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190Y1 -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190Y1
KR200450190Y1 KR2020080008108U KR20080008108U KR200450190Y1 KR 200450190 Y1 KR200450190 Y1 KR 200450190Y1 KR 2020080008108 U KR2020080008108 U KR 2020080008108U KR 20080008108 U KR20080008108 U KR 20080008108U KR 200450190 Y1 KR200450190 Y1 KR 200450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peseed
network
drying
square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052U (ko
Inventor
허영만
장병래
이정로
Original Assignee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filed Critical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Priority to KR2020080008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190Y1/ko
Publication of KR200900130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0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1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기존의 순환식 곡물 건조기에 유채씨를 건조시킬때에만 유채건조망을 간단히 탈부착시켜 사용함으로써, 한대의 건조기로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여러 종류의 곡물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는 망사로된 유채건조망이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좌우타공망 상부면과, 중앙타공망 또는 사각타공망의 외부면에 탈부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좌우타공망에 설치되는 유채건조망은 좌우부착판에 의해 설치되며, 좌우부착판은 유채건조망을 장착하여 장착핀에 의해 좌우타공망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중앙타공망 또는 사각타공망에 설치되는 유채건조망은 사각부착판에 의해 설치되며, 사각부착판은 "ㄷ"자 형상을 갖는 두개의 부착판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부착판은 유채건조망을 장착하여 중앙타공망 또는 사각타공망의 상단에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건조실의 바로 위 상측 전면과 양측면에는 유채건조망을 설치하기 위해 마련된 설치문이 탈부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A rapeseed multiple use circulation-type grain dryer}
본 발명은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벼를 건조시키는 건조기로 사용되다가 유채씨의 수확철에는 건조실내에 형성된 타공망을 유채건조망으로 씌워서 유채씨의 원활한 건조를 도모하는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등의 곡물류는 소비자에게 도달하기까지 보관 및 운송을 위해서 반드시 건조가 선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산지에서 수확한 곡물류는 통상 20~30%의 고함수율이기 때문에 쉽게 변질되거나 부패되어 곡물의 품질저하와 양적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곡물류는 수확직후 안전한 저장과 운송 및 식미의 보존을 위해서 약 15%의 수분 함유량을 갖도록 건조해야 한다.
이러한 곡물 건조를 위해 중대형 건조방식의 순환식 곡물 건조기가 널리 사용되는데,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벼나 보리 등의 곡물에 건조열풍을 강제로 순환시키면서 곡물을 순환시켜주어 곡물의 함수율을 일정수준까지 건조시켜 주는 장치이 다.
상기한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구조를 간략히 살펴보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조기(10)내로 건조될 곡물이 투입되는 곡물 투입문(12)과, 투입된 곡물을 상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승강기(14)와, 낙하되는 곡물을 사방으로 분산시키는 균분기(16)와, 곡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실(20)을 포함한다.
이때, 건조실(20)에는 중앙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진 좌우타공망(22)이 구비되고, 좌우타공망(22)의 사이에 마름모꼴 형상의 중앙타공망(24)이 형성된다. 또는 경우에 따라서 중앙타공망(24)의 위에 사각타공망(26)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각타공망(26), 중앙타공망(24) 및 좌우타공망(22)의 사이에 형성된 통로로 곡물을 하향 이송시키면서 열풍을 송풍하여 곡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그리고 건조실(20)을 통과한 곡물들은 다시 하부이송장치(30)에 모아져 승강기(14)를 통해 상부로 올라가며, 정해진 수분함량에 도달할때까지 계속된 순환을 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바이오디젤이라고 하여 곡물에서 기름을 추출하게 되었다. 이러한 바이오디젤을 얻기 위해 곡물들을 건조하게 되는데, 특히 유채씨가 많은 기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 유채씨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유채씨의 건조는 그 수확철인 6월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순 유채씨의 건조만을 위한 건조기를 따로 두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전술한 순환식 곡물 건조기를 이용하여 벼 뿐만 아니라 유채씨까지 겸용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전술한 순환식 곡물 건조기는 통상 벼의 건조를 위해 제작되었기 때문에 좌우타공망(22), 중앙타공망(24) 및 사각타공망(26)을 벼의 크기보다 작은 약 2mm 정도의 타공을 뚫게 되므로 0.8~2.5mm(평균 1.79mm)의 크기를 갖는 유채씨의 건조에는 부적합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벼와 유채씨의 크기의 중간정도인 1.5mm 정도의 타공을 하여 제작된 사례가 있으나, 이 사이즈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채씨가 타공에 끼이기 때문에 열풍의 원활한 송풍이 안되어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벼의 건조율도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어 어느 하나 제대로된 건조를 하지 못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채씨를 건조할때에는 타공망들의 외부에 전용 유채건조망을 설치함으로써, 원활한 유채씨의 건조를 도모할 수 있는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유채건조망을 타공망들에 씌우기 위해 특수 고안된 가대가 마련되고, 유채건조망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건조기의 외벽에 유채건조망 설치문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좌우타공망과 중앙타공망 또는, 좌우타공망과 중앙타공망과 사각타공망을 갖는 건조실내에 곡물을 투입하여 건조시키는 통상의 순환식 곡물 건조기에 있어서,
좌우타공망의 상부면과, 중앙타공망 및 사각타공망의 외부면에 망사로된 유채건조망이 선택적으로 탈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이때, 유채건조망의 홀 간격은 0.5~2mm가 적당하며, 1mm 내외가 최적이다.
여기에서, 좌우타공망의 상부면에 씌워지는 유채건조망은 좌우부착판에 의해 설치되며, 유채건조망은 물림수단에 의해 좌우부착판에 장착되고, 좌우부착판은 그 상부에 돌출된 장착핀이 일체로 형성되어 장착핀이 좌우타공망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에 삽입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앙타공망 및 사각타공망의 외부면에 씌워지는 유채건조망은 사각부착판에 의해 설치되며, 사각부착판은 상부에 "ㄷ"자 형상을 갖는 두개의 제1사각부착판 및 제2사각부착판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부착판에 유채건조망이 물림수단에 의해 장착되며, "ㄷ"자 형상의 부착판이 중앙타공망 및 사각타공망의 상단에 서로 반대측으로 끼움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채건조망의 하단에는 무게추가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건조실의 바로 위 상측 전면과 어느 측면에는 유채건조망을 설치하기 위해 마련된 설치문이 탈부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는 기존의 순환식 곡물 건조기에 유채씨를 건조시킬때에만 유채건조망을 간단히 탈부착시켜 사용함으로써, 한대의 건조기로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곡물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유채건조망이 합성섬유사로 직조되기 때문에 동그란 유채씨가 사각형홀을 갖는 유채건조망에 잘 끼이지 않게 되고, 혹시나 끼이더라도 유채건조망의 쉽게 털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채건조망의 설치를 위해 특수 고안된 가대를 사용함으로써, 필요시에만 설치하는 유채건조망의 설치를 최대한 간편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내의 건조실 모습만을 나타낸 요부 도면이며,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채건조망의 모습을 보인 확대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유채건조망(100)은 기존의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좌우타공망(22)의 상부면과, 중앙타공망(24)의 외부와, 사각타공망(26)의 외부에 씌워진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유채건조망(10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합성섬유사로 직조된 망사로, 씨실(101)들의 간격 및 날실(102)들의 간격이 각각 0.5~2mm 내외에서 직조된다. 이와 같이 0.5~2mm 내외로 설정하는 이유는 구형을 갖는 유채씨가 0.8~2.5mm(평균 1.79mm)의 크기를 갖는데, 아주 작은 0.5mm 이하의 유채씨를 제외하고는 유채건조망(100)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채건조망(100)은 사각홀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형상의 유채씨가 사각홀에 잘 끼이지 않는 특징이 있다. 좀더 부연하면, 철망과 같은 경우에는 원형의 타공을 천공하게 되는데, 같은 원형인 유채씨는 타공보다 조금 클 경우 유채씨가 타공에 삽입되어 끼이게 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사각홀의 경우는 유채씨가 잘 끼이지 않을뿐더러 유채씨가 끼이더라도 본 고안에 따른 유채건조망(100)이 합성섬유사로 제작되기 때문에 합성섬유사의 구부러지는 유동에 의해 아예 빠져 나가게 되어 막힘현상이 덜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유채건조망(100)을 좌우타공망(22)에 설치하기 위한 좌우설치가대와, 중앙타공망(24) 및 사각타공망(26)에 설치하기 위한 사각설치가대가 구비된다.
순환식 곡물 건조기를 제작하는 회사에 따라서 타공망의 개수가 다를 수가 있는데, 대부분 좌우타공망(22)과 중앙타공망(24)은 기본적으로 형성되며, 사각타공망(26)은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따라서 사각설치가대는 사각타공망이 없는 건조기에서는 중앙타공망(24)에만 설치되고, 사각타공망(26)이 있는 건조기에서는 중앙타공망(24) 및 사각타공망(26) 모두에 설치된다.
도 5는 좌우설치가대의 설치모습을 보인 도면으로 도 3의 A부분 확대도이며, 그리고 도 6은 사각설치가대의 설치모습을 보인 도면으로 도 3의 B 및 C부분 확대도이다.
먼저, 좌우설치가대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부착판(110)과, 유채건조망(100)을 좌우부착판(110)에 장착시키기 위한 물림수단(112)과, 좌우부착판(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장착핀(116)으로 구성된다. 즉, 볼트(113), 와셔(114) 및 너트(115)로 구성된 물림수단(112)으로 유채건조망(100)을 좌우부착판(110)에 장착시키고, 장착핀(116)을 좌우타공망(22)의 상부에 일체로 부착된 브라켓(120)에 삽입 고정시킨다. 따라서 브라켓(120)에는 장착핀(116)이 삽입되기 위한 장착공(122)이 형성되고, 장착핀(116) 및 장착공(122)은 좌우부착판(110)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브라켓(120)은 좌우타공망(22)이 사선으로 하향되는 직선형태에 평행 하게 "ㄱ"자 형태로 구부려지게 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좌우부착판(110)의 상단부도 브라켓(120)의 형태에 맞게 "ㄱ"자로 구부려 사용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브라켓(120)의 상단에는 좌우부착판(110)의 장착핀(116)에 유채씨가 끼이지 않게 하기 위해 경사진 처마(124)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각설치가대(13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름모꼴 형상의 중앙타공망(24)과 사각타공망(26)의 사방면 외부를 감싸야 하기 때문에 유채건조망(100)으로 좌측 두면을 감싸는 제1사각부착판(132)과, 우측 두면을 감싸는 제2사각부착판(134)으로 구성된다. 제1사각부착판(132) 및 제2사각부착판(134)에는 유채건조망(100)을 장착시키기 위한 물림수단(135)이 구비되고, 제1사각부착판(132) 및 제2사각부착판(134)의 상부는 중앙타공망(24) 및 사각타공망(26)의 상단 중앙에 끼워지도록 "ㄷ"자 형상으로 굴곡된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형성된 유채건조망(100)의 하단에는 무게추(도시되지 않음)를 달아 부착판을 설치하였을때에 유채건조망(100)이 하측으로 늘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무게추는 소정 굵기의 와이어나 환봉으로 사용됨이 가장 좋다. 즉, 환봉에 유채건조망(100)을 감아 놓았다가 설치할때에 놓으면 자중에 의해 환봉이 낙하하면서 유채건조망(100)을 자연스럽게 풀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유채건조망이 설치되기 위해 건조기 외벽에 설치문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유채건조망(100)을 건조실내에 설치하기 위해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외벽에 유채건조망 설치문(140, 140')이 형성된다. 즉, 설치문(140, 140')은 기존 순환식 곡물 건조기에서는 없던 것으로, 유채건조망(100)을 설치하기 위해 건조실의 바로 윗 부분 정면측과 양측면에 탈부착되는 설치문(140, 140')을 설치하여 유채건조망(100)의 용이한 설치를 도모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통상의 순환식 곡물 건조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건조기 타공망에 유채씨가 끼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건조실 부분만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채건조망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좌우설치가대의 설치모습을 보인 도면으로 도 3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사각설치가대의 설치모습을 보인 도면으로 도 3의 B 및 C부분 확대도이며, 그리고
도 7은 유채건조망을 설치하기 위해 건조기 외벽에 설치문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Claims (7)

  1. 좌우타공망과 중앙타공망 또는, 좌우타공망과 중앙타공망과 사각타공망을 갖는 건조실내에 곡물을 투입하여 건조시키는 통상의 순환식 곡물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좌우타공망의 상부면과, 상기 중앙타공망 및 사각타공망의 외부면에 망사로된 유채건조망이 선택적으로 탈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채건조망의 홀 간격은 0.5~2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타공망의 상부면에 씌워지는 유채건조망은 좌우부착판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유채건조망은 물림수단에 의해 상기 좌우부착판에 장착되고, 상기 좌우부착판은 그 상부에 돌출된 장착핀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핀이 상기 좌우타공망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에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타공망의 외부면에 씌워지는 유채건조망은 사각설치가대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사각설치가대는 상부에 "ㄷ"자 형상을 갖는 두개의 제1사각부착판 및 제2사각부착판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부착판에 상기 유채건조망이 물림수단에 의해 장착되며, "ㄷ"자 형상의 부착판이 상기 중앙타공망의 상단에 서로 반대측으로 끼움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채건조망의 하단에는 무게추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의 바로 위 상측 전면과 양측면에는 상기 유채건조망을 설치하기 위해 마련된 설치문이 탈부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
  7. 좌우타공망과 중앙타공망과 사각타공망을 갖는 건조실내에 곡물을 투입하여 건조시키는 통상의 순환식 곡물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좌우타공망의 상부면과, 상기 중앙타공망 및 사각타공망의 외부면에 망사로된 유채건조망이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며, 상기 사각타공망의 외부면에 씌워지는 유채건조망은 사각설치가대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사각설치가대는 상부에 "ㄷ"자 형상을 갖는 두개의 제1사각부착판 및 제2사각부착판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부착판에 상기 유채건조망이 물림수단에 의해 장착되며, "ㄷ"자 형상의 부착판이 상기 사각타공망의 상단에 서로 반대측으로 끼움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
KR2020080008108U 2008-06-17 2008-06-17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 KR200450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108U KR200450190Y1 (ko) 2008-06-17 2008-06-17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108U KR200450190Y1 (ko) 2008-06-17 2008-06-17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052U KR20090013052U (ko) 2009-12-28
KR200450190Y1 true KR200450190Y1 (ko) 2010-09-09

Family

ID=4447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108U KR200450190Y1 (ko) 2008-06-17 2008-06-17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19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8805A (zh) * 2017-07-25 2017-11-24 卢丽花 一种阶梯缓降式稻谷风干装置的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755A (ja) * 1994-06-28 1996-01-19 Iseki & Co Ltd 穀物貯留ビンの撹拌装置
JPH11157596A (ja) 1997-11-28 1999-06-15 Iseki & Co Ltd 穀粒乾燥機の穀粒貯留室補強装置
JP2003236398A (ja) 2002-02-19 2003-08-26 Iseki & Co Ltd 循環型穀粒乾燥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755A (ja) * 1994-06-28 1996-01-19 Iseki & Co Ltd 穀物貯留ビンの撹拌装置
JPH11157596A (ja) 1997-11-28 1999-06-15 Iseki & Co Ltd 穀粒乾燥機の穀粒貯留室補強装置
JP2003236398A (ja) 2002-02-19 2003-08-26 Iseki & Co Ltd 循環型穀粒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052U (ko) 200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190Y1 (ko) 유채씨 겸용 순환식 곡물 건조기
BR102014019434B1 (pt) Processo de secagem de grãos por múltipla intermitência e secador correspondente
DE102006023952A1 (de) Wäschetrockner
CN208708485U (zh) 一种水生养殖鱼苗的快速筛选装置
KR101446071B1 (ko) 식품건조기
DE102009029145B4 (de) Kältegerät mit Einbaubehälter
KR101235817B1 (ko)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
CN218999872U (zh) 一种分类放置的新型茶叶柜
CN103380815A (zh) 小麦除杂烘干机
CN201575683U (zh) 粮食烘干机通风网孔板
CN109692798A (zh) 雄蜂筛选装置及雄蜂筛选方法
KR20170009523A (ko) 양봉용 화분채취기
CN211372998U (zh) 一种自然风干房
CN212064946U (zh) 一种用于粮食的通风降温系统
KR100792816B1 (ko) 곡물저장고의 배출장치
CN208536123U (zh) 一种加湿组件、加湿装置及取暖器
CN103250816A (zh) 多功能摊凉筛
KR200376228Y1 (ko) 열풍건조기용 건조상자
CN209825066U (zh) 一种高效率茶叶摊凉架
DE202022106428U1 (de) Ein System zur Entwicklung von Solartrocknern für landwirtschaftliche Produkte
CN220269839U (zh) 一种角盒烘干机构及烘干机
CN217754997U (zh) 一种基于蔬菜种质资源用具有恒温防潮功能的储存设备
CN219572588U (zh) 一种种子储存用翻动干燥装置
KR102657598B1 (ko) 농수산물 건조용 건조기
CN218008784U (zh) 一种智能家居防虫除湿清洁鞋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