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270Y1 - 굴삭기용 브레이커 및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브레이커 및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270Y1
KR200448270Y1 KR2020070017532U KR20070017532U KR200448270Y1 KR 200448270 Y1 KR200448270 Y1 KR 200448270Y1 KR 2020070017532 U KR2020070017532 U KR 2020070017532U KR 20070017532 U KR20070017532 U KR 20070017532U KR 200448270 Y1 KR200448270 Y1 KR 200448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rubber layer
rubber
dustproof plate
soundproof dust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5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146U (ko
Inventor
조재룡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비
Priority to KR2020070017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27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1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1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2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05Arrangements for breaking-up hard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11Arrangements of noise-d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22/00Materials of the tool or the workpiece
    • B25D2222/72Stone, rock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브레이커는, 바디,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툴, 상기 바디를 둘러싸는 브라켓, 및 상기 바디와 브라켓의 내면 사이에 설치되는 차음 방진판을 포함하는 굴삭기용 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차음 방진판은, 상기 바디에 접촉하게 설치되어, 상기 차음 방진판이 상기 바디의 접촉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차음 방진판의 구조적 변형을 방지하는 기저판; 상기 기저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는 제1 고무층; 및 상기 제1 고무층의 면들 중 상기 기저판에 접촉하는 면을 제외한 면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면에는 엠보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엠보돌기들이 상기 브라켓의 내면과 접촉되는 제2 고무층을 포함한다.
브레이커, 차음 방진판, 기저판, 고무층, 코드지

Description

굴삭기용 브레이커 및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Breaker of excavator and plate for sound proof and vibration prevention of breaker}
본 고안은 굴삭기용 브레이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레이커의 바디와 브라켓 사이에 차음 방진판을 설치하여 브레이커의 심한 진동을 용이하게 흡수하는 굴삭기용 브레이커 및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브레이커는 굴삭기의 아암에 버켓 대신에 설치되어 토목 공사나 건물 기초 공사에서 암석 파쇄, 말뚝 박기 등에 사용되는 작업기의 일종으로서, 브레이커의 바디 내에는 상하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이 내장되어있고, 피스톤 아래쪽에는 암석을 파쇄하기 위한 툴(tool)(로드(rod)라고도 함)이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피스톤은 브레이커에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상하 왕복 운동을 반복하며, 특히 하강 시에 유압이나 압축가스의 힘으로 빠른 속도록 하강하여 암석 파쇄를 위한 치즐이나 말뚝을 박기 위한 말뚝 홀더를 강하게 타격하게 된다.
이러한 타격에 수반하여 브레이커의 바디에는 피스톤을 강하게 하강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유압이나 압축가스에 대한 반력이 작용하게 되고, 또 피스톤의 강한 충격에 의해 브레이커의 바디의 진동이 유발된다. 즉, 피스톤이 브레이커의 바디 내에서 유압이나 압축가스의 힘에 의해 상하로 가속되어 왕복 운동을 하면서, 하강시에 하사점에서 툴을 강하게 타격하게 되는데, 이때 피스톤을 밀어 내리던 유압실에는 피스톤의 반동으로 인해 큰 충격압이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 내부의 유압이나 가스의 압력 변동은 브레이커 바디의 진동을 유발하게 되고, 브레이커 바디의 진동은 브레이커를 지지하고 있는 브라켓의 진동을 유발하게 되어 심한 소음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진동 및 소음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바디와 브라켓의 내면 사이에 방진판을 설치한다. 통상, 우레탄 재질의 방진판을 설치하여 바디와 브라켓간의 충격을 흡수 완충시켜 진동 및 소음을 억제시킨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우레탄 재질의 방진판만으로는 진동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서 브레이커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며, 소음으로 인한 민원이 많이 제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동식 구조의 차음 방진판을 바디와 브라켓 사이에 설치하여 진동과 소음을 저하시키고, 유지 보수 횟수를 줄이는 굴삭기용 브레이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유동식 구조로 되어 있고, 브레이커의 바디와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어, 진동과 소음을 저하시키고, 유지 보수 횟수를 줄이는 굴삭기용 브레이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브레이커는, 바디,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툴, 상기 바디를 둘러싸는 브라켓, 및 상기 바디와 브라켓의 내면 사이에 설치되는 차음 방진판을 포함하는 굴삭기용 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차음 방진판은, 상기 바디에 접촉하게 설치되어, 상기 차음 방진판이 상기 바디의 접촉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차음 방진판의 구조적 변형을 방지하는 기저판; 상기 기저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는 제1 고무층; 및 상기 제1 고무층의 면들 중 상기 기저판에 접촉하는 면을 제외한 면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면에는 엠보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엠보돌기들이 상기 브라켓의 내면과 접촉되는 제2 고무층을 포함한다.
상기 굴삭기용 브레이커는, 상기 제1 고무층과 제2 고무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고무층의 함몰 또는 변형을 방지하는 코드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코드지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의 내면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복수개의 칸막이들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들 사이에 상기 차음 방진판이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들의 상기 브라켓 내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차음 방진판의 높이보다 작아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들의 끝단과 상기 바디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저판은, 모노머 캐스트 나일론(Monomer Cast Nylon)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고무층은, 클로로프렌 고무, 황산바륨, 고무배합유 및 카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고무층은, 상기 황산바륨 대신에 경탄 또는 페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무층은,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대신에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무층은, 클로로프렌 고무, 고무배합유 및 카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고무층은,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대신에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은, 바디,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툴, 및 상기 바디를 둘러싸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굴삭기용 브레이커에서 상기 바디와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차음 방진판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접촉하게 설치되어, 상기 차음 방진판이 상기 바디의 접촉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차음 방진판의 구조적 변형을 방지하는 기저판; 상기 기저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는 제1 고무층; 및 상기 제1 고무층의 면들 중 상기 기저판에 접촉하는 면을 제외한 면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면에는 엠보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엠보돌기들이 상기 브라켓의 내면과 접촉되는 제2 고무층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차음 방진판이 고탄력 저경도의 엠보돌기들이 포함된 고무층 및 고비중 저경도의 고무층 등 다층 구조로 형성되어, 브레이커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지속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용 브레이커의 정면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용 브레이커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굴삭기용 브레이커(이하, 브레이커라 함)(100)는 툴(110), 바디(120), 브라켓(130) 및 차음 방진판(140)을 포함한다.
툴(110)은 파쇄물에 타격을 가하여 파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툴(110)은 바디(120)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바디(120)에 내장된 피스톤(미도시)의 왕복운동에 의해 힘을 전달받는다.
바디(120)는 툴(110)의 하단부에 파쇄력을 전달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유압에 의해 왕복시켜 주는 실린더(미도시)를 구비한다.
브라켓(130)은 바디(1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바디(120)를 지지한다.
차음 방진판(140)은 브라켓(130)의 내면과 바디(110) 사이에 설치된다. 차음 방진판(140)은 브레이커(100)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지속적으로 흡수한다. 차음 방진판(140)은 유동식 구조로 형성되어 바디(110)로부터의 진동을 흡수, 분산시킨다. 이러한 차음 방진판(140)의 구조 및 동작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브라켓(130)의 내면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복수개의 칸막이들(145)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칸막이들(145) 사이에 차음 방진판(140)이 설치되어, 칸막이들(145)은 차음 방진판(140)이 진동에 의해 어느 한 쪽으로 쏠리지 않고 고정된 위치에 있도록 한다. 도 1에는 5개의 칸막이(145)가 브라켓(13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브라켓(130)의 내주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칸막이(145)의 높이(즉, 브라켓(130)의 내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차음 방진판(140)의 높이(즉, 차음 방진판(140)의 기저판(310)의 바닥면으로부터 제2 고무층(340)의 엠보돌기들(345)까지의 높이)(도 3 참조)보다 약간 낮다. 예를 들어, 차음 방진판(140)의 높이가 50mm인 경우, 칸막이(145)의 높이는 45mm이다. 이러한 높이의 차이로 인해, 칸막이(145)의 끝단과 바디(1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에 의해 바디(110)와 칸막이(145)의 마찰을 방지하며, 차음 방진판(140)이 공간만큼 유동적이 된다.
또한, 브레이커(100)는 바디(120)의 상면에 설치된 상부 댐퍼(150) 및 하면에 설치된 하부 댐퍼(160)를 구비한다. 상부 댐퍼(150) 및 하부 댐퍼(160) 각각은 바디(120)의 진동을 방지한다.
도 3은 차음 방진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차음 방진판의 사시 도를 도시한 것이다.
차음 방진판(140)은 기저판(310), 제1 고무층(320) 및 제2 고무층(340)을 포함한다.
기저판(310)은 바디(110)에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바디(110)로부터 강력한 충격이 왔을 때 처음으로 충격을 흡수한다. 기저판(310)은 바디(110)에 밀착되어 차음 방진판(140)의 구조적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저판(310)은 MC 나일론(Monomer Cast Nylon: 모노머 캐스트 나일론)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표면이 매끄러워 바디(110)가 진동하더라도 기기저판(310)의 접촉면이 바디(110)의 접촉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저판(310)의 재질은 비교적 단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차음 방진판(140)의 구조적 변형을 방지한다.
제1 고무층(320)은 기저판(310) 상에 형성된다. 제1 고무층(320)은 바디(1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쇄시킨다. 제1 고무층(320)은 제2 고무층(340)보다 비중이 높아 구조적 견고성이 높다. 따라서, 제1 고무층(320)은 제2 고무층(340)보다 탄성계수가 낮아 충격에 대한 반발력이 거의 없어, 바디(110)로부터의 충격을 자체적으로 흡수한다.
제1 고무층(320)은 클로로프렌 고무(CR: Chloroprene Rubber), 황산바륨, 고무배합유 및 카본으로 이루어진다.
클로로프렌 고무는 H-NBR(Nitrile Butadiene Rubber)로 대체될 수 있다. H-NBR은 수소 첨가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로서, 니트릴 함량이 높아 그리스(Greese)유 에 강하다.
황산바륨은 경탄, 페라이트 중 어느 하나로 대체될 수 있다. 황산바륨은 유산바륨이라고도 하며, 제1 고무층(320)의 비중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고유배합유는 DOP(Dioctyle Phthalate)를 사용하며, 제1 고무층(320)의 경도를 조절하고, 성분들간의 배합이 잘 되게 한다.
카본은 고무 착색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클로로프렌 고무 24%. 황산바륨 73%, 고무배합유 1.2~1.5%, 카본 1.2%를 사용한다.
제2 고무층(340)은 제1 고무층(320) 상에 형성된다. 제2 고무층(340)의 상면에는 엠보돌기들(345)이 설치되고, 엠보돌기들이 브라켓(130)의 내면과 접촉되어 차음 방진판(140)에게 유동성을 제공한다.
제2 고무층(340)은 제1 고무층(320)에 비해 경도가 더 낮고, 탄성계수가 높다.
제1 고무층(320)은 클로로프렌 고무(CR: Chloroprene Rubber), 고무배합유 및 카본으로 이루어진다.
클로로프렌 고무는 H-NBR(Nitrile Butadiene Rubber)로 대체될 수 있다. H-NBR은 수소 첨가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로서, 니트릴 함량이 높아 그리스(Greese)유에 강하다.
고유배합유는 DOP(Dioctyle Phthalate)를 사용하며, 제2 고무층(340)의 경도를 조절하고, 성분들간의 배합이 잘 되게 한다.
카본은 고무 착색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클로로프렌 고무 66.6%. 고무배합유 13.3%, 카본 20%를 사용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돌기들(345)은 5mm 정도 수축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며, 이러한 경우 엠보돌기들(345)의 높이는 6mm 정도가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차음 방진판(140)의 경도는 기저판(310)이 100이라고 하면, 제1 고무층(320)은 65~70이고, 제2 고무층(340)은 45정도이다.
제1 고무층(320)의 비중은 2.5이고, 제2 고무층(340)의 비중은 1.2이다.
차음 방진판(140)은 코드지(330)를 더 포함한다.
코드지(330)는 제1 고무층(320)과 제2 고무층(340) 사이에 형성된다. 코드지(330)는 제1 고무층(340)의 함몰 또는 변형을 방지한다. 제1 고무층(340)은 탄성계수가 낮아 쉽게 변형의 소지가 있어, 딱딱한 재질의 코드지(330)가 제1 고무층(340)의 변형을 방지한다. 코드지(330)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이루어진다.
코드지(330)는 주로 타이어의 내층고무와 외층고무 사이에 사용되어 타이어가 움푹 들어가는 덴팅(denting) 현상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도 제1 고무층(340)의 함몰 또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다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에 대해서 설명한다.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은 브레이커의 바디와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어 브레이커의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차음 방진판(140)은 기저판(310), 제1 고무층(320) 및 제2 고무층(340)을 포함한다.
차음 방진판(14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용 브레이커의 정면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용 브레이커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차음 방진판의 단면도.
도 4는 차음 방진판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브레이커 110 : 바디
120 : 툴 130 : 브라켓
140 : 차음 방진판 150 : 상부 댐퍼
160 : 하부 댐퍼

Claims (20)

  1. 바디,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툴, 상기 바디를 둘러싸는 브라켓, 및 상기 바디와 브라켓의 내면 사이에 설치되는 차음 방진판을 포함하는 굴삭기용 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차음 방진판은,
    상기 바디에 접촉하게 설치되어, 상기 차음 방진판이 상기 바디의 접촉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차음 방진판의 구조적 변형을 방지하는 기저판;
    상기 기저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는 제1 고무층; 및
    상기 제1 고무층의 면들 중 상기 기저판에 접촉하는 면을 제외한 면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면에는 엠보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엠보돌기들이 상기 브라켓의 내면과 접촉되는 제2 고무층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의 내면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복수개의 칸막이들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들 사이에 상기 차음 방진판이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들의 상기 브라켓 내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차음 방진판의 높이보다 낮아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들의 끝단과 상기 바디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브레이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무층과 제2 고무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고무층의 함몰 또는 변형을 방지하는 코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브레이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지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브레이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은,
    모노머 캐스트 나일론(Monomer Cast Nylon)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브레이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무층은,
    클로로프렌 고무, 황산바륨, 고무배합유 및 카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브레이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무층은,
    상기 황산바륨 대신에 경탄 또는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브레이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무층은,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대신에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브레이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무층은,
    클로로프렌 고무, 고무배합유 및 카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브레이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무층은,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대신에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브레이커.
  11. 바디,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툴, 및 상기 바디를 둘러싸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굴삭기용 브레이커에서 상기 바디와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차음 방진판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접촉하게 설치되어, 상기 차음 방진판이 상기 바디의 접촉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차음 방진판의 구조적 변형을 방지하는 기저판;
    상기 기저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는 제1 고무층; 및
    상기 제1 고무층의 면들 중 상기 기저판에 접촉하는 면을 제외한 면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면에는 엠보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엠보돌기들이 상기 브라켓의 내면과 접촉되는 제2 고무층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의 내면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복수개의 칸막이들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들 사이에 상기 차음 방진판이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들의 상기 브라켓 내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차음 방진판의 높이보다 작아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들의 끝단과 상기 바디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무층과 제2 고무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고무층의 함몰 또는 변형을 방지하는 코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지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은,
    모노머 캐스트 나일론(Monomer Cast Nylon)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무층은,
    클로로프렌 고무, 황산바륨, 고무배합유 및 카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무층은,
    상기 황산바륨 대신에 경탄 또는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무층은,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대신에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무층은,
    클로로프렌 고무, 고무배합유 및 카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무층은,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대신에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KR2020070017532U 2007-10-30 2007-10-30 굴삭기용 브레이커 및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KR200448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532U KR200448270Y1 (ko) 2007-10-30 2007-10-30 굴삭기용 브레이커 및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532U KR200448270Y1 (ko) 2007-10-30 2007-10-30 굴삭기용 브레이커 및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146U KR20090004146U (ko) 2009-05-07
KR200448270Y1 true KR200448270Y1 (ko) 2010-03-29

Family

ID=4129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532U KR200448270Y1 (ko) 2007-10-30 2007-10-30 굴삭기용 브레이커 및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2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161A (ko) * 2014-11-04 2016-05-12 최이광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3270A (zh) * 2017-11-21 2018-06-29 黎仲炜 一种改进型的电力施工用电缆铺设设备
CN108206485A (zh) * 2017-11-21 2018-06-26 黎仲炜 一种新型的电力施工用电缆铺设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7535A (ja) * 1989-12-04 1991-08-01 Nippon Steel Corp 溶接用低温高靭性鋼の製造方法
JPH11254351A (ja) * 1998-03-11 1999-09-21 Konan Electric Co Ltd 油圧ブレーカ用ブラケ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7535A (ja) * 1989-12-04 1991-08-01 Nippon Steel Corp 溶接用低温高靭性鋼の製造方法
JPH11254351A (ja) * 1998-03-11 1999-09-21 Konan Electric Co Ltd 油圧ブレーカ用ブラケ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161A (ko) * 2014-11-04 2016-05-12 최이광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9042B1 (ko) * 2014-11-04 2016-08-17 최이광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146U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5689C (zh) 安装破碎机用的托架
JP4786768B2 (ja) 油圧ブレーカーアセンブリー
KR102035799B1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KR102031090B1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KR100870984B1 (ko) 유압브레이커용 진동방지 장치
KR200448270Y1 (ko) 굴삭기용 브레이커 및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KR102266336B1 (ko)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KR100819471B1 (ko) 브레이커의 방진장치
KR100501735B1 (ko) 유압브레이커의 방진장치
KR101179956B1 (ko) 굴삭기용 브레이커
KR100776574B1 (ko) 브레이커의 방진장치
EP0737550A1 (en) Impact hammer
KR20090003803U (ko) 굴삭기용 브레이커
KR100910796B1 (ko) 브레이커의 방진장치
KR200381252Y1 (ko) 유압브레이커의 완충형 댐퍼구조
KR100919740B1 (ko) 유압브레이커의 완충구조
KR100950089B1 (ko) 굴삭기용 브레이커 및 브레이커용 댐핑장치
KR200341687Y1 (ko) 브레이커의 방진장치
KR102331165B1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KR100335004B1 (ko) 브레이커용 저소음 치즐
KR200343253Y1 (ko) 브레이커의 방진장치
KR101401670B1 (ko) 브레이커의 방진장치
US20230212836A1 (en) Hydraulic breaker chisel
KR200340350Y1 (ko) 브레이커의 방진구
CN214578581U (zh) 一种柴油发动机用减震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