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404B1 - 열충격 시험 장치 및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 - Google Patents

열충격 시험 장치 및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404B1
KR101449404B1 KR1020130014259A KR20130014259A KR101449404B1 KR 101449404 B1 KR101449404 B1 KR 101449404B1 KR 1020130014259 A KR1020130014259 A KR 1020130014259A KR 20130014259 A KR20130014259 A KR 20130014259A KR 101449404 B1 KR101449404 B1 KR 101449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emperature chamber
air
chamber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1100A (ko
Inventor
강혁재
최병오
김도식
박종원
전태현
이진희
이종직
황경하
신정훈
유영철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14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404B1/ko
Publication of KR20140101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6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e.g. refractory materials, to rapid heat cha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22Temperature
    • G01N2203/0226High temperature; He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22Temperature
    • G01N2203/0228Low temperature; Cool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3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일측 및 내부 타측에 각각 저온챔버(110) 및 고온챔버(120)가 형성되는 챔버부(100);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시험체가 장착되어 상기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로 이동되는 이동부(200); 및 상기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를 연통하는 연통로(311)가 형성되는 커버(310), 상기 연통로(311)를 개방 및 폐쇄하는 도어(320)를 포함하는 도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충격 시험 장치 및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Equipment of the thermal-shock chamber and Equipment of the door of insulation part}
본 발명은 열충격 시험 장치 및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험체에 온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열충격을 주어 그 성능을 시험하는 열충격 시험 장치 및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물체에 갑작스런 가열 또는 냉각 등의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 상기 물체는 비정상적인 온도 분포를 유지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물체의 내부에는 커다란 열응력(Thermal Stress)이나 열변형(Thermal Strain)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것을 열충격(Thermal Shock)이라 한다. 이때, 열응력 또는 열변형이란 물체가 온도의 변화에 따라 팽창, 수축함으로써 발생하는 응력 또는 변형을 의미한다.
특히, 취성재료에 있어서는 그것이 흡수할 수 있는 열변형이 작기 때문에 종종 1회 또는 수회에 걸친 열응력 반복에 의해 파괴에 이르게 되는데, 이것을 열충격 파괴라고 한다.
이와 같이, 물체의 열충격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열충격 시험기(Thermal Shock Tester)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급열, 급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료의 변화를 조사할 수 있도록 된 시험장치이다.
종래기술 한국등록특허 제0819431호의 피디피 또는 티에프티엘시디 패널의 열충격 시험 장치는 폴리우레탄 단열 폼으로 형성된 박스 형태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를 2분할하도록 형성되되 면상에는 개구된 이송로가 마련된 격벽과, 상기 격벽으로 인해 구획되되 일측 및 타측 벽면에는 이송용레일 및 고온실열전대가 구비되며 상부 벽면에는 고온실용송풍팬이 부설되는 고온실과, 상기 고온실과 이웃하며 격벽으로 하여금 구획되되 일측 및 타측 벽면에는 이송용레일 및 저온실열전대가 구비되고 상부 벽면에는 저온실용송풍팬이 부설되며 저온실 일측 벽면에는 패널의 고온 잠열을 설정된 온도로 신속히 냉각시키는 한편 과급냉을 방지하도록 열충격조절부가 구비되는 저온실이 마련되어 이루어진 시험실과;
상기 시험실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이송용레일에 의해 고온실과 저온실로 이동되도록 일측 및 타측에 이송바퀴가 부설되는 한편 이송되는 측 좌,우 양단부에 단열차폐벽이 구비되는 지그프레임과, 상기 지그프레임 일측에 부설되는 패널장착용지그와, 상기 패널장착용지그의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되어 패널의 지지를 도모하도록 브라켓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패널이송장치와; 상기 패널이송장치가 고온실 및 저온실로의 이동되도록 시험실의 외벽에 설치되어 일방향 또는 타방향 이송을 도모하는 다수개의 체인스프라켓와, 상기 체인스프라켓에 연결되며 단열차폐벽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스테인레스체인와, 상기 스테인레스체인의 이송을 조장하도록 일측에 체인 및 체인기어를 갖는 구동모터가 부설되어 이루어진 이송조절부와; 상기 이송조절부를 운전하도록 형성되고, 고온실과 저온실의 고, 저온실용송풍팬, 고저온실열전대 및 저온실 열충격조절부를 통해 설정온도를 비례 제어하며 패널이 열충격으로부터 최소화되도록 형성되는 제어장치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고온실과 저온실을 분리하는 단열차폐벽이 고온실과 저온실을 왕복이동하면서 열충격을 받게 되어 그 기밀성이 점점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열충격 시험 장치 및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0819431호(2008.03.2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실과 저온실을 분리하는 구성요소의 기밀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열충격 시험 장치 및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 시험 장치(1000)는 내부 일측 및 내부 타측에 각각 저온챔버(110) 및 고온챔버(120)가 형성되는 챔버부(100);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시험체가 장착되어 상기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로 이동되는 이동부(200); 및 상기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를 연통하는 연통로(311)가 형성되는 커버(310), 상기 연통로(311)를 개방 및 폐쇄하는 도어(320)를 포함하는 도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부(300)는 상기 커버(310)의 일단에 상기 연통로(311)와 연통되는 가이드홀(312)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320)가 상기 가이드홀(312)로 삽입 및 배출되어 상기 연통로(311)를 개방 및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320)는 내부에 진공단열공간(3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320)는 일단에 상기 진공단열공간(321)과 연통되어 공기가 흡입 또는 공급되는 공기유통구(322)가 형성되며, 상기 진공단열공간(321)은 상기 공기유통구(322)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진공상태가 되거나 상기 공기유통구(322)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어 진공상태가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320)는 상기 진공단열공간(321)에 다수개의 리브(325)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부(300)는 상기 연통로(311`)가 상기 도어(320)의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부(300)는 상기 도어(320)의 일단이 연장되어 캡(330)이 형성되고, 상기 캡(330)에 결합되는 에어실린더(400)에 의해 상기 도어(320)가 삽입 및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300)에 있어서, 열충격 시험 장치의 저온챔버와 고온챔버 사이에 형성되고 저온챔버와 고온챔버를 연통하는 연통로(311)가 형성되는 커버(310), 상기 연통로(311)를 개방 및 폐쇄하는 도어(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부(300)는 상기 커버(310)의 일단에 상기 연통로(311)와 연통되는 가이드홀(312)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320)가 상기 가이드홀(312)로 삽입 및 배출되어 상기 연통로(311)를 개방 및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320)는 내부에 진공단열공간(3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320)는 일단에 공기가 흡입 및 공급되며 상기 진공단열공간(321)과 연통되는 공기유통구(322)가 형성되며, 상기 진공단열공간(321)은 상기 공기유통구(322)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진공상태가 되거나 상기 공기유통구(322)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어 진공상태가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320)는 상기 진공단열공간(321)에 다수개의 리브(325)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부(300)는 상기 연통로(311)가 상기 도어(320)의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부(300)는 상기 도어(320)의 일단이 연장되어 캡(330)이 형성되고, 상기 캡(330)에 결합되는 에어실린더(400)에 의해 상기 도어(320)가 삽입 및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 시험 장치는 도어가 저온챔버와 고온챔버로 이동되지 않게 되면서 열충격을 받지 않게 되어 기밀성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는 내부에 진공단열공간이 형성되어 저온챔버와 고온챔버를 효율적으로 단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는 일단에 진공단열공간과 연통되어 공기가 흡입 또는 공급되는 공기유통구가 형성됨으로써, 공기유통구를 통해 진공단열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진공단열공간으로 공기의 공급이 가능하여 진공단열공간의 진공상태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도어는 진공단열공간에 다수개의 리브가 형성됨으로써, 진공단열공간이 진공상태가 되어 도어가 압축된 경우, 도어가 일정 두께 이하로 압축되지 않도록 다수개의 리브가 버텨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부는 연통로가 도어의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됨으로써, 도어의 기밀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 시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 시험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부의 실시예 1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부의 실시예 2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부의 실시예 3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 시험 장치의 실시예 1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 시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 시험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 시험 장치(1000)는 챔버부(100), 이동부, 도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챔버부(100)는 내부가 중공된 박스 형태로 구성되며, 단열재 재질로 이루어지, 내부 일측 및 내부 타측에 각각 저온챔버(110) 및 고온챔버(120)가 형성된다.
저온챔버(110)는 냉기가 유입되어 저온(또는 극저온)의 환경이 조성되며, 일면에 시험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폐가 가능한 저온챔버개폐부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냉기는 저온챔버(110)의 외부에 설치된 냉각장치나 액체질소공급장치에서 제공될 수 있다.
고온챔버(120)는 온기가 유입되어 고온(또는 극고온)의 환경이 조성되며, 일면에 시험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폐가 가능한 고온챔버개폐부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온기는 고온챔버(120)의 외부에 설치된 히터에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는 서로 독립적인 개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챔버부(100)는 저온챔버온도조절기(미도시), 고온챔버온도조절기(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온챔버온도조절기는 저온챔버(110)로 냉기가 유입되는 양을 조절하여 저온챔버(110)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고온챔버(120)온도조절기는 고온챔버(120)로 온기가 유입되는 양을 조절하여 고온챔버(120)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부(200)는 챔버부(100)의 중공된 내부에 설치되며 시험체가 장착되어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로 이동되며, 체인(210), 대차(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체인(210)은 저온챔버(110)의 내부 일면과 고온챔버(120)의 내부 일면에 무한궤도 형태로 설치된다.
대차(220)는 시험체가 장착되는 플레이트(221), 상기 플레이트(221)의 하단에 설치되며 체인(210)의 외주면에 치합되는 기어바퀴(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대차(220)는 체인(210)의 내주면에 치합되는 모터(500)의 구동에 의해 고온챔버(120)와 저온챔버(110)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어부(300)는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를 분리하면서 단열하는 구성으로, 커버(310), 도어(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버(310)는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 사이에 형성되며, 중심부에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를 연통하는 연통로(311)가 형성되고, 일단에 연통로(311)와 연통되는 가이드홀(312)이 형성된다. 이 때, 연통로(311)는 이동부(200)의 대차(220)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버(310)는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가 서로 독립적인 개체로 형성될 경우,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 사이에 개재되어 밀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어(320)는 연통로(311)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단열재 재질로 이루어지며, 가이드홀(312)로 삽입 및 배출되어 연통로(311)를 개방 및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도어(320)는 연통로(311)를 폐쇄하여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를 서로 단열시키거나, 연통로(311)를 개방하여 이동부(200)가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로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어(320)는 단열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내부에 진공상태의 진공단열공간(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어(320)는 내부에 진공상태의 진공단열공간(321)이 형성된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전체면에 코팅되는 흄드 실리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흄드 실리카란, SiCl4가 가열분해되어 공기 중에서 SiO2 로 변환된 덩어리 형태의 실리카를 의미한다.
또한, 도어(320)는 커버(310)와 맞닿는 부위에 기밀을 위한 기밀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기밀부재는 고무 또는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 시험 장치(1000)는 도어(320)가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로 왕복이동되지 않고 연통로(311)를 개방 및 폐쇄하는 역할만 하게 되면서 열충격을 받지 않게 되어 도어(320)의 기밀성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320)는 내부에 진공단열공간(321)이 형성됨으로써,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를 효율적으로 단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어부(300)는 도어(320)의 삽입방향 일단이 연장되어 캡(330)이 형성되고, 캡(330)에 결합되는 에어실린더(400)에 의해 도어(320)가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다. 물론, 도어부(300)는 캡(330)에 승강장치 또는 이송장치가 결합되어 도어(320)가 삽입 및 배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부의 실시예 1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부(300)의 실시예 1은 공기유통구(322)가 더 형성된다.
공기유통구(322)는 진공단열공간(321)과 연통되어 진공단열공간(321)에 위치하는 공기를 흡입하거나 진공단열공간(321)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진공단열공간(321)은 공기유통구(322)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진공상태가 되거나 공기유통구(322)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어 진공상태가 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어부(300)의 실시예 1은 진공단열공간(321)의 진공상태를 자유롭게 제어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어부(300)의 실시예 1은 도어(320)의 일단에 진공단열공간(321)과 연통되어 공기가 흡입 또는 공급되는 공기유통구(322)가 형성됨으로써, 공기유통구(322)를 통해 진공단열공간(321)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진공단열공간(321)으로 공급이 가능하여 진공단열공간(321)의 진공상태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부의 실시예 2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부(300)의 실시예 2는 다수개의 리브(325)이 더 형성된다.
리브(325)는 도어(320)의 내부에 형성된 진공단열공간(321)이 진공상태가 되어 도어(320)가 압축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진공단열공간(321)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도어(320)의 압축을 버텨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어부(300)의 실시예 2는 진공단열공간(321)에 다수개의 리브(325)가 형성됨으로써, 진공단열공간(321)이 진공상태가 되어 도어(320)가 압축된 경우, 도어(320)가 일정 두께 이하로 압축되지 않도록 다수개의 리브(325)가 버텨주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부의 실시예 3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부(300)의 실시예 3은 연통로(311`)가 도어(320)의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된다.
즉, 도어부(300)의 실시예 3은 연통로(311)가 도어(320)의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어, 연통로(311)를 폐쇄하는 도어(320)의 기밀성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어부(300)의 실시예 3은 연통로(311)가 도어(320)의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됨으로써, 도어(320)의 기밀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 시험 장치의 실시예 1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 시험 장치(1000`)의 실시예 1은 챔버부(10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초저온챔버(110), 저온챔버(130), 상온챔버(140), 고온챔버(120), 이동부(200), 도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초저온챔버(110)는 냉기와 액체질소가 동시에 유입되거나 액체질소가 유입되어 극저온의 환경이 조성된다.
저온챔버(130)는 냉기가 유입되어 극저온의 환경보다 높은 온도를 가진 저온의 환경이 조성된다.
상온챔버(140)는 상온의 환경이 조성된다.
고온챔버(120)는 온기가 유입되어 고온(또는 극고온)의 환경이 조성된다.
이동부(200)는 상기에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어부(300)는 초저온챔버(110), 저온챔버(130), 상온챔버(140), 및 고온챔버(120)의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밀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 시험 장치(1000)의 실시예 1은 챔버부(100)에 구성된 다수개의 챔버가 도어부(300)에 의해 상호 용이하게 연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부(300)는 챔버부(100)가 다수개의 챔버로 구성되어도 챔버들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밀착되어 챔버들을 상호 용이하게 연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1000` :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 시험 장치
100 : 챔버부
110 : 저온챔버
120 : 고온챔버
200 : 이동부
210 : 체인
220 : 대차
221 : 플레이트 222 : 기어바퀴
300: 도어부
310 : 커버
311, 311` : 연통로 312 : 가이드홀
320 : 도어
321 : 진공단열공간 322 : 공기유통구
325 : 허니컴
330 : 캡
400 : 에어실린더
500 : 모터

Claims (14)

  1. 내부 일측 및 내부 타측에 각각 저온챔버(110) 및 고온챔버(120)가 형성되는 챔버부(100);
    상기 챔버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시험체가 장착되어 상기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로 이동되는 이동부(200); 및
    상기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저온챔버(110)와 고온챔버(120)를 연통하는 연통로(311)가 형성되는 커버(310), 상기 연통로(311)를 개방 및 폐쇄하는 도어(320)를 포함하는 도어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320)는 내부에 진공단열공간(321)이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진공단열공간(321)과 연통되어 공기가 흡입 또는 공급되는 공기유통구(322)가 형성되며, 상기 진공단열공간(321)은 상기 공기유통구(322)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진공상태가 되거나 상기 공기유통구(322)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어 진공상태가 되지 않으며, 상기 진공단열공간(321)에 다수개의 리브(325)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시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300)는
    상기 커버(310)의 일단에 상기 연통로(311)와 연통되는 가이드홀(312)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320)가 상기 가이드홀(312)로 삽입 및 배출되어 상기 연통로(311)를 개방 및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시험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300)는
    상기 연통로(311`)가 상기 도어(320)의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시험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300)는
    상기 도어(320)의 일단이 연장되어 캡(330)이 형성되고, 상기 캡(330)에 결합되는 에어실린더(400)에 의해 상기 도어(320)가 삽입 및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시험 장치.
  8.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300)에 있어서,
    열충격 시험 장치의 저온챔버와 고온챔버 사이에 형성되고 저온챔버와 고온챔버를 연통하는 연통로(311)가 형성되는 커버(310), 상기 연통로(311)를 개방 및 폐쇄하는 도어(320)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320)는 내부에 진공단열공간(321)이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진공단열공간(321)과 연통되어 공기가 흡입 또는 공급되는 공기유통구(322)가 형성되며, 상기 진공단열공간(321)은 상기 공기유통구(322)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진공상태가 되거나 상기 공기유통구(322)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어 진공상태가 되지 않으며, 상기 진공단열공간(321)에 다수개의 리브(325)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300)는
    상기 커버(310)의 일단에 상기 연통로(311)와 연통되는 가이드홀(312)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320)가 상기 가이드홀(312)로 삽입 및 배출되어 상기 연통로(311)를 개방 및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300)는
    상기 연통로(311)가 상기 도어(320)의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300)는
    상기 도어(320)의 일단이 연장되어 캡(330)이 형성되고, 상기 캡(330)에 결합되는 에어실린더(400)에 의해 상기 도어(320)가 삽입 및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

KR1020130014259A 2013-02-08 2013-02-08 열충격 시험 장치 및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 KR101449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259A KR101449404B1 (ko) 2013-02-08 2013-02-08 열충격 시험 장치 및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259A KR101449404B1 (ko) 2013-02-08 2013-02-08 열충격 시험 장치 및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100A KR20140101100A (ko) 2014-08-19
KR101449404B1 true KR101449404B1 (ko) 2014-10-15

Family

ID=51746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259A KR101449404B1 (ko) 2013-02-08 2013-02-08 열충격 시험 장치 및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4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712A1 (es) * 2021-07-01 2023-01-05 Universidad Católica San Pablo Equipo integral para la evaluación de propiedades mecánicas de materiales en función de la temperatura y atmosfera variables
CN115031951B (zh) * 2022-08-12 2022-11-08 临沂朝日电子有限公司 一种门窗五金系统多功能测试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4032A (ja) * 1995-08-16 1997-02-25 Nec Kyushu Ltd 温度サイクル試験装置
KR200450874Y1 (ko) * 2010-04-15 2010-11-08 오성에스티주식회사 열충격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4032A (ja) * 1995-08-16 1997-02-25 Nec Kyushu Ltd 温度サイクル試験装置
KR200450874Y1 (ko) * 2010-04-15 2010-11-08 오성에스티주식회사 열충격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100A (ko) 201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494B1 (ko) 오븐
KR101449404B1 (ko) 열충격 시험 장치 및 열충격 시험 장치의 도어부
ES2373972T3 (es) Aparato de refrigeración.
CN111012208A (zh) 烹饪设备
WO2010139535A3 (de) Kältegerät zum kühlen lagern von gut
JP6747718B2 (ja) 冷蔵庫
JP2007333559A (ja) 冷熱衝撃試験装置
JP6681677B2 (ja) 熱風乾燥炉
TWI613411B (zh) 工業用爐
KR20090021160A (ko) 공기 조절 장치
US20070125099A1 (en) Controlled rate freezer for biological material
WO2018108054A1 (zh) 冰箱
CN110307703A (zh) 一种中药干燥箱
CN110255874A (zh) 玻璃基板切割机
ES2659365T3 (es) Sistema de disipación térmica para envoltura eléctrica
JP5469913B2 (ja) 断熱構造及びこの断熱構造を有する収納装置
TWI444572B (zh) 熱處理裝置
KR101716735B1 (ko) 이중 챔버를 구비하는 기판 열처리 장치
JP2015230158A (ja) 保冷庫
JP4987539B2 (ja) 加熱装置
JP2008185285A (ja) 恒温槽
JP6577806B2 (ja) 冷温蔵装置
KR101273655B1 (ko) 김치냉장고
JP2020143924A (ja) 環境試験装置及び試験装置
WO2007140432A2 (en) Vibration test system enclo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