 2 격벽(70)에 형성된 배출구의 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판(90)이 설치된다.
개폐판(90)은 제 1 격벽(40) 또는 제 2 격벽(70) 후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되어 배출구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부측 배출구가 하부측 배출구보다 개방 면적이 크도록 형성된다.
이는 배출구의 개방 면적이 동일할 경우 블로워(32, 6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되면서 격벽(40, 70)의 상부보다 하부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가 더 많아 공기의 고른 배출이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판의 구획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판의 다른 구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일부재의 개폐판(90)으로 통기량을 조절하지 않고, 개폐판(90)을 제 1 격벽(40) 또는 제 2 격벽(70)에 형성된 배출구에 따라 다수개로 구획하여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개폐판의 구획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면서 개폐판A(90a), 개폐판B(90b), 개폐판C(90c), 개폐판D(90d)로 나누어 구획되고 또한, 각 개폐판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격벽(40) 또는 제 2 격벽(70)에 형성된 배출구의 통기량을 조절하기 위해 외측에서 내측을 향할수록 배출구의 개방면적이 커지도록 개폐판A(90a), 개폐판B(90b), 개폐판C(90c), 개폐판D(90d)를 각각 제어하게 된다. 이는 부피가 큰 시료의 경우 시료의 모서리 부분이 중앙부에 비해 빨리 냉각 또는 가열되므로 상대적으로 열전도가 늦은 중앙부에 더 많은 열을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개폐판(90)의 구획은 상기와는 다르게 도 6에서와 같이 인접한 일정 개수의 통기구를 하나의 구획으로 다수개 구획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충격 시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열충격 시험장치(1)는 열충격 시험을 위한 시료를 랙(80)에 안착시킨 후, 랙(80)을 상하로 이동하면서 열풍 및 냉풍을 시료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에 고온실(20)에서의 열풍 공급은 제 1 돌출격벽(41)의 통기구를 통해 유입된 고온실(20)의 공기가 히터부(31)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의 열풍이 형성된다. 그리고 열풍이 제 1 분리판(33)에 형성된 홀을 통해 제 1 블로워(32)로 인입되며, 제 1 블로워(32)에서 모터(34) 동력으로 제 1 격벽(4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통기구를 통해 열풍이 고온실(20) 내부로 배출되어 시료에 열충격을 가하게 된다.
또한 저온실(50)에서의 냉풍 공급은 제 2 돌출 격벽(71)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기구를 통해 저온실(50)로부터 인입된 공기가 냉각부(61)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저온의 냉풍이 형성된다. 그리고 냉풍이 제 2 분리판(63)에 형성된 홀을 통해 제 2 블로워(62)로 인입되며, 제 2 블로워(62)에서 모터(64) 동력으로 제 2 격벽(7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통기구를 통해 냉풍이 저온실(50) 내부로 배출되어 시료에 열충격을 가하게 된다.
이때에 시료에 열충격에 적절한 온도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열풍 공급실(30) 및 냉풍 공급실(60) 내부에 온도 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열풍과 냉풍이 격벽의 수직방향을 따라 고르게 고온실(110)과 저온실(120)로 공급되므로, 종래의 열충격 시험장치에서 열풍이 고온실 내측 하부에 개방된 단일의 통기구로 공급되는 것에 비해 시료의 표면에 보다 균일하게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높이별 배출구 개방 면적 조절 외에, 시료의 크기가 큰 경우 외곽부보다 중간부에서 배출구의 개방면적을 크게 하여 열전도 차이에 따른 열적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크기에 따라 통기량이 제어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시료가 안착되는 랙(80)의 내부에 감지센서(81)를 다수개 설치하여 안착된 시료의 크기를 감지하여 감지된 설정값을 제어부(91)에 전달하여 각각 구획된 개폐판(90)을 제어하여 배출구의 개방면적을 다르게 설정하게 된다.
이는 시료의 형태 및 크기를 파악하여 시료의 내부에 충분한 열전달이 이루어지기 위해 어느 하나의 구획된 개폐판(90)은 개방면적을 크게 하고, 다른 구획의 개폐판(90)은 개방면적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센서(81)에 의해 파악된 시료의 형태가 구형상이면 각각 구획된 개폐판(90)의 개방면적을 구형상인 시료의 중심부분에 직선상으로 대응되는 개폐판(90)은 개방면적을 최대로하여 구형상인 시료 내부까지 충분한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하며 구형상인 시료의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는 개폐판(90)의 개방면적을 좀 더 작게하여 시료 내부까지 열전달을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료의 특성에 따라 열전달이 더 필요한 부분을 고려하여 각기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본체부 20 : 고온실
30 : 열풍 공급실 31 : 히터부
32 : 제 1 블로워 33 : 제 1 분리판
34, 64 : 모터 40 : 제 1 격벽
41 : 제 1 돌출 격벽 50 : 저온실
60 : 냉풍 공급실 61 : 냉각부
62 : 제 2 블로워 63 : 제 2 분리판
70 : 제 2 격벽 71 : 제 2 돌출 격벽
80 : 랙 81 : 감지센서
90 : 개폐판 91 : 제어부

Claims (6)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고온실과;
    상기 본체부 내측 상부에 고온실과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온실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실과;
    수직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통공된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고온실과 열풍 공급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격벽과;
    상기 제 1 격벽 상부에 고온실 내측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구를 가지는 제 1 돌출 격벽과;
    상기 제 1 돌출격벽 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히터부와;
    상기 열풍 공급실 내에 설치되며 상기 히터부를 통해 발생되는 열풍을 상기 고온실로 배출하는 제 1 블로워와;
    상기 열풍공급실을 상하로 분리시키며 블로워로 공기를 유입하는 홀이 형성되는 제 1 분리판과;
    상기 고온실과 연통되며 본체부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저온실과;
    상기 본체부 내측 하부면에 저온실과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저온실로 냉풍을 공급하는 냉풍 공급실과;
    수직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통공된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저온실과 냉풍 공급실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격벽과;
    상기 제 2 격벽 하부에 저온실 내측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구를 가지는 제 2 돌출 격벽과;
    상기 제 2 돌출격벽 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냉각부와;
    상기 냉풍 공급실 내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부를 통해 발생되는 냉풍을 상기 저온실로 배출하는 제 2 블로워와;
    상기 냉풍공급실을 상하로 분리시키며 블로워로 공기를 유입하는 홀이 형성되는 제 2 분리판과;
    시료가 안착되며 상기 고온실과 저온실을 연통하여 상하 이동하는 랙을; 포함하며,
    제 1 격벽 또는 제 2 격벽 후면에는 통공된 배출구의 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시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리판은 상기 제 1 격벽 부근에 위치한 부분이 제 1 격벽에 형성된 배출구의 높이만큼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시험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개방면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시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배출구 후면에 일정 구획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각 구획마다 독립적으로 개폐가 제어되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외측에서 내측을 향할수록 배출구 개방면적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시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랙에는 시료의 크기를 인식하기 위한 다수개의 감지센서가 장착되며, 감지된 시료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각 구획의 개폐판이 각기 개폐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시험장치.
KR2020100003988U 2010-04-15 2010-04-15 열충격 시험장치 KR2004508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988U KR200450874Y1 (ko) 2010-04-15 2010-04-15 열충격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988U KR200450874Y1 (ko) 2010-04-15 2010-04-15 열충격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874Y1 true KR200450874Y1 (ko) 2010-11-08

Family

ID=44479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988U KR200450874Y1 (ko) 2010-04-15 2010-04-15 열충격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87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404B1 (ko) * 2013-02-08 2014-10-15 한국기계연구원 열충격 시험 장치 및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
CN108931472A (zh) * 2017-05-29 2018-12-04 爱斯佩克株式会社 环境试验装置以及热处理装置
KR20200090567A (ko)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다행 회전식 열충격 시험 장치
WO2021248744A1 (zh) * 2020-06-10 2021-12-16 东莞市升微机电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两箱低气压冷热冲击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3559A (ja) * 2006-06-15 2007-12-27 Espec Corp 冷熱衝撃試験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3559A (ja) * 2006-06-15 2007-12-27 Espec Corp 冷熱衝撃試験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404B1 (ko) * 2013-02-08 2014-10-15 한국기계연구원 열충격 시험 장치 및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
CN108931472A (zh) * 2017-05-29 2018-12-04 爱斯佩克株式会社 环境试验装置以及热处理装置
KR20200090567A (ko)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다행 회전식 열충격 시험 장치
WO2021248744A1 (zh) * 2020-06-10 2021-12-16 东莞市升微机电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两箱低气压冷热冲击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874Y1 (ko) 열충격 시험장치
CN210520811U (zh) 烤箱
KR20060012832A (ko) 조리장치
US6658995B1 (en) Proofer
WO20140833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operational safety and effectiveness of cross-flow grain dryers
KR100762370B1 (ko) 건조기
KR101914012B1 (ko) 대용량 고품질 건조고추 생산설비
KR101738070B1 (ko) 결로현상을 이용한 초절전 건조기
KR200471445Y1 (ko) 농산물 건조기
KR101541963B1 (ko) 에너지 절감형 고추 건조기
KR101792736B1 (ko) 건조 장치
CN105004144B (zh) 一种可变容积的迭加式真空干燥恒温箱
KR100970572B1 (ko) 음식물 처리 장치
CN201571454U (zh) 多功能粮食烘干机
CN210569599U (zh) 一种便于拿取样品的电热鼓风干燥箱
KR100610669B1 (ko) 가열조리장치
KR102124262B1 (ko) 곶감 건조 시스템
KR20150019102A (ko) 반도체 검사장치
CN203550477U (zh) 热风循环烘箱
KR20120055260A (ko) 히트펌프 시스템을 이용한 건조 장치
KR200436406Y1 (ko) 고추 건조기
CN111889147A (zh) 一种高低温试验箱
CN220630979U (zh) 一种热风烘烤设备
KR200470488Y1 (ko) 농산물 건조기
CN219955877U (zh) 恒温干燥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