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177Y1 -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 - Google Patents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177Y1
KR200450177Y1 KR2020080012106U KR20080012106U KR200450177Y1 KR 200450177 Y1 KR200450177 Y1 KR 200450177Y1 KR 2020080012106 U KR2020080012106 U KR 2020080012106U KR 20080012106 U KR20080012106 U KR 20080012106U KR 200450177 Y1 KR200450177 Y1 KR 200450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art
frame
height adjustmen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966U (ko
Inventor
신정희
Original Assignee
신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희 filed Critical 신정희
Priority to KR2020080012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17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29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9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1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 B62B1/0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6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height

Abstract

바퀴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경사지에서도 적재물의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경사지를 이동할 수 있는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는 두 개의 수직한 프레임과, 프레임의 전면 하부를 연결하면서 수평하게 제공되고 운반하고자 하는 적재물이 올려지는 적재판을 구비한다. 또한 손수레는 각각의 프레임에 배면에 배치되는 높이조절이동수단을 더 구비한다. 높이조절이동수단은, 프레임의 배면 하부에 수직하게 고정 장착되고 수직한 가이드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 고정브라켓을 따라 승강 및 하강되며 일측에는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브라켓, 및 프레임의 배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하부가 이동브라켓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브라켓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스크루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손수레는 비탈진 경사지에서 작업 시 경사지의 아래쪽에 배치된 높이조절이동수단을 조절하여 손수레의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Description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HANDCART}
본 고안은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 지역에서 각종 농작물을 밭에서 재배한 후, 수확시기가 되면 다수의 작업자들이 수확용 용기를 들고 이동하면서 농작물을 수확하게 된다. 수확용 용기가 채워지면 작업자는 채워진 용기를 한쪽에 적재한 후, 새로운 용기로 상기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상황에 따라 수확한 농작물을 곳곳에 쌓아두면 수레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차량이나 창고 등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전술한 수레는, 통상 한 쌍의 바퀴들과, 바퀴들의 전방부로 적재물이 적재되는 받침대가 구성되며, 그 뒤편으로 적재된 화물들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지지대가 입설되어 있다. 수직지지대는 받침대와 대략 수직으로 이루고 있으며, 수직지지대의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잡고 수레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수레는 적재물을 받침대 상에 적재하면서 수직지지대에 기대서 쌓아 올리게 되며, 이렇게 적재물을 적재한 다음 손잡이를 잡고 수레를 기울여서 받침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밀어 이동시키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수레는 비교적 평평한 평지형 밭에서는 적재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이동이 용이하나, 경사진 밭에서는 한쪽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적재물을 적재하기 않을 상태에서도 이동이 어렵고, 적재물을 적재한 상태로 이동시에는 적재물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적재물이 떨어지거나 수레가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바퀴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경사지에서도 적재물의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경사지를 이동할 수 있는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두 개의 수직한 프레임과, 프레임의 전면 하부를 연결하면서 수평하게 제공되고 운반하고자 하는 적재물이 올려지는 적재판을 구비하는 손수레에 있어서,
손수레는, 각각의 프레임에 배면에 배치되는 높이조절이동수단을 더 구비하며,
높이조절이동수단은,
프레임의 배면 하부에 수직하게 고정 장착되고 수직한 가이드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
고정브라켓을 따라 승강 및 하강되며 일측에는 회전축이 고정되며, 회전축에 는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브라켓; 및
프레임의 배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하부가 이동브라켓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브라켓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스크루로 이루어진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를 제공한다.
이동브라켓은 "ㄱ"자 형상을 가지며 이동브라켓의 상부에는 승하강스크루의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브라켓에는 가이드공과 마주보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가이드공 및 체결공에는 체결볼트가 관통되며, 체결볼트의 연장단부에는 고정브라켓에 이동브라켓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체결너트가 체결된다.
승하강스크루의 외주면 상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프레임의 배면 상에는 내주면 상에 수나사와 맞물리는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플랜지가 장착되며, 승하강스크루의 상부에는 핸들이 장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각각의 프레임의 배면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가, 고정브라켓을 따라 승강 및 하강하면서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이동브라켓 및 이동브라켓을 승강 및 하강 시키는 승하강스크루을 가지는 높이조절이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비탈진 경사지에서 손수레로 적재물을 운반할 때, 경사지의 아래쪽에 배치된 높이조절이동수단을 조절하여 손수레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경사지에서도 적재물의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경사지를 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100)는, 두 개의 수직한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전면 하부를 연결하면서 수평하게 제공되고 운반하고자 하는 적재물이 올려지는 적재판(120), 및 프레임(110) 배면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높이조절이동수단(130)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112)가 제공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높이조절이동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높이조절이동수단(130)은, 고정브라켓(132), 고정브라켓(132)과 연결되고 고정브라켓(132)을 따라 승강 및 하강하는 이동브라켓(136), 및 이동브라켓(136)을 승강 및 하강 시키는 승하강스크루(146)를 구비한다.
먼저, 고정브라켓(1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판 형상을 가지며, 프레임(110)의 배면 하부에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고정브라켓(132)에는 수직한 가이드공(134)이 형성된다. 가이드공(134)은 수직한 장공의 형상을 가진다. 이렇게 형성된 고정브라켓(132)에는 이동브라켓(136)이 배치된다.
이동브라켓(136)은 고정브라켓(132)의 일측에 배치되며, 대략 "ㄱ"자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이동브라켓(136)의 하부에는 고정브라켓(132)에 대향하는 측으로 회전축(137)이 고정장착되며, 회전축(137)에는 바퀴(138)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이동브라켓(136)에는 가이드공(134)과 마주보는 체결공(140)이 형성되는데, 가이드공(134)과 체결공(140)에는 체결볼트(142)가 관통하며 체결볼트(142)의 연장단부에는 체결너트(144)가 체결된다. 이때, 체결너트(144)는 이동브라켓(136)이 고정브라켓(132)에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체결된다.
승하강스크루(146)는 프레임(110)의 배면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승하강스크루(146)의 외주면 상에는 수나사(148)가 형성되고, 승하강스크루(146)의 하부는 이동브라켓(136)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프레임(110)의 배면 상에는 내주면 상에 수나사(148)와 맞물리는 암나사(152)가 형성된 고정플랜지(150)가 장착되고, 승하강스크루(146)의 상부에는 핸들(154)이 장착된다. 즉, 승하강스크루(146)는 고정플랜지(150)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200)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두 개의 수직한 프레임(210)과, 프레임(210)의 전면 하부를 연결하면서 수평하게 제공되고 운반하고자 하는 적재물이 올려지는 적재판(220), 및 프레임(210) 배면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높이조절이동수단(230)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21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212)가 제공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이동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높이조절이동수단(230)은, 고정브라켓(232), 고정브라켓(232)과 연결되고 고정브라켓(232)을 따라 승강 및 하강하는 이동브라켓(236), 이동브라켓(236)을 승강 및 하강 시키는 통상의 오일잭(246)을 구비한다.
먼저, 고정브라켓(2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판 형상을 가지며, 프레임(210)의 배면 하부에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고정브라켓(232)에는 수직한 가이드공(234)이 형성된다. 가이드공(234)은 수직한 장공의 형상을 가진다. 이렇게 형성된 고정브라켓(232)에는 이동브라켓(236)이 배치된다.
이동브라켓(236)은 고정브라켓(232)의 일측에 배치되며, 대략 "ㄱ"자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이동브라켓(236)의 하부에는 고정브라켓(232)에 대향하는 측으로 회전축(237)이 회전가능하제 장착되며, 회전축(237)에는 바퀴(238)가 고정 장착된다. 또한 이동브라켓(236)에는 가이드공(234)과 마주보는 체결공(240)이 형성되는데, 가이드공(234)과 체결공(240)에는 체결볼트(242)가 관통하며 체결볼트(242)의 연장단부에는 체결너트(244)가 체결된다. 이때, 체결너트(244)는 이동브라켓(236)이 고정브라켓(232)에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체결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이동브라켓(236)은 통상의 오일잭(246)에 의해서 승강 및 하강하게 된다.
오일잭(246)은 램(248)이 이동브라켓(236) 측으로 신장 및 수축될 수 있도록 프레임(210)의 배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램(248)의 연장단부는 이동브라켓(236)의 상부에 고정된다.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오일잭(246)에는 램(248)을 신장시키는 작동시키는 잭레버(250)가 장착되고, 오일압을 조절하고 신장된 램(248)을 복귀시 키는 릴리스밸브(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동수단(230)은 손수레(200)를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동모터(252)를 더 구비한다.
구동모터(252)는 고정브라켓(232)에 대향하는 이동브라켓(236)의 일측에 회전축(237) 및 바퀴(238)에 간섭되지 않게 장착된다. 이러한 구동모터(252)에서 연장되는 구동축(254)에는 제 1 스프로킷(256)이 장착되고, 회전축(237)에는 체인(258)을 매개로 하여 제 1 스프로킷(256)과 연결되는 제 2 스프로킷(260)이 장착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100, 2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밭에서 수확한 작물을 용이하게 운반하기 위해서는, 손수레(100) 및 손수레(100)에 장착된 적재판(120)을 수평하게 유지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작업자는 경사진 밭의 아래쪽에 배치된 높이조절이동수단(130)을 작동시킨다.
작업자가 경사진 밭의 아래쪽에 배치된 높이조절이동수단(130)의 승하강스크루(136)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승하강스크루(146)는 회전하면서 하측으로 이송된다. 이렇게 승하강스크루(146)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승하강스크루(146)와 연결된 이동브라켓(136) 및 이동브라켓(136)에 장착된 바퀴(138)는 하측으로 안내된다. 그 결과 손수레(100) 및 손수레(100)에 장착된 적재판(120)은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손수레(100)가 수평을 유지하게 되면, 작업자는 승하강스크루(136)의 회전을 중지시키고, 적재판(120)에 적재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운반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경사진 밭에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200) 및 손수레(200)에 장착된 적재판(220)을 수평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경사진 밭의 아래쪽에 배치된 높이조절이동수단(230)을 작동시킨다.
작업자는 오일잭(246)이 릴리스밸브(도시되지 않음)를 잠금 상태로 돌린 상태에서 잭레버(250)를 작동시켜 램(248)을 신장시킨다. 이렇게 램(248)이 하측으로 신장되면 이동브라켓(236) 및 이동브라켓(236)에 장착된 바퀴(238)는 하측으로 안내된다. 그 결과 손수레(200) 및 손수레(200)에 장착된 적재판(220)은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손수레(200)가 수평을 유지하게 되면, 작업자는 오일잭(246)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적재판(220)에 적재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운반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한편, 손수레(200)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구동모터(252)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구동모터(252)가 작동하면, 구동축(254) 및 제 1 스프로킷(256)은 회전되고, 제 1 스프로킷(256)이 회전됨에 따라 체인(258)을 매개로 연 결된 제 2 스프로킷(260)은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제 2 스프로킷(26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237) 및 바퀴(238)로 회전하고, 손수레(200)는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높이조절이동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이동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200 :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 110, 210 : 프레임
120, 220 : 적재판 130, 230 : 높이조절이동수단
132, 232 : 고정브라켓 136, 236 : 이동브라켓
138, 238 : 바퀴 146 : 승하강스크루
246 : 오일잭 252 : 구동모터

Claims (6)

  1. 두 개의 수직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 하부를 연결하면서 수평하게 제공되고 운반하고자 하는 적재물이 올려지는 적재판을 구비하는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손수레는, 각각의 상기 프레임에 배면에 배치되는 높이조절이동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높이조절이동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배면 하부에 수직하게 고정 장착되고 수직한 가이드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을 따라 승강 및 하강되며 일측에는 회전축이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에는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브라켓; 및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하부가 상기 이동브라켓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브라켓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스크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브라켓은 "ㄱ"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동브라켓의 상부에는 상기 승하강스크루의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이동브라켓에는 상기 가이드공과 마주보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 및 상기 체결공에는 체결볼트가 관통되며, 상기 체결볼트의 연장단부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상기 이동브라켓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체결너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스크루의 외주면 상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배면 상에는 내주면 상에 상기 수나사와 맞물리는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플랜지가 장착되며, 상기 승하강스크루의 상부에는 핸들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
  4. 두 개의 수직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 하부를 연결하면서 수평하게 제공되고 운반하고자 하는 적재물이 올려지는 적재판을 구비하는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손수레는, 각각의 상기 프레임에 배면에 배치되는 높이조절이동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높이조절이동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배면 하부에 수직하게 고정 장착되고 수직한 가이드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을 따라 승강 및 하강되며 일측에는 바퀴가 고정장착된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브라켓; 및
    램이 상기 이동브라켓 측으로 신장 및 수축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램은 상기 이동브라켓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브라켓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오일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브라켓은 "ㄱ"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동브라켓의 상부에는 상기 램의 연장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이동브라켓에는 상기 가이드공과 마주보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 및 상기 체결공에는 체결볼트가 관통되며, 상기 체결볼트의 연장단부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상기 이동브라켓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체결너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이동수단은 상기 손수레를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동모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대향하는 상기 이동브라켓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에서 연장되는 구동축에는 제 1 스프로킷이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에는 체인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 1 스프로킷과 연결되는 제 2 스프로킷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
KR2020080012106U 2008-09-05 2008-09-05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 KR200450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106U KR200450177Y1 (ko) 2008-09-05 2008-09-05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106U KR200450177Y1 (ko) 2008-09-05 2008-09-05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966U KR20100002966U (ko) 2010-03-15
KR200450177Y1 true KR200450177Y1 (ko) 2010-09-08

Family

ID=4419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106U KR200450177Y1 (ko) 2008-09-05 2008-09-05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1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656B1 (ko) * 2018-12-07 2019-08-19 안영후 수동식 왜건용 보조 전동장치
KR20210000827A (ko) 2019-06-26 2021-01-06 장윤근 운반 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867B1 (ko) * 2012-03-12 2013-10-28 (주) 세창기계 이송판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박스 제조장치
KR102247524B1 (ko) 2020-01-08 2021-05-03 박용옥 손수레
KR102467564B1 (ko) * 2022-02-10 2022-11-17 주식회사 지이솔루션 전동식 외발 수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8703A (ja) 1999-11-18 2001-05-22 Tokyo Electron Ltd 可搬式装置搬送用のキャスタ装置
JP2002029413A (ja) 2000-07-19 2002-01-29 Motonobu Ura 運搬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8703A (ja) 1999-11-18 2001-05-22 Tokyo Electron Ltd 可搬式装置搬送用のキャスタ装置
JP2002029413A (ja) 2000-07-19 2002-01-29 Motonobu Ura 運搬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656B1 (ko) * 2018-12-07 2019-08-19 안영후 수동식 왜건용 보조 전동장치
KR20210000827A (ko) 2019-06-26 2021-01-06 장윤근 운반 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966U (ko) 201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45408A1 (en) Transport cart
US10344907B2 (en) Vehicle jack stand
US6929250B2 (en) Mobile appliance lift tool
KR200450177Y1 (ko)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
US8172255B1 (en) Height-adjustable kitchen cart
US9139214B2 (en) Adjustable lift truck
US9371217B1 (en) Large wheeled, hand operated forklift
US20070092366A1 (en) Forklift Attachment Utilizing Plow Mounts and Frame
KR20130065552A (ko) 쇼핑카트
US5941347A (en) Portable lift
KR100886147B1 (ko) 카트형 지게차
KR102329254B1 (ko) 리프트장치를 구비한 상자 이동대차
JP3227604B2 (ja) リフトトラック
KR102101955B1 (ko)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KR20080003460U (ko) 수리 운반용 대차
CN219217460U (zh) 便携式升降搬运车
GB2368317A (en) Trolley with means to tilt a supported tray
CN220662579U (zh) 一种省力型搬运车
JP3153561U (ja) 箱昇降運搬車
JP6158968B1 (ja) 管理作業機
GB2518995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oad handling apparatus
CN210437238U (zh) 一种运输装置
CA2834468A1 (en) Transport cart
JP2006192985A (ja) 車載用リフター
JP3193574U (ja) 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