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037Y1 - 도배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도배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037Y1
KR200243037Y1 KR2020010014886U KR20010014886U KR200243037Y1 KR 200243037 Y1 KR200243037 Y1 KR 200243037Y1 KR 2020010014886 U KR2020010014886 U KR 2020010014886U KR 20010014886 U KR20010014886 U KR 20010014886U KR 200243037 Y1 KR200243037 Y1 KR 200243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ork
hinged
rod member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남경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남경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남경금속
Priority to KR2020010014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0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037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배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지지대(15)가 끼워져 슬라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막대부재(50)를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도 직접 보강대(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고, 생산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도중 외부충격에 의한 지지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배용 작업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배용 작업대{Work Die For Papering}
본 고안은 도배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대가 끼워져 슬라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막대부재를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도 직접 보강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고, 생산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도중 외부충격에 의한 지지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배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최근에 도배가 전문화되어 감에 따라 도배 전문용품들이 많이 출현되고 또 개량을 거듭하고 있다.
그 중에 특히, 도배용 작업대는 작업자가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의 도배를 위해 사람이 밟고 올라가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여러 가지 기능을 포함하는 작업대로 개량 발전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도배용 작업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배용 작업대를 접철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배용 작업대는 작업자가 밟고 작업할 수 있도록 소정 폭을 갖는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진 상판(11)이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상판(11)의 저면 가장자리 부위 양단에 각각 접철이 가능하도록 힌지로 체결된 지지다리(13)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다리(13)에는 보강용 와이어(18)로 양쪽 지지다리(13) 사이를 상호 연결하면서 지지다리(13)의 강성을 강화하기 위한 수평방향의 보강대(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강대(12)의 중간부에는 상기 보강용 와이어(18)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돌기(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다리(13)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삽입식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11)의 저면 힌지 연결부위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양 위치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의 두 개의 지지대(15)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19) 고정되고, 상기 보강대(12)에는 지지대(15)가 끼워져 슬라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대(15)와 상호 결합되어 지지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막대부재(14) 및 이 막대부재(14)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회전부재(16)로 구성된 결합수단이 갖추어져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결합수단의 회전부재(16)는 제한된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보강대(12)의 중간부 일측에 힌지 형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중공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막대부재(14)에는 지지대(15)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17)가 구비되어 있고, 그 내부의 단면크기는 상기 지지대(15)보다 크게 형성되어 막대부재(14)의 내부에 지지대(15)가 용이하게 슬라이드 지지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15)는 상판(11)의 저면에 힌지 고정된 상태에서 그 선단부가 상기 막대부재(14)의 내부에 일부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스토퍼(17)를 이용하여 지지대(15)와 막대부재(14)를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대(15)와 이에 상응하도록 연장된 막대부재(14) 간의 조합형태를 이용하여 하나의 온전한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도배용 작업대는 지지대(15) 등의 위치나 체결구조 등의 역학적 구조에 의해 지지다리(13)의 체결위치를 상판의 저면 양쪽 가장자리 부위까지 최대한 이동시킴으로써, 도배작업시 작업자가 작업대의 끝을 밟는 경우에도 쉽게 넘어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배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5)를 막대부재(14)에 끼워 일정길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스토퍼(17)를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막대부재(14)를 보강대(12)에 회전부재(16)와 같은 별도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용접 체결한 다음 지지대(15)와 전술한 방법으로 체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부품수가 증가하고 생산 공정이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16)에 용접 체결된 막대부재(14)에 외부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쉽게 그 용접부가 파손되어 작업도중 지지대가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대가 끼워져 슬라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막대부재를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도 직접 보강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고, 생산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도중 외부충격에 의한 지지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배용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도배용 작업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배용 작업대를 접철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배용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막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배용 작업대를 접철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상판 13 : 지지다리
15 : 지지대 16 : 회전부재
18 : 보강용 와이어 50 : 막대부재
52 : 몸체 54,55 : 끼움돌기
57 : 스토퍼 56,58 : 끼움공
60 : 보강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그 중간부가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평판 형상의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 양단에 접철시 상판의 저면측으로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의 내측으로 그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지지다리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보강대와, 상기 상판 저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지지다리로부터 소정량 이격되어 그 일단이 접철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가 끼워져 슬라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막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배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막대부재는 중공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좌우 측면에서 각각 하부로 돌출 되어지고 끼움공을 형성하여 상기 보강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반타원형의 끼움돌기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상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의 유동을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용 작업대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종래의 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을 붙이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배용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막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배용 작업대를 접철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배용 작업대는 그 중간부가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평판 형상의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저면 양단에 접철시 상판(11)의 저면측으로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지지다리(13)와, 상기 지지다리(13)의 내측으로 그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지지다리(13)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보강대(60)와, 상기 상판(11) 저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지지다리(13)로부터 소정량 이격되어 그 일단이 접철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지지대(15)와, 상기 지지대(15)가 끼워져 슬라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막대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강대(60)의 중간부위에는 양쪽 보강대(60)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보강용 와이어(18)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돌기(10)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대(15)가 끼워져 슬라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막대부재(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52)에 2개의 끼움돌기(54,55)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52)의 일측면상에는 스토퍼(57)가 돌출 구비된다.
상기 2개의 끼움돌기(54,55)는 상기 몸체(52)의 좌우 측면에서 각각 연장되어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끼움돌기(54,55)에는 상기 보강대(60)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공(56,58)이 형성되는데, 상기 끼움공(56,58)은 보강대(60)에 끼워진 상태에서 보강대(6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보강대(60)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막대부재(50)가 끼움공(56,58)을 통해 보강대(60)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보강대(6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52)의 일측면상에 구비된 스토퍼(57)는 몸체(5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드 하는 지지대(15)의 유동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상기 지지대(15)의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57)와 대응되는 멈춤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막대부재(50)는, 중공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52)의 좌우 측면에서 하부로 연장되어지고 끼움공(56,58)이 형성되는 2개의 끼움돌기(54,55)가 일체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막대부재(50)는 끼움돌기(54,55)에 형성된 끼움공(56,58)이 지지다리(13)의 내측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보강대(60)에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상기 보강대(60)의 중간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배용 작업대의 상판(11) 저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지지대(15)의 자유단이 상기 막대부재(50)의 몸체(52) 내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도배용 작업대를 설치하고자 할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부가 접철되는 상판(11)을 수평되게 한 후 상기 상판(11)의 양단 저면에 그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지지다리(13)를 상판(11)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회동시킨다.
상기 지지다리(13)의 회동으로 지지다리(13)는 상판(11)의 저면으로부터 입설되고, 이와 동시에 상판(11) 저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지지대(15)는 보강대(60)에 결합된 막대부재(50)의 몸체(52) 내부에서 슬라이드 하여 상기 지지대(15)의 자유단이 대략 상기 막대부재(50)의 몸체(52) 끝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다리(13)가 입설되는 과정에서 상기 막대부재(50)는 끼움돌기(54,55)에 형성된 끼움공(56,58)을 통해 상기 보강대(60)에 결합된 구조에 의해 일정각의 범위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15)의 자유단 부근에는 멈춤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막대부재(50)의 일측면상에 구비된 스토퍼(57)에 의해 지지대(15)가 막대부재(50)에 고정되어 진다.
이후, 작업자는 도배용 작업대의 상판(11)를 밟고 소망의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한편, 작업이 완료된 후, 도배용 작업대를 해체시켜 운반 또는 보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지지대(15)의 멈춤공에 삽입된 스토퍼(57)를 이탈시킨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의 중앙부를 접철시켜 상판(11)과 상판(11)을 겹친 후 지지다리(13)를 상기 상판(11)의 저면측으로 접철한 뒤 고정끈이 구비되어 있는 도배용 작업대의 경우에는 상기 고정끈을 이용하여 도배용 작업대를 고정되게 묶으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배용 작업대에 의하면, 지지대가 끼워져 슬라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막대부재를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도 직접 보강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고, 생산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도중 외부충격에 의해 지지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그 중간부가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평판 형상의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 양단에 접철시 상판의 저면측으로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의 내측으로 그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지지다리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보강대와, 상기 상판 저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지지다리로부터 소정량 이격되어 그 일단이 접철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가 끼워져 슬라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막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배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막대부재는 중공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좌우 측면에서 각각 하부로 돌출 되어지고 끼움공을 형성하여 상기 보강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반타원형의 끼움돌기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상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의 유동을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용 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용 작업대.
KR2020010014886U 2001-05-21 2001-05-21 도배용 작업대 KR2002430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886U KR200243037Y1 (ko) 2001-05-21 2001-05-21 도배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886U KR200243037Y1 (ko) 2001-05-21 2001-05-21 도배용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037Y1 true KR200243037Y1 (ko) 2001-10-15

Family

ID=7310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886U KR200243037Y1 (ko) 2001-05-21 2001-05-21 도배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0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32Y1 (ko) 2008-03-17 2010-06-08 김진희 우마 사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32Y1 (ko) 2008-03-17 2010-06-08 김진희 우마 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521B1 (ko) 자립식 수동 승강 스크린
US5975626A (en) Cross-member supporter for foldable furniture
CN100520149C (zh) 一种可携带台锯装置
US7690316B2 (en) Height-adjustable folding work platform
US4700987A (en) Folding table mechanism
US3143982A (en) Torsion bar leg structures for folding tables
US7419181B2 (en) Foldable carriage body for carrying a seat
US5018785A (en) Folding table
US3788696A (en) Foldable table and bench assembly
EP2205128A2 (en) Collapsible articles of furniture
KR200243037Y1 (ko) 도배용 작업대
US6488119B1 (en) Folding sawhorse with locking shelf
GB2059255A (en) A folding table and a frame therefor
US6802393B2 (en) Foldable ladder
US20120047650A1 (en) Bed that is Folded and Expanded Easily and Quickly
WO1997013430A1 (en) Portable work station
CN110002002A (zh) 一种直升飞机用折叠托架
KR200428328Y1 (ko) 접이식 탁자
JP2002188285A (ja) 作業台
JPH08170427A (ja) 携帯可能な作業足場
KR200477342Y1 (ko) 접철식 테이블 프레임
ATE182060T1 (de) Mittels einer drehenden bewegung faltbares und ausziehbares gestell
IES70924B2 (en) A manufacturing process
KR200260305Y1 (ko) 도배용 작업대
KR200215152Y1 (ko) 도배용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