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500Y1 -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500Y1
KR200448500Y1 KR2020070016868U KR20070016868U KR200448500Y1 KR 200448500 Y1 KR200448500 Y1 KR 200448500Y1 KR 2020070016868 U KR2020070016868 U KR 2020070016868U KR 20070016868 U KR20070016868 U KR 20070016868U KR 200448500 Y1 KR200448500 Y1 KR 200448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ming knife
sliding groove
trimming
rocking arm
knif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761U (ko
Inventor
쿤-충 예
Original Assignee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캄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캄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캄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070016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50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7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7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5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 D05B37/06Cutting devices with oscillating too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3/00Devices associated with the loop-taker thread, e.g. for tensioning
    • D05B63/02Loop-taker thread take-up lev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6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nd for disposing of the severed thread end ; Catching or wiping devices for the severed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절칼 플레이트 후단에 직선 슬라이딩홈과 호형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는 제 1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며, 피봇 회전이 가능한 요동암의 일단이 저부의 핀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딩홈에 결합되고, 브래킷의 일단이 상기 요동암에 피봇 연결되며, 타단은 피봇축으로 사절칼 플레이트 중간 부위에 피봇 연결됨과 아울러 사절칼 플레이트의 상방이 실 캐처(thread catcher)에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실 캐처는 후단에 상기 요동암 일단을 수용할 수 있는 오목홈이 구비됨과 아울러 요동암의 움직임에 의해 이동된다. 브래킷의 설치를 통하여, 사절칼 플레이트는 중간부위의 피봇축을 지지점으로 회전하면서 한쪽으로 이동한 후, 그 호형 슬라이딩홈의 원심이 요동암의 회전 지지점과 동심을 유지하면서, 이동 사절칼이 뻗어 나올 때 직선 운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실을 낚아채는 동작이 더욱 안정적이고 정확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절칼 플레이트의 회전 지지점은 사절칼과 호형 슬라이딩홈의 중간에 설치되어 사절칼 단부와 요동암 단부의 레버 비율을 축소시킴으로써 핀과 제 1 슬라이딩홈 벽면의 저항력을 줄여주고, 나아가 액츄에이터가 필요로하는 출력량을 경감시키며 핀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AUTOMATIC YARN CUTTING DEVICE OF SEWING MACHINE}
본 고안은 자동사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재봉기에서 실을 낚아채어 절단하는 장치에 적용되는 사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재봉기의 사절장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실 캐처가 바늘 부위까지 뻗어 나가도록 구동되면, 실을 낚아채어 사절칼 부위로 가져가 절단하게 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사절 동작의 정확도는 재봉의 품질 및 작업효율과 상당한 관련이 있으며, 심지어 재봉기 및 그 부재의 사용 수명에도 영향을 미친다.
종래의 재봉기 사절 구조는 설치판, 사절칼 암, 후크레버 암, 캔틸레버가 종래의 클램프, 사절칼, 후크레버 및 요동암과 결합하여 구성된다. 주요 특징으로는 우측과 좌측의 캔틸레버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캔틸레버 세트가 설치판에 고정되고, 좌측 캔틸레버 중 아래를 향하는 돌출기둥이 후크레버 암의 좌측 장방형 구멍으로 삽입되며, 우측 캔틸레버 아래의 돌출기둥이 사절칼 암의 돌출귀에 구비된 구멍으로 삽입되어 사절칼 암이 이를 지지점으로 요동하도록 하고, 사절칼 암의 말단에 장방형 구멍이 개설되어 후크레버 암 말단 아래의 돌출기둥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요동암이 작동할 때, 즉 후크레버 암이 이동하도록 밀어내면 후크레버 암 및 사절칼 암이 우측 캔틸레버 아래의 돌출기둥을 지지점으로 회전한 다음, 후크레버 암이 그 말단 아래의 돌출기둥을 이용하여 사절칼 암 말단의 장방형 구멍을 따라 직선으로 실을 낚아채는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요동암이 전동 방식으로 후크레버 암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요동암이 호형으로 운동하게 되고, 후크레버 암이 직선으로 뻗어 나아가 실을 낚아챌 때, 사절칼 암이 기타 유도부재의 견제가 없는 상태에서 한쪽으로 치우치게 요동하며 전동되기가 쉬워 사절위치가 안정적이지 않으며, 동시에 후크레버 암의 행진 동작 역시 불안정하여 전단부의 후크레버 위치가 한쪽으로 치우치며 부정확해지면서 안정적으로 실을 낚아채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가 없으며, 한쪽으로 치우쳐 부정확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실을 낚아채거나 절단하는 동작을 할 수 없는 등 결함이 있다. 이밖에, 사절칼 암의 요동 지지점에서 사절칼 단부까지의 거리가 요동암 단부까지 거리의 레버와 비율이 너무 커서 요동암이 후크레버 암을 작동시킬 때 비교적 힘이 들고, 후크레버 암이 이동하는 마찰력이 커서 소음 및 마손이 쉽게 발생하며, 나아가 기기의 고장을 일으키기 쉽다는 점이 또 다른 결점이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이동 사절칼이 뻗어 나올 때, 안정적인 직선운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실을 낚아채거나 절단하는 동작이 더욱 정확한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절운동방향과 루퍼의 상대 각도가 변하지 않도록 유지함으로써 실 캐치 동작이 더욱 안정적이게 하는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동 시의 저항력을 줄여주어, 액츄에이터가 필요로하는 출력량을 경감시키고, 마손을 줄일 수 있는 재봉기의 자동 사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에 요동암을 피봇 설치하며, 상기 요동암이 피봇 연결점을 지지점으로 회전 요동하도록 요동암의 일단 저부에 핀을 설치한다. 상기 본체에 사절칼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사절칼 플레이트의 후방에 제 1 슬라이딩홈을 설치한다. 상기 제 1 슬라이딩홈은 직선 슬라이딩홈과 호형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며, 요동암의 핀을 상기 제 1 슬라이딩홈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사절칼 플레이트의 전단 상방에 계단형태의 격판을 설치하고, 격판 상부에 고정 사절칼을 설치하여, 상기 격판과 고정 사절칼 중간에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실 캐처는 상기 사절칼 플레이트의 상방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이동칼 장착대 및 이동 사절칼을 포함하며, 이동 사절칼 장착대 후단에 오목홈을 설치한다. 상기 오목홈에 핀을 구비한 요동암의 일단을 수납하고, 상기 이동 사절칼이 상기 이동 사절칼 장착대의 전단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 사절칼과 격판 중간의 수납공간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사절칼 플레이트의 중간 부위에 피봇 연결구멍을 설치하여, 브래킷의 일단의 피봇축을 상기 피봇 연결구멍에 피봇 연결시키고, 타단은 요동암의 피봇 연결점에 피봇 결합시킨다.
상기 사절칼 플레이트 후방에 나사구멍을 개설하고, 상기 이동 사절칼 장착대 후방에 직선 슬라이딩홈을 구비하여, 위치제한 나사를 상기 직선 슬라이딩홈에 관통시켜 상기 사절칼 플레이트의 나사구멍에 고정시키고, 직선 슬라이딩홈이 위치제한 나사를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사절칼 플레이트 중간 부위에 직선 형태의 제 2 슬라이딩홈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 사절칼 장착대 전단부에 아래를 향해 돌출된 돌출기둥을 설치하여, 상기 돌출기둥을 상기 제 2 슬라이딩홈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켜, 제 2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브래킷이 요동암 및 사절칼 플레이트와 피봇 결합됨에 따라, 요동암이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될 때 이동 사절칼 장착대를 앞으로 밀어내게 되며, 아울러 사절칼 플레이트가 동시에 사절 각도까지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사절칼 플레이트의 호형 슬라이딩홈의 원심이 요동암의 피봇 연결점과 동심을 이루게 되므로, 요동암이 계속 전방으로 이동할 때, 사절칼 플레이트와 고정 사절칼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동 사절칼이 뻗어 나올 때 직선 운동을 유지하게 되어, 안정적이고도 정확하게 실을 낚아채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정위치핀을 설치하고, 상기 브래킷에 타원형의 정위치구멍을 구비하여 정위치핀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브래킷의 피봇축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이동 사절칼이 운동하는 방향이 루퍼의 상대 각도와 불변함을 유지함으로써 실 캐치 동작이 더욱 안정적이도록 한다.
사절칼 플레이트는 중간 부위에 위치한 브래킷의 피봇축을 지지점으로 회전하며, 상기 지지점은 고정 사절칼과 호형 슬라이딩홈의 중간에 설치되어 사절칼 단부와 전동핀 단부의 레버 비율을 축소시킴으로써 핀과 제 1 슬라이딩홈 벽면의 저항력을 낮추어, 핀의 이동이 더욱 원활해지게 되며, 나아가 액츄에이터가 필요로하는 출력량을 경감시키고 핀의 마모를 감소시켜준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에 있어서, 이동 사절칼이 뻗어 나올 때, 안정적인 직선운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실을 낚아채거나 절단하는 동작이 더욱 정확한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절운동방향과 루퍼의 상대 각도가 변하지 않도록 유지함으로써 실 캐치 동작이 더욱 안정적이게 하는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특징 및 구체적인 실시예는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본체(1), 사절칼 플레이트(2), 실 캐처(3) 및 브래킷(4)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의 주변에 본체(1)를 재봉기 테이블에 설치하기 위한 복수개의 결합구멍이 개설되고, 중간 부위에 사절칼 플레이트(2) 및 실 캐처(3)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홈(10)이 구비되며, 수용홈(10)의 측변에서 압박스프링(16)이 나사를 통해 그 일단이 본체(1)에 고정되고, 타단은 사절칼 플레이트(2)에 설치되어 사절칼 플레이트(2)를 눌러준다. 본체(1) 상방에 요동암(11)이 피봇 설치되며, 상기 요동암(11)의 일단은 액츄에이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고, 피봇 연결점(12)을 지지점으로 회전 요동하며, 요동암(11)의 타단 저부에 핀(13)이 설치되어 사절칼 플레이트(2)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본체(1)의 전방 위치에 두 개의 나사구멍(14) 및 돌출된 정위치핀(15)이 설치된다.
상기 사절칼 플레이트(2)는 본체(1)의 수용홈(10)에 설치되고, 그 후방에 제 1 슬라이딩홈(20)이 개설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딩홈(20)은 후단의 직선 슬라이딩홈(201)과 전단부의 호형 슬라이딩홈(202)으로 구성되어, 제 1 슬라이딩홈(20)에 요동암(11)의 핀(13)이 수납되고, 핀(13)이 제 1 슬라이딩홈(20) 중에서 이동되며, 상기 사절칼 플레이트(2) 후방에 나사구멍(21)이 개설된다. 사절칼 플레이트(2)의 중간 부위에 피봇 연결구멍(22) 및 직선 형태의 제 2 슬라이딩홈(23)이 구비되며, 상기 피봇 구멍(22)에 브래킷(4)이 피봇 설치된다. 사절칼 플레이트(2)의 전단부 상방에 격판(24)이 설치되며, 격판(24) 상방에 고정 사절칼(25)이 설치되어, 양자가 나사를 통하여 사절칼 플레이트(2)에 고정되며, 또한 격판(24)은 계단형 플레이트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격판(24)과 고정사절칼(25) 중간에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사절칼 플레이트(2)의 하방에 별도로 두 개의 실장력조절 스프링편(26), 스프링편 압판(27) 및 후면 받침판(28)이 고정된다.
상기 실 캐처(3)는 이동 사절칼 장착대(31) 및 이동 사절칼(32)이 포함되며, 실 캐처(3)는 사절칼 플레이트(2) 상부에 설치된다. 이동 사절칼 장착대(31) 후단에 오목홈(311) 및 직선 슬라이딩홈(312)이 구비되며, 상기 오목홈(311)에 요동암(11)의 일단이 수납되어, 이동 사절칼 장착대(31)가 요동암(11)에 의해 이동된다. 위치제한 나사(29)가 직선 슬라이딩홈(312)을 관통하여 사절칼 플레이트(2) 후단의 나사구멍(21)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이동 사절칼 장착대(31)가 사절칼 플레이트(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또한 이동사절칼 장착대(31) 전단부에 아래로 돌출된 돌출기둥(313)이 설치되어, 상기 돌출기둥(313)이 사절칼 플레이트(2) 중간 위치의 제 2 슬라이딩홈(2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 사절칼 장착대(31)의 전단부는 두 개의 나사로 상기 이동 사절칼(32)을 고정시키고, 이동 사절칼(32)은 고정 사절칼(25)과 격판(24) 중간에 설치된다.
상기 브래킷(4)의 일단은 요동암(11)의 피봇 연결점(12)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은 저부에 피봇축(40)이 설치되며, 아울러 물결형 개스킷(41)을 통하여 사절칼 플레이트(2)의 피봇 연결 구멍(22)에 피봇 연결된다. 브래킷(4)에 네 개의 타원형의 정위치구멍(42)이 개설되어, 중간에 있는 두 개의 정위치구멍(42)에 본체(1)의 두 정위치핀(15)이 끼워지고, 외측의 두 정위치구멍(42)은 나사를 통하여 브래킷(4)을 본체(1)의 나사구멍(14)에 고정시킨다.
상기 구조를 통하여,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사절칼(32)이 대기 위치에 있으면서 아직 뻗어 나가지 않았을 때, 요동암(11)의 핀(13)은 사절칼 플레이트(2)의 직선 슬라이딩홈(201) 후단부에 위치하고, 위치제한 나사(29)는 이동 사절칼 장착대(31)의 직선 슬라이딩홈(312)의 전단부에 위치하며, 이동 사절칼 장착대(31)의 돌출기둥(313)은 사절칼 플레이트(2)의 제 2 슬라이딩홈(23) 후단부에 위치한다.
실을 낚아채어 사절 동작을 진행하고자 할 때, 도 3을 동시에 참조하면, 고정 사절칼(25)이 움직여 사절위치까지 일정한 각도로 이동하면, 이동 사절칼(32)은 일정한 거리로 뻗어 나오게 된다. 액츄에이터가 요동암(11)을 구동시켜 그 피봇 연결점(12)을 지지점으로 회전하면 요동암(11)이 전방을 향해 움직이게 되는 동시에 이동 사절칼 장착대(31)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밀어내게 되고, 이동 사절칼(32)이 동시에 전방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뻗어 나가게 된다. 요동암(11)의 핀(13)이 사절칼 플레이트(2)의 제 1 슬라이딩홈(20)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브래킷이 정위치핀(15)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사절칼 플레이트(2)가 동시에 브래킷(4)의 피봇축(40)을 지지점으로 회전하면서 일정 각도로 이동하게 되고, 고정사절칼(25) 역시 일정 각도로 사절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시에, 요동암(11)의 핀(13)이 직선 슬라이딩홈(201)을 따라 호형 슬라이딩홈(202)까지 이동한다. 이 때, 사절칼 플레이트(2)가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각도는 호형 슬라이딩홈(202)의 원심이 요동암(11)의 피봇 연결점(12)과 동심을 이루게 된다. 이동사절칼 장착대(31)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이외에, 또한 사절칼 플레이트(2)와 동시에 회전하면서 일정 각도로 이동하며, 또한 그 직선 슬라이딩홈(312)이 동시에 위치제한 나사(29)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위치제한 나사(29)가 직선 슬라이딩홈(312)의 전단부를 이탈하게 되고, 이동 사절칼 장착대(31) 상의 돌출기둥(313) 역시 사절칼 플 레이트(2)의 제 2 슬라이딩홈(23)을 따라 전방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요동암(11)이 계속 호형 슬라이딩홈(202)의 전단부까지 회전할 때, 호형 슬라이딩홈(202)의 원심이 요동암(11)의 피봇 연결점(12)과 동심을 이루기 때문에, 핀(13)이 사절칼 플레이트(2)의 호형 슬라이딩홈(202)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사절칼 플레이트(2)는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되며, 고정 사절칼(25) 역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며, 이동 사절칼 장착대(31)는 요동암(11)에 의해 계속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 사절칼 장착대(31)의 직선 슬라이딩홈(312)이 사절칼 플레이트(2)의 위치제한 나사(29)를 따라 동일한 각도로 계속 전방을 향해 위치제한 나사(29)까지 이동하여 직선 슬라이딩홈(312) 후단에 이르게 되고, 전단부의 돌출기둥(313) 역시 이동 사절칼 장착대(31)가 제 2 슬라이딩홈(23)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 2 슬라이딩홈(23)의 전단부까지 이르도록 함과 아울러, 이동 사절칼(32)을 동일한 각도로 실을 낚아채는 위치까지 직선으로 전진시키면 정확하게 재봉실(5)을 낚아채게 된다. 요동암(11)이 되돌아오도록 당겨지면, 이동 사절칼(32)은 재봉실(5)을 붙잡은 채로 고정사절칼(25) 부위까지 되돌아와 재봉실(5)을 절단하게 된다.
이상으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실용적인 장점을 지니고 있다:
1. 브래킷(4)이 요동암(11) 및 사절칼 플레이트(2)와 피봇 연결됨을 통하여, 사절칼 플레이트(2)가 사절 각도까지 움직였을 때, 그 호형 슬라이딩홈(202)의 원 심이 요동암(11)의 피봇 연결점(12)과 동심을 이루기 때문에, 요동암(11)이 계속 전방으로 이동할 때, 사절칼 플레이트(2)와 고정 사절칼(25)이 움직이지 않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동 사절칼(32)이 뻗어 나갈 때 직선 운동을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이고도 정확하게 실을 낚아채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2. 브래킷(4)에 타원형 정위치구멍(42)이 개설되어 본체(1)의 정위치핀(15)에 설치됨으로써 브래킷(4)의 피봇축(40) 위치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하여, 이동 사절칼(32)이 운동하는 방향이 루퍼의 상대각도와 고정불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실 캐치 동작이 더욱 안정적이다.
3. 사절칼 플레이트(2)는 브래킷(4)의 피봇축(40)을 지지점으로 회전하며, 상기 지지점은 고정 사절칼(25)과 호형 슬라이딩홈(202)의 중간에 설치되어 사절칼 단부와 전동핀(13) 단부의 레버 비율을 축소시키기 때문에, 핀(13)과 제 1 슬라이딩홈(20) 벽면의 저항력을 낮추어 핀(13)의 이동이 더욱 원활해지고 힘을 절약할 수 있으며, 나아가 액츄에이터가 필요로 하는 출력량을 경감시키고 핀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이상에 설명한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한 것으로서, 본 고안으로 실시가능한 범위를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본 분야의 기술자가 분명히 실시 가능한 변화와 수식은 모두 본 고안의 실질 내용에 위배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부품 분해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절동작도(1),
도 3은 본 고안의 사절동작도(2) 및
도 4는 본 고안의 사절동작도(3)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사절칼 플레이트 3: 실 캐처
4: 브래킷 5: 재봉실 10: 수용홈
11: 요동암 12: 피봇 연결점 13: 핀
14: 나사구멍 15: 정위치핀 16: 압박스프링
20: 제 1 슬라이딩홈 21: 나사구멍
22: 피봇 연결구멍 23: 제 2 슬라이딩홈
24: 격판 25: 고정 사절칼
26: 실장력조절 스프링편 27: 스프링편 압판
28: 후면받침판 29: 위치제한 나사
31: 이동 사절칼 장착대 32: 이동 사절칼
40: 피봇축 41: 물결형 개스킷
42: 정위치구멍 201: 직선 슬라이딩홈
202: 호형 슬라이딩홈 311: 오목홈
312: 직선 슬라이딩홈 313: 돌출기둥

Claims (7)

  1.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에 있어서, 수용홈(10)이 설치되고, 요동암(11)이 피봇 설치되는 본체로서, 상기 요동암이 피봇 연결점을 지지점으로 회전요동하며, 요동암의 일단 저부에 핀이 설치되는 본체(1);
    상기 본체의 수용홈에 설치되는 사절칼 플레이트로서, 중간 부위에 피봇 연결구멍(22)과 후방 부위에 제 1 슬라이딩홈(2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홈(20)에 직선 슬라이딩홈(201)과 호형 슬라이딩홈(202)이 포함되며, 전단부 상방에 계단형 플레이트 형태의 격판(24)이 설치되고, 상기 격판 상부에 고정 사절칼(25)이 설치되어, 상기 격판과 고정 사절칼 중간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사절칼 플레이트(2);
    상기 사절칼 플레이트 상부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동 사절칼 장착대(31) 및 이동 사절칼을 포함하는 실 캐처로서, 상기 이동 사절칼 장착대 후단부에 오목홈이 구비되고, 상기 오목홈에 요동암 중 핀이 구비된 일단이 수납되고, 상기 이동 사절칼이 상기 이동 사절칼 장착대의 전단부에 고정되며, 이동 사절칼이 상기 고정 사절칼과 격판 중간의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실 캐처(3); 및
    일단이 상기 요동암의 피봇 연결점(12)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사절칼 플레이트의 상기 피봇 연결구멍(22)에 피봇 연결되는 브래킷(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절칼 플레이트 후방에 나사구멍이 개설되고, 상기 이동 사절칼 장착대 후단에 직선 슬라이딩홈이 구비되어, 위치제한 나사가 상기 직선 슬라이딩홈을 관통하여 상기 사절칼 플레이트의 나사구멍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절칼 플레이트 중간 부위에 직선 형태의 제 2 슬라이딩홈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사절칼 장착대 전단부에 아래로 돌출된 돌출기둥이 설치되어, 상기 돌출기둥이 상기 제 2 슬라이딩홈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수용홈 측변에 압박스프링이 설치되어, 그 일단이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사절칼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일단은 저부에 피봇축이 설치되고, 물결형 개스킷을 통하여 상기 사절칼 플레이트의 피봇 연결구멍에 피봇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정위치핀 및 나사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브래킷에 다수개의 타원형 정위치구멍이 개설되어, 상기 정위치구멍에 각각의 정위치핀이 끼워지며, 나사가 관통되어 브래킷을 본체의 나사구멍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절칼 플레이트는 피봇축을 지지점으로 일정 각도까지 회전하여 이동한 후, 상기 호형 슬라이딩홈의 원심이 요동암의 피봇 연결점과 동심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
KR2020070016868U 2007-10-18 2007-10-18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 KR200448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868U KR200448500Y1 (ko) 2007-10-18 2007-10-18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868U KR200448500Y1 (ko) 2007-10-18 2007-10-18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761U KR20090003761U (ko) 2009-04-22
KR200448500Y1 true KR200448500Y1 (ko) 2010-04-21

Family

ID=4128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868U KR200448500Y1 (ko) 2007-10-18 2007-10-18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50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4982B (zh) * 2019-03-19 2024-03-15 中山市臻的美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纤维丝裁断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1994A (en) * 1995-04-07 1996-01-09 Ku; Fei-Lung Thread cutter for a chainstich sewing machine
JPH0975573A (ja) * 1995-09-14 1997-03-25 Janome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自動糸切り装置
KR20000018861U (ko) * 1999-03-30 2000-10-25 유밍퉁 재봉기용 절사장치
KR200245334Y1 (ko) 2000-10-16 2001-10-25 페이-룽 구 미싱의 실 커팅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1994A (en) * 1995-04-07 1996-01-09 Ku; Fei-Lung Thread cutter for a chainstich sewing machine
JPH0975573A (ja) * 1995-09-14 1997-03-25 Janome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自動糸切り装置
KR20000018861U (ko) * 1999-03-30 2000-10-25 유밍퉁 재봉기용 절사장치
KR200245334Y1 (ko) 2000-10-16 2001-10-25 페이-룽 구 미싱의 실 커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761U (ko)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1689B2 (en) Clutch structure for presser foot of embroidery sewing machine
JP5095101B2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US8087367B2 (en) Thread cutter for sewing machine
JP5321938B2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KR200448500Y1 (ko) 재봉기의 자동사절장치
CN108457015B (zh) 一种自动缝纫机剪线机构及缝纫机
JP5041284B2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4468550B2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の糸切り装置
CN208167272U (zh) 一种自动剪线机构及缝纫机
CN210684163U (zh) 缝纫机的切线机构
JP4488584B2 (ja) 押え位置変更装置を備えたミシン
JP3136964U (ja) ミシンの自動糸切り装置
CN212388184U (zh) 一种链式平缝机
CN210796864U (zh) 缝纫机的剪线抬压脚机构
CN110117877A (zh) 一种去鸟巢机构
JP2007135971A (ja) ミシン用布切り装置
CN111663258B (zh) 柱筒型缝纫机的切线装置
CN108118448B (zh) 一种锁眼机
CN115247321B (zh) 一种缝纫机剪线抬压脚及线张力机构
KR20100057739A (ko)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
CN108118450B (zh) 一种锁眼机
CN216838503U (zh) 一种用于缝纫设备的剪线机构
JP3824923B2 (ja) 2本針ミシンの糸切り装置
US5168821A (en) Sewing machine having a threading device
CN212294025U (zh) 绣花机面线放松驱动组件及绣花机机头及绣花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