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480Y1 - 앵글 취부장치 - Google Patents

앵글 취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480Y1
KR200450480Y1 KR2020080012716U KR20080012716U KR200450480Y1 KR 200450480 Y1 KR200450480 Y1 KR 200450480Y1 KR 2020080012716 U KR2020080012716 U KR 2020080012716U KR 20080012716 U KR20080012716 U KR 20080012716U KR 200450480 Y1 KR200450480 Y1 KR 2004504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fixed
fixing block
connecting plate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7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456U (ko
Inventor
시대엽
권순도
지창열
김태형
권순성
김성엽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2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48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4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4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4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4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앵글 취부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 건조시 블럭에 부착되는 'ㄱ'형 앵글 취부장치에 있어서; 선 부착된 'ㄱ'형 상부앵글의 하단부 양측에 끼워진 후 볼트로 밀착 고정되는 삼각형상의 상부고정부와; 상기 상부앵글의 하단에 정렬될 'ㄱ'형 하부앵글의 상단부 양측에 끼워진 후 볼트로 밀착 고정되는 삼각형상의 하부고정부와; 상기 상부고정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치결합된 스크류샤프트와; 일단은 상기 하부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스크류샤프트의 하단에 고정된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ㄱ'형 앵글 취부시 협소공간 내에서도 자유롭고 원활하게 취부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ㄱ'형 앵글의 유동이 제거되고, 높낮이 조절기능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 취부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고 휴대가 용이하여 공간적 제약을 적게 받아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ㄱ'형 앵글, 블럭, 취부, 스크류샤프트, 체인, 렌치, 센터링

Description

앵글 취부장치{ANGLE ATTACHMENT UNIT}
본 고안은 앵글 취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Block) 또는 기타 구조물에 부착되는 'ㄱ'형 앵글을 취부할 때 흔들림이 없어 센터링이 용이하고 높낮이 조정이 용이하여 원하는 곳에 보다 정확히 취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앵글 취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다량의 철판을 절단하여 선박의 형상을 부분적으로 만들고, 그 만들어진 부분들로 블록을 형성한 후 이들 각각의 블록들을 용접하여 건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블록 또는 기타 구조물에는 다수의 앵글(Angle), 특히 'ㄱ'형 앵글이 부착되게 되는데, 이러한 'ㄱ'형 앵글의 건조를 위해 이를 취부할 때에 밧줄과 체인블록을 이용하여 작업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ㄱ'형 앵글을 취부할 때 사용하는 밧줄이나 체인블록 등은 자유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유동이 심하여 'ㄱ'형 앵글을 정확한 지점에 취부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ㄱ'형 앵글을 취부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 야 하는 불편과 함께 작업의 어려움으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예컨대, 도 1에는 이와 같은 작업상황이 잘 나타나 있다.
도 1의 사진에 따르면, 조선소를 비롯한 대부분의 'ㄱ'형 앵글(10)을 사용하여 구조물을 제작하는 산업현장에서는 대부분 밧줄(미도시) 혹은 체인블록(20)을 사용하여 이들 'ㄱ'형 앵글(10)을 파지한 상태에서 건조를 위한 취부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앞서 설명하였던 문제가 내재되어 있음은 물론 'ㄱ'형 앵글(10)의 흔들림으로 인해 상,하 앵글 끼리의 정확한 정렬이 어려워 센터링불량이 발생하고, 또한 체인블록(20) 등을 설치할 공간이 협소하여 주변 시설물과의 간섭에 의한 공간적인 제약이 크며, 그로 인해 작업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등의 문제도 가중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한계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ㄱ'형 앵글에 간편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취부용 툴(Tool)을 경량 재질로 설계하여 협소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하고, 앵글을 유동없이 파지하기 때문에 앵글끼리의 센터링을 정확하고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으면서, 높낮이 조절도 가능하여 앵글의 위치이동 및 고정을 보다 쉽게 할 수 있어 인력감소, 작업시간 단축,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앵글 취부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해결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선박 건조시 블럭에 부착되는 'ㄱ'형 앵글 취부장치에 있어서; 선 부착된 'ㄱ'형 상부앵글의 하단부 양측에 끼워진 후 볼트로 밀착 고정되는 삼각형상의 상부고정부와; 상기 상부앵글의 하단에 정렬될 'ㄱ'형 하부앵글의 상단부 양측에 끼워진 후 볼트로 밀착 고정되는 삼각형상의 하부고정부와; 상기 상부고정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치결합된 스크류샤프트와; 일단은 상기 하부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스크류샤프트의 하단에 고정된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취부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상부고정부는 'ㄷ'형상의 제1상부고정블럭과, 양면에 연결판삽입홈을 갖는 'ㄷ'형상의 제2상부고정블럭과, 일단은 상기 제1상부고정블럭에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판삽입홈에 끼워지는 상부연결판과, 상기 제2상부고정블 럭의 내측에 걸림되게 상부연결판에 고정된 밀착판과, 상기 스크류샤프트와 치결합되게 상기 상부연결판을 상하로 관통하여 고정된 스크류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고정부는 'ㄷ'형상의 제1하부고정블럭과, 양면에 연결판삽입홈을 갖는 'ㄷ'형상의 제2하부고정블럭과, 일단은 상기 제1하부고정블럭에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판삽입홈에 끼워지는 하부연결판과, 상기 제2하부고정블럭의 내측에 걸림되게 하부연결판에 고정된 밀착판과, 상기 체인의 일단이 고정되게 상기 하부연결판의 상면에 설치된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판 및 하부연결판은 직각삼각형 형태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스크류샤프트의 상단면에는 사각 또는 육각 형상의 렌치홈이 요입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고정부는 'ㄷ'형상의 제1상부고정블럭과, 'ㄷ'형상의 제2상부고정블럭과, 일단은 상기 제1상부고정블럭에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상부고정블럭에 일체로 고정되는 상부연결판과, 상기 스크류샤프트와 치결합되게 상기 상부연결판을 상하로 관통하여 고정된 스크류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고정부는 'ㄷ'형상의 제1하부고정블럭과, 'ㄷ'형상의 제2하부고정블럭과, 일단은 상기 제1하부고정블럭에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하부고정블럭에 일체로 고정되는 하부연결판과, 상기 체인의 일단이 고정되게 상기 하부연결판의 상면에 설치된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ㄱ'형 앵글 취부시 협소공간 내에서도 자유롭고 원활하게 취부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ㄱ'형 앵글의 유동이 제거되고, 높낮이 조절기능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 취부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고 휴대가 용이하여 공간적 제약을 적게 받아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앵글 취부장치를 구성하는 상부고정부의 예시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조립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앵글 취부장치를 구성하는 하부고정부의 예시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조립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앵글 취부장치를 구성하는 스크류샤프트의 예시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앵글 취부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앵글 취부장치는 상부고정부(100)와 하부고정부(200) 및 이들 상,하부고정부(100,200)를 서로 연결하면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스크류샤프트(300)를 포함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고정부(100)는 대략 'ㄷ' 형상을 갖는 제1상부고정블럭(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상부고정블럭(110)의 양측면에는 다수의 볼트공(112)이 천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상부고정블럭(110)은 도 7에 예시된 사진에서와 같이, 'ㄱ' 형 앵글중 상부에 미리 배치되어 있는 'ㄱ'형 상부앵글(A1)의 일측단에 끼워지는 형태로 배치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볼트공(112)을 통해 체결된 볼트(B1)에 의해 상기 상부앵글(A1)의 일측단에 견고히 부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고정부(100)는 제2상부고정블럭(12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제2상부고정블럭(120)은 상기 제1상부고정블럭(110)과 유사한 형상을 갖지만 양측 상하길이 일부가 절개되어 연결판삽입홈(12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제2상부고정블럭(120)에도 상기 제1상부고정블럭(110)과 동일한 형태로 양측면에 다수의 볼트공(122)이 천공형성되며, 마찬가지로 도 7에 예시된 볼트(B1)에 의해 상부앵글(A1)의 타측단에 견고히 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부(100)는 상기 제1상부고정블럭(110)과 상기 제2상부고정블럭(120)을 연결하는 상부연결판(130)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연결판(130)은 대략 삼각형상,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ㄱ'형 앵글에 대응되도록 직각삼각형상을 갖는다.
특히, 상기 상부연결판(130)은 그 직각되는 부위와 인접한 위치에 고정구멍(132)이 천공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멍(132)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류가이더(140)가 용접되어 일체로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가이더(14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 상술한 스크류샤프트(300, 도 6,7 참조)가 치결합되어 이를 기준으로 상기 스크류샤프 트(300)가 회전되면서 승,하강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연결판(130)중 일측변,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2상부고정블럭(120)에 끼워지는 쪽의 변에 밀착판(134)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판(134)은 상기 상부연결판(130)의 판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설치시 상부앵글(A1)의 타측단에 끼워진 후 볼트(B1) 고정될 때에 상부앵글(A1)과 면접촉되게 하여 접촉면적을 넓혀 줌으로써 상부고정부(100)의 부착력을 극대화시켜 주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밀착판(134)을 두는 이유는 'ㄱ'형 앵글의 폭이 변경될 때 그에 대응하여 본 고안 앵글장치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앵글의 폭이 일정할 경우라면 굳이 밀착판(134)을 통한 폭 가변형태를 취하지 않고 제2상부고정블럭(120)도 제1상부고정블럭(110)과 동일한 구조를 취하여 상부연결판(130)의 양단이 각각 제1상부고정블럭(110)과 제2상부고정블럭(120)에 용접고정되도록 하여 볼트(B1)를 통해 직접 부착되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폭 가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1상부고정블럭(110)과 상부연결판(130)의 일측은 용접되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상부연결판(130)의 타측은 상기 제2상부고정블럭(120)의 연결판삽입홈(124)에 끼워진 후 밀착판(134)에 의해 제2상부고정블럭(120)의 내측에서 걸림되면서 상기 제2상부고정블럭(120)이 연결판삽입홈(124)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폭가변이 가능하게 하였다.
다음, 하부고정부(200)도 상술한 상부고정부(100)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이루 어지되 하부연결판(230)의 구조만 다소 차이가 있을 뿐이다.
즉, 상기 하부고정부(200)의 경우에도 제1하부고정블럭(210)과, 제2하부고정블럭(220) 및 하부연결판(2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하부고정블럭(210)과 제2하부고정블럭(220)에는 상부고정부(100)의 제1상부고정블럭(110) 및 제2상부고정블럭(120)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형태의 볼트공(212,222)이 형성되고, 또한 제2하부고정블럭(220)에는 제2상부고정블럭(120)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형태의 연결판삽입홈(224)이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하부연결판(230)의 경우에도 상술한 상부연결판(130)에 구성된 것과 동일한 형태의 밀착판(234)이 형성되며, 이또한 상기 상부연결판(130)에 형성된 밀착판(134)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만, 상기 하부연결판(230)의 상면중 상기 고정구멍(132)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러그(Lug) 형태의 브라켓(232)이 일체로 돌출형성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232)은 스크류샤프트(300)와 연결되는 체인(400, 도 7 참조)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에서, 상술한 상부고정부(100)의 형상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된 하부고정부(200)의 형태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약 180° 상하 반전시켜 도시한 것에 불과하고, 실제 설치관계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부고정부(200)의 설치형태와 동일하게 배치되어 사용된다.
아울러, 상술한 상부연결판(130)과 하부연결판(230)에 일체로 형성되는 밀착 판(134,234)은 필수불가결하게 구비되어야 하는 요소는 아니며, 상기 밀착판(134,234)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볼트(B1,B2, 도 7 참조)를 통해 상부앵글(A1) 및 하부앵글(A2)에 각각 직접 고정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앵글(A1,A2)의 폭이 변경되지 않고 규격이 동일할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연결판(230)의 경우에도 상술한 상부연결판(130)과 같이 그것의 일측은 제1하부고정블럭(210)에 용접고정되고, 타측은 제2하부고정블럭(220)의 연결판삽입홈(224)에 끼워진 상태에서 밀착판(234)에 의해 걸림됨으로써 폭 가변이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샤프트(300)는 일종의 봉형 로드로서, 그 길이 일부에 나선형의 스크류가 형성되며, 이 스크류는 앞서 설명한 스크류가이더(140)에 치결합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스크류샤프트(300)의 하단에는 연결링(310)이 일체로 구비되어 체인(400)을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크류샤프트(300)는 여러가지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데, 특히 스크류샤프트(300)의 상단면에 렌치홈(320)을 요입형성하여 렌치(L, 도 7 참조)를 통해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렌치홈(320)은 사각, 육각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앵글 취부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즉, 앞서 도시설명한 도면 및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ㄱ'형 앵글을 선박 건조시 블럭(Block) 혹은 기타 구조물에 취부할 때 본 고안에 따른 앵글 취부장치를 사용하여 보다 용이한 정렬 및 취부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앵글 취부장치는 가볍고 크기가 작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고, 설치를 위한 공간적 제약을 크게 받지 않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예컨대, 먼저 취부된 상부앵글(A1)의 하단에 도 7과 같이 하부앵글(A2)을 취부해야 할 경우 본 고안 장치가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를 위해, 상부앵글(A1)의 하단부에 본 고안에 따른 상부고정부(100)를 설치한다.
이때, 상부고정부(100)는 'ㄱ'형상을 갖는 상부앵글(A1)의 일측단에 제1상부고정블럭(110)을 끼워 넣은 후 볼트(B1)를 체결하여 견고히 고정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상부고정블럭(110)과 일체로 용접되어 있는 상부연결판(130)이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 제1상부고정블럭(110)이 배치된 대향측을 향해 뻗어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제2상부고정블럭(120)을 상부앵글(A1)의 타측단에 끼워 넣게 된다.
이 경우, 상부연결판(130)이 비가변형일 때에는 제1상부고정블럭(110)과 동일한 방식으로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제2상부고정블럭(120)을 상부앵글(A1)에 고정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부고정부(100)를 상부앵글(A1)의 하단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상부연결판(130)이 본 고안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가변형일 경 우에는 먼저, 밀착판(134)을 최대한 상부앵글(A1)의 타측단에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제2상부고정블럭(120)을 끼워 넣어 걸림되게 하고, 그 상태에서 볼트를 체결하되 이 볼트가 상기 밀착판(134)을 밀도록 하여 밀착판(134)으로 하여금 상부앵글(A1)의 타측단면에 견실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고정부(200)의 설치관계는 상술한 상부고정부(100)의 설치관계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하부고정부(200)는 상부앵글(A1)이 아닌 하부앵글(A2)의 상단부에 고정된다는 점만 다르다.
이렇게 하여, 상부고정부(100)와 하부고정부(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스크류샤프트(300)를 스크류가이더(140)에 체결하고, 체인(400)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샤프트(300)는 상기 상부고정부(100) 설치시 미리 스크류가이더(140)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함이 더욱 좋다.
또한, 상기 체인(400) 설치시 그 일단은 하부고정부(200)를 구성하는 하부연결판(230)의 브라켓(232)에 핀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스크류샤프트(300)의 하단에 마련된 고정링(310)에 연결 고정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하부앵글(A2)을 상부앵글(A1)에 센터링시키면서 근접 취부하기 위해 공구, 예컨대 렌치(L)를 스크류샤프트(300)의 상단면에 마련된 렌치홈(320)에 삽입시킨 다음 이를 회전시키게 되면 스크류샤프트(300)가 회전되면서 체인(400)을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하부연결판(230)이 당겨지게 되며, 결국 이 하부연결판(230)이 고정된 하부앵글(A2)이 당겨지면서 상방 향으로 이동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상부앵글(A1)의 하단에 하부앵글(A2)의 상단이 정확하게 일치된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작업자는 단순히 스크류샤프트(300)만을 회전시키는 동작만을 수행하여도 상,하부앵글을 서로 센터링시킨 상태로 유동없이 근접 배치되게 취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상부고정부(100)를 비롯한 하부고정부(200)와 스크류샤프트(300) 및 체인(400)이 이미 각 앵글에 견고히 연결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자유도가 급격히 떨어져 흔들림과 같은 유동이 극소화되기 때문에 가능하며,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간편 용이하게 'ㄱ'형 앵글들 간의 센터링 및 근접 취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ㄱ'형 앵글 취부 상황을 보인 예시적인 사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앵글 취부장치를 구성하는 상부고정부의 예시적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앵글 취부장치를 구성하는 하부고정부의 예시적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앵글 취부장치를 구성하는 스크류샤프트의 예시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앵글 취부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상부고정부 110....제1상부고정블럭
120....제2상부고정블럭 130....상부연결판
200....하부고정부 210....제1하부고정블럭
220....제2하부고정블럭 230....하부연결판
300....스크류샤프트 400....체인

Claims (5)

  1. 선박 건조시 블럭에 부착되는 'ㄱ'형 앵글 취부장치에 있어서;
    선 부착된 'ㄱ'형 상부앵글(A1)의 하단부 양측에 끼워진 후 볼트(B1)로 밀착 고정되는 삼각형상의 상부고정부(100)와;
    상기 상부앵글(A1)의 하단에 정렬될 'ㄱ'형 하부앵글(A2)의 상단부 양측에 끼워진 후 볼트(B2)로 밀착 고정되는 삼각형상의 하부고정부(200)와;
    상기 상부고정부(100)를 상하로 관통하여 치결합된 스크류샤프트(300)와;
    일단은 상기 하부고정부(2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스크류샤프트(300)의 하단에 고정된 체인(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취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100)는 'ㄷ'형상의 제1상부고정블럭(110)과, 양면에 연결판삽입홈(124)을 갖는 'ㄷ'형상의 제2상부고정블럭(120)과, 일단은 상기 제1상부고정블럭(110)에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판삽입홈(124)에 끼워지는 상부연결판(130)과, 상기 제2상부고정블럭(120)의 내측에 걸림되게 상부연결판(130)에 고정된 밀착판(134)과, 상기 스크류샤프트(300)와 치결합되게 상기 상부연결판(130)을 상하로 관통하여 고정된 스크류가이더(14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고정부(200)는 'ㄷ'형상의 제1하부고정블럭(210)과, 양면에 연결판삽입홈(224)을 갖는 'ㄷ'형상의 제2하부고정블럭(220)과, 일단은 상기 제1하부고정 블럭(210)에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판삽입홈(224)에 끼워지는 하부연결판(230)과, 상기 제2하부고정블럭(220)의 내측에 걸림되게 하부연결판(230)에 고정된 밀착판(234)과, 상기 체인(400)의 일단이 고정되게 상기 하부연결판(230)의 상면에 설치된 브라켓(2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취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판(130) 및 하부연결판(230)은 직각삼각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취부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샤프트(300)의 상단면에는 사각 또는 육각 형상의 렌치홈(320)이 요입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취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100)는 'ㄷ'형상의 제1상부고정블럭(110)과, 'ㄷ'형상의 제2상부고정블럭(120)과, 일단은 상기 제1상부고정블럭(110)에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상부고정블럭(120)에 일체로 고정되는 상부연결판(130)과, 상기 스크류샤프트(300)와 치결합되게 상기 상부연결판(130)을 상하로 관통하여 고정된 스크류가이더(14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고정부(200)는 'ㄷ'형상의 제1하부고정블럭(210)과, 'ㄷ'형상의 제 2하부고정블럭(220)과, 일단은 상기 제1하부고정블럭(210)에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하부고정블럭(220)에 일체로 고정되는 하부연결판(230)과, 상기 체인(400)의 일단이 고정되게 상기 하부연결판(230)의 상면에 설치된 브라켓(2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취부장치.
KR2020080012716U 2008-09-22 2008-09-22 앵글 취부장치 KR2004504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716U KR200450480Y1 (ko) 2008-09-22 2008-09-22 앵글 취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716U KR200450480Y1 (ko) 2008-09-22 2008-09-22 앵글 취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456U KR20100003456U (ko) 2010-03-31
KR200450480Y1 true KR200450480Y1 (ko) 2010-10-07

Family

ID=4419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716U KR200450480Y1 (ko) 2008-09-22 2008-09-22 앵글 취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4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384B1 (ko) * 2007-02-13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라이트 청소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5384A (ja) * 1993-12-14 1995-06-27 Mitsubishi Heavy Ind Ltd アングル鋼材つかみ装置
JPH10252273A (ja) 1997-03-13 1998-09-22 Eihou Bussan Kk 鉄骨組立て用治具
KR20040029984A (ko) * 2001-05-11 2004-04-08 보드 오브 리전츠,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Cd26을 발현하는 세포와 연관된 질환의 치료제로사용되는 항-cd26 단클론항체
KR20060106923A (ko) * 2006-09-11 2006-10-12 최지민 샌드위치 패널용 볼트체결구
KR200429984Y1 (ko) 2006-08-18 2006-10-31 주식회사 대경 유니버셜 앵글 죠우 클램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5384A (ja) * 1993-12-14 1995-06-27 Mitsubishi Heavy Ind Ltd アングル鋼材つかみ装置
JPH10252273A (ja) 1997-03-13 1998-09-22 Eihou Bussan Kk 鉄骨組立て用治具
KR20040029984A (ko) * 2001-05-11 2004-04-08 보드 오브 리전츠,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Cd26을 발현하는 세포와 연관된 질환의 치료제로사용되는 항-cd26 단클론항체
KR200429984Y1 (ko) 2006-08-18 2006-10-31 주식회사 대경 유니버셜 앵글 죠우 클램프
KR20060106923A (ko) * 2006-09-11 2006-10-12 최지민 샌드위치 패널용 볼트체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384B1 (ko) * 2007-02-13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라이트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456U (ko)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4640B2 (ja) H型鉄骨の下フランジ接続用スプライス板の組み付け用治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プライス板の組み付け方法。
JP4231053B2 (ja) H型鉄骨の上フランジ接続用スプライス板の組み付け用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組み付け方法
JP2015145565A5 (ko)
KR200450480Y1 (ko) 앵글 취부장치
JP5703242B2 (ja) 屋根上取付具
JP5356981B2 (ja) 足場用パネル連結具
JP2018105113A (ja) 部材取付用治具
KR100964640B1 (ko) 부시 절삭용 지지장치
JP3194286U (ja) ルーバーにおけるストリンガーの取付装置
JP5399865B2 (ja) 補充パネル付き吊り足場
JP2019105033A (ja) スプライスプレート保持用治具
JP2016069837A (ja) 嵌合補助治具及び継手部の嵌合方法
EP1174372B1 (en) Connection element for two components, one of which is tubular
KR101849909B1 (ko) 철근연결방법 및 그 장치
CN216476336U (zh) 一种棘扣式可调柱箍
KR20150010900A (ko) 거푸집을 포함하는 건축 자재 서포트용 소켓 및 이 소켓이 적용된 시스템 서포트
JP3137248U (ja) 取付固定具
KR20170088209A (ko)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JP7133839B2 (ja) 折板構造屋根の仮設資材取付具
KR200464030Y1 (ko) 보링기 가이드지그
KR200489385Y1 (ko) 판넬 지지봉 클립 고정용 지그
JP6112516B2 (ja) 屋根上構造物
KR20130005479U (ko) H형 빌트업 형강재 취부지그
JP6817616B2 (ja) 連結具
JP2021102874A (ja) 部材位置決め取付具、及び、部材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