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845Y1 - 가마솥 - Google Patents

가마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845Y1
KR200450845Y1 KR2020100003345U KR20100003345U KR200450845Y1 KR 200450845 Y1 KR200450845 Y1 KR 200450845Y1 KR 2020100003345 U KR2020100003345 U KR 2020100003345U KR 20100003345 U KR20100003345 U KR 20100003345U KR 200450845 Y1 KR200450845 Y1 KR 200450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t body
cauldron
holes
hea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천
Original Assignee
정병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천 filed Critical 정병천
Priority to KR2020100003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8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8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4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liquid-heating tubes extending outside the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가마솥은 그의 외주연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30,40)과, 그의 중앙에 형성된 손잡이(50)로 이루어진 뚜껑(100)과;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수 공급부(110)와, 공급된 용수를 배출하기 위한 용수 배출부(120)와, 그의 내측에 설치되며, 유입된 용수를 가열하기 위한 전열선(130)과, 그의 외주연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받침부(140)로 이루어진 솥 본체(2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솥 본체(200)에는 종래의 가마솥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수위 조절부(150), 온도조절센서(160) 및 제어기(170)를 더 설치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가마솥의 기능 즉, 수위조절 및 온도조절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마솥{Kettle}
본 고안은 가마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마솥에 전열선을 내장하고, 아울러 한약 재료를 투입할 수 있는 관통공을 가마솥에 형성하여 외부로 여러가지 향기를 발산시킬 수 있는 가마솥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밥을 대량으로 짓는 솥은 가마솥이라 하여 철을 이용하여 만든다. 통상의 가마솥은 철을 이용하여 만들었기 때문에 하부에서 불을 가하면 솥 본체가 신속하게 가열되고 또한 조리가 끝나 불을 끄거나 제거하면 신속하게 냉각된다.
종래, 가마솥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된 솥본체(10)와 뚜껑(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솥본체(10)는 그 외표면의 중간부분에 화덕에 올려놓기 위한 받침부(11)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솥본체(10)는 밑바닥(14)이 측벽 보다 다소 두껍게 되어 있고, 본체상부(12)의 내측으로 이중벽(12a)을 형성하여 상부면의 개구부를 좁게 함과 동시에 보온공간(13)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이중벽(12a) 및 보온공간(13)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뚜껑(20)의 중앙 상부면에는 손잡이(2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마솥은 밥을 짓거나 물을 끓이는 기능 이외에 별도의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의 가마솥은 불의 세기를 조절할 수도 없고 사용자에게 한약재나 허브 등과 같은 재료를 가열하여 발산되는 향기를 제공할 수도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마솥에 전열선을 내장하고 아울러 물의 수위 및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한 가마솥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마솥의 소정 부위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한약재나 허브 등의 약재를 가열하여 약재의 수증기가 관통공을 경유하여 외부로 방출되면서 주위의 냄새를 향기롭게 할 수 있고 아울러 수증기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시 피부미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가마솥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외주연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손잡이가 돌출되어 형성된 뚜껑과; 상기 뚜껑에 의해 내부가 차폐되며 일측에 용수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용수 공급부가 용수공급 파이프와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내부의 용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용수배출부가 용수배출밸브를 구비하여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의 용수를 가열하기 위한 전열선이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연을 둘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받침부가 구비되는 솥 본체와; 상기 솥 본체에 설치되어 솥 본체 내부에 투입된 용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와; 상기 솥 본체의 내부에 투입된 용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기에 연결되어 조절되는 온도 감지센서와; 상기 솥 본체의 내부에 투입되는 한약재 및 허브와 같은 약재가 상기 전열선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솥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전열선의 위치에 설치되며 하부를 볼 수 있는 메쉬부를 갖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되는 분리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가마솥은 가마솥의 내측에 전열선 및 온도 조절센서를 설치하게 되므로 가마솥의 내부에 유입된 용수 및 한약재료 등을 용이하게 가열하고 아울러 적당한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가마솥은 가마솥의 소정부위에 관통홀을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관통홀을 경유하여 내부에 있는 한약재료, 허브 등의 재료가 용수에 가열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향기를 외부로 유출되게 되므로 주변의 고질적인 악취나 냄새를 줄일 수 있고 아울러,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게 되면 피부가 좋아지며 향긋한 냄새를 느낄 수 있는 이점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마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1에 도시된 가마솥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가마솥이 지지부재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가마솥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가마솥의 뚜껑을 제거하고 솥 본체의 내측을 나타낸 상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인 분리구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가마솥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가마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00)과 솥 본체(200)로 크게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솥 본체(200)는 지지부재(180)에 안착되게 된다.
상기 뚜껑(100)은 그의 외주연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관통공(30,40)이 각기 형성되게 된다. 상기 뚜껑(100)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30,40)은 제1 관통공(30)과, 상기 제1 관통공(30)과 간격을 두고 각기 형성된 복수개의 제2 관통공(40)이다. 상기 관통공(30,40)의 크기 및 개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100)의 중앙에는 돌출된 형태의 손잡이(50)가 형성된다.
상기 솥 본체(200)는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수 공급부(110)와, 공급된 용수를 배출하기 위한 용수 배출부(120)와, 유입된 용수를 가열하기 위한 전열선(130)과, 받침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용수 공급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솥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며, 그 일측에 용수공급 파이프(112)가 연결되고, 용수 배출부(120)는 그 일측에 용수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용수배출 밸브(122)가 설치된다.
상기 용수 배출부(120)는 용수를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솥 본체(200)의 하측 즉, 바닥부(114)에 설치된다. 상기 전열선(130)은 솥 본체(2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유입된 용수를 가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열선(130)은 그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3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32)는 용수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커버(도시되지 않음)의 내측으로 인입/인출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솥 본체(200)의 외주연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설치되며, 여기서는 4각형 형태로 구성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4개를 적용하였다.
한편, 솥 본체(200)에는 그 내측에 투입된 용수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수위 조절부(15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수위 조절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표(152)를 연결부재(154)에 연결하여 부표(152)가 부상하는 형태로 구성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수위 조절센서(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용수를 공급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154)는 철이나 기타 금속으로 이루어진 가는 봉을 적용하게 된다.
상기 솥 본체(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에 투입된 용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감지센서(160)를 설치하고, 상기 온도 감지센서(160)에는 제어기(170)를 연결하여 용수의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솥 본체(2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되는 한약재 및 허브와 같은 약재가 전열선(13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구(21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분리구(210)는 솥 본체(200)의 내부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며 전열선(130)이 설치된 위쪽에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구(210)는 그의 내측에 소정 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홀(22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20)에는 그의 내측으로 한약재 및 허브와 같은 약재가 투과하지 못하도록 메쉬부(222)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분리구(210)의 외주연에는 2개의 손잡이(214)를 설치하여 분리구(210)를 솥 본체(200)로부터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분리구(210)는 메쉬부(222)를 형성함에 의해 솥 본체(200)의 내부 상황을 외관상으로도 간단히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가마솥의 동작관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지지부재(180)상에 본 고안의 가마솥을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용수 공급부(110)의 파이프(112)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동작시켜 가마솥의 내부로 용수를 공급하게 된다.
본 고안의 가마솥의 솥 본체(200)에는 수위 조절부(150)가 설치되므로 적당한 위치에 용수가 도달되게 되면 뚜껑(100)의 제1 및 제2 관통공(30,40)을 통하여 수위 조절부(150)의 부표(152)가 외관상으로 보이게 되므로 용수를 공급하는 밸브를 닫게 된다. 물론 수위조절부(150)에서 부표(152)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 신호를 전달하여 밸브를 닫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솥 본체(200)에 적절한 용수가 채워지면, 한약재나 허브 등의 약재를 담고 뚜껑(100)을 닫게 된다.
그리고, 커넥터(132)를 전기 소켓(도시되지 않음)에 꽂게 되면 전열선(130)이 가열되면서 솥 본체(200)의 내측에 유입된 용수가 가열되게 된다. 상기 용수가 가열되면서 한약재나 허브 등의 약재도 끓게 된다. 이때, 상기 약재의 수증기는 뚜껑(100)에 형성된 제1 및 제2 관통공(30,4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배출된 수증기는 주변의 냄새(고질적인 냄새나 악취)를 줄일 수 있고 아울러, 주변의 습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증기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시 피부 미용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용수를 전열선(130)에 의해 계속 가열하게 되면 전기 소모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온도 감지센서(160)가 용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기(170)에 보내게 되면 제어기(170)에서 용수의 온도를 적절히 유지하도록 제어하게 되어 전기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솥 본체(200)의 내측에 수용된 용수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솥 본체(200)의 바닥부(114)의 거의 중앙에 위치한 용수배출부(120)의 용수배출 밸브(122)를 개방하여 용수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용수배출 밸브(122)에는 파이프(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어 외부로 용수가 튀지 않게 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솥 본체(200)의 내부에 수용된 용수를 제거한 후, 사용자는 분리구(210)상에 잔존한 약재를 분리구(210)와 함께 꺼내어 약재만을 제거하고, 분리구(210)를 청소하고 다시 사용하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기 언급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고안은 가마솥의 내측에 용수를 유입하고 다양한 한약재나 기타 향기를 발생하는 재료를 넣고 가열하여 향기와 수증기를 제공할 수 있는 가마솥 분야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30: 제1 관통공 40: 제2 관통공
50: 손잡이 100: 뚜껑
110: 용수 공급부 120: 용수 배출부
130: 전열선 140: 받침부
150: 수위조절부 160: 온도 감지센서
200: 솥 본체 210: 분리구

Claims (9)

  1. 외주연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관통공(30,40)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손잡이(50)가 돌출되어 형성된 뚜껑(100)과;
    상기 뚜껑(100)에 의해 내부가 차폐되며 일측에 용수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용수 공급부(110)가 용수공급 파이프(112)와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내부의 용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용수배출부(120)가 용수배출밸브(122)를 구비하여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의 용수를 가열하기 위한 전열선(130)이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연을 둘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받침부(140)가 구비되는 솥 본체(200)와;
    상기 솥 본체(200)에 설치되어 솥 본체(200) 내부에 투입된 용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150)와;
    상기 솥 본체(200)의 내부에 투입된 용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기에 연결되어 조절되는 온도 감지센서(160)와;
    상기 솥 본체(200)의 내부에 투입되는 한약재 및 허브와 같은 약재가 상기 전열선(13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솥 본체(200)의 내부에서 상기 전열선(130)의 위치에 설치되며 하부를 볼 수 있는 메쉬부(222)를 갖는 복수개의 관통홀(220)이 구비되는 분리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마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00)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30,40)은 제1 관통공(30)과, 상기 제1 관통공(30)과 간격을 두고 각기 형성된 복수개의 제2 관통공(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솥.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130)은 그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3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솥.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20100003345U 2010-03-31 2010-03-31 가마솥 KR200450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345U KR200450845Y1 (ko) 2010-03-31 2010-03-31 가마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345U KR200450845Y1 (ko) 2010-03-31 2010-03-31 가마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845Y1 true KR200450845Y1 (ko) 2010-11-05

Family

ID=4447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345U KR200450845Y1 (ko) 2010-03-31 2010-03-31 가마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8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552B1 (ko) 2012-07-25 2013-01-09 오응석 국 조리용 솥 장치
CN109998361A (zh) * 2019-04-17 2019-07-12 淄博小帅厨工贸有限公司 一种可智能检测水位的可报警电热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246B1 (ko) * 2003-07-09 2005-11-29 백지성 약탕기
KR200405679Y1 (ko) * 2005-10-18 2006-01-10 김성두 훈제 겸용 가마솥 숯불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246B1 (ko) * 2003-07-09 2005-11-29 백지성 약탕기
KR200405679Y1 (ko) * 2005-10-18 2006-01-10 김성두 훈제 겸용 가마솥 숯불구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552B1 (ko) 2012-07-25 2013-01-09 오응석 국 조리용 솥 장치
CN109998361A (zh) * 2019-04-17 2019-07-12 淄博小帅厨工贸有限公司 一种可智能检测水位的可报警电热锅
CN109998361B (zh) * 2019-04-17 2021-02-12 淄博小帅厨工贸有限公司 一种可智能检测水位的可报警电热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73024A1 (en) Steamer accessory for steam-heating and/or steaming food in a container
CN204219447U (zh) 一种具有音乐播放功能的香薰器
KR200450845Y1 (ko) 가마솥
CN204864207U (zh) 一种电子熏香炉
JP3182088U (ja) 電熱式蒸煮装置
KR200467826Y1 (ko) 프라이팬 커버
JP3150944U (ja) 足浴器
KR100834805B1 (ko) 가마솥
CN204219445U (zh) 一种香薰器
CN204654573U (zh) 新型电饭煲
KR102040262B1 (ko) 가열 증발식 전기발향기 일체형 무드등
KR200473758Y1 (ko) 두 가지 취사가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용 내솥
KR200453825Y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냄비뚜껑의 냄새 제거용 필터
JP2009268918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0449722Y1 (ko) 방향 암염 스탠드
JP5285869B2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容器
KR20100009970A (ko) 건식 및 습식 온열 침대
KR20060095426A (ko) 항아리 가마솥
JP2005069632A5 (ko)
KR200149674Y1 (ko) 전기보온밥솥의 뚜껑
KR200475027Y1 (ko) 원적외선 스팀 조리기
KR200453039Y1 (ko) 양초의 불꽃 열을 이용한 암염 방향제 훈증기
KR20170138369A (ko) 조리 용기용 거치대
KR101430343B1 (ko) 냄새 저감형 조리용기
CN105816015A (zh) 一种智能蒸汽电饭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