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707Y1 -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707Y1
KR200448707Y1 KR2020090013119U KR20090013119U KR200448707Y1 KR 200448707 Y1 KR200448707 Y1 KR 200448707Y1 KR 2020090013119 U KR2020090013119 U KR 2020090013119U KR 20090013119 U KR20090013119 U KR 20090013119U KR 200448707 Y1 KR200448707 Y1 KR 2004487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sunshade
tension
sunscreen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환
Original Assignee
민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인영 filed Critical 민인영
Priority to KR2020090013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7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7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의 장력기구를 이용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조립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차양막스풀이 차양막을 풀거나 감을 때 차양막에 작용하는 텐션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가 소개된다.
본 고안에 따른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는 차양막의 상단측이 결합된 차양막스풀(100); 상기 차양막스풀(100)의 일단에 결합된 제1풀리(200); 상기 제1풀리(200)와 맞물려 상기 제1풀리(200)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풀리(300); 상단은 상기 제2풀리(300)에 걸리고 하단은 턴롤러(800)에 걸려 상기 제2풀리(300) 회전시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벨트(400); 상기 차양막의 하단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에 개방구(500a)가 형성된 프런트바(500); 상기 벨트(400)와 프런트바(50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600); 및 상기 프런트바(500)에 내장되며 상기 개방구(500a)를 통해 삽입된 차양막의 하단측이 결합되어 일정 길이 감겨지고, 차양막을 풀면서 복원력을 축적하고 이러한 복원력에 의해 차양막을 되감아 차양막을 항상 팽팽하게 유지하는 장력기구(700)장력기구(700)를 포함한다.
텐션, 차양막, 스풀, 풀리, 벨트

Description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A SUNSHADE APPARATUS}
본 고안은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의 장력기구를 이용하여 차양막의 텐션을 유지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것은 물론, 조립성을 개선한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부에서 비추는 빛을 차단하고, 실내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기 위해 창문 등에는 차양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차양장치는 현관이나 입구에 설치되어 빛을 가리고, 경사면에 설치되어 지붕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현관등에 설치되어 셔터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차양장치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양장치는 상방에 모터(12)로 구동되는 롤러(10)와 하방에 모터(32)로 구동되는 롤러(30)로 구성된다. 상방의 롤러(10)에는 차양막(50)이 감기도록 하고, 하방의 롤러(30)에는 와이어(54)가 감기도록 하였다. 차양막(50)의 하단에는 그 와이어(54)가 연결되어 차양막(50)이 풀릴 경우 와이어(54)가 감기며 차양막(50)을 당기고, 차양막(50)이 감길 경우 와이어(54)가 서서히 풀리며 차양막(50)을 당기도록 하였다. 와이어(54)의 감김 또는 풀림량을 조 절하여 와이어(54)의 장력을 유지하였고, 상방의 모터(12)와 하방의 모터(32)는 서로 연동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차양장치의 경우, 차양막(50)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롤러와 모터를 추가로 설치하여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하방의 모터(32)의 경우 차양막(50)의 장력이 적절히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방의 모터(12)와는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작동할 필요가 있어서 별도의 제어부가 필요하였고, 제어부가 세밀하지 못한 경우에는 차양막(50)이 찢기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장력기구를 이용하여 차양막에 작용하는 텐션을 적절하게 유지하고, 장력기구를 간단하게 구성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하면서 동시에 조립성을 개선한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 장치는 차양막의 상단측이 결합된 차양막스풀; 상기 차양막스풀의 일단에 결합된 제1풀리; 상기 제1풀리와 맞닿아 상기 제1풀리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풀리; 상단은 상기 제2풀리에 걸리고 하단은 턴롤러에 걸려 상기 제2풀리 회전시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벨트; 상기 차양막의 하단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에 개방구가 형성된 프런트바; 상기 벨트과 프런트바를 연결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프런트바에 내장되며 상기 개방구를 통해 삽입된 차양막의 하단측이 결합되어 일정 길이 감겨지고, 차양막을 풀면서 복원력을 축적하고 이러한 복원력에 의해 차양막을 되감아 차양막을 항상 팽팽하게 유지하는 장력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장력기구는 내부는 통공되고 외주면에는 차양막의 하단측이 결합되어 일정 길이 감겨 있는 제1회전샤프트와, 이 제1회전샤프트의 내부에 고정결합된 제1휠과, 상기 프런트바에 고정 결합된 제1고정구과, 이 제1고정구와 상기 제1휠에 양 끝단이 각각 연결된 탄성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샤프트는 그 내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휠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와이어는 상기 차양막스풀에 차양막이 완전히 감긴 상태에서 서로 평행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와이어는 나선형의 코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기구는 내부는 통공되고 외주면에는 차양막의 하단측이 결합되어 일정 길이 감겨 있는 제2회전샤프트와, 중앙이 통공되고 그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샤프트에 고정 결합된 제2휠과, 외주면에는 상기 제2휠의 홈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휠의 통공된 내부를 진퇴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의 일단에 결합된 실린더와, 이 실린더와 프런트바를 연결하는 제2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의 외주면은 서로 맞물려 돌아갈 수 있도록 둘레 방향으로 각각 제1톱니와 제2톱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트와 상기 제2풀리의 공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벨트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톱니와 맞물리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교대로 연속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차양막스풀로부터 차양막이 풀릴 때 차양막에 작용하는 과도한 장력을 방지하여 차양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양막이 차양막스풀에 감길 때 차양막에 장력을 주어 차양막이 처지거나 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간단한 구성의 장력기구를 이용함으로써 원가가 절감되고, 나아가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는 차양막의 상단측이 결합된 차양막스풀(100)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양막스풀(100)은 긴 봉 형상으로 제조되고, 외주면에는 그 길이 방향으르 차양막의 상단측이 결합된다. 차양막스풀(100)은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차양막을 감거나 푼다.
차양막스풀(100)의 일단에는 제1풀리(200)가 고정 결합된다. 제1풀리(200)는 원반 형상으로 제조되어 그 일면을 차양막스풀(100)의 일단에 고정 결합한다.
제2풀리(200)는 원반 형상의 제1풀리(200) 회전시 그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제1풀리(200)의 외주면과 맞닿는다. 즉, 제2풀리(200)도 제1풀리(2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조하고, 그 외주면을 제1풀리(20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위치시켜, 제1풀리(200) 회전시 그 회전력이 제2풀리(2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원통 형상의 제1풀리(200) 및 제2풀리(200) 각각의 외주면에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둘레 방향으로 제1톱니(210)와 제 2톱니(3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톱니(210) 및 제2톱니(310)는 각각 제1풀리(200)와 제2풀리(200)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1풀리(200) 및 제2풀리(200)의 외주면의 구성 및 형상은 제1, 2톱니(210,220)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1풀리(200)의 회전력이 제2풀리(200)에 전달될 수만 있다면 다양한 구성,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는 벨트(400)를 포함한다. 벨트(400)는 무한궤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그 상단은 제2풀리(200)에 걸리고, 그 하단은 턴롤러(800)에 걸린다. 벨트(400)의 상단을 제2풀리(200)에 걸기 위해서, 제2풀리(200)의 외주면 전체가 아닌 일부 외주면만을 제1풀리(200)의 외주면과 맞닿게 위치시키고, 제1풀리(200)와 맞닿지 않는 나머지 외주면 부분에 벨트(400)의 상단을 건다. 따라서, 제1풀리(200)와 연동하여 제2풀리(200)가 회전하는 경우, 벨트(400)는 제2풀리(200)와 턴롤러(800) 사이에서 무한궤도로 회전될 수 있다.
차양막의 하단측은 장력기구(700)에 결합되고, 차양막은 일정 길이 만큼 장력기구(700)에 감겨져 있다. 이러한 장력기구(700)는 차양막스풀(100)이 회전하면서 차양막을 푸는 경우 자신도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스스로에 감겨져 있던 차양막을 풀고, 차양막스풀(100)이 회전하면서 차양막을 감는 경우에는 반대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차양막을 감는 바, 차양막은 항상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즉, 차양막스풀(100)의 직경과 제2풀리(300)의 직경의 차이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차양막 파손, 늘어짐 및 처짐 현상은 장력기구(700)가 차양막을 보상하거나, 회수함으로써 방지된다.
이러한 장력기구(700)는 프런트바(500)에 내장되는데, 프런트바(500)는 장력 기구(700)가 삽입되어 내장될 수 있도록 장력기구(70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내부 형상을 갖는다. 또한, 차양막의 하단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에는 개방구(500a)가 형성된다. 따라서, 차양막의 하단측을 장력기구(700)에 고정 결합하고 일정한 길이만큼 감은 상태에서 장력기구(700)를 프런트바(500)의 내부로 삽입하여 전체적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런트바(500)와 벨트(400)는 연결수단(60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수단(600)의 일측에는 벨트(400)가 결합하고, 타측에는 프런트바(500)의 일단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수단(600)의 타측을 집게 형상으로 형성하여 프런트바(500)의 일단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제2풀리(200) 및 턴롤러(80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해서 측면가이드레일(900)을 이용할 수 있다. 제2풀리(200)와 턴롤러(800)을 내부로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측면가이드레일(900)을 차양막의 좌, 우측에 각각 위치시킨 후, 제2풀리(200), 턴롤러(800)를 측면가이드레일(900)의 내측벽에 고정하고, 벨트(400)의 상하단을 제2풀리(200)와 턴롤러(800)에 건 후에 연결수단(600)을 이용하여 벨트(400)와 프런트바(500)의 일단을 연결한다.
본 고안에 따른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차양막스풀(100)의 회전과 더불어 제1풀리(200)가 회전하고, 제1풀리(200)와 연동하여 제2풀리(200)도 회전하면서 차양막스풀(100)은 차양막을 감거나 푼다. 이러한 차양막은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차양막이 완전히 차양막스풀(100)에 감겨 있는 상태에서 차양막스풀(100)이 회전하여 차양막을 푸는 경우, 차양막스풀(100)의 직경과 제2풀리(300)의 직경 차이 및 차양막이 갖는 원단 자체의 두께 때문에, 차양막스풀(100)로부터 풀리는 차양막의 길이는 벨트(400)의 이동 길이보다 더 짧게 된다. 만약 이러한 상태가 지속된다면 차양장치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거나, 차양막이 찢어질 수도 있다. 이 때, 장력기구(700)가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장력기구(700)에 감긴 차양막을 풀어 모자란 양만큼의 차양막 길이를 보상한다.
또한, 차양막이 차양막스풀(100)로부터 완전히 풀린 상태에서 차양막스풀(100)이 회전하여 차양막을 감는 경우, 역시 차양막이 갖는 원단 자체의 두께 때문에 차양막스풀(100)에 감기는 차양막의 길이는 벨트(400)의 이동 길이보다 더 길다. 따라서, 차양막스풀(100)에 완전히 감기지 못한 길이만큼 차양막은 늘어지거나 처지게 된다. 이 때, 장력기구(700)는 회전하여 완전히 감기지 못한 길이만큼 차양막을 감기 때문에 차양막의 팽팽함이 유지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의 장력기구의 일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장력기구의 일실시 예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의 (a)는 차양막이 차양막스풀에 완전히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의 장력기구의 상태도이며, 도 4의 (b)는 차양막이 차양막스풀로부터 완전히 풀려 있는 상태에서의 장력기구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장력기구(700)는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차양막의 하단측이 결합되며, 차양 막이 일정 길이만큼 감겨져 있는 제1회전샤프트(710)와 이 제1회전샤프트(710)의 내부에 고정 결합된 제1휠(720), 프런트바(500) 내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구(730) 및 탄성와이어(740)를 포함한다. 제1회전샤프트(710)의 외형은 프런트바(5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프런트바(500) 내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형성된다. 제1회전샤프트(710)는 중앙이 통공된 관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바, 통공된 내부에는 제1휠(720)이 고정 결합된다. 제1휠(720)은 제1고정구(730)와 탄성와이어(740)를 매개로 연결된다. 탄성와이어(740)의 양 끝단을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해서 제1휠(720) 및 제1고정구(730)에는 각각 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양막이 차양막스풀(100)에 완전히 감긴 상태에서 탄성와이어(740)에는 어떠한 힘도 작용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차양막이 서서히 풀리는 경우, 제1회전샤프트(710)는 조금씩 회전하면서 스스로에 감겨져 있던 차양막을 풀어 필요한 길이만큼을 보상한다. 이 때, 제1회전샤프트(710)의 회전에 따라 탄성와이어(740)는 비틀리면서 복원력을 축적한다. 차양막이 차양막스풀(100)로부터 완전히 풀린 상태에서 탄성와이어(740)의 비틀림 상태는 최대가 된다. 다시 차양막스풀(100)이 회전하여 차양막을 감는 경우, 탄성와이어(740)는 복원력에 의해서 제1회전샤프트(710)를 회전시켜 종전에 보상했던 길이만큼 차양막을 되감아 차양막이 늘어지거나 처지지 않고, 항상 팽팽함을 유지하면서 감길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회전샤프트(710)의 내부에는 돌출부(712)를 형성하고, 제1휠(720)의 외주면에는 요홈부(72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휠(720)을 제1회전샤프트(710) 내부로 삽입,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개선 된다. 또한, 탄성와이어(740)는 한 쌍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 쌍의 탄성와이어(740)는 차양막이 차양막스풀(100)에 완전히 감긴 상태에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바, 양 끝단은 각각 제1휠(720)과 제1고정구(730)에 고정되며, 차양막이 차양막스풀(100)로부터 풀림에 따라 서로 꼬이면서 복원력을 축적하게 된다.
탄성와이어(740)는 나선형의 코일 형상을 갖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분한 복원력을 축적하기 위해서 우수한 재질 및 여러 개의 탄성와이어(740)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원가 상승 및 복잡한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간단하면서도 우수한 복원력 축적이 가능하도록 코일스프링 형상의 탄성와이어(740)를 사용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의 장력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장력기구(700)는 내부는 통공되고 외주면에는 차양막의 하단측이 결합되되 차양막이 일정 길이 감겨 있는 제2회전샤프트(750)와, 이러한 제2회전샤프트(75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이 관통된 제2휠(760)과, 이러한 제2휠(760)의 중앙을 진퇴하는 피스톤(770)과, 피스톤(770)의 운동에 따라 압축, 팽창되는 공기가 충전된 실린더(780) 및 이러한 실린더(780)를 프런트바(500) 내부에 고정되는 제2고정구(790)를 포함한다. 제2회전샤프트(750)의 회전력은 제2휠(760), 피스톤(770), 실린더(780)에 의해 직선 방향 힘으로 전환되어 복원력으로 축적된다. 피스톤(770)을 제2휠(760)에 용이하게 조립하고, 제2회전샤프트(750)의 회전운동에 의한 회전 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피스톤(770)을 통해 실린더(780)에 복원력으로 축적하기 위해, 제2휠(760)의 통공된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홈(762)이 형성되며, 상기 제2휠(760)의 내주면을 진퇴하는 피스톤(770)의 외주면에는 상기 홈(762)과 대응되는 나사산(772)이 형성된다.
이러한 장력기구(700)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차양막이 차양막스풀(100)에 완전이 감긴 상태에서 피스톤(770)은 실린더(780)내의 공기를 압축시키지 않는다. 모터(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차양막스풀(100)이 회전하고 벨트(400)가 무한궤도로 회전하면서 차양막이 차양막스풀(100)로부터 풀리는 경우, 차양막의 원단 자체가 갖는 두께 때문에 벨트(400)의 이동 길이보다 차양막이 풀려 이동하는 길이가 더 짧게 된다. 모자란 차양막의 길이는 제2회전샤프트(750)에 감겨져 있던 차양막에 의해 보상된다. 제2회전샤프트(750)에 감긴 차양막이 풀려지면서, 제2회전샤프트(750)도 회전된다. 제2회전샤프트(750)가 회전하는 경우, 피스톤(770)은 제2휠(760)의 내주면을 소정 길이만큼 진퇴하면서, 프런트바(500)에 고정된 실린더(780)를 압축하게 되고, 이러한 압축 과정을 통해 복원력이 축적된다. 차양막이 완전히 풀린 상태에서 실린더(780)는 최대로 압축되며, 다시 역으로 차양막스풀(100)이 회전하면서 차양막을 감는 경우, 차양막이 풀리는 과정에서 제2회전샤프트(750)가 보상해주었던 차양막의 길이는 실린더(780)의 복원력(팽창력)에 의해 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회전샤프트(750)에 다시 감겨 차양막이 늘어지거나 처지지 않고 항상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풀리(200)에 상단이 걸리는 벨트(40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벨트(400)의 일면에는 제2풀리(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톱니(310)에 맞물리는 결합돌기(410)와 결합홈(420)이 교대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돌기(410)와 결합홈(420)이 제2풀리(200)의 제2톱니(310)에 맞물려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되므로, 벨트(400)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의 장력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의 (a)는 차양막이 차양막스풀에 완전히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의 장력기구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의 (b)는 차양막이 차양막스풀로부터 완전히 풀려 있는 상태에서의 장력기구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의 장력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의 벨트와 제2풀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양막스풀 200: 제1풀리
210: 제1톱니 300: 제2풀리
310: 제2톱니 400: 벨트
410: 결합돌기 420: 결합홈
500: 프런트바 500a: 개방구
600: 연결수단 700: 장력기구
710: 제1회전샤프트 720: 제1휠
730: 제1고정구 740: 탄성와이어
750: 제2회전샤프트 760: 제2휠
770: 피스톤 780: 실린더
790: 제2고정구 800: 턴롤러
900: 측면가이드레일

Claims (8)

  1. 차양막의 상단측이 결합된 차양막스풀(100);
    상기 차양막스풀(100)의 일단에 결합된 제1풀리(200);
    상기 제1풀리(200)와 맞물려 상기 제1풀리(200)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풀리(300);
    상단은 상기 제2풀리(300)에 걸리고 하단은 턴롤러(800)에 걸려 상기 제2풀리(300) 회전시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벨트(400);
    상기 차양막의 하단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에 개방구(500a)가 형성된 프런트바(500);
    상기 벨트(400)와 프런트바(50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600); 및
    상기 프런트바(500)에 내장되며 상기 개방구(500a)를 통해 삽입된 차양막의 하단측이 결합되어 일정 길이 감겨지고, 차양막을 풀면서 복원력을 축적하고 이러한 복원력에 의해 차양막을 되감아 차양막을 항상 팽팽하게 유지하는 장력기구(700)를 포함하는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기구(700)는 내부는 통공되고 외주면에는 차양막의 하단측이 결합되어 일정 길이 감겨 있는 제1회전샤프트(710)와, 이 제1회전샤프트(710)의 내부에 고정결합된 제1휠(720)과, 상기 프런트바(500)에 고정 결합된 제1고정구(730)과, 이 제1고정구(730)와 상기 제1휠(720)에 양 끝단이 각각 연결된 탄성와이어(7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샤프트(710)는 그 내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7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휠(720)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부(712)와 맞물릴 수 있도록 요홈부(7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이어(740)는 상기 차양막스풀(100)에 차양막이 완전히 감긴 상태에서 서로 평행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이어(740)는 나선형의 코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기구(700)는 내부는 통공되고 외주면에는 차양막의 하단측이 결합되어 일정 길이 감겨 있는 제2회전샤프트(750)와, 중앙이 통공되고 그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홈(762)이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샤프트(750)에 고정 결합된 제2휠(760)과, 외주면에는 상기 제2휠(760)의 홈(762)에 대응되는 나사산(772)이 형성되어 상기 제2휠(760)의 통공된 내부를 진퇴하는 피스톤(770)과, 이 피스톤(770)의 일단에 결합된 실린더(780)와, 이 실린더(780)와 프런트바(500)를 연결하는 제2고정구(7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 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풀리(200)와 제2풀리(300)의 외주면은 서로 맞물려 돌아갈 수 있도록 둘레 방향으로 각각 제1톱니(210)와 제2톱니(3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벨트(400)와 상기 제2풀리(300)의 공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벨트(40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톱니(310)와 맞물리는 결합돌기(410)와 결합홈(420)이 교대로 연속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KR2020090013119U 2009-10-08 2009-10-08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KR200448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119U KR200448707Y1 (ko) 2009-10-08 2009-10-08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119U KR200448707Y1 (ko) 2009-10-08 2009-10-08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707Y1 true KR200448707Y1 (ko) 2010-05-11

Family

ID=4423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119U KR200448707Y1 (ko) 2009-10-08 2009-10-08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70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932Y1 (ko) 2010-11-10 2011-06-07 (주)대영시스템 장력유지구 및 이러한 장력유지구가 장착된 차양막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어셈블리.
KR200469122Y1 (ko) * 2011-06-03 2013-09-23 (주)케이에프티오성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KR20190058799A (ko) * 2017-11-22 2019-05-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장력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롤 블라인드
WO2021029762A1 (ko) * 2019-08-14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월
WO2021182658A1 (ko) * 2020-03-11 2021-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017U (ja) * 1991-02-25 1993-03-19 三和シヤツター工業株式会社 光量調整可能なルーフスクリーン
KR100713129B1 (ko) 2006-07-31 2007-05-04 허승준 전동 롤 스크린 장치
KR100770043B1 (ko) 2007-04-23 2007-10-26 곽명숙 반자동식 롤블라인드
KR200445370Y1 (ko) 2008-06-12 2009-07-22 윤종희 사면설치용 차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017U (ja) * 1991-02-25 1993-03-19 三和シヤツター工業株式会社 光量調整可能なルーフスクリーン
KR100713129B1 (ko) 2006-07-31 2007-05-04 허승준 전동 롤 스크린 장치
KR100770043B1 (ko) 2007-04-23 2007-10-26 곽명숙 반자동식 롤블라인드
KR200445370Y1 (ko) 2008-06-12 2009-07-22 윤종희 사면설치용 차양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932Y1 (ko) 2010-11-10 2011-06-07 (주)대영시스템 장력유지구 및 이러한 장력유지구가 장착된 차양막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어셈블리.
KR200469122Y1 (ko) * 2011-06-03 2013-09-23 (주)케이에프티오성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KR20190058799A (ko) * 2017-11-22 2019-05-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장력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롤 블라인드
KR102055581B1 (ko) * 2017-11-22 2019-12-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장력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롤 블라인드
WO2021029762A1 (ko) * 2019-08-14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월
WO2021182658A1 (ko) * 2020-03-11 2021-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707Y1 (ko)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US7143802B2 (en) Cordless blinds
JP4981722B2 (ja) ケーブル駆動装置付きの側面窓巻上日よけ
CN1936260B (zh) 带平滑推杆元件的遮光卷帘
CN1205059C (zh) 具有波顿拉索的后车窗遮阳窗帘
US20230228094A1 (en) Awning apparatus
US20080179024A1 (en) Blind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JP5604040B2 (ja) 引張り装置及び該引張り装置が設けられた日よけ幕アセンブリ
US7546866B2 (en) Cordless blinds
CN101186178A (zh) 卷起式天窗遮阳板
KR200445370Y1 (ko) 사면설치용 차양장치
JP2009114848A5 (ko)
CN103352653B (zh) 一种同步带牵引的抗风遮阳卷帘
WO1994008125A9 (en) Tape drive extendable and retractable awning assembly
JP4199962B2 (ja) サンルームや温室のための日よけ
WO1994008125A1 (en) Tape drive extendable and retractable awning assembly
KR200450926Y1 (ko)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KR200476979Y1 (ko) 차양막 처짐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장치
KR100698757B1 (ko) 자동복구형 하이 스피드 도어장치
KR0178759B1 (ko) 커텐 겸 방충망을 구비한 슬라이딩 샤시창
CN203347664U (zh) 一种同步带牵引的抗风遮阳卷帘
CN210530479U (zh) 户外双电机织物天幕
CN219927434U (zh) 一种直驱中间对开结构的遮阳帘总成
KR101182603B1 (ko) 경사창의 롤스크린 복귀장치
KR102669195B1 (ko) 패브릭 텐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