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149Y1 -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149Y1
KR200453149Y1 KR2020090003707U KR20090003707U KR200453149Y1 KR 200453149 Y1 KR200453149 Y1 KR 200453149Y1 KR 2020090003707 U KR2020090003707 U KR 2020090003707U KR 20090003707 U KR20090003707 U KR 20090003707U KR 200453149 Y1 KR200453149 Y1 KR 200453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leg member
upper plate
cap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899U (ko
Inventor
김진희
Original Assignee
김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희 filed Critical 김진희
Priority to KR2020090003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14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8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8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1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0Reinforcements for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2Other free-standing supports, e.g. using trest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Ladders having platforms; Ladders changeable into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마사다리의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부재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의 상단부에 보강캡을 삽입 설치하되 다리부재를 펼쳤을 때 상판의 밑면에 보강캡의 상면이 밀착되게 접하도록 설치함에 따라 다리부재의 상부 일측 부위에만 집중되었던 하중을 분산 약화시켜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우마사다리의 품질이 향상되고 수명이 연장되며 수리비가 절감되어 경제적인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는, 상판(10)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판을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부재(20) 및 상단 외측이 힌지부재(33)에 의해 상기 상판의 밑면에 회동 작동되도록 결합되고 하단부에 상기 다리부재의 상단부가 삽입 설치되는 보강캡(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캡(30)은 상단부가 내측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31) 및 하단이 상기 다리부재의 상단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개방된 삽입부(32)로 구성되어 상기 다리부재(20)를 펼쳤을 때 상기 보강캡의 경사부(31)가 상판의 밑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접하여 상기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마사다리, 다리부재, 보강캡

Description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 {Leg reinforcing structure of folding work platforms}
본 고안은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마사다리의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부재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의 상단부에 보강캡을 삽입 설치하되 다리부재를 펼쳤을 때 상판의 밑면에 보강캡의 상면이 밀착되게 접하도록 설치함에 따라 다리부재의 상부 일측 부위에만 집중되었던 하중을 분산 약화시켜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우마사다리의 품질이 향상되고 수명이 연장되며 수리비가 절감되어 경제적인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건설현장 등에서 벽이나 천장과 같은 높은 위치에 벽지를 도배하거나 인테리어 장식, 세차 또는 페인트 도장 등의 작업을 할 때에는 주로 우마사다리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 우마사다리는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상판이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품의 경량화를 위해 대부분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가볍고 튼튼하며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다.
종래의 일반적인 우마사다리(L')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다란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두 장의 상판(100)이 중앙에 부착된 힌지(110)에 의해 접을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고, 상기 상판의 양단 밑면에는 상기 상판을 지지하고 힌지(210)에 의해 내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한 쌍의 다리부재(200)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다리부재(200)는 상면이 수평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를 펼쳤을 때에는 상기 다리부재의 상면부가 상기 상판(100)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를 취하게 되므로 상기 상판의 밑면에 완전히 접하지 못한 채 상기 다리부재의 외측 모서리 부분(도1의 A 지점)만이 상기 상판의 밑면에 접한 상태로 지지될 뿐 다리부재(200)의 나머지 부분은 상판(100)의 밑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판(100)에 힘이 많이 가해지거나 또는 장시간에 걸쳐서 반복적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다리부재(200)의 외측 모서리 부위(A)에만 힘을 많이 받게 되어 지지력이 약해짐에 따라 결국에는 다리부재가 휘거나 부러짐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하던 중에 바닥으로 떨어져 부상을 당할 우려가 있었다.
더구나 우마사다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소재는 강도가 낮은 편이어서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가 쉽게 변형이 되거나 파손됨에 따라 위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도배나 세차 등을 위해 우마사다리 위에 올라가 작업하는 과정에서 하중이 집중되는 다리부재의 상단 부위를 보강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정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수명을 연장하도록 하는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판을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부재 및 상단 외측이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상판 밑면에 회동 작동되도록 결합되고 하단부에 상기 다리부재의 상단부가 삽입 설치되는 보강캡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캡은 상단부가 내측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 및 하단이 상기 다리부재의 상단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개방된 삽입부로 구성되어 상기 다리부재를 펼쳤을 때 상기 경사부가 상판의 밑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접하여 상기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캡은 상기 다리부재와 동일한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속이 빈 각형 또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경사부는 상기 다리부재를 펼쳤을 때 다리부재 내측이 수직선에 대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에 따르면,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공장 등 여러 작업 현장에서 우마사다리를 이용하여 벽지 도배, 페인트 도장, 인테리어 작업 등을 할 때 하중이 많이 가해지는 다리부재의 상단 부위에 상판의 밑면에 밀착 결합하는 보강캡을 삽입 설치함으로써 가압 부위의 면적이 넓어져 하중이 분산됨에 따라 상판에 반복적으로 하중이 가해져도 다리부재가 파손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마사다리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므로 경제적인 효과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2 내지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캡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캡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캡과 다리부재의 저면 분리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캡과 다리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리보강구조의 작동상태도이다.
여기에서, 도5는 다리부재가 보강캡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데에 중점을 두어 다리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등은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우마사다리(L)의 다리보강구조는, 상판(10)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판을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부재(20) 및 상단 외측이 힌지부재(33)에 의해 상기 상판의 밑면에 회동 작동되도록 결합되고 하단부에 상기 다리부재(20)의 상단부가 삽입 설치되는 보강캡(30)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판(10)은 공지의 것과 마찬가지로 길이방향(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소정 두께를 가진 직사각형 형태의 판상체로서, 복수의 상판이 힌지(1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방을 향해 접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거나 또는 단일의 상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리부재(20)는 상기 상판을 하부로부터 지지하도록 보강캡(30)을 개재하여 상판(10)의 좌우 양단 밑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힌지부재(33)에 의해 접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를 펼치게 되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경사를 이루면서 상판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다리부재(20)의 소정 부위에는 높이조절구(21)가 장착되어 다리부재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며, 최하단부에는 고무받침(22)이 부착되어 상기 다리부재가 바닥면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바닥면이 긁히지 않도록 보호하여 준다.
또한 상기 다리부재 사이에는 폭방향(전후방향)으로 연결부재(미도시)가 설 치되어 상기 다리부재를 지지 보강하며, 상기 좌우 양측 연결부재 사이에는 와이어(23)가 연결 설치되어 상기 다리부재가 펼쳐진 상태에서 더 이상 벌어지거나 또는 접히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와 와이어는 공지의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다리부재(20)의 상단에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요소라 할 수 있는 보강캡(30)이 삽입 설치된다.
보강캡(30)은 상기 다리부재와 동일한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빈 각형 또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캡(30)의 내경은 상기 다리부재(20)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강캡(30)은 다리부재와 마찬가지로 금속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좋은 강화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보강캡(30)은 상단부가 내측(상판의 중심)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31)를 가짐과 아울러 그 하단부는 상기 다리부재의 상단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개방된 상태의 삽입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경사부(31)는 상기 다리부재를 펼쳤을 때 다리부재 내측이 수직선에 대해 이루는 각도(d)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보강캡(30)은 힌지부재(33)에 의해 상기 상판에 대해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회동 작동하는데, 상기 힌지부재(33)는 일단이 보강캡의 상단 외측(후 방 둘레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판(10)의 밑면 일측에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보강캡은 다리부재가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재의 축(34)을 중심으로 하여 상판(10)을 향해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리부재(20)와 보강캡(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다리부재를 펼쳤을 때 상기 보강캡의 상면 경사부(31)가 상판(10)의 밑면에 완전히 밀착되게 접하게 됨으로써 가압 면적이 넓어져 상기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골고루 받을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상판을 안전하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보강캡(30)에 다리부재(20)를 삽입 설치 후에는 공지의 방법으로 양자 간을 서로 결합하는데,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캡의 둘레면에 관통구멍(35)을 형성한 후 상기 다리부재(20)의 상단부가 삽입부(32)를 통해 보강캡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35)을 통해 용접헤드로 다리부재에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또는 상기 보강캡과 다리부재의 동일한 위치에 관통구멍(미도시)을 형성한 후 상기 관통구멍에 가열한 리벳(미도시)을 삽입하여 리벳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도배나 도장 등의 인테리어 작업 시 본 고안에 따른 우마사다리(L)를 사용하는데, 우선 두장의 상판을 힌지로 회동 작동되도록 연결하고, 보강캡 하단의 삽입부에 다리부재의 상단부를 삽입 설치하고 용접 결합한 후 이를 상판의 밑면에 설치하는데, 힌지부재의 일단은 보강캡의 상단 외측에 볼 트(38)로 결합하고 타단은 상판의 밑면에 고정시켜 축에 의해 회동 작동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판(10)의 밑면 양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다리부재(20)를 펼치게 되면 상기 다리부재는 힌지부재(33)의 축(3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좌우 양측으로 벌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마사다리를 작업할 위치에 놓게 되는데, 이때 양측 다리부재에 결합된 보강캡(30)의 상면 경사부(31)가 각각 상판(10)의 밑면에 완전히 밀접하게 접하게 되는데, 이때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부의 경사각도(d)는 다리부재 내측이 수직선에 대해 이루는 각도(d)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판(10)의 밑면과 경사부(31) 사이에는 빈틈이 없을 뿐만 아니라 보강캡 상면 경사부의 넓은 부위가 상판의 밑면에 직접 접함에 따라 양자 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상기 상판(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힘이 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우마사다리가 설치되면 작업자는 상판 위에 올라가 인테리어 작업을 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보강캡에 의해 다리부재가 휘거나 부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작업자는 바닥으로 떨어질 염려 없이 안정된 상태에서 편안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인테리어 작업을 마친 후에는 도5와 같이 다리부재 및 상판을 순서대로 접은 후 창고 등에 보관하면 된다.
도1은 종래의 우마사다리의 다리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캡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캡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캡과 다리부재의 저면 분리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캡과 다리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우마사다리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상판 11 : 힌지
20 : 다리부재 21 : 높이조절구
22 : 고무받침 23 : 와이어
30 : 보강캡 31 : 경사부
32 : 삽입부 33 : 힌지부재
34 : 축 35 : 관통구멍
L : 우마사다리

Claims (3)

  1.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판을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부재 및 상단 외측이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상판의 밑면에 회동 작동되도록 결합되고 하단부에 상기 다리부재의 상단부가 삽입 설치되는 보강캡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캡은 상단부가 내측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 및 하단이 상기 다리부재의 상단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개방된 삽입부로 구성되어 상기 다리부재를 펼쳤을 때 상기 경사부가 상판 밑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접하여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캡은 상기 다리부재와 동일한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속이 빈 각형 또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다리부재를 펼쳤을 때 다리부재 내측이 수직선에 대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
KR2020090003707U 2009-03-31 2009-03-31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 KR200453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707U KR200453149Y1 (ko) 2009-03-31 2009-03-31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707U KR200453149Y1 (ko) 2009-03-31 2009-03-31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899U KR20100009899U (ko) 2010-10-08
KR200453149Y1 true KR200453149Y1 (ko) 2011-04-13

Family

ID=4420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707U KR200453149Y1 (ko) 2009-03-31 2009-03-31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14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2283A (ja) 1999-06-14 2000-12-19 Mitsuru Sasaki 脚部伸長具および脚部を伸長可能な脚立
KR200384455Y1 (ko) 2005-02-17 2005-05-16 김진희 이동 가능한 우마 사다리
KR200401470Y1 (ko) 2005-08-16 2005-11-17 김진희 인테리어 작업용 우마사다리
KR100735145B1 (ko) 2006-01-26 2007-07-06 주식회사 제이콘 사다리용 가로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2283A (ja) 1999-06-14 2000-12-19 Mitsuru Sasaki 脚部伸長具および脚部を伸長可能な脚立
KR200384455Y1 (ko) 2005-02-17 2005-05-16 김진희 이동 가능한 우마 사다리
KR200401470Y1 (ko) 2005-08-16 2005-11-17 김진희 인테리어 작업용 우마사다리
KR100735145B1 (ko) 2006-01-26 2007-07-06 주식회사 제이콘 사다리용 가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899U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1348Y1 (ko) 슬라이드식 안전발판
JP5642209B2 (ja) 仮設手摺取付治具
GB2460642A (en) Truss Mounting Brace for Locking Two Trusses Together
KR101246665B1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KR20150078249A (ko) 교량의 캔틸레버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EP1989374B1 (en) Plastic platform for a foldable ladder and combination of a plastic platform and foldable ladder
AU3010400A (en) Scaffolding units and platforms for use with scaffolding units
KR200453149Y1 (ko) 우마사다리의 다리보강구조
CN102439247B (zh) 可调夹层
US6799658B2 (en) Mobile outrigger scaffolding system
KR200448932Y1 (ko) 우마 사다리
KR200401978Y1 (ko) 발판 지지홈을 갖는 사다리
JP5260844B2 (ja) 多目的ステージ
KR200391953Y1 (ko) 작업발판 지지대
JP3152342U (ja) 梯子固定治具及び梯子装置
JP6574726B2 (ja) 仮設足場における階段開口部の手摺枠
CN201574572U (zh) 角度可调操作平台挂架
KR20100000024U (ko) 건축용 지지대의 수직지주
JP5634456B2 (ja) 足場用の幅木
JP5588221B2 (ja) 足場の支持冶具
KR102638109B1 (ko) 태양광 설치용 경사지붕 안전발판 조립체
US201500898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ging sheeting material
KR20200100249A (ko) 비계발판
KR100536099B1 (ko) 건축용 지붕작업사다리
CN207878904U (zh) 建筑脚手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