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932Y1 - 우마 사다리 - Google Patents

우마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932Y1
KR200448932Y1 KR2020080003443U KR20080003443U KR200448932Y1 KR 200448932 Y1 KR200448932 Y1 KR 200448932Y1 KR 2020080003443 U KR2020080003443 U KR 2020080003443U KR 20080003443 U KR20080003443 U KR 20080003443U KR 200448932 Y1 KR200448932 Y1 KR 200448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adder
leg
upper plate
le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451U (ko
Inventor
김진희
Original Assignee
김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희 filed Critical 김진희
Priority to KR2020080003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93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4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4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9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2Other free-standing supports, e.g. using trest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4Scaffold constructions able to be folded in prismatic or flat parts or able to be turned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0Ladder scaffolds
    • E04G2001/302Ladder scaffolds with ladders supporting the platform
    • E04G2001/307The ladders being self-supporting folding 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마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마 사다리의 다리부재를 지지 보강하기 위하여 다리부재 사이에 연결부재를 용접 결합해오던 종래 방식에서 벗어나, 양단이 ㄷ자 또는 ㄴ자 평단면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된 연결보강부재를 상기 다리부재 사이에 삽입 설치하여 더욱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다리부재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켜 와이어의 단절을 방지하는 등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됨에 따라 우마 사다리의 상판에 무거운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져도 다리부재가 파손되거나 와이어가 끊어지는 일 없이 상기 다리부재가 펼쳐진 상태 그대로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작업자가 안정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우마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우마 사다리는, 상판과(10), 상기 상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부재(20)와, 상기 다리부재 사이를 폭방향으로 연결하여 강성을 갖도록 하는 연결보강부재(30) 및 상단부가 상기 상판의 저면에 힌지로 결합되고 하단부가 힌지부재(50)에 의해 상기 연결보강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다리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부재(40)로 구성된 우마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강부재(30)는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다리부재 사이에 상측에서부터 삽입하여 하측으로 미끄러지듯이 내려주면서 상기 다리부재의 소정 부위에 걸려 고정되어 상기 상판에 하중이 가해져도 상기 다리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마 사다리, 다리부재, 연결보강부재, 와이어

Description

우마 사다리 {Folding work platforms}
본 고안은 우마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마 사다리의 다리부재를 지지 보강하기 위하여 다리부재 사이에 연결부재를 용접 결합해오던 종래 방식에서 벗어나, 양단이 ㄷ자 또는 ㄴ자 평단면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된 연결보강부재를 상기 다리부재 사이에 삽입 설치하여 더욱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다리부재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켜 와이어의 단절을 방지하는 등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됨에 따라 우마 사다리의 상판에 무거운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져도 다리부재가 파손되거나 와이어가 끊어지는 일 없이 상기 다리부재가 펼쳐진 상태 그대로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작업자가 안정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우마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마 사다리는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산업현장 등에서 벽이나 천장과 같은 높은 위치에 벽지를 도배하거나 페인트를 도장하는 등의 인테리어 작업을 할 때 또는 자동차 세차 등을 할 때 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우마 사다리는 높은 곳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 록 상판이 수평으로 길게 구성되어 있고 대부분 알루미늄 소재로 제조되어 있어 가볍고 튼튼하며 간편하게 접을 수 있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우마 사다리(L')를 살펴보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두 장의 상판(100)이 힌지(101)에 의해 접을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고, 상기 상판의 양단 저면에는 상기 상판을 지지하고 힌지에 의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다리부재(20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다리부재(200) 사이에는 상기 상판을 더욱 견고히 지지하도록 폭방향으로 연결부재(300)가 일체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상판(100)의 저면과 상기 연결부재(300) 사이에 지지부재(400)가 힌지부재(50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다리부재(200)가 펼쳐진 상태에서 더 이상 벌어지거나 접히지 않도록 상기 양측 다리부재(200) 사이에는 와이어(w')가 상기 힌지부재(50)에 끼워진 상태로 연결 설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우마 사다리(L')는 대부분 상기 연결부재(300)가 다리부재(200) 사이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상판(100)에 힘을 많이 받게 되거나 또는 노후에 따라 용접 부위가 떨어져 나가면서 상기 다리부재(200)가 파손되어 작업자가 바닥으로 떨어져 부상을 당할 우려가 있었다.
특히, 상기 연결부재(300)는 주로 알루미늄 소재로 되어 있는데 용접 시 열처리 과정에서 열에 의해 금속이 약해질 뿐 아니라 그 과정이 매우 복잡한 편이어서 특별히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경우 용접 부위가 약화되어 작은 충격에도 쉽게 떨어져 나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와이어(w')가 끼워진 힌지부재(500)가 평평한 판상(版狀)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와이어가 끼워지도록 소정 부위에 2개의 끼움공(501)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끼움공(501) 부위에 위치한 와이어(w')가 직각을 이루고 있음에 따라 상기 상판(100)에 반복적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 이 부위에 힘을 많이 받게 되어 상기 와이어(w)가 끊어지는 일이 발생하여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작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우마 사다리의 상판에 반복적으로 하중이 가해져도 다리부재가 파손되거나 와이어가 끊어지는 일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작업자가 안정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는 우마 사다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이동 가능한 우마 사다리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 사이를 폭방향으로 연결하여 강성을 갖도록 하는 연결보강부재 및 상단부가 상기 상판의 저면에 힌지로 결합되고 하단부가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보강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다리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된 우마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강부재는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다리부재 사이에 상측에서부터 삽입하여 하측으로 미끄러지듯이 내려주면서 상기 다리부재의 소정 부위에 걸려 고정되어 상기 상판에 하중이 가해져도 상기 다리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보강부재는 장방형의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단 내측면이 상기 다리부재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좌우 양측변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측변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ㄷ자 평단면 형상을 가진 절곡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보강부재는 장방형의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좌우 양단이 상측을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진 경사부를 가짐과 동시에 좌우 양측변이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측변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ㄴ자 평단면 형상을 가진 절곡부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힌지부재는 힌지축에 의해 소정 각도 회전 작동되고 후면 중앙부에 상기 지지부재가 결합된 회전부 및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보강부재의 후면 중앙부에 상단부가 일체되게 결합됨과 동시에 하단부에 와이어가 끼워지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와이어 끼움공이 형성된 고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와이어 끼움공 사이에 라운드 형상의 요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끼움공의 근접 부위에 위치한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어 끊어지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와이어에 파이프 형태로 된 끼움관재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와이어 끼움공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동 가능한 우마 사다리에 따르면, 벽지 도배, 페인트 도장 등 우마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을 할 때, 우마 사다리의 다리부재를 연결하기 위해 종래의 용접 결합 방식이 아닌, 별도의 연결보강부재를 상기 다리부재 사이에 삽입 설치함으로써 상기 상판에 반복적으로 하중이 가해져도 다리부재가 파손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보강부재와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힌지부재 상에 와이어를 라운드 형상으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하여 상기 와이어가 끊어지지 않고 상기 다리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작업자가 안정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명이 연장되어 경제적으로도 효율성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6b는 본 고안에 따른 우마 사다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우마 사다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a는 도1의 힌지부재가 결합된 연결보강부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2b는 도1의 힌지부재가 결합된 연결보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3a는 도2a의 연결보강부재가 다리부재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고, 도3b는 도2b의 연결보강부재가 다리부재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도4의 힌지부재에 와이어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6은 도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도3a 및 도3b는 상기 연결보강부재가 다리부재에 삽입 설치되는 상태를 좀더 자세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지지부재는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우마 사다리(L)는 상판(10)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부재(20)로 구성된 우마 사다리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다리부재(20) 사이에 상측에서부터 삽입하여 하측으로 미끄러지듯이 내려주면서 상기 다리부재의 소정 부위에 걸려 고정되어 상기 상판(10)에 하중이 가해져도 상기 다리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보강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0)은 종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길이방향(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힌지(11)에 의해 접힐 수 있도록 복수의 상판이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단일의 상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다리부재(20)는 상기 상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10)의 좌우 양단 저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힌지(미도시)에 의해 접힐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다리부재(20)의 소정 부위에는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높이조절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으며, 하단부에는 고무받침(미도시)이 부착되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바닥면이 긁히지 않도록 보호해 주게 된다.
또한, 상기 다리부재(20) 사이에는 상기 다리부재를 지지 보강하도록 폭방향(전후방향)으로 연결보강부재(30)가 삽입 설치되는데,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보강부재(30a)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장방형의 얇은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단 내측면이 상기 다리부재(20)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좌우 양측변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몸체(31a) 및 상기 몸체의 양측변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ㄷ자 평단면 형상을 가진 절곡부(32a)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보강부재(30a)는 도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다리부재(20)의 상측에서부터 삽입 후 하측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내려오면서 상기 다리부재(20)의 외측면부의 폭과 상기 연결보강부재(30a)의 내측면부의 폭이 동일한 지점에서 걸려 더 이상 하측으로 내려가지 않고 고정됨에 따라 상기 다리부재(20) 사이를 연결하여 강성을 갖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보강부재(30b)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좌우 양단이 상측을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진 경사부(33)를 가짐과 동시에 좌우 양측변이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31b) 및 상기 몸체의 양측변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ㄴ자 평단면 형상을 가진 절곡부(32b)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보강부재(30b)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다리부재(20)의 상측에서부터 삽입 후 하측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내려오다가 소정 각도 상측으로 경사진 상기 경사부(33)에 의해 상기 몸체(31b)가 상기 다리부재(20)의 외측면부에 걸려 더 이상 하측으로 내려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보강부재(30a,30b)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힌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판(10)과 좌우 양측 다리부재(20) 사이에는 상기 상판을 견고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상판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부재(40)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40)의 상단부는 상기 상판(10)의 저면 중앙 부근에 설치된 힌지(미도시)로 연결됨과 동시에 하단부는 힌지부재(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결보강부재(30)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보강부재가 상하로 이동 시 함께 연동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지지부재(40)는 기다란 파이프 형태를 가진 것으로서, 두께가 서로 다른 2개의 파이프가 서로 삽입 연결된 상태에서 인입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힌지부재(50)는 도4 내지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51)에 의해 소정 각도 회전 작동됨과 동시에 후면 중앙부에 상기 지지부재(40)가 결합된 회전부(52) 및 상기 힌지축(51)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부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 보강부재(30)와 수직을 이룬 상태로 상기 연결보강부재(30)의 후면 중앙부에 상단부가 일체되게 결합된 고정부(53)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부(52)는 상기 지지부재(40)에 용접으로 일체되게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되는 회전부(52)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40)가 연동되면서 접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도5a 및 도5b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53)는 그 상단부가 상기 연결보강부재(30)의 후면 중앙부에 용접으로 일체되고 결합됨과 동시에 하단부는 가로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와이어 끼움공(54)이 각각 형성되어 와이어(w)가 끼워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다리부재(2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상판(10)과 다리부재(20)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와이어(w)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끼움공(54)에 끼워지는데, 이로 인해 상기 상판(10) 위에 작업자가 올라가서 작업 시 상기 다리부재와 와이어에 의해 상기 상판이 견고하게 지지됨에 따라 안정되게 작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양측 와이어 끼움공(54) 사이는 도4에서와 같이 중앙부가 볼록한 라운드 형상의 요홈부(55)가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끼움공(54)의 근접 부위에 위치한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삽입된 상태로 당겨질 경우 상기 와이어가 끊어질 우려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양측 와이어 끼움공(54) 사이의 상하방향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턱(56)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w)가 이탈되지 않고 그 사이에 위치하도 록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w)는 파이프 형태로 된 끼움관재(57)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끼움공(54)에 삽입 고정할 수도 있는데, 이로 인해 상기 와이어(w)에 힘이 덜 가해져 와이어의 단절(斷切)을 더욱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끼움관재(57)가 상기 걸림턱(56)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w)의 이탈을 더욱 방지하게 된다.
덧붙여, 도면에서는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와이어 끼움공(54) 양측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전, 후방 2줄로 되어 있으나, 상기 와이어(w)를 상기 좌우 양측 힌지부재 상의 와이어 끼움공(54)에 각각 끼운 후 별도의 클립(미도시)으로 하나로 묶어 1줄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우마 사다리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벽면을 도배하거나 또는 산업현장에서 인테리어 작업을 위해 페인트 도장 등을 하는 경우, 우선, 본 고안에 따른 우마 사다리(L)의 상판(1) 및 다리부재(20)를 펼쳐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다리부재(20)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폭방향(전후방향)으로 본 고안에 따른 연결보강부재(30)로 고정시켜 주는데(도3a 및 도3b 참조), 상기 연결보강부재(30)를 상기 다리부재 상측 부근에서 삽입 후 하측을 향해 미끄러지듯이 내려주면 상기 연결보강부재(30)가 상기 다리부재(20)의 소정 부위에서 걸려 고정되면서 상기 다리부재를 지지 보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보강부재(30) 중앙에 설치된 힌지부재(50)의 회전부(52)에 결합된 지지부재(40)가 경사지게 펼쳐지면서 상기 상판을 견고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상판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힌지부재(50)의 고정부(53)에 형성된 와이어 끼움공(54)에 와이어(w)를 끼워주면, 상기 와이어(w)의 좌우 양단은 상기 와이어 끼움공 사이에 둥그스름하게 형성된 요홈부(55)에 위치하면서 이 부위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됨에 따라 상기 상판(10)에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와이어(w)의 일부에만 힘을 받아 끊어지거나 할 염려가 없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우마 사다리(L)가 설치되면, 작업자는 상판(10) 위에 올라가서 작업을 하면 되고, 이때 상기 다리부재를 폭방향으로 연결 고정시키는 연결보강부재에 의해 상기 다리부재(20)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거나 안쪽으로 접히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다리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와이어에 의해 상기 다리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자는 바닥에 추락할 염려 없이 안정된 상태에서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우마 사다리(L)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한 방법과 역순으로 상기 연결보강부재를 상기 다리부재로부터 분리하고 지지부재를 접은 후 다시 상기 상판을 접어서 전체적인 부피를 작게 한 다음에 보관하면 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우마 사다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2a는 도1의 힌지부재가 결합된 연결보강부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2b는 도1의 힌지부재가 결합된 연결보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3a는 도2a의 연결보강부재가 다리부재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3b는 도2b의 연결보강부재가 다리부재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4의 힌지부재에 와이어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6은 도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7은 종래의 우마 사다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상판 11 : 힌지
20 : 다리부재 30,30a,30b : 연결보강부재
31,31a,31b : 몸체 32,32a,32b : 절곡부
33 : 경사부 40 : 지지부재
50 : 힌지부재 51 : 힌지축
52 : 회전부 53 : 고정부
54 : 와이어 끼움공 55 : 요홈부
56 : 걸림턱 57 : 끼움관재
L : 우마 사다리 w : 와이어

Claims (5)

  1.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 사이를 폭방향으로 연결하여 강성을 갖도록 하는 연결보강부재 및 상단부가 상기 상판의 저면에 힌지로 결합되고 하단부가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보강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다리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된 우마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강부재는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다리부재 사이에 상측에서부터 삽입하여 하측으로 미끄러지듯이 내려주면서 상기 다리부재의 소정 부위에 걸려 고정되어 상기 상판에 하중이 가해져도 상기 다리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 사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강부재는 장방형의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단 내측면이 상기 다리부재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좌우 양측변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측변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ㄷ자 평단면 형상을 가진 절곡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 사다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강부재는 장방형의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좌우 양단이 상측을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진 경사부를 가짐과 동시에 좌우 양측변이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측변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ㄴ자 평단면 형상을 가진 절곡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 사다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힌지축에 의해 소정 각도 회전 작동되고 후면 중앙부에 상기 지지부재가 결합된 회전부 및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보강부재의 후면 중앙부에 상단부가 일체되게 결합됨과 동시에 하단부에 와이어가 끼워지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와이어 끼움공이 형성된 고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와이어 끼움공 사이에 라운드 형상의 요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끼움공의 근접 부위에 위치한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어 끊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 사다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하도록 파이프 형태로 된 끼움관재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와이어 끼움공에 끼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 사다리.
KR2020080003443U 2008-03-17 2008-03-17 우마 사다리 KR200448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443U KR200448932Y1 (ko) 2008-03-17 2008-03-17 우마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443U KR200448932Y1 (ko) 2008-03-17 2008-03-17 우마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451U KR20090009451U (ko) 2009-09-22
KR200448932Y1 true KR200448932Y1 (ko) 2010-06-08

Family

ID=41532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443U KR200448932Y1 (ko) 2008-03-17 2008-03-17 우마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9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647Y1 (ko) * 2013-03-19 2014-07-31 (주)보성하이테크 우마 사다리의 다리 고정장치
KR200470382Y1 (ko) * 2013-05-20 2013-12-11 정경모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295Y1 (ko) 2000-09-18 2001-02-15 정채화 절첩식 도배용 작업대
KR200243037Y1 (ko) 2001-05-21 2001-10-15 주식회사 두남경금속 도배용 작업대
KR200326559Y1 (ko) 2003-05-30 2003-09-19 박종호 건축 작업용 작업대
KR200409657Y1 (ko) 2005-12-13 2006-03-03 윤용길 작업용 발판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295Y1 (ko) 2000-09-18 2001-02-15 정채화 절첩식 도배용 작업대
KR200243037Y1 (ko) 2001-05-21 2001-10-15 주식회사 두남경금속 도배용 작업대
KR200326559Y1 (ko) 2003-05-30 2003-09-19 박종호 건축 작업용 작업대
KR200409657Y1 (ko) 2005-12-13 2006-03-03 윤용길 작업용 발판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451U (ko) 2009-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6632B2 (en) Collapsible platform assembly for a ladder
CA2938216C (en) Grating
KR200448932Y1 (ko) 우마 사다리
KR101904588B1 (ko) 설치가 용이한 가드레일 클램프
JP5199800B2 (ja) スレート葺屋根における新設屋根材取付方法及び取付け作業器
AU2014328444B2 (en) Support device for concrete formwork
US20060225962A1 (en) Ladder stand-off
KR200458372Y1 (ko) 우마형 사다리
JP4641871B2 (ja) 屋根工事用足場
KR200383698Y1 (ko) 인테리어 작업용 우마사다리
JP4954820B2 (ja) 足場用階段
KR100536099B1 (ko) 건축용 지붕작업사다리
KR200453149Y1 (ko)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
JPH06105022B2 (ja) 昇降用具
JP4912358B2 (ja) 可搬式作業台
JP4091587B2 (ja) 安全手摺
KR200412739Y1 (ko) 가설구조물용 핸드레일 지지브라켓
KR200401969Y1 (ko) 우마 사다리
KR102555700B1 (ko) 케이블 권취장치
JP3200696U (ja) 梯子用手摺アタッチメント
JP3964881B2 (ja) 屋根の接合機械の作業開始および終了用の足場
JP4170580B2 (ja) 可搬式作業台
JP3152342U (ja) 梯子固定治具及び梯子装置
KR20190000979A (ko) 케이블 트레이
EP1677647B1 (en) Support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