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209A -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 Google Patents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209A
KR20170088209A KR1020160008284A KR20160008284A KR20170088209A KR 20170088209 A KR20170088209 A KR 20170088209A KR 1020160008284 A KR1020160008284 A KR 1020160008284A KR 20160008284 A KR20160008284 A KR 20160008284A KR 20170088209 A KR20170088209 A KR 20170088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ate
jig
fixing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8107B1 (ko
Inventor
연제완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8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107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100)는, 핀 플레이트(10)가 용접되어 부착될 부착 대상면(20)에 인접하여 장착되어 핀 플레이트(10)의 위치를 가이드하여 고정시키는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100)로서, 양단부에 본체고정부(120)를 장착하고, 일측면에 핀 플레이트 지지부(130)를 장착하며, 좌우측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양단부에 장착되고, 노즐(30)과 결속되어 고정되며, 노즐(30)과 본체부(110)를 서로 결속시켜 고정시키는 본체고정부(120); 및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고, 핀 플레이트(10)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핀 플레이트(1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둘 이상의 핀 플레이트 지지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에 따르면,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 핀 플레이트를 정확한 위치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고, 다수의 핀 플레이트에 대해 작업할 경우, 작업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Fit Up Jig for Fin Plate}
본 발명은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핀 플레이트의 정확한 위치와 방향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노즐과 노즐 사이에 핀 플레이트를 위치시킨 후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은 노즐과 노즐 사이에 핀 플레이트를 위치시킬 때 여러 작업자가 필요하다.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 수행될 경우, 핀 플레이트를 하나하나 일일이 위치를 고정시켜 핏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은 둘 이상의 다수의 핀 플레이트에 대한 작업에 적용될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은 다수의 작업자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1-0001908호 (2001년 01월 26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핀 플레이트를 부착 대상면에 핏업(fit-up)할 경우, 다수의 작업자가 필요하지 않고, 핀 플레이트의 정확한 위치와 방향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는: 핀 플레이트가 용접되어 부착될 부착 대상면에 인접하여 장착되어 핀 플레이트의 위치를 가이드하여 고정시키는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로서, 양단부에 본체고정부를 장착하고, 일측면에 핀 플레이트 지지부를 장착하며, 좌우측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에 장착되고, 노즐과 결속되어 고정되며, 노즐과 본체부를 서로 결속시켜 고정시키는 본체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핀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핀 플레이트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둘 이상의 핀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측단면상 'ㄱ'자형 구조이고, 본체부의 일측면에 핀 플레이트 지지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본체부의 양단부의 이격 거리를 변경할 수 있는 길이변경부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길이변경부는: 본체부의 내부에 연장암이 슬라이딩되어 인입되거나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홈부; 및 상기 슬라이딩 홈부에 인입되거나 토출되어 본체부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연장암(arm);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변경부는, 본체부에 장착되고 연장암을 잡아 고정하는 연장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고정부는; 본체부의 양단부에 장착되고, 노즐의 외부면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부에 장착되고, 위치가 변경되어 노즐의 외부면을 가압함으로써 고정프레임과 노즐을 서로 결속시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클램프 또는 볼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고정부는: 본체부의 양단부에 장착되고, 노즐의 내경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내경삽입부; 및 상기 내경삽입부에 장착되고, 노즐과 내경삽입부를 서로 결속시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회전동작에 의해 내경삽입부의 외경을 가변시키는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는, 핀 프렐이트 지지부의 높이를 변경시킬 수 있는 높이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높이변경부는: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핀 플레이트 지지부가 슬라이딩되어 수직 이동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홈부; 상기 슬라이딩 홈부에 인접하여 장착되고, 볼팅 동작에 의해 슬라이딩 홈부의 내부를 통해 이동하는 핀 플레이트 지지부를 잡아 고정하는 볼팅 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는: 본체고정부의 일측부에 장착되고, 핀 플레이트 지지부의 상부에 얹혀져 고정되는 핀 플레이트의 상부면을 눌러 고정하는 핀 플레이트 누름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본체고정부 및 핀 플레이트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어,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 핀 플레이트를 정확한 위치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고, 다수의 핀 플레이트에 대해 작업할 경우, 작업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에 따르면, 본체부의 양단부의 이격 거리를 변경시킬 수 있는 길이변경부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길이와 크기를 가지는 부착 대상면에 대해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에 따르면, 노즐의 내경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본체고정부 또는 노즐의 외부면을 감싸며 고정되는 본체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사양의 부착 대상면에 대해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에 따르면, 핀 플레이트 지지부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높이변경부를 구비함으로써, 핀 플레이트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에 따르면, 핀 플레이트 지지부의 상부에 얹혀져 고정되는 핀 플레이트의 상부면을 눌러 고정하는 핀 플레이트 누름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핀 플레이트의 위치를 더욱 안적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노즐과 노즐 사이에 핀 플레이트를 위치시킨 후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를 핀 플레이트가 용접되어 부착될 부착 대상면에 인접하여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를 이용하여 핀 플레이트의 위치를 손쉽게 위치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9 및 도 10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100)는, 핀 플레이트(10)가 용접되어 부착될 부착 대상면(20)에 인접하여 장착되어 핀 플레이트(10)의 위치를 가이드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100)를 핀 플레이트가 용접되어 부착될 부착 대상면에 인접하여 장착한 모습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를 이용하여 핀 플레이트의 위치를 손쉽게 위치시키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100)는, 특정 구조의 본체부(110), 본체고정부(120) 및 핀 플레이트 지지부(130)를 구비하고 있어,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 핀 플레이트(10)를 정확한 위치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고, 다수의 핀 플레이트에 대해 작업할 경우, 작업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100)를 구성하고 있는 본체부(110), 본체고정부(120) 및 핀 플레이트 지지부(1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는 양단부에 본체고정부(120)를 장착하고, 일측면에 핀 플레이트 지지부(130)를 장착하며, 좌우측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판상형 구조일 수 있다.
본체부(110)의 구조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소정 크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면상 'ㄱ'자형 구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에는 본체부(110)의 양단부의 이격 거리를 변경할 수 있는 길이변경부(140)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언급한 길이변경부(140)는 슬라이딩 홈부(141) 및 연장암(arm, 14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슬라이딩 홈부(141)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연장암(142)이 슬라이딩되어 인입되거나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연장암(arm, 142)은 슬라이딩 홈부(141)에 인입되거나 토출되어 본체부(110)의 길이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일측면에는 연장암(142)을 잡아 고정하는 연장암 고정부(14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연장암 고정부(143)는 슬라이딩 되어 움직이는 연장암(142)을 잡아 고정시킬 수 있는 부재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일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100)는, 본체부의 양단부의 이격 거리를 변경시킬 수 있는 길이변경부(140)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길이와 크기를 가지는 부착 대상면에 대해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본체고정부(120)는,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양단부에 장착되고, 노즐(30)과 결속되어 고정되며, 노즐(30)과 본체부(110)를 서로 결속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고정부(120)는 고정프레임(121) 및 고정부재(12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고정프레임(121)은, 본체부(110)의 양단부에 장착되고 노즐(30)의 외부면을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22)는, 고정프레임(121)의 일측부에 장착되고, 위치가 변경되어 노즐(30)의 외부면을 가압함으로써 고정프레임(121)과 노즐(30)을 서로 결속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22)는 클램프 또는 볼트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고정부(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30)의 내경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내경삽입부(123) 및 고정부재(12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경삽입부(123)는 본체부(110)의 양단부에 장착되고, 고정부재(124)에 의해 노즐과 서로 결속될 수 있다. 고정부재(124)는 내경삽입부(123)와 노즐(30)을 서로 결속시킬 수 있는 부재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동작에 의해 내경삽입부(123)의 외경을 가변시키는 부재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24)의 일측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봉이 장착될 수 있다.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회전봉에 장착된 프레임 구조가 변형되면서 내경삽입부(123)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정부재(124)의 회전동작에 의해 내경삽입부(123)의 외경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내경삽입부(123)는 노즐(30)의 내경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핀 플레이트 지지부(130)는,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둘 이상 장착되고, 핀 플레이트(10)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핀 플레이트(10)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100)는, 핀 프렐이트 지지부(130)의 높이를 변경시킬 수 있는 높이변경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높이변경부(150)는 슬라이딩 홈부(151) 및 볼팅 고정부(15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슬라이딩 홈부(151)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되고, 핀 플레이트 지지부(130)가 슬라이딩되어 수직 이동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볼팅 곶어부(152)는, 슬라이딩 홈부(150)에 인접하여 장착되고, 볼팅 동작에 의해 슬라이딩 홈부(150)의 내부를 통해 이동하는 핀 플레이트 지지부(130)를 잡아 고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100)는, 본체고정부(120)의 일측부에 장착되고, 핀 플레이트 지지부(130)의 상부에 얹혀져 고정되는 핀 플레이트(10)의 상부면을 눌러 고정하는 핀 플레이트 누름고정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핀 플레이트(10)를 더욱 손쉽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본체고정부 및 핀 플레이트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어,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 핀 플레이트를 정확한 위치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고, 다수의 핀 플레이트에 대해 작업할 경우, 작업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에 따르면, 본체부의 양단부의 이격 거리를 변경시킬 수 있는 길이변경부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길이와 크기를 가지는 부착 대상면에 대해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에 따르면, 노즐의 내경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본체고정부 또는 노즐의 외부면을 감싸며 고정되는 본체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사양의 부착 대상면에 대해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에 따르면, 핀 플레이트 지지부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높이변경부를 구비함으로써, 핀 플레이트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에 따르면, 핀 플레이트 지지부의 상부에 얹혀져 고정되는 핀 플레이트의 상부면을 눌러 고정하는 핀 플레이트 누름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핀 플레이트의 위치를 더욱 안적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핀 플레이트
20: 부착 대상면
30: 노즐
100: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110: 본체부
120: 본체고정부
121: 고정프레임
122: 고정부재
123: 내경삽입부
124: 고정부재
130: 핀 플레이트 지지부
140: 길이변경부
141: 슬라이딩 홈부
142: 연장암(arm)
143: 연장암 고정부
150: 높이변경부
151: 슬라이딩 홈부
152: 볼팅고정부
160: 핀 플레이트 누름고정부

Claims (12)

  1. 핀 플레이트(10)가 용접되어 부착될 부착 대상면(20)에 인접하여 장착되어 핀 플레이트(10)의 위치를 가이드하여 고정시키는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100)로서,
    양단부에 본체고정부(120)를 장착하고, 일측면에 핀 플레이트 지지부(130)를 장착하며, 좌우측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양단부에 장착되고, 노즐(30)과 결속되어 고정되며, 노즐(30)과 본체부(110)를 서로 결속시켜 고정시키는 본체고정부(120); 및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고, 핀 플레이트(10)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핀 플레이트(1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둘 이상의 핀 플레이트 지지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측단면상 'ㄱ'자형 구조이고,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핀 플레이트 지지부(130)가 상방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에는 본체부(110)의 양단부의 이격 거리를 변경할 수 있는 길이변경부(14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변경부(140)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연장암(142)이 슬라이딩되어 인입되거나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홈부(141); 및
    상기 슬라이딩 홈부(141)에 인입되거나 토출되어 본체부(110)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연장암(arm, 1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변경부(140)는, 본체부(110)에 장착되고 연장암(142)을 잡아 고정하는 연장암 고정부(1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핏업용 지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고정부(120)는;
    본체부(110)의 양단부에 장착되고, 노즐(30)의 외부면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 고정프레임(121); 및
    상기 고정프레임(121)의 일측부에 장착되고, 위치가 변경되어 노즐(30)의 외부면을 가압함으로써 고정프레임(121)과 노즐(30)을 서로 결속시켜 고정하는 고정부재(1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22)는 클램프 또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고정부(120)는:
    본체부(110)의 양단부에 장착되고, 노즐(30)의 내경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내경삽입부(123); 및
    상기 내경삽입부(123)에 장착되고, 노즐(30)과 내경삽입부(123)를 서로 결속시켜 고정하는 고정부재(1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24)는 회전동작에 의해 내경삽입부(123)의 외경을 가변시키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100)는, 핀 프렐이트 지지부(130)의 높이를 변경시킬 수 있는 높이변경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변경부(150)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되고, 핀 플레이트 지지부(130)가 슬라이딩되어 수직 이동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홈부(151);
    상기 슬라이딩 홈부(150)에 인접하여 장착되고, 볼팅 동작에 의해 슬라이딩 홈부(150)의 내부를 통해 이동하는 핀 플레이트 지지부(130)를 잡아 고정하는 볼팅 고정부(1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100)는: 본체고정부(120)의 일측부에 장착되고, 핀 플레이트 지지부(130)의 상부에 얹혀져 고정되는 핀 플레이트(10)의 상부면을 눌러 고정하는 핀 플레이트 누름고정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KR1020160008284A 2016-01-22 2016-01-22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KR101808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284A KR101808107B1 (ko) 2016-01-22 2016-01-22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284A KR101808107B1 (ko) 2016-01-22 2016-01-22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209A true KR20170088209A (ko) 2017-08-01
KR101808107B1 KR101808107B1 (ko) 2017-12-13

Family

ID=59650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284A KR101808107B1 (ko) 2016-01-22 2016-01-22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1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4277A1 (de) 2017-07-12 2019-01-17 Sunje Hi-Tek Co., Ltd. Röntgenröhre zur verbesserung der elektronenfokussieru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891Y1 (ko) 2003-05-23 2003-08-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전열튜브 용접 보조 장치
KR100568787B1 (ko) 2004-10-20 2006-04-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보일러 헤더의 니플 지지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4277A1 (de) 2017-07-12 2019-01-17 Sunje Hi-Tek Co., Ltd. Röntgenröhre zur verbesserung der elektronenfokussierung
DE102017124277B4 (de) 2017-07-12 2021-10-14 Sunje Hi-Tek Co., Ltd. Röntgenröhre zur verbesserung der elektronenfokussi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107B1 (ko) 201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7247B2 (en) Gripper with central support
US9457440B2 (en) Chattering vibration preventing jig for workpiece
JP2006102887A (ja) ワーククランプ装置
CN104889801A (zh) 一种机床的自动上下料装置
CN105004607A (zh) 一种万能试验机拉压一体化实验夹具
KR101808107B1 (ko)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CN209903247U (zh) 一种夹取装置
US10525558B2 (en) Chuck body, machine center, and method for gripping a work object to be processed
US8573577B2 (en) Point-welding clamp structure
KR101599513B1 (ko) 원 웨지 센터링 유압척
CN110695721A (zh) 一种用于自动化加工器械的多用型弹簧顶出固定加工夹具
CN107270851B (zh) 固定治具
KR101467291B1 (ko) 충격시편 가공용 지그 및 이를 활용하여 충격시편을 가공하는 방법
KR100621752B1 (ko) 보링머신의 슬라이딩 타입 바이트 홀더
KR20140004565U (ko) 턴오버 부재 지지용 장치
US20160059396A1 (en) Device for assembling a fuel injector assembly
KR20140004002U (ko) 캐리지 레일 설치용 지그
KR20110137141A (ko) 사방향을 이용한 중심위치 정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090120199A1 (en) Crosshead design for universal testing machine
KR200460579Y1 (ko)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장치
KR101881951B1 (ko) 헤더에 부착되는 노즐 핏업용 지그
KR200485405Y1 (ko) 선박의 월 블록용 핀지그
KR101824923B1 (ko) 노즐 핏업용 지그
CN212601441U (zh) 夹持机构
CN211889983U (zh) 一种精密钣金件加工的切割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